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아교육 입문경험의 의미

        류혜숙 중앙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1839

        Many efforts have been made in several aspects to improve a qualitative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ficall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entrance experience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nd to observe what it mea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freshmen enter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E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do. Professor colleague C teaching Introduction of Child Care & Education previously assisted my debate class which was one of methods for data collection. Thus, he conducted a brief journal writing session which wrote motivation to ente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uring the orientation session in the first day. In that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and students who had an interest in participation were asked to draw an asterisk on the top blank of their journal. This researcher received the journals and selected participan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8 months from March 2007 to October 2007. Journal writing, an in-depth interview, debate class, and chatting were used for research methods. The data of this research included journals, in-depth interviews, debate class, chatting transcription, participants' several documents such as reports or self-introduction, and researcher's journal. The resources resulting from the process of action research were analyzed by narrative inquiry. From the collected data, key words were drawn through several repeated reading, significant subjects were classified, and cases were sampled. Two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an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What experience do freshmen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during the in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analysis, this research mainly divided freshmen's experience during the entranc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o three: college life, department life, an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freshmen have an experience in college life when enter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llege life was divided into life as a college student and different class from high school. First, the life as a college student was analyzed in such aspects as different reality from drama, formidable freedom, a dream of free meeting with girl/boyfriends, and college students' only romantics. Next, college class was analyzed in such aspects as fewer subjects but longer class hour than high school, various instructors and their different teaching methods, an essay-type test, and cheating culture. Second, freshmen have an experience in department life when enter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epartment life was generally divided into understanding of a major, personal relations, and a future plan for analysis. First, freshmen perceived the department as a women's college, the place where various students coexist, and different class atmosphere. Next, regarding understanding of a major, freshmen perceived th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riented manifold education, gave many assignments, provided class for practical knowledge, and expanded its knowledge through vague theory subjects, the mass media, and books. Regarding personal relations, they perceived new personal relations formed in college with friends, seniors or juniors, and professors. Regarding a future plan, they perceived various careers, preparation of National Teacher’s Exam, and a uneasy feeing of future career. Finally, how freshmen underst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of children,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 pre-service teacher. Analysis was made in the early part of entrance, after the first semester, and in the second semester with its focus on the change of ideas about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freshmen thought in the early part of entrance that children was immature and simply cute and should be protected. However, in the second semester, their child views were changed that a child was an independent character, the light of world, and the object of fear through curricula, filed trips, and surrounding children. Next,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nalyzed in aspects of the image, role, and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reflecting themselves as future teachers.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hanged from a skirt to pants, from a grandmother to those who dispose of matters handily, and from considering only appearance to doing the inside. Teacher's role was changed from a guide to a right way to taking a more comprehensive role and from an abstract role to a concrete role which helps basic life habits and develops sociality. Teacher's quality was changed from love and simple skills to super woman. Finally, regarding a picture as a pre-service teacher, other's influence on freshmen's picture as a teacher, surrounding people, and change of interests were examined. 2. What significance is given to freshmen's induction to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research analyzed what significance is given to freshmen's induction to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s. Psychological significance can be interpreted as setting foot in the independent adulthood, social significance, as being familiar with sharing cultur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as creating me as a teacher. First, the results found as psychological significance in freshmen's induction to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as adjustment themselves to freedom and transition in trial and error. Second, being familiar with sharing culture in social significance was analyzed as formation of diverse personal relations and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hase. Finally, creating me as a teacher in educational significance was analyzed as the place to identify aptitude, the place of personal maturity, and the place to foster real ability. 