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채만식 소설의 서술방식 연구 : 「태평천하」와 「탁류」를 중심으로

        문현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시대의 질곡을 풍자의 기법에 담아 우회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독특한 작가적 색깔을 창출해낸 채만식은 작품 수가 많았던 만큼 다양한 성격, 다양한 주제를 작품 속에 구현해냈다. 본고는 그간 채만식에 대한 연구의 방향이 사회 반영 측면이나 작가 의식 쪽에 편중된 데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작품을 직조하고 있는 서술 방식이나 언어 운용법, 작품의 특성을 배태하는 서술적 전략 등에 대해 집중적인 조명을 해보고자 했던 바, 특별히 풍부한 서술 기법을 보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되는 장편소설 「태평천하」 와 「탁류」 를 대상으로 삼았다. 「태평천하」 는 장면을 제시하여 독자에게 보여주는 방식이 아니라 서술자가 완벽하게 작품의 시종을 장악하면서 전지적 위치에서 내용을 들려주는, '말하기' 방식을 차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서술은 단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술자의 권위가 작중인물에게 다양하게 안배되면서 몇 겹의 층을 형성하고 있으니, 그것은 작중인물과 서술자간의 거리가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고 있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 또한, 순차적인 시간의 흐름에 얽매이지 않음으로써 과거와 현재가 빈번하게 교체되는 서술적 역전 기법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불필요한 사족 같은 군더더기 내용이 끼어들어 본 줄거리의 전개를 늦추는 지연도 빈번히 나타난다. 「탁류」는 서술자의 서술 통제욕으르 인해 인물간의 관계가 자발적이고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서술자의 힘을 빌미로 하거나 서술자의 대리인을 매개로 한 상태에서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의존적이거나 기회주의적인 인물들에게 자신을 변명할 여지를 충분히 줌으로써 인물들의 자기 합리화 현상이 뚜렷이 부각되고 있다. 이때 서술자는 자신의 서술적 힘을 인물들에게 골고루 분배하면서 각자의 입장이나 행동을 그들 나름의 시각에서 풀어가도록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 장마다 다양한 초점주체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인물간의 대화가 안고 있는 거짓과 위선을, 뒤이어 병치된 서술을 통해 폭로함으로써 대화와 서술의 상호 위배를 드러내고 있다. 즉 인물들의 전혀 솔직하지 못한 대화와 함께, 그 이면의 숨겨진 진실을 조롱하듯 낱낱이 해부하는 서술이 뒤이어 진술되므로써 독자들을 오해에 빠지지 않게 하는 곳이다. 결국 채만식의 장편소설은 일정한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시간배치를 적절히 구사하여 순차적 전개 의에도 서술역전기법, 동시적 전개 양상이 다양하게 구현되면서 다른 작가들과 차별화되는 '말하기' 방식으로 오히려 그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적 효과를 획득했다고 볼 수 있다. Chae Man-shik, who created a peculiar artistic color by presenting the shackles of time with an art of a roundabout satire, embodied various characters and themes in his works in as much as he was a very prolific writer. This study dealt with "Tak-ryu"(the muddy stream) and "Tae Pyong-Chon Ha" (the Millenium), which are expected to show substantial narrative techniques, gave an intensive study on the way narratives are stated, words usage and narrative tactics to bear his own literary characteristics, as an alternative of the trend to focus mainly on the side of a social reflection or the writer's consciousness. "Tae Pyong-Chon Ha" uses not a technique of showing the scenes to readers but the one of telling a story to them from an all-knowing position, when the describer gets the hold of everything of the work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ut the description isn't given flatly but has several layers to distribute the describer's authority diversely, which results from the change of a distance between characters and the describer. Besides, a narrative-reverse technique becomes outstanding, which is free from the passage of time and twines past and present intricately, and it is not so uncommon that unnecessary dialogues interrupt the development of a main story. In "Tak-ryu", you can't see any voluntary or direct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because of a describer's great desire for the control of description. Rather most relationships show a kind of indirect formation process under the describer's influence or through an intermediary of his agent, giving enough roam for the characters to depend themselves, which contributes to highlighten their tendency to self-rationalization. The describer distributes his narrative power to every character equtably, trying to make him present his circumstance or behavior from his own view, which makes each chapter gain natural change of the subject of narrative. And it discloses lies and hipocracies which are concealed beneath a dialogue through a description to follow it, showing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two. That is, the dialogue far from frankness is followed by the description which anatomies the hidden Truth within it, preventing readers from misunderstanding. Besides "Tak-ryu" obtains not only the enhance of a narritive solidarity but the tension and an esthetic sense by applying various techniques like a successive or a simulteneous development and even after-description. His long novel commands a free time-distribution which isn't restricted by a fixed pattern, realizes a narrative-reverse technique and a simultaneous development as well as a successive one, getting his own peculiar literary effect through "narrative technique" which differentiates him from the other writers.

