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수업환경이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규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 that class environments were part of the factors to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and on the recognition that there was an urgent need for interest in and research on class environment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lass environ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round lecturing activities. It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in elementary school around the history class of the sixth grade an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history classes in social studies according to each of those types. Among the sixth grade classes in 1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the investigator randomly picked 15 large-scale classes with 30 students or more and 10 small-scale classes with 20 students or less. Total 645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history class environments was CES by Jeong Moon-seong(1991) that's the Korean version of Moos' CES(Classroom Environment Scale). Then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history class environments, identify the determinant factors and types, and see if the students had different attitudes toward history class according to the types.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and the common factors that determined the types were innovation and involvement. There was a different in the determinant factors to decide the type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class size. While involvement, teacher support, innovation, and affiliation mad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large-scale classes, involvement, teacher control, task orientation, innovation, and teacher support did in the small-scale classes. Importance, interest and easiness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Their attitudes were analyzed in variance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and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and easiness. Thus it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interest and easiness in history classes of social studies were heightened when they took active part in the classes, were task oriented, the lectures were innovative, and the teachers provided great support and less control.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history class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class size in addition to history class environments. As a result, their importance, interest and easiness increased in history classes of social studies when the lectures were innovative, they took active part in the classes, the teachers showed great support, and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ward task orientation regardless of the class size. But in a small-scale class, importance was not much affected by the types of class environment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history class environments; first, the significance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lies in the fact that the types of class environments can make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history class good and bad. Thus the teachers should diversify their history classes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 and encourage creative thinking during class in order to promot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among the students. And secondly, the teachers turned out to be a crucial variable in determining history class environments, which means the starting point in improving history class environments should be creating conditions for the teachers to take into account class environments and providing them with all kinds of support for them to utilize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수업환경이라고 보는 이론에 근거하여 수업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절실하다고 보고 수업활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환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6학년 역사수업활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역사수업환경의 유형과 특징을 밝혀내고, 각 역사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라 사회과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12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30명 이상의 다인수 학급 15개 학급, 20명 이하의 소인수 학급 10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총 645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역사수업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Moos의 CES(Classroom Environment Scales)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정문성(1991)의 CES를 사용하였다.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역사수업환경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결정요인 및 유형의 특징들을 밝히며, 각 역사수업환경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역사수업환경이 세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수업환경유형을 결정짓는 공통적인 요인은 혁신과 참여성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학급규모에 따라 역사수업환경 유형을 결정짓는 요인에 차이가 나타났다. 다인수 학급의 경우에는 참여성, 교사의 지지, 혁신, 급우관계가 유의미한 변인이었는데 비하여 소인수 학급의 경우에는 참여성, 교사의 통제, 학업지향성, 혁신, 교사의 지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과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요인으로는 중요성, 흥미성, 용이성을 사용하였다. 