지금까지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여러 방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보는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입문경험을 알아봄으로써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도에 소재한 E대학의 유아교육과 신입생 6명으로, 연구의 자료수집 방법 중의 하나인 토론수업을 도와주었던 보육학개론 수업을 담당하는 C동료교수가 수업의 첫날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유아교육과를 들어온 동기 등을 적는 간단한 저널쓰기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저널 원고의 위 칸에 별표를 그리도록 하였고, 그 원고를 연구자가 받아서 확인한 후,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연구는 2007년 3월 첫째 주부터 2007년 10월까지 총 8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저널쓰기와 심층면담, 토론수업, 채팅 등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저널과 심층면담, 토론수업과 채팅의 전사본, 연구 참여자들의 레포트나 자기소개서 등의 각종 문서, 그리고 연구자저널 등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여러 번 반복하여 읽으면서 핵심어를 적은 후, 의미가 있는 주제를 분류하고 사례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들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유아교육 입문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유아교육 입문과정에서의 경험을 크게 대학생활과 유아교육과 생활, 그리고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신입생들은 유아교육과에 들어와서 대학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대학생활은 대학생으로서의 생활과 고등학교와 다른 수업으로 나누었다. 먼저 대학생으로서의 생활에서는 드라마와 다른 현실, 벅찬 자유, 이성과의 자유로운 만남의 꿈, 그리고 대학생활의 낭만 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수업과 관련해서는 고등학교와 비교하여 적은 과목과 긴 수업, 다양한 강사와 각기 다른 수업방식, 논술형 시험, 대학의 컨닝문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신입생들은 유아교육과에 들어와서 유아교육과 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유아교육과 생활로는 크게 학과 분위기와 전공의 이해, 인간관계, 그리고 미래에 대한 계획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신입생들이 경험한 학과 분위기는 여대같은 곳, 다양한 학생이 공존하는 곳, 서로 다른 반 분위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전공의 이해와 관련해서는 유아교육과는 다방면의 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과제가 부여되고, 실천적 지식을 위한 수업, 막연한 이론 과목과 매스컴과 책을 통해 확장되는 지식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간관계와 관련해서는 대학에 들어와서 형성되는 새로운 인간관계 즉, 친구와 선․후배, 그리고 교수와의 인간관계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계획으로는 다양한 진로와 임용시험의 준비, 진로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유아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유아에 대한 이해와 유아교사에 대한 이해, 그리고 미래교사로서의 나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 입학 초기와 한 학기를 마치고, 두 번째 학기에 접어들어서의 유아와 유아교사에 대한 생각의 변화 위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유아에 대한 이해에서 신입생들이 생각하는 입학 초기 유아관은 미숙한 존재, 보호받아야 할 존재, 그리고 단순히 귀여운 대상이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을 통해서, 그리고 현장 견학이나 주위의 아이들을 통해서 2학기를 맞이하면서 바뀐 유아관은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이며 세상의 빛이고 또한 두려움의 대상으로 바뀌게 되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에 대한 이해에서는 유아교사의 이미지와 역할과 자질, 그리고 미래교사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보는 것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이미지는 치마에서 바지로, 할머니에서 척척박사로, 겉모습에서 내면의 세계까지 보는 이미지로 바뀌었다. 교사의 역할에서는 올바른 길로 인도해주는 교사에서 좀 더 포괄적인 역할로, 추상적인 역할에서 구체적인 역할로, 그리고 기본생활습관이나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는 역할로 인식하였고, 자질과 관련해서는 사랑과 단순한 기술적인 자질에서 슈퍼우먼 자질로 바뀌었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사로서의 자신의 모습과 관련해서는 신입생의 교사로서의 모습에 영향을 주는 타인의 영향과 주변 사람, 그리고 관심의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유아교육과 입문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유아교육 입문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크게 심리적․사회적․교육적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심리적 의미는 독립된 성인으로 발 디디기, 사회적 의미는 함께 하는 문화에 익숙해지기, 교육적 의미는 교사로서의 나 만들어가기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유아교육과 입문에서 심리적 의미로 드러난 결과는 자유에 적응하기, 시행착오속의 전이로 의미를 분석하였고, 둘째, 사회적 의미로 함께하는 문화에 익숙해지기에서는 다양한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아교사의 사회적 위상을 인식하는 측면으로 의미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의미로 교사로서의 나 만들어가기에서는 적성을 확인하는 장, 인성성숙의 장, 그리고 실력을 키우는 장으로서 유아교육 입문경험을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D 부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8명과 북구에 위치한 S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2003년 9월 1일부터 2003년 10월 28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학활동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수학적 문제해결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1.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분류 개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2.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패턴 개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3.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수 개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4.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모양 개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5.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측정 개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6.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 개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먼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전검사-실험처치-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검사도구는 두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동일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 검사는 Ward(1993)의 검사도구를 황정숙(1996)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이었다.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은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수학활동을 적용한 비교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인 분류, 패턴, 수, 모양, 측정, 통계개념에 대해서도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수학활동을 적용한 비교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 초등학교 열린교육 운영 실태 조사 연구

        류혜숙 淑明女子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1839

        교육자 중심의 교육체제에서 탈피하여 학습자들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로의 전환이라는 5·31교육개혁에 의해 전국의 초등학교는 새로운 교육 방법 모색의 움직임이 열린교육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열린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나 실제적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열린교육에 대한 체계적 준비도 없이 의욕과 관심만 앞세워 실천하다 보니 열린교육의 근본 정신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열린교육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초등학교에서의 열린교육 운영 실태를 조사한 다음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열린교육의 운영 방향을 모색한다. 둘째, 질문지 조사 및 면담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열린교육의 실태를 교육과정, 교사 아동의 역할, 교수-학습 활동, 교육환경, 학습자료, 평가면으로 나누어 조사한다. 셋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다형 설문지와 자유 기술식 질문지, 그리고 현장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실태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며 열린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 도시지역 4개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04명과 농촌지역 7개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04명 총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 자유기술식 질문지는 연구 대상 학교에서 열린교육에 관심과 의욕이 있는 교사와 실무자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선다형 설문지는 선행 연구물과 열린교육에 관한 이론을 배경으로 제작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열린교육을 실천하면서 느끼거나 주위의 선생님들의 의견을 토대로 제작한 자유 기술식 질문지, 그리고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작된 현장연구실천을 참고하여 현장에서 관찰될 수 있는 항목을 발췌하여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조사 설문지의 자료 처리는 각각의 항목에 대한 빈도수를 백분율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자유 기술식 문항은 응답 내용에 따라 분석하여 연구자가 종합 진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전문기관이나 연구가에 의해 연구되고 제작된 교육내용 재구성의 자료를 학교 현장 교사에게 제공해 주어 지역이나 학교 실태에 맞게 적용하여 통합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준다. 