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정체성 표현

        김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oday's society, fashion is a major medium of expressing individuality and identity, and discussions about fashion and gender have been made steadily. The meaning of gender is expanding and it has become important to improve gender equality, and to break down the gender dichotomy in modern society. This social trend has also emerged in the fashion field, leading to the emergence of the genderless trend. Various gender and gender expression through fashion are drawing attention.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on gender has affected the visibility of the existence of gender minorities who are distinct from mainstream heterosexual norms. Relevant discourses of gender minorities began in Korea since the 1990s, and today it has been developing more radical than ever. Also the gender minority's presence in culture and media areas as well as political issues is becoming more visible. Therefore, in this study, we wanted to pay attention to how the gender minorities in Korea express their identity through the clothes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gender. In the view that socialized dress codes and gender minority cultural norms may have implicit influence in expressing fashion styles in everyday situations, the ministry decided to identify the aspects of the regulations that affect the use of the clothes, draw specific meanings, and clarify the specificities of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f Korea.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looked at changes in discourse related to the gender identity since the 1970s, and also reviewed historically the gendered norms in clothing area as well as its cultural clothing norms shown in history of gender minorities. From the view of post-constructionist, the meaning of gender appears to be an act of obtaining meaning from a sociocultural context. Thus, by approaching the wearer's clothes as a means of performing the gender, the wearer's clothing can be effectively understoo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are as follows: Attitudes to the gendered dress norms in everyday style were divided into compliance, individuality and compromise, non-compliance and deviation. Within this set of processes the gender minority was found to have different fashion styles depending on their attitude to the norm, and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gay, lesbian, bisexual group and the non-binary transgender group that rejected the prescribed sex. Gay, lesbian, and bisexual group generally conform to the gendered dress norms and use them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taste and positive body image. Some participants were using fashion to be seen as a neutral gender image, taking a resisting attitude to the norm, which was intended to free themselves from a gender image that was neither biased toward men nor women. A participant, who switched one’s attitude between compromising and non-adaptive to the norm, was using clothes in a way that mimics the conventionally formed genders, which wa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norms. Gay and lesbian people formed their own communities and there are rules related to dress that form within the community. In the gay community, norms exist for prescriptive body language and for the body type, and in the lesbian community implicitly prescriptive external expression implies the identity of the butch and the femme. Non-binary transgender, on the other hand, is influenced by the gendered dress norms much more than another group. This group put an effort to expressing their gender through clothes and experiences confusion when the fashion style does not acquire the norm or the intended meaning by social eyes. They do not form a single community, and even within the community, rules related to doubles are absent, attitudes of respect for diversity take precedence, and use accessories to express and communicate their identity. In other words, in the everyday situation of the sex minority, clothing is influenced by both social and cultural norms. The meaning of one’s cloth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norms, and the gender minority performs the accepted or challenging to norms. Based on social trends related to