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애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점점 보편화되고 증가 추세에 있는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인구사회학적변인, 직업관련변인, 부부관련변인, 부모역할갈등, 자녀양육변인, 사회적 지지가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족 내의 맞벌이 부부의 안녕 상태, 삶의 질을 파악해 봄으로서 맞벌이 부부의 건강한 가정생활을 돕고, 이들을 둘러싼 가족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맞벌이 가족복지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맞벌이 부부가 지각하는 심리적 복지 상태를 확인하고, 각 관련변인에 따라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 변인간의 상관관계가 어떠한가를 알아봄으로써 맞벌이 부부의 복지 상태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와 가족복지 증진을 위한 복지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본 연구자가 직접 병원, 공공기관, 은행, 회사,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해 임의표집한 300쌍(6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2월 11일부터 3월 8일까지 4주 동안 실시하였고, 250쌍(500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로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의 경우 직업만족, 배우자 지지, 결혼만족, 부모역할갈등, 부모역할관 등으로 직업만족, 결혼만족, 배우자 지지는 높을수록, 부모역할갈등과 부모역할관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 결혼만족, 직업만족, 부모역할갈등, 평가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직업만족, 결혼만족, 평가적 지지는 높을수록, 부모역할갈등은 낮을수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의 경우 부모역할갈등, 직업만족, 모취업영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역할갈등과 모취업영향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는 낮을수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 부모역할갈등, 평가적 지지, 결혼만족, 직업만족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역할갈등은 높을수록, 직업만족, 결혼만족, 평가적 지지는 낮을수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맞벌이 부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시대에 맞는 맞벌이 부부 및 가족의 심리적 복지향상을 위한 사회 전반에 걸친 지원과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대변하는 것으로 각계각층에 포진되어 있는 맞벌이 부부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복지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하겠다. 아울러 결혼적령기의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맞벌이 부부에 대한 이해와 역할갈등 등 심리적 복지 차원에서의 문제해결에 긍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 차원의 교육도 필요하다 하겠다. This research concern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ual-income couples that have become increasingly generalized recent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effects of social demographic factors, career related factors, husband and wife related factors, factors as parents, factors in raising children, and factors of social uphold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up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ist the dual-income couples reach a more healthy family life and also to help them cope with certain family issues and environments by understanding their current conditions and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ondition that the dual-income couples were aware of, and how each related factors affected it. Also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double-income couples' well-being status by looking into the relations between each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ultimately, this study is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f welfare policy to improve double-income coupl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amily welfare as well. The research method was for the researcher to personally proceed a voluntary survey on 300 couples (600 people) in hospitals, public institutions, banks, companies, kindergartens, and nurseries for four weeks between February 11th and March 8th, 2008; 250 of these couples (500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examine the major factors that great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ual-income coup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case of the husb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ir rate of satisfaction in life were -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t roles as parents, satisfaction in career, satisfaction in marriage, support from their wives, and different views on the role of parents. These factors had more recordabl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rate of life when the satisfaction in career, marriage, and support from their wives were higher; and the lower the conflicts as parents and the conflicts due to different views on parents. In case of the wife, the factors were -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t roles as parents, satisfaction in career, satisfaction in marriage, and evaluative suppor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in career, marriage, and evaluative support, and the lower the conflicts of the different roles as parents, the factors had a larger effect. The factors that affect depression were: In case of the husband -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t roles as parents, satisfaction in career, and influences from the occupancy played the major roles. They had greater effects when the conflicts as parents and influences from the occupancy were higher and as the satisfaction in career was lower. In case of the wife, the factors were -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t roles as parents, satisfaction in career, satisfaction in marriage, and evaluative support. The higher the conflicts as parents 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in career, marriage, and evaluative support, the factors had a greater effect on depression. This research result speaks for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dual-income couples' well-being and the changes needed in the society's overall support and recognition of the increasing number of these famili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dual-income couples in every class of the society face today, is imminent. Moreover, the educations on understanding the dual-income couples as well as on positively corresponding to certain conflic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essential for the unmarried people who have reached their marriageable age.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직무수행능력과 아동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 청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Lately, the importance of social welfare values that is the basis of a mission of social welfare and a factor of behavioral decision of a social worker in constantly changing social welfare practice site is realiz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and a level of the sub-factors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in 11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buk-do, and to investigate how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affects job performance and child service quality. A self-report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193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child centers of Chungcheongbuk-do. Research tools are a measure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32 questions), a measure of job performance (19 questions), and a measure of child service quality(20 questions).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statistical program is used for a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An analytical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level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job performance , and child service quality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is analyzed. Respect for fundamental rights of four sub-factors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is the highest at 3.945 points, and next,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is averagely 3.911 points. Next,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is averagely 3.910 points, and responsibility for personal liberty is the lowest at 3.568 points.