둘째, 교육행정가나 학교 관리자는 교사의 전문적인 성장을 위해 열린교육의 이해를 돕는 강의나 연수회에 참여를 적극 지원해주며 교사는 열린교육 학교 방문 및 정보 교환으로 마음이 열리고 교육의 실천의지가 다져질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보조교사 활용은 인턴제 교사 활용이나 열린교육에 대한 학부모 연수회를 통한 자원 교사 활용 등이 제안되었으나 그 보다는 열린교육을 실천하고자하는 교사의 의지가 더욱 중요하다. 넷째, 학습의 주체자인 아동이 자신에 대한 책임을 질 줄 알며 학습의 참여자가 되어 활동할 수 있도록 학교 생활 전반에 걸쳐 약속과 규칙을 지킬수 있도록 지도를 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습 환경 구성에 교사들은 너무 많은 시간과 인적, 물적 투자를 한다. 보이기 위한 환경 구성 및 형식에서 과감히 벗어나 교사의 창의성과 아동의 정서 및 열린교육의 특징에 맞는 다양한 학습 환경이 되도록 한다. 여섯째, 학습자료와 학습지 개발을 열린교육에 관련된 전문기관에서 제작 보급하게 되면 교사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은 현저히 줄어 들 것이며 교사로서의 본분에 충실하여 아동교육에 전념할 수 있어 학습의 효율화는 극대화 될 것이다. 일곱째, 아동은 자율적으로 흥미나 관심에 따라 집단을 구성한다. 그러나 때로는 아동의 집단 구성을 교사가 임의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개인별 관찰이나 개별적 기록 카드 활용을 위해서는 학급당 아동수의 경감이 꼭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기관에 의한 평가 기록 척도가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또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중적인 평가 기록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 위의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열린교육 운영 전반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좀 더 마련되어야 하며 열린교육에 대한 장점과 단점 그리고 효과에 대해 서로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문서나 외관에 의한 평가가 아닌 교수 방법이 개선되어 아동을 위한 질 높은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열린교육의 무조건적인 수용을 지양하고 지역실태와 학교의 여건, 학급아동에게 맞도록 구상하여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교사에 대한 자율권을 부여해 주어야 하며 교육행정가나 학교 관리자는 교사를 신뢰하며 적극적인 지원체제로 변환하여야 한다. 교사는 열린교육을 실천하는 주관자이다. 꾸준한 연구와 정보교환 상호교류를 통한 협조가 이루어질 때 열린교육은 발전할 것이라 본다. A search for a new type of an educational method through the 'Open Education' has been spread in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by the 5 . 31 educational reform-changing the teacher-centered educational system into the learner-centered system that gives the learners autonomy and diversity. However, the search has been made without a complete provision for the 'Open Education'. So the real meaning and purpose of the 'Open Education' has been changed more or l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to find out remedy for the problems in the actual educational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examination of theoretical surroundings for the 'Open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ality and method of study are set up as follows. Ⅰ. Searching for a correct course of the 'Open education' through a philiological studies. Ⅱ.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Ope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enquete and interviews in six parts - educational cours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ing materials and their evaluations. Ⅲ. After grasping the problems in the education with analysis, remedies for a better education should be suggested. Questions of the enquete of multiple-choice type and free-answering type and field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education. In the investigation, a field survey was done with 104 teachers who was teaching in 4 urban elementary schools and 104 teachers who was teaching in 7 suburban schools, total, 208 teachers in field. Especially for the free-answering questions, the object people of the questions were the teachers and practical workers in field who paid attention to the 'Open Education' in those schools. The multiple-choice questions carne from the former studies and theories about the 'Open Education'. And the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the items that could be seen in schools and that refer to the study of teachers' activity in school made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examining and classifying the enquete papers, percentage about each question was used to compare and analize. And the an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free-answering papers were done synthetistically and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o be a help for the teachers' operations of a total education, teachers in field should be supported by some educationally reformed materials made by professional agencies or experts fully aware of the 'Open education'. Second, educational officials and heads of schools should promote teachers to take part in lecture meetings or trainings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Open Education', so that the teachers can improve their qualities. Third, internship teachers and volunteering parents who were trained about the 'Open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as assistant teachers. Fourth,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in order that the students could hold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in-school conducts and join their class, and finally that they could keep their words and school rules. Fifth, teachers are likely to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energy to make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proper to the teachers' originalities and students; emotions should be formed. Sixth, when the professional agencies make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and they are used in schools, teachers can devote themselves to teaching with less burden of teaching works. So students could be taught most efficiently. Seventh, for a better teachers' observation or private records card for each stud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hould be reduced and a dual system of estimation of students should be reformed. As a result, more studies about the operation of the 'Open Education' should be made objectively and the merits and faults and the effect of the' Open Education' should be widely talked by anyone who works for teaching. Through the improved teaching method,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not by documents but by a high-quality lessons. But unconditional acceptance of the 'Open Education' must be avoided. The 'Open Education' in the acceptable form to schools, teachers and students would be neccessary. Above all, teachers may well have a right to teach on their views. And educational officials and heads of schools should trust and support teachers. Teachers are the very people who would manage and supervise the 'Open Education'. The 'Open Education could be improved when teachers and practical workers keep studying, share informations and get in touch with one another.