diversification of gender category and formation of an independent culture, gender minorities experiencing the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dress norms which is reformed continuously. Through this process, the norm goes through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and the clothes serve as a medium of expressing oneself and a gender in society and cultur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research has an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has expanded the potential of fashion to express sexuality and gender, in consideration of fashion styles in a variety of Korean gender minority groups. It can also be provided as a basis for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that can express a wider variety of sexuality by approaching the concerns experienced when using clothes in daily life.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reveal the detailed features between genders. There is also a limit to the fact that participants have not been able to recruit a wide range of participants by exposing and participating in their identity, and not including many participants in the 'closet'. As a follow-up study, we hope that the study of each more detailed group will be carried out. 현대 사회에서 패션은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주요한 수단이며, 복식을 통해 표현되는 젠더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과거 남성성과 여성성을 의미하던 젠더의 의미는 확장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양성의 평등과 젠더 이분법적 관념을 해체하는 것은 중요해졌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은 패션 분야에서도 나타나 젠더리스 트렌드의 부상으로 이어졌으며 패션을 통한 다양한 젠더 및 젠더리스 표현은 주목받고 있다. 젠더와 관련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는 것은 주류 이성애 규범과 구별된 젠더정체성을 가지는 성소수자 존재의 가시화에 영향을 끼쳤다. 국내에서 1990년대 이후 성소수자 담론이 본격화된 이래 2018년 현재 성소수자 담론은 어느 때보다도 급진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정치적 이슈 뿐 아니라 문화와 컨텐츠 영역에서 성소수자의 존재가 가시화되고 관련된 담론이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젠더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복식이 역할함에 따라 한국의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복식을 통해 어떻게 젠더정체성을 표현하는지 주목하고자 하였다. 일상적 상황 속에서 패션스타일을 표현하는 데 있어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젠더화된 복식의 규범과 성소수자 문화 내적인 규범이 암묵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성소수자가 복식을 활용 하는 데에 영향을 끼치는 규범이 작용하는 양상을 확인하며 이에 내재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한국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따른 특수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1970년대 이후의 젠더정체성과 관련한 담론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복식과 관련한 규범과 성소수자와 관련한 복식 문화를 사적으로 고찰하였다. 후기구조주의적 시각에서 가변적이고 권력의 효과로 나타나는 젠더는 고정된 본질이 없이 사회문화적 맥락으로부터 의미를 획득하는 행위로 파악된다. 따라서 젠더 표현의 수단으로 기능하는 복식을 착용자의 복식 행위 수행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성소수자의 복식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증적 고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소수자의 복식 활용 방식에 있어서 젠더화된 복식 규범에 대한 태도는 순응, 개성과 타협, 비순응, 이탈로 구분되었다. 이 일련의 과정 안에서 성소수자는 규범에 대한 태도에 따라 패션스타일은 달리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자신의 지정 성별을 수용하는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집단과 지정 성별에 대해 거부하는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 집단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은 대개 젠더화된 복식 규범에 순응하며, 자신의 개성과 취향, 긍정적인 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복식을 활용한다. 일부 참여자들은 규범에 비순응적 태도를 취하며 중립적인 젠더 이미지로 보여지도록 패션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남성이나 여성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은 젠더 표현을 위한 것이거나 고착화된 성 이미지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상황에 따라 개성과 타협하거나 규범에 비순응적 태도를 취했던 한 연구참여자는 관습적으로 형성된 젠더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복식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규범으로부터 인식가능성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되었다. 게이와 레즈비언은 독자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커뮤니티 내에서 형성되는 복식과 관련한 규범이 존재한다. 게이 커뮤니티에서는 문화 내에서 규범화된 신체 표현과 신체형에 알맞은 복식에 대한 규범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레즈비언 커뮤니티에서는 암묵적으로 규범화된 외적 표현을 통해 부치와 팸으로서의 정체성을 암시한다. 반면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는 자신의 젠더를 복식으로 표현할 때 젠더화된 복식 규범의 영향을 더 크게 받으며 패션스타일이 사회적 시선에 의해 규범에 부적절하거나 의도된 의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 혼란을 경험한다. 