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inking Science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문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인지발달의 가속화를 위한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4명이며, 연구의 기간은 1년이었다. 먼저 학생들의 인지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SRT Ⅱ 검사를 실시 하였으며, 과학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검사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다. 모두 30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는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 중에서 변인, 비례, 확률에 관한 활동 10개를 선택해서 계발활동 시간을 통해 실험집단에 격주 간격으로 투입하였다. 사후검사로 SRTⅡ 검사와 과학탐구능력검사,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인지수준의 변화와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의 향상정도를 사전-사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학탐구능력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을 보였다. 과학탐구영역하위 요소 10개 중 관찰과 변인통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지 수준이 낮은 1B(후기 전조작기), 2A(전기 구체적조작기) 수준의 학생들은 통합탐구능력보다 기초탐구능력이 더 많이 향상되었고, 인지 수준이 높은 2A/2B(중기 구체적조작기), 2B(후기 구체적조작기), 2B/3A(구체형식과도기) 학생들은 기초탐구능력보다 통합탐구능력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과학적 태도에 미친 영향을 보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과학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으며,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중에서 특히 비판성, 자진성, 끈기성에서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Thinking Science 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헤어(R. M. Hare)의 보편적 처방주의에 나타난 도덕의 합리성

        강문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도덕이 존립하려면 도덕에 대한 회의주의 시각이나 상대주의 논변을 물리칠 수 있는 메타윤리적 근거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은 헤어의 보편적 처방주의에 나타난 도덕의 합리적 성격을 해명하고자 한다. 그 주된 목표는 “누구나 객관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도덕원리를 발견할 수 있는 방식이 어떻게 해서 가능하고, 또 합리적인 도덕판단과 사유가 가능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1장에서는 형이상학적이나 존재론적 장치에 기대어 도덕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도덕의 합리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우선적으로 “도덕의 의미가 어디에 있는지”를 해명해고자 하였다. 이것을 위해 본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경로를 거쳤다. 첫째, 보편적 처방주의는 도덕사유를 지배하는 논리규칙으로서 도덕 논증의 합리적 근거이다. 그 결정적 계기는 처방의 의미가 행위안내 ․ 선택에 있고, 이 처방성은 인과가 아닌 논리 규칙을 갖는 화행이라는 데 있다. 둘째, ‘좋음’은 ‘권장’과 ‘수반성’이라는 종합판단적 성격을 갖기에, ‘좋음’에서 의미와 기준이 변별된다. 그리하여 도덕은 제시된 적용 기준에 따라 합리적인 처방이 가능하다. 셋째, 도덕언어의 논리로부터 도출되는 도덕을 정의하는 특성이 처방성과 보편화가능성이다. 도덕판단에 대한 동의는 명령법에 대한 동의를 함의한다. 또, 도덕판단은 제시된 이유에 수반하여 도덕판단이 내려지기 이전에 그 이유가 보편화가능 해야 한다. 여기서 필자는, (1) 도덕판단은 사실에 수반하여 내려지므로 도덕에서 합리적 논의가 가능하며, (2) 도덕판단에서 기술적 의미에 대한 처방적 의미의 제일성(primacy)은 객관적 처방의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1장의 논의를 가지고, 본 논문은 비기술주의인 ‘보편적 처방’의 논리로부터 객관적 처방이 어떻게 해서 가능할 수 있는지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도덕판단의 주된 의미가 어떤 사실로 환원되지 않는 처방에 있기에, 도덕은 심리적인 주관적 사실이나 도덕 외적인 객관적 사실이 아님을 제기하였다. 그렇다면 도덕에서 이런 사실의 성격과 그 지위는 무엇인가? 도덕판단에서 사실의 성격이 존재론적인 도덕적 사실이 아니라 인식론적으로 수반하는 이유라면, 그 사실은 도덕판단의 논리적 ․ 형식적 속성인 보편적 처방에 대한 실질적 이유가 되므로 합리적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진리조건 의미론에 따라 도덕의 진위를 판별하는 기술주의는 불가피하게 상대주의화함을 지적하였다. 자연주의가 실질적 도덕불일치를 언어적 불일치로 환원시킬 때, 사회마다 상이한 진리조건으로 인하여 동일한 속성을 지닌 행위 X가 옳으면서 동시에 그르다는 역설을 낳아 상대주의를 초래한다. 다음으로, 직관주의가 주장하는 도덕의 객관성은 도덕불일치의 논증에서 상대주의로 무너지기에 결코 직관의 자기 보증과 양립하지 않는다. 그런데 직관주의가 이런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의 ‘공통된 신념’을 진리조건으로 도입할 때도, 직관의 대립 시 더 나은 직관을 판별하지 못하여 상대주의한다. 이러한 기술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필자는, 상이한 사회나 문화 간에 판결하는 비상대적인 방식이 처방의 논리에 있음에 유의해 볼 경우에, 도덕의 객관성 요구는 비기술주의 방식으로 확립되어야 함을 제기하였다. 이때 어떤 진리조건을 승인할 것인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점에서 비기술주에서 객관성 요구는 모든 합리적 사유자에게 수용가능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덕판단의 객관성을 확립하는 길은 실질적인 도덕원리의 불일치로부터 일치를 이끌어내는 도덕추론 방식에 있음이 부각된다. 3장에서는 우리가 ‘객관적 처방’에 도달할 수 있는 합리적인 도덕추론체계는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헤어는 Freedom and Reason 이후로 우리의 도덕의견을 규제하는 실질적 요소로서 타인의 욕구 ․ 이익 ․ 경향성 ․ 선호 등을 제시한다. 보편적 처방의 논리는 도덕판단을 형식적으로 제약할 뿐이고, 상황에 관한 사실들이 도덕판단을 실질적으로 제약한다. 여기서 필자는 상황의 특징들이 그 상황에 어떤 원리들을 적용할지를 결정한다면 그것은 기술주의 오류임을 지적하고, 그 대신에 보편적 처방의 논리가 상황의 어떤 특징들이 어떤 도덕원리에 나타날 수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제약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보편적 처방의 논리에 의거한 사실 확인의 요구는 단지 나의 욕구의 사실만을 처방하는 것을 넘어서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욕구, 곧 타인의 선호만족에 대한 사실들로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필자는 처방의 객관성이 제기된 도덕문제를 관련된 상황의 사실에 따라 보편적으로 처방하는 의지에 있음을 제기하였다. 