      • 윤리 소설을 활용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방안 : Lisa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류혜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Thus far, moral education curriculums have been emphasizing the expansion of moral thinking and judgment, a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has been mostly L. Kohlb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 His theory lays emphasis on developing reasons and rationalities while accentuating acquisition of universal moral principles and deductive moral judgment ability. However, starting from moral education curriculum of 2009, more emphasis is being put on developing moral judgment ability that rationally resolves various moral issues in daily life. This education curriculum is emphasizing understandings of moral issue situations, abilities to form many alternative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moral issues and moral judgments that develop overall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etc, instead of past moral judgments based on recognition, reason or deductive reasoning. Nevertheless, moral judgment education across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ncludes morality textbooks has yet to be concretized or systematized. It mention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moral imagination ability and caring thinking ability, but it does not explain their correlations or how they effect moral judgm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materialize and implement newly modified goals of morality and education curriculums on morality textbooks and lesson methods.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 for specific measures that can realize the goals of in 2009 moral education curriculum's moral judgment education, which emphasizes caring thinking a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s caring thinking ability has on new moral judgment education, as well as fo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increase caring thinking ability. The concept of care we have been using so far has a narrow meaning. It was inclined towards an emotional education called care. However, the true meaning of caring thinking ability education must combin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Therefore, current care education must make an extra step as a caring thinking ability education that organically combin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Also, critical, creative and caring thinking must achieve a balance for completing integrated morality and education, and Lipman is a person who advocated this idea. Since 1970's M. Lipman has been continuously asserting moral education theory of integrating and balancing multi-dimensional thinking through the IAPC(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program, which is an et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His inquiry community activity stresses integrated personality education. This program emphasizes the need for students to relish and discuss the content to be taught, instead of demanding students to read, see and listen. Et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possesses an advantage of increasing caring thinking ability through diverse activities such as utilizations of literatures, movies and celebrated paintings. This research wishes to study measures to increase caring thinking ability by utilizing ethical novels, a type of literature. Moral education curriculums that utilize ethical novels posses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since ethical novels are works that display general human lives, it is possible to lead students to chapters of life. Second, ethical novels induce students' interests and excitements when it comes to resolving moral issues that arise in everyday life, because in addition to having related experiences in real life themselves, they believe that stories in ethical novels can actually happen to them as well. Third, ethical novels can be selected and designed according to class topics. Fourth, ethical novels increase moral imagination ability. One get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predicting outcomes of alternatives when it comes to problem solving procedure, and caring for other through empathy. Through such process, students get to increase their moral imagination ability and attempt to make the most reasonable moral judgment by utilizing caring thinking ability technique. Fifth, ethical novels make students obtain moral susceptibility and passion. Students can hold abilities to critique immoral behaviors and simultaneously foster the will to practice moral behaviors. Sixth, ethical novels allow students to learn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Until they reach the stage of reasonable moral judgment, students reconstruct their own recognition and put in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and modify, in order to maintain a reflective state of equilibrium. Seventh, ethical novels improve integrated morality. By assisting students develop morality and thinking ability that integrate recognition, justice, behavior or critical, creative as well as caring thinking ability, ethical novels are effective in cultivating moral human who practice such traits in everyday life. In such ways, ethical novels are excellent teaching materials for et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In particular, et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through Lipman's ethical novel "Lisa" suggests many things in our moral education curriculums since it increases higher level thinking abilities such as critical, creative and caring thinking abilities. This is because with moral education curriculum's goals of cultivating moral and ethical human beings with harmonized moralities of recognition, justice and behavior domains, et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for increasing critical, creative and caring thinking ability can b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fostering integrated morality.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rough cultivating caring thinking ability, our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stresses rationality, must move forward as an education that integrates moralities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as well as critical, creative and caring thinking 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developing measures that can increase caring thinking ability, which is emphasized by 2009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uch purpose, the status and meanings of caring thinking ability in moral judgment education were looked into, and applicability of caring thinking ability education method that utilizes ethical novel "Lisa" was examined.