이들은 단일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지 않으며, 커뮤니티 내에서도 복식과 관련한 규범은 부재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가 우선되며,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상징하는 악세서리 등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암시적으로 드러내고 소통한다. 즉 성소수자의 일상적 상황에서 복식은 사회적으로 형성된 규범과 문화 내적으로 형성된 규범 모두로부터 영향받는다. 복식의 의미는 규범의 변동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성소수자는 사회적 흐름을 바탕으로 성소수자 범주의 다양화, 독립된 문화 형성, 규범에 대한 태도 변화 등을 경험함으로 규범에 의해 용인되거나 도전적인 복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규범은 끊임없이 재의미화의 과정을 거치며 복식은 사회와 문화 안에서 자아와 젠더의 표현, 상호작용과 관계 형성을 위한 수단으로 역할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다양한 범주의 한국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일상적 상황에서 패션스타일 활용방식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패션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성소수자가 일상 생활에서 복식을 활용할 때에 경험하는 고민에 접근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제품의 기획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성소수자의 집단 간, 세대 간에 보여지는 세분화된 특징을 밝히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또한 참여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참여함으로, ‘벽장’에 속한 참여자를 다수 포함하지 못함으로 폭넓은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지 못했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 연구로서 보다 세분화된 각 집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식물의 잎 표면에 남겨진 잠재지문의 현출

        김규연 순천향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범죄는 장소의 구분 없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우리의 일상 생활 공간 역시 때에 따라 범죄 현장이 되기도 한다. 그에 따라 예상치 못한 일상 생활용품에 범죄의 증거가 남겨 지기도 하는데 특히 범죄현장에 흔히 존재하는 식물에 범죄의 증거가 남아있으리라 생각하기는 어렵다. 다양한 표면에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식물의 잎에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잎 표면에 유류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도고무나무와 스파티필럼의 잎 앞면과 뒷면에 땀, 기름, 혈액을 묻힌 지문을 유류하였다. 땀을 묻혀 유류한 지문은 1,8-diazafluoren-9-one(DFO)을 사용하여 현출하였고, 기름을 묻혀 유류한 지문은 dazzle orange 분말로 현출하였으며 혈흔을 묻혀 유류한 지문은 amido black을 사용하여 증강하였다. 또한 세 가지 유형의 지문은 cyanoacrylate fuming(CA 훈증) 후 basic yellow 40(BY 40)으로 염색하는 방법으로 현출하였다. 지문은 depletion series로 유류하였고, 1, 24, 48, 120시간동안 aging하여 지문의 현출에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지문을 유류한 잎의 종류는 지문을 현출한 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땀을 묻혀 유류한 지문은 1,8-diazafluoren-9-one을 사용하였을 때와 cyanoacrylate fuming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모두 지문이 현출되지 않았고, 혈액을 묻혀 유류한 지문은 amido black을 사용하였을 때와 cyanoacrylate fuming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모두 지문이 잘 증강되었다. Dazzle orange 분말로 현출한 지문은 잎의 앞면의 경우 aging 기간이 길수록 융선이 잘 구분되지 않았으나, 잎의 뒷면에서는 aging 기간에 상관없이 지문이 잘 현출되었다. Cyanoacrylate fuming 후에 basic yellow 40으로 염색한, 기름을 묻혀 유류한 지문은 aging 기간이 길어질수록 잘 현출되지 않았다. Crime could occur anywhere, so sometimes everyday living space where we live could become a crime scene. Accordingly, daily supplies can be evidence sometimes, however it is hard to think that there is evidence from plant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f enhancement of latent fingerprints on various surfaces, research of enhancement of fingerprints on the surface of plant leaves has been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latent and blood fingerprints on the leaf surface were enhanced from two kinds of leaf surfaces. Sweat-stained, oil-stained, or blood-stained fingerprints were deposi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 of leaves of Indian rubber trees and peace lilies. Sweat-stained fingerprints were developed with 1,8-diazafluoren-9-one, oil-stained fingerprints were developed with dazzle orange powder, and blood-stained fingerprints were enhanced with amido black. Also, each type of fingerprint was dyed with basic yellow 40 after subjected to cyanoacrylate fuming. The depletion series was used and prints were subject to aging for periods of 1, 24, 48, 120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of leaves had little effect on the results. For the experiment with sweat-stained fingerprints, prints were not developed. On the other hand, blood-stained fingerprints were visualized well. For the fingerprints on the upper side of leaves, developed with dazzle orange powder, the longer the aging period, the better the ridge details were not distinguished. But, on the lower side of leaves, fingerprints were developed well regardless of aging. For the oil stained-fingerprints developed with cyanoacrylate fuming and dyed with basic yellow 40, the shorter the aging period, the better enhancement of fingerprints were.