      • 전북지역 초등교사의 나트륨에 대한 지식, 나트륨섭취 식행동, 저염식 태도 및 식생활지도 수행과의 관계성 연구

        문현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나트륨은 체내에서 산·염기의 균형을 조절하고, 세포내·외액의 삼투압을 유지, 체내의 수분보유에 관여하며 혈압을 유지하고, 영양물질의 세포내 이동 등 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필수 물질 중 하나이다(KNS 2010). 그러나 나트륨 과다 섭취는 고혈압과 더불어 심장질환·뇌 혈관질환 등 순환기계 질환에 직접적인 주요 원인이며, 뇌졸중, 위암, 골다공증의 발생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Son at al 2007). 나트륨 과다 섭취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하루 소금섭취 권장량을 5g으로 정하고 있다(WHO, 2007). 미국의 경우 ‘Health People 2010'에서 하루 나트륨 섭취량을 2400 mg 이하로 섭취하는 2세 이상 인구를 21%에서 65%로 증가시키는 목표를 세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Nicklas et al 2005). 영국은 ‘2010 Salt Target’을 정책으로 하루 소금 섭취량을 9g∼6g으로 감량하도록 목표를 정하고 있다(Department of Health, 2004). 일본은 일본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에서 식염은 1일 10g이하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2000년부터 성인의 1일 소금섭취량을 10g이하로 감소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Healthy people in Japan 21, 2003). 우리나라는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따르면 1일 충분 섭취량을 1500 mg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식이 관련 만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목표섭취량으로 나트륨 2000 mg을 제시하고 있다(KNS, 2010). 그러나 보건복지부(2011)의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일 나트륨 섭취량은 2008년 4,607.6 mg, 2010년 4,830.5 mg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Yon et al(2011)의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 양상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령층별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1∼2세 경우 1,283 mg이었고, 3∼5세 2,017 mg, 6∼11세 3,134 mg, 12∼18세 4,110 mg, 19∼29세 4,854 mg, 30∼49세 5,406 mg, 50∼64세 4,987 mg, 65세 이상 4,327 mg으로서 1∼2세 연령군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군에서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목표섭취량인 2,000 mg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나트륨과잉 섭취의 원인은 짜게 먹는 습관에 기인하는데 나트륨 과잉 섭취에 기여하는 음식군은 김치류, 면 및 만두류, 국 및 탕류, 찌개 및 전골류, 밥류 순으로 나타났다(Yon et al 2011). Park et al(2008)의 나트륨 섭취량과 관련된 식행동 연구에 따르면 남자가 여자보다 나트륨 섭취 증가 식행동이 많으며, 중년층은 짠맛 선호도나 식탁염 첨가, 국물섭취가 많은 반면 젊은 층은 배달음식, 라면, 물김치의 국물 섭취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는 간식으로 먹는 가공식품과 편이식품을 통한 나트륨섭취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Kang & Yoon(2009)의 초등학생의 주요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당·나트륨·지방류 등의 노출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상위 20%의 집단과 가공식품을 가장 적게 섭취하는 하위 20%집단과 비교할 때 당류는 8.3배, 콜레스테롤은 9.7배, 포화지방은 5.9배, 나트륨은 20.4배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 HJ(2001)는 성장기에 나트륨 과잉섭취는 낮은 칼슘섭취와 함께 골칼슘 침착을 감소시키게 되어 골격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국 최대 골질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실제로 Lee SS(2001)의 맛 선호도가 학령기 아동의 체위 및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 짠맛을 선호하는 아동들은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신장이 작았다고 보고되었다. Rho et al(2010)에 따르면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습관과 식행동은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이유기로부터 장기간에 걸친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Lim SY(2010)은 일단 형성된 식행동은 변화시키기 어려우므로 식습관이 정착되기 이전의 초등학교에서 새로운 식생활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단체 급식을 통한 합리적인 영양을 섭취와 바른 식사 태도와 예절교육을 하는 것은 아동의 건전한 심신의 발달 도모와 바른 식습관 형성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해서 성장·발달에 도움을 주며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식생활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는 담임교사는 아동의 식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로 초등학교에서의 식생활교육 담당자로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겠다(Jung KA 2012). Lim SY(2010)의 서울시 초등교사 대상으로 식생활지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점수는 5점 기준 3.89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Jung KA(2012)의 춘천지역 초등학교 교사 대상의 식생활교육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교사의 78.3%가 학생들 대상의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식생활교육 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광주·전남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한 Jung & Oh(2005)의 연구에서는 교사의 45.7%가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51.4%는 영양교육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식습관과 편식교정을 영양교육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Jung IK(2005)의 경기지역 교사대상연구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63.5%의 학교에서 영양교사가 식생활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나 94% 이상의 교사가 식생활교육관련 연수를 희망하고 있었다. 특히 식생활 및 영양교육을 담임교사가 적임자라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는 ‘아동들의 식생활습관을 담임교사가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으므로’, ‘담임교사가 매일 지도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학생과 접하며 신뢰받기 때문에’ 등으로 답하여 교사들의 학생들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Norton et al(1997)은 교사들이 교실 내에서의 영양관련 학습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체이며 점심 식사 시 학생들의 식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Sherry(2008)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식품과 영양에 대한 인식정도는 학생들에게 식생활교육을 시키는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교사들의 관심이 높을수록 어린이들의 영양에 대한 지식과 관심도를 높이는 교육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제적인 식습관을 조사한 Yun et al(2007)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의 아침결식률이 높으며 점심식사에 비하여 저녁식사가 불규칙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식과 간식 정도는 92.3%의 여교사가 간식을 섭취하며, 80.1%이상의 여교사가 저녁 식사를 과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o GS(2006)의 중등교사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여교사의 경우 거르는 끼니 수가 많았고, 남교사의 경우 결식빈도 주 1회 이상이 36.1%, 여교사의 경우 41.9%로 나타났다. Lee KA(2014)의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식습관을 조사한 연구 결과 식품 선택 습관에서 모두 전반적으로 보통 정도에 불과하며 남자 예비교사가 여자 예비교사보다 더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며 향후 초등학생의 식생활지도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Yun et al(2007)의 초등교사의 식습관과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학생들의 좋은 식습관 형성은 교사들이 올바른 식습관 및 높은 영양지식을 지니고 있을 때 가능하므로 교사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수준 향상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하였다. 