      • 생강 및 참취 추출물이 마우스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 淑明女子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생강과 참취로부터 면역증진능을 갖는 식품소재의 일원으로 서 생강의 면역증강효과와 면역 활성 분획을 살펴보고, 면역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참취로부터 면역 활성 성분을 추적하고자 한다. 3단 계로 나누어 진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1(In vitro)의 실험으로 생강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시 료로 사용하였고, 면역 증진능 측정의 지표로서 생강 추출물 첨가에 의 한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 및 복강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IL-1, IL-6,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강 열수 추출 물과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의 10 ㎍/㎖ 이상 1000 ㎍/㎖ 이하의 모든 농 도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복강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생강 열수 추출물 첨가의 경우 IL-1, IL-6와 TNF-α의 100 ㎍/㎖ 농도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높은 분비량을 보였으며, 에탄올 첨가의 경우 10 ㎍/㎖과 100 ㎍/㎖ 농도에서 대조군 보다 높은 분비량을 보였다. 연구 2(Ex vivo)에서는 연구1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강 열수 추출물 을 2주 또는 4주간 격일로 0, 50, 500 mg/kg b.w의 농도로 6-7주령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비장세포 증식능, IgM 항체 생성 세포수 및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 IL-6, TNF-α, IL-10, IFN-γ)의 분비량과 전구 염증성 사이토카 인인 IFN-γ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비율(ratio)를 측정하였 으며, 또한 NO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생강 열수 추출물은 50 mg/kg b.w과 500 mg/kg b.w의 농도에서 ConA나 LPS로 자극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장 증식능을 보였다. IgM 항체 생성 세포 수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FC 증식을 보였고, 500 mg/kg b.w 농도 투여군에서 최대 수치를 나타냈다. LPS에 의해 활성화 된 복강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IL-1, IL-6, TNF-α, IL-10, IFN-γ의 분비량은 LPS 자극한 500 mg/kg b.w의 투 여군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사이토카인의 비율 변화에서는 LPS 자극시 3∼5의 범위를 유지하여 전구 염증성 사이토카 인인 IFN-γ는 높게 상승하는 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은 상 승을 나타내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억제시켜 일정한 비율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NO 생성량의 경우 LPS를 처리한 500 mg/kg b.w의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생성능을 보였다. 연구 3에서는 생강과 참취를 계통 추출하여 면역 활성이 높게 나타난 용매분획물로부터 칼럼으로 면역활성을 추적하여 활성 성분을 찾고자 하 였다. 그 결과 생강과 참취의 클로로포름 분획에서 높은 면역활성을 보 여 주었다. 특히, 참취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높은 면역 활성을 볼 수 있었고, 이동상으로 클로로포름을 이용한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 그래피 와 TLC를 통해 면역활성이 높은 10개의 분획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2번째 분획으로부터 면역활성이 높은 1개의 compound를 얻을 수 있었다. 분리한 활성 분획의 H-NMR spectrum에서 전형적인 지방산의 pattern을 나타내었다. 구성 지방산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해 methylester 형태로 전환한 다음 GC-MS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 확인한 결과 참 취에서 면역활성을 나타내는 혼합물은 nonanedio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margaric acid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참취의 면역 활성의 이들 지방산들의 혼합에 의한 효과인 것으로 사료된 다. 이상의 본 연구의 결과 생강과 참취 추출물이 비장증식능과 항체생성 능을 조절시킴으로서 면역능을 증진시키고, 사이토카인간 분비능의 비율 을 조절시킴으로서 면역기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many investigators have initiated searches for immunomodulating substances from natural food sources.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has been used as a raw material in many traditional preparations since the ancient time. As a component of traditional health products, ginger is known for appetite enhaning, anti-cold or antiinflammatory effe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ive effects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ster scaber Thunb in mice, using in vitro and ex vivo experiments. In order to elucidate the immunomodulative effects of Ginger, water extracts of the plant were orally administrated into mice, and isolated splenocytes and macrophages were used as experimental model. In vitro experiment, the mice splenocytes proliferation and three kinds of cytokine(IL-1 , IL-6 and TNF- ) prodution by peritoneal macrophages cultured with ethanol or water extracts of Ginger were investigated. In vitro supplementation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extracts enhanced the splenocytes proliferation in both fractions(water and ethanol)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all concentrations investigated(10∼1000 ㎕/㎖). Cytokines of IL-1β, IL-6 and TNF-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upplementation of water(10∼500 ㎕/㎖) or ethanol extracts(250∼ 500 ㎕/㎖). In order to elucidate its ex vivo effect six to seven week old balb/c mice were fed ad libitum on a chow diet, and water extracts of Ginger were orally administrated every other day for two or four weeks at two different concentractions(50 and 500 mg/kg b.w.). The proliferation of mice splenocytes,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s(PFC), the production of five cytokines ( IL-1β, IL-6, TNF- , IL-10 and IFN-γ) secreted by activated macrophage and NO(nitro oxide) production were used as indices for immunocompetence. Splenocytes proliferation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with mitogen stimulation such as ConA and LPS was enhanced at 50 mg/kg b.w. and 500 mg/kg b.w. concentratin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effects of the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water extracts on antibody production was determined in mice challenged with sheep red blood cells(SRBC) using hemolytic plaque forming cell assay.