보편적 처방의 논리가 타인의 이익이나 선호 등의 사실들을 도입하게 만들기 때문에, 내가 어떤 역할을 차지하든 간에 제시된 모든 부류의 상황들에 대해서 의욕하고 그 결과를 수용해야 하는 문제임이 확인된다. 논리와 사실에 의한 제약을 통해 도덕추론의 합리성을 추구한 헤어의 비기술주의 방식은 공리주의 도덕추론체계에 도달한다. 그런데 타인들이 지닌 경험과 선호를 어떻게 해서 나의 경험과 선호로 인식할 수 있는가? 라는 물음은 처방주의의 최대 난제이다. 본 논문은 ‘나’와 타인의 동일시가 가능한 이유를, 타인의 선호 사실로부터 처방으로의 진행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처방적 동일시(prescriptive identification)’임을 들어서, 가설적 사태에서 ‘완전한 표상’을 통해 확인되는 ‘타인의 선호에 관한 사실들’이 ‘유관성 논제’로 확립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런데 실제 상황에서 지닌 본래의 욕구가 타인의 입장에 처하는 가설적 상황에서 획득된 욕구와 대립할 때, 처방하는 의지에 모순이 발생한다. 필자는 처방하는 의지에 모순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통해, 도덕에서 공평성(impartiality)이 단지 완전한 표상이나 보편화가능성만으로 확보되지 않고 처방과 연언하여 확립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가역적 상황에 대한 보편적 처방의 요구로 개인 간의 선호의 대립은 곧 나의 선호의 대립으로 환원된다. 그래서 내가 해야 할 바는 둘 중 더 강한 선호를 더 약한 선호에 우선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의지의 모순은 공리주의 방식으로 해결된다. 공리주의를 함의한 보편적 처방주의로부터 합리적인 도덕사유체계가 전개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보편적 처방의 논리가 공리주의의 형식적 토대이며, 논리와 사실에 의거한 도덕추론은 효용(utility)의 원리에 도달하는 정합주의 체계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특히 필자는, 도덕원리를 선택하거나 결정하는 도덕추론 문제는 칸트의 보편적 의지를 경로하여 나와 타인의 동등한 선호만족의 사실들을 동등하게 처방하는 합리적 의지 공리주의 방식으로 나아감을 지적하였다. 두 수준의 도덕사유체계가 가능한 까닭은 ‘보편성(university)’과 ‘일반성(generality)’의 논리적 차이와 관련하여 도덕사유에서 원리를 만들어 내는 두 가지 다른 사용, 즉 ‘일반적 원리’와 ‘구체적 원리’가 각기 상이한 도덕사유 수준에서 요구되기 때문이다. 행위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의 논란은 행위공리주의 체계 내에서 규칙공리주의의 장점을 확보하는 도덕사유의 두 수준론으로 해소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비판적 사유가 직관적 원리가 갖는 효용을 정당화하는 데 관여하여 직관적 원리들이 지닌 ‘수용 효용’을 보증한다고 밝혔다. 직관적 원리를 계발하여 그것에 따라 행위 하는 것이 최대 공리를 산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우리가 실질적 ․ 규범적 도덕원리나 판단을 내리는 도덕사유의 수준은, (1) 도덕추론의 규준(canons)을 사용하여 ‘무제한 구체적인 원리들’이면서, 또 ‘제한된 구체성의 직관적 혹은 직견적 원리들’이 되는 비판적 도덕사유 수준, (2) ‘제한된 구체성의 직관적 ․ 직견적 원리들을 사용하여 개별사태에서 직관적 판단을 내리게 되는 직관적 도덕사유 수준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필자는 두 수준의 관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논지는, 행위공리주의적인 비판적 도덕사유는 그 사용을 위해 일반적 규칙공리주의 방식을 가지고 제한된 구체성의 직견적 원리를 선택한다는 점에서, 일반적 규칙공리주의에 의거한 직관적 도덕사유에 우선성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헤어는 Moral Thinking에서 도덕 외적 처방이나 욕구의 우선가능성을 보여주는 ‘도덕적 휴일(moral holiday)’ 사태를 제기한다. 그래서 우선성은, 비판적 도덕사유 수준에서 강한 의미의 우선성과, 직관적 도덕사유 수준에서 약한 의미의 우선성으로 구분된다. 우선되는 것을 허용하는 약한 의미의 우선성은 그 자체로 도덕원리로서 충분하지는 않지만, 그것이 일정한 방식으로 정당화될 경우에는 도덕으로서 필요하다. 달리 말해서, 우선되는 것을 허용하는 직관적 ․ 직견적 원리들은 비판적 사유의 선택과 판결에 의한 ‘수용 효용(acceptance utility)’ 개념을 통해 실행가능한 정당화로 도입될 수 있다. 이처럼 비판적 도덕사유를 통해 도달한 원리들은 반드시 우선한다는 점에서 도덕은 우선하는 보편적 처방이며, 이러한 도덕의 정의에 따라 도덕사유의 두 수준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의 주된 목표를 보편적 처방주의에 나타난 도덕의 합리적 성격을 해명하는 데 두었기에 논의 전개 과정에서 헤어의 관점에 제기되는 비판을 일정 부분 검토하였으나, 헤어가 두 수준론을 통해 공리주의적 도덕사유를 정당화한 것과 관련하여 제기된 여러 비판과 그 방어를 다루지는 못하였다. 두 수준의 도덕사유 체계에 대한 정당화는 개인의 개별성을 침해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또 그것이 우리가 무도덕주의를 거부하고 도덕적 관점을 채택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느냐라는 의문 등을 낳는다는 점을 지적하는 선에서 이것에 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 기초지방의회의원선거 정당공천제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강문석 경남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roduced from the local self-government election, for the basic local council man, of congress activity, election processing, about doing questionnaire for the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through this, at present, in our country, for the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system, by investigating the suitable aim, in the future, for the local self-government election system, intend to expose the desirable improving programs. In this study, done in the local self-government election of 5.31. in 2006, the object is the selected in Kyung Sang Nam Do, city, goon, basic local council man, done through questionnaire. About the investigating contents, in concrete, about the relative factors of congress activity, Committee, congress activity, the inspection of account, law-making proposal, the political meeting