따라서 나트륨 저감화와 식생활에서의 실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요즈음 초등학교 교사들의 식생활태도 중 나트륨에 대한 인식, 식행동 및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실제 학생들 대상의 식생활지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겠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나트륨 식행동 및 태도에 관한 연구는 초중등학생 대상(Hwang HH 2012), 중학생 대상(Lee et al 2010; Lee JH 2012), 직장인 및 성인 대상(Lee SK 2011; Rho & Kim 2013), 노인 대상(Jang et al 2009)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나트륨 영양지식, 나트륨 식행동 및 저염식 태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Rho & Choi(2013)은 질병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을 위한 행위는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질병에 대한 태도와 건강관리 등의 예방적 건강행위실천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나트륨 영양지식, 나트륨 식행동, 저염식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학생대상 식생활지도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북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건강한 교직생활을 위한 식생활관리뿐만 아니라 향후 초등학교에서 나트륨 저감화 교육을 위한 교사와 영양교사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n sodium and dietary attitudes on low-salt diet selected as well as meal at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Jeonbuk province. The 345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20∼60 years of the Jeonbuk provinc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comprised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about sodium,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dietary attitudes towards low-salt diet, and meal attitude education.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being completed using SPSS v.20.0. The total score of the survey subjects nutrition knowledge about sodium was 12.96 points of a possible 16 points.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98.0%) was for the question, ‘Intaking less salt may prevent illness such as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stomach cancer, and osteoporosis’ in the function of sodium section.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18.8%) was for the question, ‘Eating many fresh fruits and vegetables may help sodium to be excreted from the body’ in the in function of sodium section. The total score for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was 46.85 points of a possible 70 points. ‘I am disappointed without pickles or salted fish on the table’ received the highest questionnaire average score with 4.15 point, ‘Make sure to eat Kimchi when eating noodles, and ramen’ received the lowest score with 2.54 points. The total score for dietary attitudes towards low-salt diet was 33.63 points of a possible 50 points. ‘Select the low-salt food if given information about salinity’ had the highest questionnaire average score with 4.14 point, and ‘Check the sodium content in the processed food or snacks’ had the lowest score with 2.56 poi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hen nutrition knowledge about sodiu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hypertension drug (p<0.05) and the stress level (p<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p<0.01), work experience (p<0.05), BMI (p<0.01), smoking (p<0.05), drinking (p<0.05), interest in health care (p<0.05) and the stress level (p<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dietary attitudes towards low-salt die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p<0.05), marital status (p<0.05), work experience (p<0.05), drinking (p<0.05), exercise (p<0.05), interest in health care (p<0.001), and the stress level (p<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meal attitude educ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arital status (p<0.001), age (p<0.001), work experience (p<0.001), drinking (p<0.01), medical examination (p<0.001), interest in health care (p<0.001), and the stress level (p<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hen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dietary behaviors such as regularity of breakfast (p<0.001), frequency of eating out (p<0.05), frequency of eat a snack (p<0.05), frequency of overeating (p<0.01), and the degree of salinity of food (p<0.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hen dietary attitudes towards low-salt die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dietary behaviors such as regularity of breakfast (p<0.001), frequency of eating out (p<0.01), frequency of eat a snack (p<0.01), frequency of overeating (p<0.05), and the degree of salinity of food (p<0.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hen meal attitude educ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dietary behaviors such as regularity of breakfast (p<0.01), frequency of eating out (p<0.001), frequency of eat a snack (p<0.01), frequency of overeating (p<0.05), and the degree of salinity of food (p<0.01). The study showed that the nutrition knowledge levels about sodium,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dietary attitudes towards low-salt diet and meal attitude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Jeonbuk province are ha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that preclude excessive sodium intake of daily meals in order to improve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Jeonbuk province.