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PFC) to SRBC of Ginger water extract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highest number of antibody -secreting cell was seen in the mice orally administrated with 500 mg/kg b.w. In case of cytokine, the highest production of IL-1β, IL-6, TNF- , IL-10 and IFN-γwas detected at 500 mg/kg b.w. supplementation group with LPS stimulation in all cases. Also, Ratio of TNF- , IL-10 was the range of 3∼5 with mitogen stimulation such as Con A and LPS. NO(nitro oxide) concentration in macrophage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stable NO metabolite, nitrite, using Griess reaction assay, and NO production were enhanced at 500 mg/kg b.w. supplementation group with LPS stimul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Finally to indentify the immune activating fraction of the plants, the systematic fractionation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ster scaber Thunb with methanol, hexane, chloroform, butanol and water was performed for their separation and ref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loroform fraction from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ster scaber Thunb had the highest immune cell activating proper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ster scaber Thunb extracts may enhance the immune function by regulating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 Also they seem to augment inmune function by regulating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the ratio of Th1/Th2 cytokine production by activated macrophages.

      • 갈엽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류혜숙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갈엽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얻기 위한 성분을 분석 연구하였다. 건조시킨 갈엽을 99.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25℃, 58℃및 78℃로 추출 하고 증류수를 용매로 하여 25℃, 60℃및 99℃로 추출하여 얻은 6가지 추출물을 이용하여 optical density와 disk paper method를 이용하여 항균효과를 알아보았으며 HPLC를 이용하여 폴리페놀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DPPH법을 이용하여 프리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았고 tyrosinase 활성저해 분석을 통하여 미백효과를 알아보았다. optical density와 disk paper method 분석 결과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증류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HPLC 분석결과 페놀릭 에시드인 3,5-di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tannic acid 등이 다량 검출되었으며 플라보노이드계의 성분 이 외에도 폴리페놀계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프리라디컬 소거 효과는 5000ppm에서 58℃조건에서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갈엽 추출물이 59.20%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류수 25℃를 이용한 추출물에서 13.40%로 가장 높은 활성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y gathering the extracts of the Pueraria thunbergiana leaf leaves, the substances that will serve as antibodies, whitening agents, and sulfate were analyzed. The dried pueraria thunbergiana leaf leaves were dissolved in a 99.5% ethanol solution and the extracts were obtaind at 25℃, 58℃, and 78℃. also, the 6 extracts obtaind leaves were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t 25℃, 60℃, and 99℃. the above six gathered extracts were used to find out the antibiotic effects by utilizing the optical density and disk paper method. The polyphenol contents and the HPLC and the antioxidantantive effec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capability to eliminate free radicals with DPPH method. the results of the optical density and disk paper method analysis showed antibiotic effects on the three acn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causing germs, but not on the dormant germ pityrosporum ovale. also, The ethanol extracts showed higher antibiotic effects than the extracts in distilled water. from the results of the HPLC analysis, the polyphenolic contents and the phenolic acids such as 3,5-di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and tannic acid were found in abundance so that the antioxidantive effect showed excellent. In the free radical eliminating capabilities analysis, the pueraria thunbergiana leaf extracts in distilled etanol at 58℃ 5000ppm showed the highist value of 59.2%. The pueraria thunbergiana leaf extract in distelled water at 25℃ showed the most effetive in tyrosinase activity impediment.