etc, about the relative factors of the local self-government election, sponsor, the political election probability, non-belonging election probability, meeting frequency, selection or not factor, recommendation recognition, political party maintenance, entering political party time, etc. About the relative factors of the political recommendation system, the candidate selection, recommendation method, the call of political, higher direction recommendation, united recommendation, opinion-open protection, current system, election problem, etc. For the inspection of questionnaire, it is used SPSS WIN 12.0. The analytical method, in the questionnaire, 5 point order scale and optical scale are us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re done.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for the developing local self-government, the great conscious conversion is needed. For the political power and central government, not the dimension of self-power stealth by small scale, at present, living local self-government age, at direct sight, to think, what is the best way to help the developing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by larger scale dimension, is earnestly asked the conscious conversion. Second, for the mutual meeting of the loc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new establishment of meeting organization is needed. Between major and major,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arger area institute and basic institute, local government and inhabitant, by mutual helping, produced common policy making, mutual aid mechanism(meeting organization) must be made. Namely, through local self-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election, not the cause of opposing trouble,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t the respective position, by establishing both boundary and domain what is must be done, about each working, doing the best, for the good conscious competition, the system(device) is needed. Third, for the political party and candidate election method is democratically reformed. About the given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as the real power of central party, by the head of local political party committee, made by subjective 'OK', but in the future, in the local meeting, by political party members and inhabitant who are supporting for party, through democratical procedure, by voting, for systematical competition, it is desirable. Fourth, as local self-government is life self-government, at the sight of real present, about the political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head of basic institute and basic local council man who have tight contact with the inhabitant, by rational method, re-evaluation is needed. local self-government is on the basis of deconcentrating logic. at present, continuing static policy, central policy and central bureaucracy, on the real practice of local self-government and life self-government, caused by many problems, in the futur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basic self-government institute, the improving for basic local council man of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is going to be needed. Namely, For the introducing free election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procedure for the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democratization within political party, in the response of local opinion, the political party system must be constructed. In particular, at the electing regional environment, as the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has absolute influence for the election or not, ahead of voting, in the course of political party recommendation, about the election of representative, about control function, democratic and just operation is must be done.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 지방자치선거부터 도입된 기초의원 정당공천제도가 현실정치에서 실효성이 있는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초의원의 의정활동, 선거과정, 그리고 정당공천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당공천제가 그 목적에 부합되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지방자치선거제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는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지방자치선거에서 당선된 경상남도 시·군 기초의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구체적으로 의정활동 관련요인은 위원회, 의정활동, 예산심의, 입법제안, 정당회동 등이고, 지방자치선거 관련요인은 후원자, 정당당선확률, 무소속당선확률, 회동 수, 당락요인, 공천수용, 정당유지, 입당시점 등이다. 