군집분석에서 나타난 세 역사수업환경 유형에 따른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를 변량분석한 결과 흥미성과 용이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분석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며, 학업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수업이 시도되며, 교사의 지지가 높으면서도 교사의 통제가 낮은 역사수업환경이 사회과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용이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규모에 따른 역사수업환경과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혁신적인 수업이 시도되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며, 교사의 지지가 높고 학업지향성이 높은 수업환경이 학급규모와 상관없이 사회과 역사수업에 대한 중요성, 흥미성, 용이성을 더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인수 학급의 경우 중요성은 수업환경유형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역사수업환경의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수업환경이 중요한 것은 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라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가 좋아지기도 하지만 오히려 나빠지기도 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사회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려면 역사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하게 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격려하는 수업환경이 요구된다. 둘째, 역사수업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이 교사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환경을 고려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각종 지원에서부터 역사수업환경의 개선은 출발되어야 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다문화 감수성 교육 실행연구

        남희경 경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아들의 다문화 감수성 발달을 목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감수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안하려고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유아기의 다문화 감수성 교육의 필요성과 다문화 감수성 발달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하는 것의 의미를 밝히고 Bennett의 다문화 감수성 발달 이론(DMIS)을 유아의 발달에 적용하였다. K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6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유아들이 교실에서 수업하는 여러 가지 활동을 6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림책과 통합하여 유아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실천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관찰하고 해석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틈틈이 다문화 감수성 수업 일지에 기록해 놓았다. 교실 전체 유아의 반응을 살피면서 6명의 면담 참여자의 면담내용을 Bennett의 다문화 감수성 발달 단계로 분석, 다문화 전문가에게 지도안 및 수업내용의 피드백을 실시하여 개선점을 발견하고 반영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다문화 감수성 교육에 있어서 그림책을 활용한 것은 유아에게 큰 의미가 있다. 교과서가 없고 문해 발달의 차가 큰 유아기에는 그림책의 그림이 전체적인 이야기의 맥락을 쉽고 빠르게 파악하게 해 주어 유아 흥미나 발달에 자연스러운 매체이다. 또한 다양성, 정체성, 반 편견, 공동체 협력의 내용을 가지고 활동하였을 때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을 때 단독 그림책 읽기 보다 유아들의 다문화적 표현과 어휘가 더욱 정교화 되었다. 그림책을 활용한 활동은 구체적 조작과 실물자료를 활용할 때 유아들은 더욱 활발하게 상호작용하였다. 미술 활동을 통해 다문화에 접근이 쉽고 흥미롭게 다문화에 다가갈 수 있었다. 토의활동 및 협동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 활동, 수학 활동은 그림의 내용을 유추하고 타인의 사고방법을 익히고 문제 해결 방법을 익히는 과정을 길렀으며 이 과정을 통해 다문화 감수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유아 스스로 반성하는 과정도 눈에 보였다. 신체 활동은 신체나 감정을 조절하고 자기 비교를 더욱 증진 시켜 다문화 감수성 발달의 기초가 되는 사고나 태도 발달에 긍정적이었다. 셋째, Bennett의 다문화 감수성 발달 단계에 비추어 볼 때 유아기는 전반적으로 자문화 중심주의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령전기에 가까워질수록 유아들의 탈 자기 중심화와 그림책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로 주제에 따라 문화상대주의의 발달 수준으로 볼 수 있는 유아들도 있었다. 1차와 2차 면담을 비교해 볼 때 유아들은 같은 질문이라도 2차 때 다문화 감수성 발달 수준이 좀 더 문화상대주의에 가깝게 변화하였으며,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생각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을 제안한다. 다문화 감수성에 관련된 활동을 많이 한다고 할지라도 교사가 다문화적 감수성이 없을 때 단순히 활동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교육적인 의미가 있으려면 교사 또한 다문화 감수성이 무엇인지 알고 스스로 다문화 감수성을 높이려고 노력할 때 적극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를 위한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다문화 감수성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의 다문화 감수성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유아들에게 친숙한 그림책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게 놀이 활동과 접목시켜 유아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다문화 감수성을 키워야 할 것이다.

      • 다문화유치원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 연구 : 수도권 지역 다문화유치원을 중심으로

        이귀희 경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육부가 2015년에 발표한 ‘다문화가족 자녀지원 종합대책’ 중 한 부분으로 다문화가정 자녀 특히 미취학아동(만6세 이하)을 대상으로 성장주기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으로 영, 유아기의 언어발달 시기에 지체되지 않도록 언어 및 기초학습 지원 그리고 이중 언어 가족환경조성 사업 규모 확대 등을 통해 부모, 자녀간의 정서적 유대강화와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고자 시행하는 다문화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중 태도 부분과 효능감을 교사들의 배경 변인별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하여 측정하고 향후 다문화유치원에서 다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다문화교육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유치원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유치원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은 어떠한가? 먼저 연구와 관련 통계 자료 및 문헌 자료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본 후 다문화유치원과 관련 된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효능감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로 수도권지역 내 12곳의 다문화유치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중 일부 교사들과 심층면담을 통한 조사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유치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중 태도부분에서 교사들의 배경 변인들 중에 이중 언어 가능과 해외거주 경험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로서 다문화가정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보람을 느끼며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보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에서도 교사들의 배경 변인들 중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이중 언어 가능 그리고 해외거주 경험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어떠한 다문화적 학습 환경에서도 잘 가르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유치원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심층면담에서 교사들의 교사교육 및 연수와 다문화교육 교수 자료와 학습 사례의 지원 및 다문화교육 전문가 배치 등으로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문화 역량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내용으로는 교사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과 다문화적 인식 기르기, 다문화교육과 연계된 학습 환경에서 체험하기 그리고 다문화교육 교수 방법 및 학습 사례 등을 공유하기 등으로 응답하였다. 아직 우리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으로 ‘단일민족’과 ‘배달민족’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지 못한 교육과정이 남아있다는 것으로 응답한 교사들은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 그리고 정부와의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고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다문화교육 교수방법과 성공적인 학습 사례의 보급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다문화적 학습 환경에 따라 교사들이 다문화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인식 및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해 어떠한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인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우리의 다문화교육 초기 단계에서 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하나하나 인식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카자흐스탄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 -아스타나,알마티,크즐오르다를 중심으로-