      • The effect of solar zenith angle on satellite cloud retrievals using O2-O2 absorption band

        김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remote sensing by satellites attempts to monitor global air quality. Cloud information is crucial at this time because cloud parameters lead to an impact on the trace gas concentration calculation. Cloud properties in UV/Visible wavelength are derived through the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DOAS) using the O2-O2 absorption band centered at 477 nm. However, as remote sensing adopts the geostationary satellites, uncertainty about the change in solar zenith angle (SZA) is concerned. Although the accuracy of satellite retrievals decreases with increasing SZA, causes or quantitative deviation results for inaccuracies in cloud retrievals are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quantified the inaccuracy of cloud retrievals for SZA and analyzed the reason. We performed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simulation by changing the SZA. As a result, the cloud retrievals exponentially decrease with SZA increase. The deviation of effective cloud fraction (ECF) and cloud centroid pressure (CCP) show the maximized value as 0.06 (28%) and –90 hPa (–13%) at SZA = 80˚, respectively. Also, the deviation in DOAS retrievals shows a notable error for the higher ECF or the larger CCP. The reason why the DOAS outputs show the deviation for SZA is that the reflectance for observed radiation required for DOAS calculation decreases as SZA increases. Therefore, we divided the factor for reducing the reflectance into out-of-cloud O2-O2 absorption and in-cloud absorption. Consequently, the in-cloud absorption effect at 477 nm is considerable for higher ECF and larger CCP at high SZA. Also, O2-O2 absorption reduces the reflectance. We expect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environmental satellite cloud retrievals and overall reliability of air quality monitoring in the day-to-night transition area when minimizing these absorption effects. 최근 정지궤도 위성을 통해 대기질을 감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지궤도위성은 시간별, 위도별로 다양한 태양 천정각을 가지고 있는데 태양천정각이 큰 지역에서 산출물의 정확도가 낮아진다는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량적인 값이나 원인 분석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태양천정각이 큰 지역에서 구름산출물의 정확도 감소를 정량화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였다. 자외/가시광영역에서 구름을 산출하기 위해 O2-O2 흡수량을 측정하는 차등흡수분광법(DOAS)을 활용한다. 태양천정각이 증가할 때, DOAS에 필요한 단위 화소의 반사도가 감소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원인 분석을 위해 대기 중 O2-O2 흡수와 in-cloud 흡수를 나누었다. 연구결과, 태양천정각이 클 때 유효운량이 적고 하층구름일수록 구름산출물의 정확도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DOAS 산출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일정한 조건에서 태양천정각에 따른 연속반사도의 증가는 유효운량의 과대모의를 가져오고, 경사컬럼농도의 양의 편차 증가는 구름중심기압을 상층으로 모의하였다. 반사도가 태양천정각에 따라 감소하는 원인은 주로 in-cloud 흡수에서 나타나지만 O2-O2 의 흡수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태양천정각이 큰 지역에서 구름산출물의 부정확함은 광경로 상에서 두 흡수효과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두 흡수효과를 DOAS 방법에서 최소화한다면 전반적인 대기질 감시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과 교육방향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규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인터랙티브 아트를 정의하고 그 특성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방향을 제안한 연구이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감상자가 작품을 조작하고 재구성하는 물리적인 개입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만드는 예술 형태로, 기존의 일방향적 관계에서 벗어나 작품과 감상자 사이에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쌍방향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예술이다. 따라서 디지털 아트 영역에 한정된 좁은 의미의 인터랙티브 아트가 아닌, 비테크놀로지 예술까지 포괄하여 정의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작품의 내용적 측면에서 ‘개방성’과 ‘유희성’, 형식적 측면에서 ‘신체성’과 ‘융합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교사가 수업을 구성할 때 작품 및 활동 선정의 기준이 되며, 각각의 특성은 고유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개방성은 열린 형태의 작가와 감상자의 관계를 바탕으로, 비결정형의 상태로 작품이 제시되며 감상자가 의미구성의 주체가 되는 특성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작가가 되어 상호작용적 작품 창작의 초보적 형태를 경험하며 예술의 범위와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둘째, 유희성은 조작과 몰입을 통한 즐거움을 제공하는 특성이다. 학생들은 작품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조작하거나 몰입하는 과정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며 이는 적극적인 미술향수자로서 생활 속에서 미술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셋째, 신체성은 오감을 이용해 작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특성이다. 학생들은 시각, 촉각, 청각, 미각과 후각의 오감은 물론이고 개인적, 사회적 행위의 신체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감각의 회복은 물론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감각의 확장과 발달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융합성은 예술 내부적으로 장르의 융합을, 예술 외부적으로는 다른 학문 영역과의 융합을 이루는 특성이다. 학생들은 융합적 사고를 통해 접근해야 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체험하며 창의와 인성, 지성과 감성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고, 이는 통섭적 인재교육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은 교사가 수업을 구성하는데 작품 선정 및 활동 조직의 기준이 될 수 있고, 교육적 의의는 단위 수업 목표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초등학교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미술과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서 적용 근거와 가능성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체험/표현/감상영역에서 지도 방안을 제안했다. 인터랙티브 아트를 처음 접하며 발달 단계상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3-4학년은 직관적이고 직접적인 특성을 갖는 유희성과 신체성의 특성 중심으로,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고 다른 교과와의 초보적인 응용을 시도할 수 있는 5-6학년은 개방성과 융합성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희성과 신체성을 반영하는 단계적 구성을 했다. 또한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한’ 수업은 주로 3-4학년을 대상으로했고, 자료로서 작품을 이용하는 수준으로 접근했다. 인터랙티브 아트에 ‘관한’ 수업은 인터랙티브 아트 자체를 가르치는 것으로, 5-6학년을 대상으로 개방성, 유희성, 신체성, 융합성의 특성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다른 예술 형태나 장르와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특성 및 교육적 의의를 가지며 교육과정에서도 그 적용의 근거를 찾을 수 있지만,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부족과 교육과정의 보수성, 환경적 제약 등을 이유로 현재 교육 내용에서 소외되고 있다. 그러나 바로 지금 나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는 생활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향수자를 기르는 과정이며, 앞으로 다가올 융합적이고 소통적인 미래사회를 미술 교육적 견지에서 대비하는 일이 될 것이다.