      • 부모작성 선별검사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ASQ)의 신뢰도 및 유용성 연구 : 16개월, 20개월 질문지를 대상으로

        문현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영 유아 발달평가도구인 ASQ 선별도구의 신뢰도 및 그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ASQ는 4개월에서 48개월까지 11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는 부모작성형 선별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16개월과 20개월용 질문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16·20개윌 ASQ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1) 내적 일치도는 어떠한가? 2) 검사 - 재검사 신뢰도는 어떠한가? 둘째, 16·20개월 ASQ의 유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무작위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도에 거주하는 14개월부터 22개월유아 231명이고, 연구도구는 16개월, 20개월용 ASQ 질문지와 신상조사서 및 유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여부는 내적 일치도의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지 사이의 일치정도를 상관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질문지의 유용성 여부는 빈도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내적 일치도 분석은 개월별 내적 일치도와 질문지 영역간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는데, 5개 영역 중 20개월의 큰운동을 제외한 영역의 내적 일치도는 수용적이며, 질문지 영역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보다 더 효율적인 선별 체계로서의 기초 확립을 위해서는 소수의 몇 영역의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20개월의 큰운동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0.8이상의 높은 신뢰도 값이 나타나 가치가 있는 선별도구로서의 잠재성을 보여 주고 있다. 셋째, 유용성에 대한 검사는 ASQ 질문지를 작성하는 것이 유아의 초기 발달에 대한 부모의 지식이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작성에 따른 소요시간 및 부모가 인지하는 질문지의 적절성에 대해 문항별 분석을 하였는데, 질문지 작성시간은 10분 내외로 나타났으며 부모와 이 질문지를 사용하는 관계자들은 질문지가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인식함으로 만족도를 나타냈다. 또한 질문지를 이해하고 답하는데 거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유용성을 더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SQ selector which is used as the mean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fant and child. The ASQ selector consists of 11 series from 4 month old infant old to 48 month and is the form which their parents should fill in.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questionnaires for 16 month and 20 month child and as follows; First, how much is the ASQ reliability of 16 month and 20 month? 1) How much is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2) How much is the reliability of exam-reexam? Second, how much is the availability of ASQ for 16 month and 20 month?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children from 14 month child to 22 month sampled at random among children who lived in Kwangju city and Cheolla-Do. The means of the study were ASQ questionnaire for 16 month child and 20 month, inquiry sheet for a personal matter and availability questionnaire. The Cronbach’s Alpha which showed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was used for reliability in analyzing the matter of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exam-reexam correl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coincidence between first questionnaire and second questionnaire and the avail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determined by analyzing data using the rate of frequency. The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to find out the reliabil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nthly inner coinciden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questionnaire. The degree of inner coincidence of the areas except the large excercise for 20 month child among 5 areas was acceptab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questionnaire was positive in general and the further study for a few area wa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s more effective system of selection fundamentally. Second, the reliability of exam-reexam showed the high value over 0.8 in general in the other areas except the large excercise for 20 month child and the value showed potentiality which could be used as the valuable selection means. Third, the exam of availability was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filling in ASQ questionnaire had an effect on parents’ knowledge and attitude for an infant’s earl development. The time spent in filling in questionnaire and the appropriateness of questionnaire which parents recognized were analyzed by the question. Approximately 10 minutes was spent in filling in the questionnaire, and parents and participant using the questionnaire thought that the questionnaire was proper and satisfactory. It also was useful that they had littl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answering the questionna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