        김미애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카자흐스탄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아스타나, 알마티, 크즐오르다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전공 김미애 이 연구의 목적은 카자흐스탄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 하여 중앙아시아의 중심인 카자흐스탄에서의 한국이미지를 제고하고 양국의 활발한 교류를 위한 탐색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카자흐스탄인의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는 어떠한가? 둘째, 카자흐스탄인의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은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 태도와 관계 깊은 배경 변인에 따라 한국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별 이미지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알마티, 크즐오르다 세 도시에서 무작위로 각 100명 씩, 5점 척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20을 이용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자흐스탄인의 한국에 대한 전반적 이미지는 인지평균 3.73, 호감평균 4.08로 비교적 한국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매우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별로 보면, 한국에 대한 인지도는 여자(3.88)가 남자(3.40)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지역별로는 알마티(4.34)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크즐오르다(3.82), 아스타나(3.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족별로는 고려인(4.24)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카작인(3.79), 러시아인(3.16)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호감측면에서는 전체 평균은 4.4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카자흐스탄인은 한국의 정치, 문화, 경제에 대한 인식이 각각 4.80, 4.56, 4.46의 순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사회에 대한 인식도 3.97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후속되어야할 연구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급증하는 카자흐스탄과의 교류에 비해 양국의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활발한 교류가 긍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관련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크즐오르다, 알마티, 아스타나 세 대도시 시민으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조사연구의 결과가 주는 의미 또한 제한적이다. 보다 대규모의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과 호감도가 높은 만큼 그 이유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수행되어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가에 대한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카자흐스탄은 다민족국가로서 130여 소수민족이 어울려 살고 있다. 이러한 다민족국가 시민들의 다른 국가에 대한 이미지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향후 다른 국가들의 한국 이미지 조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대상 국가의 다문화측면에서의 특성이 주는 의미를 분석할 필요도 있다.

      • 고둥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조사연구

        신희경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조사 연구 다문화교육 전공 신 희경 오늘날 우리사회가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다문화 가정의 학생 수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서 청소년들에게 다문화 사회를 지혜롭고 조화롭게 살아내는 능력이 매우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고등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 정도를 측정하고 다문화 경험과 개인적 배경요인이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 시키는데 얼마나 영향력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도구는 여성가족부(2012)에서 개발한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를 사용하였고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 지수 산출법을 활용하여 100점 만점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지역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 평균은 66.88로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 지수 60.12에 비해 6.76 높은 것으로 다문화에 대한 저항이 줄었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 수용성의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세 차원 중 관계성이 가장 높고 보편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으로는 상호교류 행동의지가 높은 반면 이중평가가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는데 주목할 만 한 점은 이중평가와 더불어 세계시민 행동의지도 평균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인다는 점이다. 세계적인 항구도시 인천에서 세계시민의식이 결여되고 체류 외국인에게 이중평가 등의 잣대로 여전히 다양한 민족, 종교, 문화 등을 받아들이는 데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한다면 이들이 어른이 되어 심화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데 여러 가지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개인적 배경요인의 수용성지수 중 주목할 만 한 점은 종교와 수용성간의 관계에서 종교가 없는 학생이 수용성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고, 종교를 가진 학생 중에서는 불교, 무교, 개신교 순으로 수용성 지수가 높았으며 특히 다양성 차원의 하위요인 중 고정관념 및 차별에 대한 부분이 종교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다문화 경험의 수용성지수는 다문화 교육시간과 다문화 수업경험, 다문화 활동경험, 대중매체 접촉경험, 해외 체류경험이 많을수록 수용성 지수가 향상되었지만 고등학생들의 다문화 활동경험이 전혀 없는 학생이 절반 이상이었고 해외 체류경험도 전혀 없는 학생이 39.70%로 학생들의 다문화 활동이 매우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간의 회귀분석에서는 선생님들과 함께 하는 다문화 수업경험이 가장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교과 과정 속에서 고등학생들의 지성과 감성을 자극하는 역동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야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등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켜 다문화사회에 적응력을 높이려면 학생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교사 집단의 다문화 수용성을 연구하여 교사들의 영향력이 학생들에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교사 집단을 위한 심도 있는 다문화 교육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문화 경험을 제공하려면 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는 기초자료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다문화 수용성 지수,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다문화 경험.