      •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수업환경이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규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 that class environments were part of the factors to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and on the recognition that there was an urgent need for interest in and research on class environment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lass environ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round lecturing activities. It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in elementary school around the history class of the sixth grade an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history classes in social studies according to each of those types. Among the sixth grade classes in 1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the investigator randomly picked 15 large-scale classes with 30 students or more and 10 small-scale classes with 20 students or less. Total 645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history class environments was CES by Jeong Moon-seong(1991) that's the Korean version of Moos' CES(Classroom Environment Scale). Then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history class environments, identify the determinant factors and types, and see if the students had different attitudes toward history class according to the types.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and the common factors that determined the types were innovation and involvement. There was a different in the determinant factors to decide the type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class size. While involvement, teacher support, innovation, and affiliation mad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large-scale classes, involvement, teacher control, task orientation, innovation, and teacher support did in the small-scale classes. Importance, interest and easiness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 studies. Their attitudes were analyzed in variance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and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and easiness. Thus it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interest and easiness in history classes of social studies were heightened when they took active part in the classes, were task oriented, the lectures were innovative, and the teachers provided great support and less control.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history class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class size in addition to history class environments. As a result, their importance, interest and easiness increased in history classes of social studies when the lectures were innovative, they took active part in the classes, the teachers showed great support, and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ward task orientation regardless of the class size. But in a small-scale class, importance was not much affected by the types of class environment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history class environments; first, the significance of history class environments lies in the fact that the types of class environments can make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history class good and bad. Thus the teachers should diversify their history classes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 and encourage creative thinking during class in order to promot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among the students. And secondly, the teachers turned out to be a crucial variable in determining history class environments, which means the starting point in improving history class environments should be creating conditions for the teachers to take into account class environments and providing them with all kinds of support for them to utilize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수업환경이라고 보는 이론에 근거하여 수업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절실하다고 보고 수업활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환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6학년 역사수업활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역사수업환경의 유형과 특징을 밝혀내고, 각 역사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라 사회과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12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30명 이상의 다인수 학급 15개 학급, 20명 이하의 소인수 학급 10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총 645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역사수업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Moos의 CES(Classroom Environment Scales)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정문성(1991)의 CES를 사용하였다.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역사수업환경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결정요인 및 유형의 특징들을 밝히며, 각 역사수업환경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역사수업환경이 세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수업환경유형을 결정짓는 공통적인 요인은 혁신과 참여성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학급규모에 따라 역사수업환경 유형을 결정짓는 요인에 차이가 나타났다. 다인수 학급의 경우에는 참여성, 교사의 지지, 혁신, 급우관계가 유의미한 변인이었는데 비하여 소인수 학급의 경우에는 참여성, 교사의 통제, 학업지향성, 혁신, 교사의 지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과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요인으로는 중요성, 흥미성, 용이성을 사용하였다. 군집분석에서 나타난 세 역사수업환경 유형에 따른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를 변량분석한 결과 흥미성과 용이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분석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며, 학업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수업이 시도되며, 교사의 지지가 높으면서도 교사의 통제가 낮은 역사수업환경이 사회과 역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용이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규모에 따른 역사수업환경과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혁신적인 수업이 시도되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며, 교사의 지지가 높고 학업지향성이 높은 수업환경이 학급규모와 상관없이 사회과 역사수업에 대한 중요성, 흥미성, 용이성을 더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인수 학급의 경우 중요성은 수업환경유형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역사수업환경의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수업환경이 중요한 것은 수업환경의 유형에 따라 역사수업에 대한 태도가 좋아지기도 하지만 오히려 나빠지기도 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사회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려면 역사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하게 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격려하는 수업환경이 요구된다. 둘째, 역사수업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이 교사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환경을 고려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각종 지원에서부터 역사수업환경의 개선은 출발되어야 한다.