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is averagely 3.834 points, so is above average. As sub-areas of job performance are administrative procedure of institution, knowledge and technology,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use of supervision, client system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 ability, attribute and attitude of experts, job performance demand and workload management, and relationship with employees and community, job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is averagely 3.771 points, so is above average. As child service quality is reliability, responsiveness, guarantee, sympathy, and materiality, child service quality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is averagely 4.148 points, so is above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n job performance , there is the significant impact relation between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and job performance . That is, the higher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the higher their job performance. Respect for fundamental rights and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of sub-variables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have the significant impact relation. That is, the higher a level of respect for fundamental rights and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of sub-variables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the higher their job performance . Third,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n child service quality, there is the significant impact relation between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and child service quality. That is, the higher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the higher their child service quality. There is the significant impact relation between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of sub-variables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and child service quality. That is, the higher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of sub-variables of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the higher their child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research problems, an undertone is suggested as follow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measu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a child welfare institution, empirically, confirms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and a level of the sub-factors, and proves that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child service quality. This study proves that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has an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child service quality, so various plans should be formulated to improve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First of all, education of social welfare valu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should be strengthened. On compulsory educa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workers, social welfare value is designated as a required subject,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of social welfare values in field placement of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values as experts should be promoted in a site of social welfare by strengthening institutions related to social welfare values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peer supervision, and designating education of social welfare values as a required subject in license acquisition process of social workers. Limit and suggestion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Objects of this study are worker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Chungcheongbuk-do, so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and generalize the whole workers. In addition, a study on social welfare value oriented reflecting thought, emotion, and social welfare environments in Korea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nd an empirical study on social welfare values should be continued. If the impact rela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evaluation score or children satisfaction is studied to compensate weakness of a self-report survey, a more objective study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future.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복지 실천 현장 속에서 사회복지 사명의 근간이 되며 사회복지사의 행동 결정 요인이 되기도 하는 사회복지 가치는 최근에 들어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북 도내 11개시군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에 대한 사회복지 가치지향과 그 하위 요인의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직무수행능력과 아동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충북지역 내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19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도구는 사회복지 가치지향 척도(32 문항), 직무수행능력 척도(19 문항), 아동서비스 질 척도(20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sio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 직무수행능력, 아동서비스 질 수준을 분석하였다. 사회복지 가치지향의 4가지 하위요인 중 기본권리에 대한 존중이 3.945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자기결정에 대한 지지가 평균 3.911점이었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의식이 평균 3.910이었고 개인 자유에 대한 책무가 3.568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은 평균 3.834로 보통보다 높은 사회복지 가치지향 수준을 보였다. 직무수행능력 하위영역은 기관서비스 행정절차, 지식과 기술, 슈퍼바이저와의 관계 및 슈퍼비전 활용, 클라이언트체계와 전문적 관계 능력,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속성 및 태도, 업무수행 요구 및 업무량 관리, 직원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은 평균 3.771로 보통보다 높은 직무수행능력 수준을 보였다. 아동서비스 질은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 유형성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수행능력은 평균 4.148로 보통보다 높은 아동서비스 질 수준을 보였다. 둘째,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직무수행능력과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복지 가치지향의 하위변수 중 기본권리에 대한 존중과 자기결정에 대한 지지 변수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의 하위변수 중 기본권리에 대한 존중 수준과 자기결정에 대한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아동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복지 가치지향과 아동서비스 질이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서비스 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회복지 가치지향 하위변수 중 자기결정에 대한 지지 변수가 아동서비스 질과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의 하위변수 중 자기결정에 대한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서비스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문제의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사회복지 가치지향을 실증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연구임에 의미가 있으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지향과 그 하위요인의 수준 정도를 확인하고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직무수행능력과 아동서비스 질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사회복지 가치지향이 직무수행능력과 아동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증명한 바, 사회복지 가치지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먼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사회복지 가치에 대한 교육 강화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의무교육 시 사회복지 가치를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하고 사회복지 현장실습 과정에서도 사회복지 가치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 가치와 관련한 기관 및 동료 슈퍼비전을 강화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 과정에도 사회복지 가치에 대한 교육을 필수 이수과목으로 지정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 가치를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문제의 분석결과에 기초한 한계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북 도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로 전체 종사자를 대표하여 일반화하기엔 무리가 있다. 또한 한국의 사상과 정서, 사회복지 환경을 반영한 사회복지 가치지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복지 가치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평가 점수의 영향 관계나 아동 만족도를 더불어 연구한다면 좀 더 객관화된 연구 결과