      •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이바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지도 읽기, 자료 검색하기, 집단 토의에 참여하기 등은 사회과의 중요한 기능들 중 하나이다. 이러한 기능들이 길러지지 않고서 학생들은 사회과 수업에서 사회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도, 합리적 의사결정이나 문제해결을 할 수도 없다. 사회과교육의 세 가지 영역에서 지식과 가치·태도는 기능이라는 방법을 통해 달성할 수 있으며 기능은 지식의 ‘이해’와 ‘적용’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도구이다. 급변하는 미래에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역량’인데 기능이 지식의 습득과 활용과정이라면 역량은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모두 포괄한 개념이다. 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 중의 하나가 기능인데, 그동안 기능은 지식과 가치·태도에 비해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했고, 국가 교육과정에서도 선언적, 포괄적 수준으로 다루는 데 그쳐왔다. 기능이 각 교과의 지식과 가치·태도 수준의 체계화가 되어야 이들을 유기적으로 종합하여 최근의 추세인 역량 중심 교육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사회과 기능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과 기능 체계화를 위해 먼저 사회과 기능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다. 사회과에서 기능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효과적이고 능숙하게 활용·재구성·창조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사회과 기능의 특성은 체계적인 교육과 연습을 통해 능숙하게 발현되며, 수행이 가능한 과정적 지식으로 계열화가 가능하며, 활동의 결과로써 학습 후에 ‘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화되고 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기능의 개념, 특성을 바탕으로 기능의 세부 영역을 선정하고 각 기능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과교육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관점과 기능 분류를 검토하였다. 또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나라들이 교육과정에서 기능 세부 영역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회과의 기능들을 분석하여 기능을 정보 획득 관련 영역, 정보 분석과 처리 관련 영역, 의사소통과 집단 활동 관련 영역, 문제해결을 위한 의사결정 관련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기능 체계화라는 것은 기능의 세부 영역들을 일정한 원리에 따라 범위와 수준을 조직한 것이기 때문에 ‘기능 체계화 원리’를 탐색하였다. 국내외 학자들의 기능 교수·학습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무엇’과 관련된 세부 영역 선정 원리를 사회과 학습 목표(문제해결) 달성의 기반이 되며 수준에 따라 계열화할 수 있고, 교육을 통해 결과로써 기대할 수 있는 것, 사회과 하위 학문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어떻게’와 관련된 계열화 원리를 기능이 수행되는 범위 측면에서는 환경확대(가족-이웃-공동체-지역사회-국가-세계)와 학습자 발달 수준이 고려된 사회과 내용 체계와의 정합성으로, 수준 측면에서는 기능 습득 단계(명시적 이행-결합적 수행-적극적 실행: 활용·재구성·창조·평가)와 기능 하위요소 제시순서(수동-능동, 단순-다양, 명시-내재)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능 세부요소를 계열화 원리에 따라 체계화하였다. 기능은 절차적인 성격이 있어 단계별로 제시될 때 효과적으로 습득될 수 있다. 기능 체계화 원리를 바탕으로, 기능의 세부 영역과 요소들을 범위와 수준에 따라 계열화하여 구성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설정한 세부 영역별 계열화는 사회과 학문 영역별 전문가와 사회과 연구 관련 경험이 있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보 획득’, ‘정보 분석과 활용’, ‘상호 작용’, ‘사회 참여’로 기능의 세부 영역을 설정하였으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질문하기, 수집하기, 분석하기, 발표하기, 집단 활동하기, 의사 결정하기로 세부 영역을 재설정하고 범위, 수준, 세부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다만 델파이 기법은 다수의 의견을 종합하였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최상의 것은 아니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사 대상을 사회과교육 관련 전문가와 사회과교육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현장 교사들로 선정했다 하더라도 표본 선정과 범위에 있어 공정성을 절대적으로 확신할 수 없다. 또한 연구자가 제안한 사회과 기능 체계가 단계별로 어떤 연령대 학생에게 적절한지 적합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따라서 연구자가 제안한 사회과 기능 체계는 후속연구를 통해 계속 수정·보완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과 기능의 정의와 특성, 사회과 기능 하위 영역을 범위와 수준에 따라 계열화한 체계(안)는 향후 교육과정 체계,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서 ‘기능’에 대한 구체화의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사회과 기능 교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회과 역량 발현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발달 경험 연구

