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화 서비스 제공 과정의 시각화가 수용의도 및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 개개인의 성향과 상황을 고려한 개인화 서비스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소비자들은 그들이 받은 서비스의 결과물이 개인의 성향 및 상황정보를 올바르게 인지하여 반영된 것인지에 대해 의구심을 품고 온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의구심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비스의 속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용자의 개인화 수용 촉진 및 만족의 향상에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기 위해 기존 서비스의 성공 사례 및 미디어 방정식의 모방 이론을 참고 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에게 맞추어 가고 있다는 개인화 제공 과정을 직접적으로 시각화 하는 것이 사용자의 이해를 유도하여 개인화의 수용의도를 증대시키고, 인지된 유용성의 강화를 통해 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공유 차량에서의 자동차 시트 개인화 서비스와 홈 IoT 분야를 중심으로 피험자들에게 동영상을 보여주고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는 방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유 차량 서비스 및 홈 IoT 분야에서 모두 동일하게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 서비스 과정을 시각화하여 제공 하였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 대비 인지된 개인화의 수준이 높았으며, 그에 따라 개인화의 수용의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의 증가와 함께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수준의 개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에서 미리 개인화된 설정을 수행 하여 완성된 결과만 제공하는 것이 비록 효율적일 수 있으나, 무형의 서비스를 직접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그에게 맞춰 가고 있다는 개인화 과정을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것이 수용의도의 증대 및 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개인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개인화 서비스 과정 제공 전략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development of Big Data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impacted on personalized service, with which individualization of users’ trait and situation becomes possible. A large number of customers, however, fail to fully utilize the personalized service, being doubtful whether the service properly reflects the users’ trait and situation. H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solution to resolve the customers’ doubt and to promot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ersonalized servi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operty of personalized service,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on promoting users’ intention to adopt and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owards personalized service. In addition, to develop a specific strategy for providing visualization of process on personalized service, we referred to successful precedent cases and Imitating Personality theory of Media Equation. By this procedure, we set up a hypothesis that visualization of personalized service can positively influence on intention to adopt and servic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by explicitly and visually inform the customers with the service they are given, they will better accept, perceive, and satisfied with the individualized service.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on ‘Car Sharing’ service and ‘Home IoT’ service, in which field extensive researches on personalized service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Participants were shown video clip about using two services and were given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2 within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ustomers’ level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increased when they were provided with visualized procedure of service which shows information about they are being provided. Visualizing the procedure of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also enhances the users’ perceived usefulness and service satisfaction levels. Visualization also enhances the users’ perceived usefulness, service satisfaction level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Moreover,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visualization service provision strategy in order to provide the customers with successful personalized service.

      • 콜로라투라 기법을 이용한 바로크 시대의 오르간 코랄 연구 : D. Buxtehude와 J.S. Bach의 'Nun komm, der Heiden Heiland'를 중심으로