      • 노후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복지관 이용 노인가 비이용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은하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복지관 이용 노인과 비이용 노인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복지관 이용 실태에 따라 노후 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노후 준비도, 복지관 이용실태는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노후 준비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성공적 노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여 사회복지 실천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청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과 복지관을 이용하지 않는 노인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복지관 이용 노인 151부, 비이용 노인 178부로 총 329부가 회수되어 통계처리에 문제가 없는 31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복지관 이용 실태에 따라 노후 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노후 준비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학력, 동거 가족, 종교, 월 평균 소득, 건강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복지관 이용실태에 따른 노후 준비도 차이는 복지관 이용유무, 복지관 참여 프로그램, 복지관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복지관 이용 횟수에 따라 노후 준비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학력, 동거 가족, 종교, 월 평균 소득, 건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복지관 이용실태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복지관 이용유무, 복지관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복지관 이용 횟수와 복지관 참여 프로그램에 따라 성공적 노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노후 준비도, 복지관 이용실태가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관련변인들과 성공적 노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공적 노화는 노후 준비도가 높을수록, 월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 정도가 좋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성공적 노화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별 영향요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첫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율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하지 않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율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기완성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수록, 여가 노후준비가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기완성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성공적 노화의 적극적 인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여가 노후준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수록 성공적 노화의 적극적 인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녀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녀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성공적 노화의 자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자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성공적 노화의 타인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로는 정서적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여가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타인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체적인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분석 결과, 종교가 있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수록, 노후 준비도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들의 종교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와 지속적인 복지관 이용을 위한 노인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낮은 집단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노후 준비에 있어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정서적 준비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노인에 대한 정서적 지지 또는 지원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확대하

      •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 청년과 중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순정 청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arrange frameworks for supporting th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er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m by examining ec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th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ers to elicit implications about the preventive intervention in newly arising social problems in circumstances where despite of the dramatic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occurrence of new problems related with various social and economical factors, the study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focused only on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grated data each for the households and the household members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extracted relevant variables regarding the young adults and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alyzed 196 young adults aged from 20 to 44 and 304 middle-aged adults aged from 45 to 64.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household and the level of depressi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young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aged, and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middle-ag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 adults. Second, in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dividualsystem (gender, health status, household annual income), microsystem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esosystem (career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all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Individualsystem (economic activity status) be the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 the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 and Individualsystem (residential area) and microsystem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 Third, in case of the young adults single-person household, Individualsystem of residential area and microsystem of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ppear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and in case of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ndividualsystem of health status, microsystem of family rel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combined, mesosystem of career satisfaction and the macrosystem of availability of social service appear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Through this, we have identified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Individualsystem, microsystem, mesosystem and macrosystem)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young adults and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ociety should recognize rapidly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 as one type of family and it is urgent that relevant regulations for the single-person households be enacted so as to prevent them from being socially excluded or alienated arranging necessary support system. Second, society should provide programs sui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at the early stages because if they come to an old age with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meliorated, the social burden will be aggravated. Also, support for the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uch as enlarging volunteering opportunities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propping up self-help leisure groups and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to the formation of network is needed. Third, the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showed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in regard to this matter, it is urgent that we come up with positive social intervention measures, not just see it as personal problems. 