        박서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어떤 경험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그 요인은 무엇인지를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 본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중도입국청소년들의 대안학교인 ‘누리학교’의 학생 중 이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기초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설정 후 질적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통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기에 누구와 함께 지냈는지가 중요한 요인이며, 둘째 가정, 학교생활 그리고 진로수업 경험이 중요 요인이며, 셋째 비자문제 등 불안정한 여건들이 영향을 많이 미치며, 넷째 자신의 꿈의 실현보다는 주어진 현실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다섯째 부모의 진로관여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불안정한 삶의 조건들이 안정화될 수 있는 환경이나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은 연령상 진로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으므로 제도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진로교육에 인적, 물적 투자가 필요하다. 셋째 불안한 상황에서 가장 의존할 수 있는 것이 가정인 만큼 부모에 대한 자녀의 진로교육도 다문화교육에서 그 비중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 사회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목표나무(Target Tree)를 중심으로

        엄주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교육의 추세는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체험을 통해 실천적 지식으로 내면화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정부차원의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학교 교육에서 체험을 강조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편제의 주된 특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을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통합하여 학생의 체험 활동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사회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을 쉽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프로젝트 수업에 유용한 TOCFE의 ‘목표나무’ 도구를 적용하여 유의미한 사회과 체험 활동의 대안을 제공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프로그램은 4학년 1학기 사회과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 단원을 분석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활동 중 행사활동과 연계하여 적용하였다. 묘목심기, 묘목가꾸기, 나무살펴보기, 열매확인하기 단계로 나누어 모두 12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 중 자율활동의 교수․학습 방법을 따른 과정이다. 1차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확인된 목표 설정에 대한 문제, 프로그램 실행 단계에서 목표의 중요성이 드러나지 않은 문제, 계획서 작성의 어려움, 수업시간 부족 등을 보완하여 2차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2차 프로그램을 적용한 4학년 2학기 사회과 ‘여러 지역의 생활’ 단원은 지리 교육 영역과 일반 사회 영역을 통합한 단원이다. 프로그램 적용을 위하여 단원을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활동 중 행사활동과 미술 교과와 연계하여 12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목표 설정을 강조한 목표나무 방법을 활용하여 씨앗심기, 물주기, 열매맺기, 열매 맛보기, 씨앗 만들기의 5단계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기본 수업시간을 50분으로 계획하여 학생이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을 질적으로 늘렸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려는 촉진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과 방법을 학생이 계획하여 수업 목표의 내용과 방법이 조화로운 일치를 이루었다. 또한 목표나무의 각 단계를 계획하고 실행하면서 문제해결 능력, 긍정적 사고 능력, 배려하는 사고 능력, 반성 능력과 메타인지 능력이 신장되었다. 수업의 목표 수립, 계획 수립, 실행 과정에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의미 생성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졌고 그만큼 학습에 몰두하는 시간의 비율이 높아졌다.