      • 고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의 낭만주의 예술가곡 감상 지도방안 연구

        柳惠淑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음악 교육은 음악의 포괄적인 체험을 통해 개인의 심미적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모든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성을 계발하고 풍부한 정서와 창조성을 길러 조화로운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음악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의 다양한 음악 활동이 필요한데 그 중에서도 감상은 음악에 대한 동기 부여의 원천이며 감상학습은 보다 넓은 분야에 걸친 경험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모든 음악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음악수업 시간의 감상교육은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풍부한 경험과 적극적인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의 전인적인 면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예술가곡은 그 어느 장르보다 효과적인 음악 감상 수업을 할 수 있는 장르라고 생각한다. 예술가곡 감상을 통해서 풍부한 정서를 함양케 하고, 능동적이고 참여 중심의 음악 학습 활동 속에서 음악의 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음악 감상 교육에 있어 매우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예술가곡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상하기 위한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고등학교 음악과 감상활동 영역의 학습 목표를 알아본 후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예술가곡이 어느 정도 수록되어 있는지 분석을 하고 낭만주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 예술가곡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된 슈베르트 예술가곡의 특징과 그 외 낭만주의 예술가곡 작곡가 및 작품을 고찰한 후 예술가곡 감상 실태를 조사하여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대안을 찾아보고, 그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효과적인 예술가곡 감상 수업이 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학습 지도안은 슈베르트의 예술가곡 마왕과 <백조의 노래> 중 세레나데, 슈만의 <시인의 사랑>이다. 결과적으로 첫째, 시를 통해 풍부한 정서를 함양케 하고 시인의 감정 변화가 나타나는 예술가곡을 감상함으로 곡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피아노 반주의 상황 묘사는 학생들의 상상력을 증진 시킬 수 있었다. 둘째, 예술가곡 음악 학습 활동을 통해서 학습에 수동적으로 이끌려 가는 것이 아니라 활동적이고 자유스러운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음악에 대한 적극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즉, 학생들에게 잠재되어있던 각기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최대한으로 표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음악적 창의성을 신장시키고 주체적,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협동적이고 공동체적 의식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위의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예술가곡이 지닌 가치가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현실에 맞는 다양한 수업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개인의 창의성을 향상시키고 음악의 미적 의미를 체험하는 새로운 음악 학습 활동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하여 많은 학생들에게 어렵게 느껴지던 클래식 음악 수업이 흥미 있고 관심이 증대되는 시간으로 변화될 것이다.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musical sensibility, sophisticated emotion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crucial parts to enhance harmonious personality through comprehensive experiences given by classic music. To this end, various musical activities are needed such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composition or appreciation. Among these activities, music appreciation plays the core part in the entire music education as it is the first stage to advance into the in-depth of classical music and the base for more extensive experiences. Thus, the class for enhancing music appreciation should offer emotion-touching experiences and other continuous opportunities for more musical activities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as whole man. In this respect, the lied incorporating both literature and music can be the genre most fitted for this purpose. Lied appreciation offers many opportunities for student to bring out their deepest emotions and to go through the authentic beauty of classical music. This thesis is on how to more effectively instruct the appreciation of lied that has been the most meaningful and valuable component in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Firstly,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and the learning point of music appreciation in the 7th educational procedure for high school is summarized. And then how many the lieder are contained in music textbook on the 7th educational procedure for high school was analyzed,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usical features of Romanticism period as well as musical features of lieder were reviewed. Then,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Schubert' lieder mostly in music textbook but also other lied composers of Romanticism period and their works were examined. After the survey on lied appreciation and the resulted problems and alternatives were analyzed, the necessary learning guide was presented for more enhanced lied appreciation. The learning guide is made up centered on Schubert's ‘Erlkonig’, ‘Sta¨ndchen’ in <Schwanengesang> and Schuman's <Dichterliebe>. In conclusion, first, the lied expressing the emotional of lieder on the piano melody plays a crucial part in promoting rich sentiment and enhancing the understanding the entire music as well as heightening the imagination of students. Second, the musical activities focused on lied formed liberal and active learning climates to raise much interest in classic music in the class. In other word, student could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and temperaments without being interrupted which led to more strengthened musical creativities and self-motivated and positiv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music appreciation. Awareness for cooperation and community were also built up.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various suitable methods should be delved out to authentically speak for the value of lied and new musical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to enhance individual creativities and the aesthetic aspects of music. Therefore, the music class can attracts more attention of students.