본 연구는 1인 가구주의 급격한 증가와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요인에 따른 새로운 문제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주에 대한 연구가 독거노인에 집중되어 있어 새로 발생하는 사회문제의 예방적 차원의 개입에 대한 함의 도출을 위한 생태학적 요인을 찾아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에 대한 지원근거를 마련하고 사회복지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제11차 한국복지패널(KOWEPS) 자료 중 가구용, 가구원용 자료를 통합하여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와 관련된 변수를 추출하여 가구형태 질문에 ‘단독’으로 답한 20세~44세 청년 196명, 45-64세 중년 304명을 분석 하였으며,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있어서는 청년이 중년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중년이 청년보다 우울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1인 가구주의 경우 개인체계(성별, 건강상태, 가구연소득), 미시체계(사회적 친분관계 만족)와 중간체계(직업생활만족, 여가생활만족)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 변인과 더불어 개인체계 중 경제활동상태가 청년 1인 가구주에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체계 중 거주지역과 미시체계 중 가족관계 만족이 중년 1인 가구주에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 1인 가구주의 경우 개인체계(거주지역), 미시체계(사회적 친분관계 만족)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년 1인 가구주의 개인체계(건강상태), 미시체계(가족관계 만족,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와 중간체계(직업만족), 거시체계(사회복지서비스 이용)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개인체계, 미시체계와 중간체계, 거시체계)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속도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1인 가구를 하나의 가족 형태로 인식하고 이들이 사회적으로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를 위한 관련 조례 제정이 시급하며, 필요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년과 중년 1인 가구주가 지닌 특성과 문제가 개선되지 않은 채 노년을 맞게 되면 사회적인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조기에 1인 가구주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1인 가구주들의 자원봉사활동 기회 확대나 여가활동 등의 자조모임을 지원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등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과 사회 관계망 형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중년 1인 가구주의 우울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개인적인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사회적 개입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저소득층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한근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 세계적으로 빈곤으로 인한 아동문제가 심각하다. 아동문제는 이후의 성인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문제 해결이 아동기 초기에 이루어질수록 그 효과 및 효율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위스타트나 드림스타트 등의 사업, 보육시설의 증가, 지원금을 통한 경제적 어려움 해소 등의 해결책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빈곤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태학적 관점 적용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부모역할 연구에서도 아버지가 어린 자녀의 발달 과정의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조사된 2009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제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자녀를 둔 저소득층 아버지의 특성에 따라 양육참여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를 둔 저소득층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생태체계적으로 재분류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8세 미만의 자녀를 가진 저소득층 아버지로 제한하였으며, 자녀의 어머니가 응답한 자료만을 사용하여 저소득층 아버지들의 사회적 바람직성에 대한 오류를 제거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저소득층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양육참여를 살펴보기 위해 유기체 변인들 간의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뒤,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생태체계별 변인들을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양육활동 빈도에서만 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이상의 집단이 중학교 집단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을 중심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녀와 하루 놀이/대화 시간과 자녀와의 양육활동 빈도에서 각각 11.1%(Adjusted =.111), 12.6%(Adjusted =.126)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하루 놀이/대화 시간에서는 월평균 총소득과 배우자와 다투는 빈도가 증가할수록, 자녀의 건강상태가 안 좋아질수록 자녀와 하루 놀이/대화 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문제를 주로 결정하는 사람이 아버지인 경우 자녀와 하루 놀이/대화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활동 빈도에서는 월평균 총 소득이 증가할수록 양육활동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문제에 대해 부부간 의견의 일치정도가 증가할수록, 자녀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타인의 사회적 지원이 증가할수록, 아동의 4가지 권리 보장정도가 좋다고 생각할수록 양육활동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양육문제에 대한 부부간의 의견 일치정도, 배우자와의 다투는 빈도, 양육문제 결정, 아동의 4가지 권리보장 등이 저소득층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그에 관한 부모 교육 필요성이 나타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둘째, 저소득층과 같은 소외계층일수록 정보부족으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함에 따라 각 공공기관에서 자녀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게 경제적, 정서적, 생활 및 양육정보에 관한 정보 제공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과 조직풍토가 사회복지 실천수행에 미치는 영향 :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방혜선 청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사회복지실천은 단순하게 정형화된 접근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본질적인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촉각을 곤두세우는 주제가 바로 ‘인적자원 개발’, 즉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써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을 강화하는 것과 함께 실천역량을 성장시키고, 사회복지 실천수행을 구조화해 나가는 순환적 과정의 핵심적인 요소인 사회복지사의 성찰성에 주목하였다. 즉, 사회복지사의 성찰성이 그들에게 주어진 실천수행의 구조 속에서 관행적 실천을 극복하고 능동적으로 자기행동을 결정해 나가게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사회복지 실천수행이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과 사회구조적 상황 안에서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그 안에서 성찰성이라는 전략적 행동이 어떠한 구조로 사회복지 실천수행과 통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사고수준을 측정하고,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과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풍토가 사회복지 실천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들의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복지사의 성찰성 즉, 성찰적 사고수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지역별, 종별 개소 수의 10% 내외의 기관인 98개소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의 온라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3개 기관으로부터 420부의 설문지를 회수 받아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411개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후 사회적바람직성 통제를 위하여 사회적바람직성 척도의 평균점수가 0.7점 이상인 자료 127개를 제외한 284개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 즉,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의 보유수준은 사회복지 실천수행의 하위요인인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풍토의 하위요인인 업무배정은 적응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보상은 맥락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 조직풍토, 사회복지 실천수행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성찰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사고수준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사회복지 실천수행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가치지향과 맥락수행의 관계, 조직풍토의 하위요인인 업무배정과 적응수행의 영향관계에서 성찰성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찰적 사고 수준에 따른 조직풍토와 사회복지 실천수행과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 실천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찰적 사고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조직풍토 하위변수인 ‘교육 참여에 대한 개인의 자율성’과 과업수행과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 즉, 사회복지 지식 및 기술보유수준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수행 즉, 사회복지사의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과 조직의 업무배정이며, 이들은 사회복지사의 성찰적 사고수준을 매개로 하여 사회복지 실천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 실천수행을 전개해 나가는데 있어 내적기제로서의 성찰적 사고를 설명함과 동시에 실천수행이 개인적 수준과 조직사회적 수준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명시적이고 과업적인 특성과 함께 암묵적이고 맥락적인 특성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실천적 측면 그리고 사회복지 교육적 측면에서 사회복지사의 실천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 및 보수교육과정의 개선, 성찰적 사고 훈련을 위한 학습기회, 도구, 방법의 개발보급, 조직관리 전략을 제안하였다.