정당공천제 관련요인은 후보선정, 공천방식, 정당지명, 상향공천, 하향공천, 연합공천, 표명금지, 현행제도, 선거문제 등이다. 설문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WIN 12.0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설문에서 5점 서열척도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식의 대전환이 있어야 한다. 정치권과 중앙정부는 자신의 권한을 빼앗긴다는 소승적인 차원이 아니라 현재의 지방자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여 어떻게 하면 지방자치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겠는가 하는 대승적 차원에서 생각하는 의식의 대전환이 가장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지방자치 발전을 상호 협의하기 위한 협의기구의 신설이 필요하다. 여·야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광역단체와 기초단체 간, 지방정부와 주민간 서로 협력하여 공통의 정책을 산출해 낼 수 있는 협력 메카니즘(협의체 기구)를 구상해야 한다. 즉 지방자치와 지방자치선거를 통해 서로 반목하고 갈등을 야기할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중앙정치와 지방정치가 각자의 위치에서 해야 할 일의 경계와 영역을 분명히 정하고 서로의 일에 최선을 다하며 선의의 경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장치)이 필요하다. 셋째, 정당과 후보선출방식이 민주적으로 개혁되어야 한다. 기존의 정당공천은 중앙당 실세나 지구당위원장의 일방적인 ‘낙점’에 의해서 결정되었으나, 이후에는 지구당대회에서 당원과 해당 정당을 지지하는 주민들이 민주적 절차에 따라 투표로 경선하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지방자치는 생활 자치이므로 현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주민과 가장 밀접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회 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제도는 합리적인 방법으로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지방자치는 분권화의 논리에서 비롯된 것이다. 현재의 중앙정치·중앙집권의 정치행태가 지속된다면, 진정한 지방자치·생활 자치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 기초자치단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하여 기초의원 정당공천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즉, 경선제 도입은 정당공천의 민주적 절차 확보를 통하여 당내민주화와 지역의 의사에 반응하는 정당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특히 지역주의 선거환경에서 정당공천이 당선에 직결되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만큼 선거에 앞서 정당공천과정에서 대표선출에 대한 통제기능이 민주적이고 공정하게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 수배부의 신전건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강문석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손은 인체에서 가장 복잡하고 섬세한 운동이 가능한 부위로, 많은 외재근(extrinsic muscles) 및 내재근(intrinsic muscles)이 존재하고 있다. 외상에 의해 다양한 정도의 기능적 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적 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외과적 처치를 위해서는 이 부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외과적 수술술기의 발달에 따라 건성형(tenoplasty) 및 건전이술(tendon transfer)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손목 및 손의 신건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부학적으로 손목 및 수배부에서의 신전건의 주행 및 배열, 그 유형을 구분하여 지금까지의 보고와 비교하는 한편, 건연결의 유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좌우 58예의 수배부를 대상으로 신전건(extensor tendon)들과 이들 건 사이에 위치한 건연결(juncturae tendinum)의 해부학적인 배열과 주행을 관찰하였다. 인지고유신전건(Tendon of extensor indicis proprius, 이하 EIP)은 모든 례에서 단일건으로 주행하였고, 대부분의 경우 인지 총수지신전건의 척측(ulnar side)으로 주행하였다. 인지 총수지신전건(EDC to the index finger, EDC-index)은 대부분 단일건(single tendon)으로 기시한 후 인지고유신전건의 요측(radial side)에 종지했다(98.3%). 중지 총수지신건(EDC to the middle finger, EDC-middle)은 단일건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한 유형(62%)이었고, 환지 총수지신전건(EDC to the ring finger, EDC-ring)은 이중 주행이 50%로 가장 흔한 유형이었으며 소지 총수지신전건(EDC to the little finger, EDC-little)은 39례(67.3%)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소지고유신전건(Tendon of extensor digiti minimi, 이하 EDM)은 이중건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했으며 41례(70.6%)에서 관찰되었다. 건연결(ITCs)은 1형 건연결(Type 1 ITCs,Thin filamentous type ITCs), 2형 건연결(Type 2 ITCs, Thick filamentous type ITCs), 3형 건연결(Type 3 ITCs,Tendinous type ITCs)으로 분류 하였다. 인지와 중지 총수지신전건 사이(2nd intermetacarpal space)에서는 54례(93%)가 1형이었고, 중지와 환지 총수지신전건 사이(3rd intermetacarpal space)에서의 건연결중 28례(48.3%)에서 2형 건열결의 형태를 보였으며, 환지와 소지 총수지신전건 사이(4th intermetacarpal space)에서는 3형 건연결을 보인 40례(70%)중 33례(82.5%)를 3r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단신(Extensor Digitorum Brevis Manus, 이하 EDBM)이 사체 1구의 좌우 양측에서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부학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임상적으로 건전이(tendon transfer)의 술식을 적용하거나 외상 및 각종 질환에 의한 수배부 구조물의 손상을 재건할 때 신전건 및 건배열의 변형, 이상 신전건의 존재여부를 충분히 감안하고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정보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문석 