      •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수강생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최현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법무부에서는 2009년부터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정책의 하나로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시행하고 있다.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은 이민자가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적응하고 자립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소양을 익혀서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모든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 및 한국사회 이해 교육을 지원한다. 과정 이수 혜택으로는 이민자의 국적 및 영주권 취득, 비자변경 등 체류자격 변경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참여자의 수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의 정책적 시행이 현장의 실정과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체류 외국인 수요자들의 다양성과 목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일정 부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3, 4, 5단계 대상자를 면접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해서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의 경험을 통한 참여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상황적 구조적 진술 단계에서는 개인의 개별성을, 일반적 구조적 진술 단계에서는 개개인이 체험한 현상의 공통적 특성, 의미, 관계 등을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지인들의 한국행 경험을 통해서 또는 새로운 가족 구성원과의 결합을 위해서 낯선 타국으로 기대를 가지고 온다. 하지만 입국 초기 언어소통과 한국문화 차이로 고립감을 겪을 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져 지내는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과 걱정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이유로 참여자들은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둘째,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많은 어려움과 난관에 부딪힌다. 그것은 정착 초기 사회통합프로그램 홍보 부재와 프로그램 신청 그리고 학습의 난관으로 파악됐으며,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는 이방인이 아닌 구성원으로 가는 어렵고 험난한 여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로 지치고 힘든 반면에 많은 이수 혜택을 통해서 몰랐던 세상을 만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편안하고 안정된 삶을 보장받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대인관계가 변화되었다. 또 한국 사회에서 자립이 가능하고, 자아 인식의 변화를 통해서 새로운 나로 거듭날 수 있어서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넷째, 수업 교재와 수업 운영 그리고 사회통합프로그램 연계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제안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참여자들의 입장에서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아울러 본 연구 과정에서 제기된 참여자들의 경험과 제안이 향후 정책적 측면에서도 검토 및 적용을 통하여 실효성있는 프로그램으로 추진되길 바란다. Ministry of Justice has been running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as one of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immigrant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of Ministry of Justice is a program that helps immigrants to lead stable life by acquiring basic qualities to adjust and become independent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This program supports education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for all immigrants. Program completion benefit is an incentive for changing stay qualification such as obtaining nationality, permanent residency.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gradually increasing. Despite of this increase of participants, policy of programs cannot reflect the actual state and requirement of field. And it partially reveals its limit as to fail to consider diversity and purpose of demand of immigrants. On a basis of awareness of problem, this study chose subjects who could communicate in Korean and were under third, fourth and fifth stages. Through semi-structured depth interview, this study intended to figure out how their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In addition,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were identified and the way to improv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tial of joining program through participant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experiences. Based on participants’ personal experiences, each participant’s individuality was described in situational structural statements stage and common characteristic, meaning and relation that each subject experienced in program were stated in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stage. Based on this, this study could dra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articipants of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came to an unfamiliar country with an expectation through near people’s experience in Korea or an anticipation for gathering with their family. But initially they experience not only isolation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 but also suffer from longing and concern for family living far apart. For this reason, participants get to jo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Second, participants face with lots of difficulties and obstacles when participating program, which are lack of promotion for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registering program and learning process. So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participation turned out to be a tough process to become a member of society, not a foreigner. Third, while participants were tired and strenuous due to program, they came to experience a new world they had never known before through a number of program completion benefit. Participants were ensured comfort and stable life and made some change in relationship via smooth communication. Also, they showed satisfaction from joining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because they could rely on themselves and be born as a new person through change in self-awareness. Fourth, necessity of connection between textbook, course management and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appeared as a suggestion for program management. This study has a distinction with existing prior studies in terms of investigating empirically from participant’s perspective. Additionally, it would be hoped that experience and suggestion posed by participants in a course of study are going to be considered in respect of policy afterward through examination and apply and ultimately be promoted as effectiv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