        김형선 가톨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르간 코랄은 코랄 선율을 이용하여 작곡된 오르간 작품을 말한다. 독일 개신교 교회에서 오르간은 회중 전체가 노래할 때에 화성적으로 반주를 하면서 점차 여러 가지로 변형 발전되어 연주되었다. 이러한 역할이 오르간 곡의 작곡과 연주에 새로운 발달을 가져왔고, 특히 오르간 코랄은 17세기 독일에서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크게 발전되었다. 북스테후데와 바흐는 모두 루터의 신학적 사상을 음악에 적용하였는데, 오르간 코랄에서 북스테후데는 환상적 양식, 콜로라투라 기법 등을 통해 북독일 오르간의 기능을 극대화시켰다. 바흐는 유럽 전역의 음악 양식을 종합하였고 오르간 코랄에서 대위적 구조와 장식성 등을 최대한 발휘하여 가장 완성된 형태의 바로크 오르간 코랄을 작곡하였다. ‘Nun komm, der Heiden Heiland(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는 대림시기에 사용된 루터교 코랄로 북스테후데와 바흐는 이 코랄을 소재로 장식적 코랄을 작곡하였다. 두 곡은 모두 정선율을 소프라노 성부에서 제시하고 각 정선율을 연결구를 두어 프레이즈를 구분하였으며, 콜로라투라 기법으로 선율을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북스테후데의 장식성은 마지막 코다 부분에서 가장 명확히 나타나는데, 바흐는 선대의 요소를 활용하면서 전조, 정선율 장식, 다채로운 화성 등을 통해 보다 심화된 형태의 코랄로 발전시켜 나갔다. 장식적 코랄의 요소인 콜로라투라 기법이 잘 드러나는 북스테후데와 바흐 코랄의 비교를 통해, 바로크 오르간 코랄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올바른 연주를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wo organ chorale preludes on ‘Nun komm, der Heiden Heiland (Now come, Savior of the heathens)’ by Buxtehude and Johann Sebastian Bach with the aim to figure out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es. Organ chorale is composed based on the chorale melody. Organ was basically used as an accompanying instrument in congregational singing, and its potential gradually grew in the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Composers and players developed organ pieces and its playing techniques; especially organ chorale are highly developed by composers in Germany during 17th century. Buxtehude and Bach applied Lutheran theology in their music. In organ chorales, Buxtehude maximized organ music of Northern Germany through stylus phantasticus, coloratura technique, etc. Bach aggregate all musical styles through the Europe in his era, and he composed organ chorales in the most absolute level using divers compositional techniques: contrapuntal structure, ornamentation, etc. ‘Nun komm, der Heiden Heiland’ is the Lutheran chorale for the Advent in the church calendar. Buxtehude and Bach composed ornamented organ chorale based on this chorale melody. Both of two chorales shar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y can be divided into four parts that use chorale tunes from the four cantus firmus, and all cantus firmus are appeared in soprano. At the end of every chorales tune, there are interludes indicating and implying the next one. They have similar forms of starting and ending in each theme. Most of Buxtehude’s ornamented characteristics distinctly appear in the final coda. Bach developed his chorale in a high standard improving legacy like Buxtehude by using transposition, ornamentation of the cantus firmus, diversified chords such as secondary dominant, etc. in his chorale. This thesis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organ music to players and also offer guide to their organ playing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Buxtehude’s and Bach’s ornamented organ chorale.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Functional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for OTFTs and OLEDs

        김형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새로운 OTFT(organic thin film transistor) 및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용 유기반도체 재료들은 다양한 화학반응을 통하여 단량체를 합성한 다음 Suzuki 커플링 반응 및 Wittig 반응 등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합성한 고분자 및 올리고머들의 구조는 1H-NMR, FT-IR 등의 분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확인하였고, 열적 성질은 DSC 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OTFT용 고분자 재료로서 Cyclopentadithiophene 과 Thienothiophene 을 포함하는 고분자들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고분자는 일반적인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톨루엔 등에 잘 용해하였다. 고분자들의 HOMO 에너지 준위는 4.97 - 5.27 eV로 p-type 반도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였고, 특히 주사슬에 thienothiophene을 포함하는 PTT12를 이용하여 제작한 TFT소자의 정공 이동도는 0.0017 cm²/Vs, 점멸비가 3.47 x 10^(5)으로 우수한 TFT 특성을 보였다. 한편 OTFT용 올리고머 재료의 경우, thienothiophene, naphthalene, anthracene 등을 포함하는 반도체 재료들을 합성하였다. 안트라센의 2-, 6- 위치에 hexylthienothiophene을 가지는 DHTT-AN의 경우 진공증착시 우수한 결정성을 가진 박막을 형성하였으며, 120 oC의 기판온도에서 제작한 소자의 경우 정공 이동가 0.14 cm²/Vs, 점멸비는 6.3 x 10^(6)으로 아주 우수한 TFT 특성을 가진 소자를 제작할 수 있었다. 한편 OLED용 고분자의 경우, hexyloxyl 나프탈렌을 주사슬로 하는 청색발광 고분자를 합성하였는데, 합성된 고분자는 높은 색순도의 청색발광을 하였으며, 합성된 고분자 중 NA와 NAFL의 경우 100 oC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 후의 PL 스펙트럼에서 excimer의 형성에 의한 shoulder 피크는 관찰 되지 않았다. NAFL과 알킬카바졸이 도입된 NAFCz를 이용하여 제작한 ITO/PEDOT/polymer/LiF/Al 소자에서는 구동전압이 5.4 와 8.2 V 였고, 최고 위도는 각각 NAFL이 110 cd/m², NAFCz가 180 cd/m²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소자들은 표준청색에 가까운 색좌표인 (0.15, 0.10)(NAFL), (0,15, 0.12)(NAFCz)로 측정되었다.