忠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apidly changing globalized world, the innovation of university system and heighten the competitiveness based upon the highest information system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ing than any others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between universities and to increas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constituents, Especially, the needs of the role‘s consolidation and reinforcement to heighten th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as a device to raise the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 the effective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is necessary factor to establish and manage successfully on the information system that used in university. Most university has provided the information system that fit with their university peculiarity only, but there is not proper evaluation on the user satisfaction by that. In this study, first of all, it analysed which factors give satisfaction to the users when university operated the information systems and inquired the needed outcome variables in order to operate successful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 By that result, I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o build the efficient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 and to increase the reinforcement of competitiveness in university itself. To accomplish the empirical research, it surveyed by administration staffs who are working in 31 universities in the region of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I verified the 266 specimens to inquire reliance and propriety, and investigated suitability of research models through them. Through the inquisition of fitting supposition, I got something that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mputer self efficacy which is personal factors were effected as an affirmative side to make a user satisfactions of information system. In more detail,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sonal factors effected as an affirmative side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system. And, so the quality of information system was influenced to user satisfaction that it raised the work result and increased the work products in organization through personal outcomes. There are four significances through this study. First,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es,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in other word, support and concerns from top management was essential factors to build the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 successfully. Second, to succeed the information system, it was verified the importance of computer self efficacy and confirmed that it was so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empirical research. Third,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o user satisfaction, the system quality was the most affected factor. Fourth, user satisfaction influences as an affirmative side in personal effects, and the personal effects influences work results affirmatively. I expect this study will be a guidances to build and evaluate the university information systems in future. 급변하는 글로벌 시대에서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고 구성원들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 고도화를 기반으로 하는 대학의 혁신 및 대학 경쟁력 제고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특히,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보화의 역할 재정립 및 강화가 요구되고, 대학 전반의 정보화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학에서 이용되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성공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해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로 인한 성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많은 대학들이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대학의 특성에 맞게 정보시스템을 갖추기만 했을 뿐 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나 그에 따른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들이 정보시스템을 운용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사용자에게 만족을 주는가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대학정보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성과변수를 알아보고 그 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대학정보시스템 구축과 대학 자체의 경쟁력 강화를 고양시키기 위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전․충남에 위치한 31개의 대학에서 대학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된 266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다. 