      • 재가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손창준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념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통한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있다.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자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장애가 낙인이 아닌 개인이 가진 특징으로 파악되어 인정하고 수용함으로써 장애인을 타인과 같은 평등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사회통합을 이루어내야 한다. 시설 지적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나 대부분의 재가 지적장애인들은 서비스 제공 및 이용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서비스 제공 및 이용을 하려면 본인 스스로의 자립적인 능력이 기반이 되어 참여할 수 있으므로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파악하여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재가 지적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자립생활 수준은 정신적 자립과 신체적 자립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주에 거주하는 재가 지적장애인 128명이며 설문에 응답하거나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적 자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독립변수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장애등급이 정신적 자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정신적 자립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 개인적 요인 순으로 정신적 자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지역사회환경의 접근이 용이할수록,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정신적 자립이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신체적 자립의 경우는 독립변수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연령대, 장애등급, 활동보조서비스이용이 신체적 자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재가 지적장애인일수록 신체적 자립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이 신체적 자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지역사회환경의 접근이 용이할수록, 대인 관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립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재가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영향요인을 통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은 첫째, 재가 지적장애인의 장애등급이 자립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모든 재가 지적장애인들에게 장애등급에 맞는 자립생활수준의 교육과정이 개별적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편성 조직되어야 한다. 둘째, 개인적 요인은 재가 지적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의 두 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즉, 재가 지적장애인의 관계형성이 개인적인 기능 역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자립생활로 인한 자기결정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상황이 주어질 수 있도록 타인을 공감하고 관계 형성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요인은 재가 지적장애인들의 자립생활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가 지적장애인은 지역사회환경에 의해서 정신적, 신체적 자립생활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환경의 접근성을 높이고, 자립생활프로그램 운영 시 지역사회환경을 반드시 포함하여 진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사회적응훈련에 필요한 전반적인 재정과 기술을 적극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 충청지역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김태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1.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practicum by examining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career development. On the concrete, I would like to notice the factors considered of affecting social work practicum such as students, supervision, institution, and college. I also would lik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development that explain career awareness and behavior differences of social welfare students. 2. Method of study The targets for this study were arbitrarily chosen from among social welfare students in third and four grade with practicum experience. Answers from 280 respondents were finally analyzed for the study an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PSS 12.0 Analysis. 3.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while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influence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and large,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upervision positive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 suggest that since measurements for supporting positiv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ere not enough, a minimum of systematic criteria on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Second, not only the support of supervisor and college, but also personal effort is important to obtain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ird, in order to improve specialty of supervisor, social work institution needs to offer appropriate education opportun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measurement of supervision have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Finally, systematic curriculum for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and it leads to positive career development.

