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레스토랑의 웰빙이미지가 고객의 가치지각과 관계지향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도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consumer market matures, industries have begun to expand the market for creating new trends. With the recent high-profile food scares, such as the BSE crisis, the dioxin scandal and foot and mouth outbreaks, has come a crisis of confidence in food and drink products. These events have shaken the mainstream consumers’ previous long-term relationship with retailers and manufacturers and their blind faith in the basic safety of their foods. While retailers in particular are quick to recognize the potential of the well-being concept to provide immediate safety guarantees to consumers, researches and the literature have not focused on how to develop a relationship orientation between buyers and sellers.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key marketing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relationship orientation between customers and retailer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hundred customers who had buying experience in well-being concept restaurants in Korea. With the collected survey data, tests were conducted to assess reliability and to validate the hypothesis by factor analysis and also to test the hypothesis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The results indicate that (1)relationship orientation is affected by the well-being images of food, employees, and brands of a store, the consumer perception of store value, and the inertia of the decision making and information seeking in stores, (2)the consumer perception of store value is affected by the well-being images of food, design, employees, services, and brands of the store and (3)classifying customer groups by loyalty type, each group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perception of store value and customers’ relationship orientation with well-being concept restaurants.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managerial insight into researchers and marketers who are intending to maintain and develop a loyal group and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pursuing well-being trend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s well-being is more about a lifestyle choice than being aligned with one specific demographic profile, the firms should identify their customers’ lifestyles and continue to appeal to a broad spectrum of consumers.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ture study should examine what other well-being indices exist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orientation. 소비시장이 점차 성숙해짐에 따라 산업계에서는 새로운 트렌드를 창출하며 소비자 시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잇따른 식품을 둘러싼 공포들은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기존의 맹목적 신뢰를 무너뜨리면서 소비자와 제조업체, 소매업체 간에 형성된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에 따라 외식산업계에서는 식품안전을 인증할 수 있도록 웰빙이미지를 도입하였지만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관계지향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와 소매 점포 사이에서 장기적인 관계지향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적 요인을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이론을 검토하여 점포의 이미지, 고객의 점포가치지각, 고객의 거래성향을 관계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파악했고, 관계지향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의 점포가치지각과 점포의 이미지 간의 관계도 확인하였다.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최근 6개월 간 웰빙 레스토랑에서 구매한 경험이 있는 전국의 총 500명의 고객들을 패널조사 방식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로부터 가설검증에 필요한 변수들을 측정하고 변수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 항목을 개선한 후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상관관계의 확인을 거쳐 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s)에 의한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전체 표본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웰빙 레스토랑에 대한 고객의 관계지향성 형성에는 고객의 점포가치지각과 점포의 브랜드, 음식, 그리고 종업원에 대한 웰빙이미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거래성향 중에서 의사결정의 관성과 점포 내 정보수집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객의 점포가치지각에는 점포의 브랜드, 서비스, 음식, 종업원, 그리고 디자인의 웰빙이미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애호도 유형에 따른 분석을 위하여 애호집단, 잠재애호집단, 의사애호집단, 그리고 무관심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이 중 잠재애호집단은 다시 반복구매성향의 정도에 따라 강한 잠재애호집단과 약한 잠재애호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애호 유형별 소비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 고객과의 관계형성 및 강화를 위한 기업의 개인에 대한 관계관리 메커니즘 개발과 애호 집단을 확대해나가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경영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탐험적 연구로서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레스토랑의 웰빙이미지를 측정하고 가치지각과 관계지향성 형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한 시도는 향후 정교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유의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여 개인과 기업 간의 관계마케팅에 대한 보다 발전된 연구들이 향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 소아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에 Lactobacillus casei 경구 투여의 효과에 대한 연구

        공도연 순천향대학교 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최근 아토피피부염을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probiotics의 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Probiotics 중 하나인 Lactobacillus casei (L. casei)의 경구투여가 한국 소아 아토피피부염 임상 증상과 면역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2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한 급・만성 아토피피부염 환자 44명을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는 하루 1.0×1010 정도의 L. casei집락이 포함된 요구르트(대개 1~10mL/일)를 14~16주간 투여하였으며, 다른 한 군은 요구르트를 비롯한 발효식품의 섭취를 최대한 금지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과 유산균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시험기간 전·후에 SCORAD 점수를 이용하여 중증도를 평가하였으며, L. casei 대변 배양 검사와 말초혈액 호산구수, ECP 치, 총 IgE 치와 집먼지진드기, 계란난백, 우유, 개털, 대두에 대한 항원 특이 IgE 등의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총 40명이 관찰되었으며 섭취군의 평균 연령은 1.74±2.1세, 비섭취군은 2.83±2.43세였다. SCORAD 점수는 두 군에서 모두 의미있게 감소되었으나,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추적 혈액 검사가 가능했던 환자는 22명으로, 총 IgE치는 섭취군(11명)에서 초기 255.55±522.04 IU/L에서96.93±100.68 IU/L로 감소하였고, 비섭취군(11명)은 419.61±1290.66 IU/L에서 520.75±1216.79 IU/L로 증가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IFN-γ는 오히려 두 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항원 특이 IgE의 분포나 호산구수, ECP는 두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 casei의 집락수는 섭취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4). 결론 : 소아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L. casei의 경구 투여는 장관 내 L. casei의 집락수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증상의 개선도, 총 IgE치와 IFN-γ 등의 면역학적 지표 등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앞으로 대상 환자 수의 증가, 급·만성의 병기 및 중증도의 구분 등을 고려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