      • 효과적인 u-러닝 학습 활성화에 관한 연구

        류혜숙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은 컴퓨터의 발달과 과정의 맥락을 같이 한다. 80년대 퍼스널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컴퓨터 보조 학습(CAI), 90년대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이 확산되면서 웹 기반 학습(WBI), 그리고 전자 기술에 의한 학습을 통칭하여 이러닝으로 발전되었다. 이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이러닝을 넘어서 u-러닝의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u-러닝(u-Learning)은 유비쿼터스 러닝(Ubiquitous Learning)의 약자로, 개방적 학습 자원을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활용하는 통합적 학습체제를 의미한다. 일부에서는 무선 인터넷이나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해 TPC(Tablet personal Computer)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정의하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협소한 개념이다. u-러닝은 특정 단말기, 혹은 매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적 환경에 적합한 학습 메커니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u-러닝은 이미 거대한 시대적 흐름이 되었다. 현재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한 미래 교육에 대한 논의가 정부주도하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 인프라 환경을 이용한 이러닝은 교육인적자원부(現 교육과학부)의 사이버가정학습을 시작하여 정부 주도하에 이루어졌으며, KT,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인텔코리아와 ‘u-러닝 연구학교’ 사업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전국 초ㆍ중ㆍ고교에서 시범학교를 운영해왔다.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는 사이버 대학 및 사이버 과목을 공식적인 학점으로 인정받아서 도입이 시작되고 있고, ‘U-캠퍼스’라는 내용으로 캠퍼스의 유비쿼터스화를 꾀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다양한 방식의 온라인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사설 학원에서의 수익모델로 많은 이러닝 콘텐츠가 개발되어 상용화 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화뿐만 아니라 모든 정보화 기기가 네트워크화 되어 언제, 어디서, 누구나, 어떠한 장치에서도 대용량의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하는 유비쿼터스의 사회로 들어선 셈이다. 이제 중요하게 논의해야할 것은 u-러닝의 질적인 향상이다. u-러닝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닝의 경우 기존의 학습상황과 상당히 많은 다른 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맞게 구성되지 못한 교수설계 및 교수전략으로 큰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때문에 이러닝에서 제공할 수 있는 특수한 학습경험과 학습활동의 강점을 활용한 이러닝다운 이러닝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그리고 국내 u-러닝 시범사업은 대부분 하드웨어 공급형이 대부분이므로 미래 교육환경에 적합한 교수설계 및 교육인프라, 양방향 교육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u-러닝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자 측면, 환경조성, 법제도 개선 등의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새로운 교육의 변화를 적용한 u-러닝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정보통신윤리교육을 활용한 도덕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류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오늘날 우리는 급변하는 정보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정보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삶의 풍요로움과 여가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정보 사회의 빠른 발달 속도는 그에 따라 많은 윤리적인 문제들을 출현시켰다. 따라서 21세기 정보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과 21세기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이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비윤리적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의식의 확립이 요청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덕․윤리 교육 또한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도덕과에서의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방안을 다음과 같이 연구해 보았다. 제 Ⅱ장에서는 사이버 공간으로부터 파생되는 윤리적 문제들의 등장 배경을 살펴본 후, 정보 사회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로 개인 정보 및 사생활 침해, 지적 재산권 침해, 해킹과 바이러스의 유포, 불건전 정보의 유통, 정보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 소외와 자아정체성 혼돈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요구됨을 설명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현행 도덕과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원칙과 그에 따른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위한 네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의 수업지도안을 연구하였다. 제 Ⅴ장의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살펴 본 논의들을 정리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생각해 보면서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정보 사회에서 필요한 인간은 정보 사회에 적합한, 즉 정보 사회를 바람직한 사회로 만들어갈 수 있는 완성된 인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에 있어서 학생들이 정보 사회에 대해 알고 느끼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측면의 시정을 위한 교육과 더불어 바람직한 정보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모습을 지니도록 하기 위한 주제를 선정을 하였다. 그리고 실제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정보통신윤리교육을 통한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제 청소년들이 급변하는 정보 사회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판단력을 길러주는 일과, 건전한 정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도덕․윤리과에서도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중요한 주제로 생각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