      •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손신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2009년 한국의 여러 대학에 외국유학생 인구가 6만 명을 넘어섰다. 즉 한국의 외국유학생 인구가 2003년에 12,314명이었으나 5년 동안 유학생인구가 5배나 증가하였다. 국적을 보면 한국의 외국유학생의 대부분이 아시아에서 왔다. 한국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유학생이 44,746명 있고 70%를 차지했다. 중국인 유학생이 증가하는 요인은 중국에서의 요인과 한국에서의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국에서의 요인으로는 중국의 경제 성장과 중국의 미래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추진하는 중국의 개혁개발정책, 중국에 몰아친'한류'의 영향, 지리적 인접성 그리고 중국에서 한국어 능력이 취업에 유리한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에서의 요인으로는 한국 경제의 눈부신 성장과 더불어 세계화를 향한 정부의 끊임없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스트레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드러난 변인들 간의적·간접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증진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예측적 조사연구이다. 200명의 중국유학생에게 스트레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중국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각 가정환경, 생활환경, 거주특성, 학교현황 등에 대한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빈도 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중 개인적 요인으로는 아르바이트유무, 성별,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중국유학생들이 유학생활 중에 받는 스트레스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유학 전 유학생활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세부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통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유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 교육 등의 환경 제공을 통하여 편안하고 즐겁게 유학생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those who are studying at universities in Korea has been exceeded sixteen thousands in 2009.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has increased fivefold in the last 5 years: In 2003, the number has recorded 12,314. Most foreign students in Korea are from Asia. According to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the foreign student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44,746. It is 70% in the total of foreign students. The increase of the foreign students from China is caused by two primary factors. One is derived from China and other is from Korea. The factors in China: the economic growth in China, the reform of educational and development policy in China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future,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in China,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advantage to get a job with the ability to use Korean language. The factors in Korea: The distinguished Economic growth in Korea and the government of Korea's continual policy to make Korea globalization. This study purposes to turn out the data to get rid the foreign students from China of the stress and to promote the welfare for them by means of the inquiry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tress and the cause of it.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imative research for the welfare of Chinese foreign students. This research, above all, is based on the questions to 200 students from China about the stress. The answers offer the features of the demographic sociology on foreign students from china to illuminate their home background, life environment, residential characteristic and the condition of college. In addition, this research carries out a device for the improvement by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the analysis of the multi-answ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sonal causes influence to the stress the Chinese students receive such as getting employed or not, sex distinction and sense of self-respect. Meanwhile, the social cause influence to it such as social support. The result demands to investigate deeply into the stress that Chinese students have and to development the particular programs for the studying abroad. Moreover, the development and study on the devices is needed to get rid the foreign students of stress by offering the conditions such as counsel and education.

      •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인식과 권리옹호와의 관계

        김영남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 아동의 권리인식과 권리옹호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권리의 주체’로서의 아동이 권리를 어떻게 인식하고 권리인식이 아동권리옹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것이 아동변인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권리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학년 아동 197명과 6학년 아동 319명으로 총 514명이다. 조사도구는 권리인식척도, 권리옹호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 아동들의 아동권리인식 및 권리옹호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은 아동변인(성별, 성적, 경제상황, 아동권리 관심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 아동권리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들의 인식 평균이 높았다. 그리고, 학교성적별로 아동권리인식의 차이를 보였고, 경제상황에 따라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아동권리관심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아동의 권리에 대한 옹호는 아동변인(성별, 성적, 경제상황, 아동권리 관심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성적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아동권리 관심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권리인식과 권리옹호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권리인식과 권리옹호의 상관계수는 0.31(p<.05)으로 권리인식이 증가할수록 권리옹호가 증가하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권리인식과 자신의 권리옹호, 타인의 권리옹호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로 성별, 학년, 아동권리관심유무에 따라 권리옹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ights recognition and the rights protection of the elementary students. It's examined how children recognize the right as 'the subject of right' and how this right recognition affects the right advocacy of children. And its difference of children variables is analyzed. It seeks to find the direction of children right education. 514 students, in total, are search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97 in 5th grade and 319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cales of right recognition and advocacy are used as tools and the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zed, using SPSSWIN, by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for the relation of right recognition and advocacy of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 The right recognition of children has the different results in accordance with children variances; gender, with high average of right recognition in female students, academic record, economic reason, and the interest of children right make a difference in the right recognition of children. The right advocacy of children has the different results in accordance with some children variances; gender, academic record, and economic reason make a difference, but not the interest of children righ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children right recognition and advocacy represents the influence of children right recognition affects to the right advocacy and its result is static with 0.31 correlation coefficients. It means that the more right recognition increases, the more right advocacy increase. The correlation of one's and others' right recognition and advocacy also has the static result. In regression analysis of children right advocacy factors, it's found that, compared to gender and grade, only right recognition has an effect on right advocacy. And the result of children right recognition shows that gender, grade, and the interest of children right have an effect on right advo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