설정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정보시스템의 사용자 만족을 위하여 조직의 지원과 개인적 요인인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직의 지원과 개인적 요인은 정보시스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두 요인 모두 시스템 품질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어 개인적인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고 개인의 성과는 곧 조직의 업무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지원 즉, 최고경영층의 지원과 관심이 대학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필수적인 요인임을 실증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위하여 컴퓨터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정보시스템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시스템 품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용자 만족은 개인적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개인적 효과는 조직의 업무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어도에 대한 제주도 중학생의 인식 및 교육실태 분석

        강문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Jeju island-resid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range and actual education condition of Ieodo, hence seek an education method. In 2001, both Korea and China signed the "Korea-China Fisheries Agreement" and took tentative measures in wat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excluding the 12 nautical miles territorial waters as joint fishery waters and decided on concluding an agreement on future bilateral exclusive economic zones; a continuous discussion regarding this had been taking place. China claims the island should be included in their own waters based on boundary delimitation by population and land proportions and on their unfounded historical facts, however, it turned out that such logic is not justified under the international law at the International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on July 12, 2016. Based on thi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school to offer structured education on Ieodo.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in junior-high school social studies include territorial, territorial waters, and Dokdo-related contents, but contents relevant to Ieodo are not mentioned. The map of Ieodo that appeared in the atlas should be placed not only in a correct distance from Marado but also on the map of Korea, but it turns out that most textbook publishers do not mark so.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paper researches and activities of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recently, but not much interest was shown to be drawn in yet. The results of surveys for junior-high school students in Jeju Island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Ieodo,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age, however, the degree of awareness of 9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7th and 8th graders, and the students in Seogwipo area had higher degree of awareness compared to those in Jeju district area and town / village areas. Second, although the awareness degree of Ieodo were relatively low and the related education from school field were very much lacking,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think Ieodo education is necessary. Third,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y heard of Ieodo were mostly TV and newspaper, while their channel being the school teacher were very less likely. Fourth,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gree on executing Ieodo education in school, thinking the education is best done through class in relevant subject, and that subject relevance lies in social studies. 본 연구는 제주도 중학생의 이어도에 대한 인식 정도 및 교육실태를 분석하여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2001년 한국과 중국 양국은 「한중어업협정」을 체결하여 12해리 영해를 제외한 양국 간의 수역은 공동어로 수역으로 잠정 조치하여 추후에 양국 간에 배타적경제수역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논의가 있어 왔다. 