      • '귀국자' 출신 탈북민 가족의 이주경험 : 상상된 고향, '제주'로의 귀환

        김형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family's migration experience of returning from Jeju to Japan, Japan to North Korea, and from North Korea to their hometown of Jeju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involved in Jeju 4.3 and moved from Jeju to Japan to avoid national violence following the division. He was unable to withstand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by his colonial motherland and moved to another North Korea. However, the hospitality of the motherland was also briefly intensified, and the monitoring and discrimination of Koreans in Japan was strengthened as the monolithic system intensified and the vigilance against external revisionist elements intensified. While imagining their hometown of Jeju, they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returned to Jeju again (the 3rd movement). However, Jeju, the rich and community hometown they imagined, was not the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divided character and Cold War character of Korean mov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returning a family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returnees" to their hometown of Jeju. This paper will pave the way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historical trauma by capturing that their return was not made in the expansion of neo-liberal order but has a decentralized and post-Cold War nature. In addition, this paper noted the independent activities of Korean to traverse it despite division and the Cold War. They were not passive beings being driven, but active agents who judged, thought, and determined their lives. They crossed the division and the Cold War through the movement of 'Jeju-Japan-North Korea-Jeju again'. But their division and crossing the Cold War was an experiment that was doomed to failure due to the existing decentralization system.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ir final destination is Jeju, and that their imagined hometown "Jeju" represents their psychological geography of refusing to capture nationalism, opens the way for us to rethink the region, nation, and divided country. 본 논문은 한반도의 분단 이후 제주에서 일본으로, 일본에서 다시 북한으로, 북한에서 다시 고향 제주로 돌아오게 되는 가족의 이주경험을 조명한다.이들은 제주4.3의 연루자로서 분단에 따른 국가폭력을 피해 제주에서 일본으로 이동했다(1차 이동). 그리고 다시 식민 모국의 탄압과 차별을 견디다 못해 또 하나의 모국 북한으로 이동했다(2차 이동). 그러나 모국의 환대도 잠시, 유일체제가 심화되고 외부의 수정주의적 요소에 대한 경계가 심해지면서 재일조선인에 대한 감시와 차별도 강화되었다. 이들은 고향 제주를 상상하면서 탈북하여 다시 제주로 귀환했다(3차 이동). 하지만 이들이 상상했던 풍요롭고 공동체적인 고향 제주는 그곳에 없었다. 본 논문은 ‘귀국자’ 출신 탈북민 가족이 고향 ‘제주’로 귀환하는 이주경험을 통해 코리언의 이동이 가진 분단적 성격과 냉전적 성격에 천착했다. 본 논문은 그들의 귀환이 신자유주의적 질서의 확장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탈분단적, 탈냉전적 성격을 띠고 있음을 포착함으로써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줄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분단과 냉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횡단하고자 하는 코리언의 주체적 능동성에 주목했다. 그들은 내몰리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하며 자신의 삶을 결정하는 능동적인 주체들이었다. 그들은 ‘제주-일본-북한-다시 제주’라는 이동을 통해 분단과 냉전을 가로질렀다. 하지만 그들의 분단과 냉전 가로지르기는 현존하는 분단체제로 인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실험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종착지가 제주라는 점, 그들이 상상하는 고향 ‘제주’가 국가주의적 포획을 거부하는 그들의 심상지리를 대변한다는 점은 우리에게 지역, 민족, 분단국가를 다시 사유할 수 있는 시야를 열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