배타적경제수역은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한중 양국은 좁은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어 각기 200해리까지 배타적경제수역을 설정할 수 없으며, 이어도는 양국이 주장하는 배타적경제수역에 중첩되어 있는 수역에 위치하여 이를 어느 국가에 포함할 것인가가 앞으로 전개될 협상에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양국은 이어도가 평균 해수면 아래 4.6km에 잠겨 있어 국제법상 섬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수중 암초로서 영토 분쟁의 대상이 아니라는데 합의를 본 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어도는 마라도로부터 149km에 위치한 반면에, 중국의 유인도인 서산다오(余山島)로부터 287km, 무인도인 퉁다오(童島)에서 247km 떨어져 있어 우리 쪽에 훨씬 가깝게 있어 양국의 협상 결과 우리 쪽 배타적경제수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현재 이어도해양종합기지가 이곳에 설치되어 관리 중이다. 중국은 인구 및 국토 비례를 통한 경계획정 주장과 근거가 없는 역사적 사실을 들어 자국의 수역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지만, 이러한 논리는 2016년 7월 12일 국제상설중재재판소에서 내린 판결 결과 국제법상 명분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체계적인 이어도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이어도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이어도 관련 선행연구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조사한 바에 의하면, 중학교 사회과 성취기준에는 영토, 영해 및 독도 관련 내용은 있지만 이어도 관련 내용은 언급 되어 있지 않다. 주로 중3학생들이 배우는 사회② 교과서에 이어도 관련 기술은 본 단원에 없고 참고내용으로만 잠깐 소개되어 소홀히 다루거나 학습하지 않고 그냥 지날 가능성이 있음이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사회과부도에 등장한 이어도 지도는 마라도와의 거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지도상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대다수 출판사가 그렇지 않음이 밝혀졌다. 선행연구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최근 이어도 논문과 관련단체의 연구 및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이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았다. 특히 학교에서의 이어도교육이나 중 학생의 이어도 인식 정도 및 교육 방안을 조사하고 모색하는 연구물은 찾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에 진행될 관련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이어도에 대한 인식 및 교육방안 모색은 제주도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갖고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어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남녀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3학년이 1,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귀포지역 학생들이 제주시 동지역과 읍면지역에 비해서 이어도에 대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어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비교적 낮고 학교 현장에서 이어도 교육을 받은 정도가 매우 낮았지만, 대체로 이어도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이어도를 들어본 경로는 TV나 신문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 선생님으로부터 알게 되었다는 학생의 비중은 매우 낮았다. 넷째, 학교에서 이어도교육의 실시에 대하여 대다수가 찬성하고 있으며, 이어도 교육은 관련교과 수업을 통해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가장 적당한 교과가 사회과라고 생각하고 있다. 다섯째, 독도에 대한 일본의 주장과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하여는 비교적 인지도가 높지만, 한중간의 EEZ 경계획정과 일본의 EEZ 정책 및 남중국해와 동중국 해서의 중국의 정책에 대하여는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서 대체로 주변국가의 영토정책에 대하여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고 있음이 밝혀졌다.여섯째, 이어도 교육이 실시된다면 이에 참여할 의향이 높아 학교현장에서 이어도 교육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추후에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한 대상은 제주도내 중학생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어도에 근접한 제주도의 지역적, 문화적, 역사적 여건이 관련되어 반영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후 전국 단위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이어도교육이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왜 학교에서 이어도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어도 관련 사회과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가 추후에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이어도 교육의 성공가능성을 살펴보기는 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이어도 관련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과뿐만 아니라 과학과의 종합해양과학기지, 국어과의 전승문학, 음악과의 민요 등 이어도를 다룰 수 있는 부분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이어도에 대한 인식 부족은 교사 자신이 이어도에 대하여 관심이 없거나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에 대한 이어도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연구와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이어도 관련 단원이 없고, 성취기준에도 이어도가 없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과의 배타적경제수역이 획정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한 때문이지만, 양국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독도교육처럼 위치, 면적, 역사, 국제법상의 지위, 생태환경, 가치 등의 이어도 내용을 교과서에 담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이어도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지름길은 학교에서 일정기간 실제 교육을 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와 시범학교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 문제점, 가능성을 점검하여 이어도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확산하여야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