      • 낙서화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김규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the thoughts and claims among students through graffiti art class that expresses and realizes students' ideas freely. The art class using the visual communication features of graffiti art commences from the premise that art curriculum pursues not the enhancement of knowledge, but sharing thoughts and concerns among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The procedure of creating an art piece expresses the internal image all the more effectively, and appreciating them allows the students to enjoy a time of communication thorough the activity. Also,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ode of communication while sharing the ideas students and expressing the students' ideas and opinions externally though the form of enjoyable graffiti art.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ill start with the observation on the communication features harbored in graffiti art by examining the opinions of recorded documents and scholars, analyzing the internal thoughts of artists and their art pieces' tendency, exploring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ve means, and driving students to express graffiti art. The instruction learning activity begins with appreciating the works of graffiti artists, establish a theme, collect symbols and emblems to organize and practice graffiti image. Then, various modes of expression are used to express graffiti art, and finally,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of graffiti art is prepared for the students to share their thoughts. The execution of art class utilizing the communication features of graffiti art has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pupils who set a theme, practiced and expressed art to communicate with themselves introspectively started to share the ideas with their peers, which eventuated in understanding each other more profoundly. Second, the procedure to seek for the mode of expressing the theme allowed the students to create new symbols and images, explore various materials, and foster crea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aligning the symbols. Third, a variety of themes for the graffiti art such as education, society, politics, environmental problems, and others were allowed for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ideas freely in their work pieces, and this rendered them critical view upon the society as well. Fourth, graffiti art focuses on the sense of adding the essence of expression on appropriate spots rather than calling for excellent expressing capacity for the visualization of a student's ideas in recognizable form, which eventuates in improving the students' expressive capacity to represent their ideas candidly rather than technical features. In essence, art classes utilizing the communication features of graffiti art not only create the passage of communication between a student's ego and their peers, but also smoothen the rise of themes, fosters creative thinking, and provides the experience of pure crea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고 발현할 수 있는 낙서화수업을 통해 서로의 생각과 주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낙서화의 시각커뮤니케이션 속성을 활용한 미술수업은 미술교과가 지식을 증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과 고민을 공유하고 나눔으로서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여 작품제작의 과정을 통해 내적이미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표현하고, 감상활동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는 낙서화의 형식을 빌려,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외부로 표현해보고 서로의 생각을 같이 공유하고 나누며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실천에 앞서 문헌과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낙서화가 가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속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낙서화 작가들의 내면세계와 작품경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재료와 표현방법을 탐색한 후 학생들로 하여금 낙서화 표현을 유도하게 하였다. 교수ㆍ학습활동의 과정은 첫째, 낙서화가들의 작품을 감상한 후 주제를 선정하고 둘째, 기호와 상징을 수집하여 낙서 이미지를 구상하고 습작하였다. 셋째,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낙서화를 표현하였고 넷째, 발표 및 감상 수업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공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낙서화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활용한 미술수업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첫째, 학생들은 직접 주제를 정하고 습작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끊임없이 소통하던 아이들이 감상활동을 하면서 자신과 친구들의 생각을 공유하고 나눔으로써 서로를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주제 표현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는 새로운 기호와 상징이미지를 창조하고, 다양한 재료를 탐색하고 기호와 상징들을 선별하여 배치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이 길러지게 되었다. 셋째, 낙서화의 주제를 자신의 내면세계 뿐만이 아니라 교육, 사회, 정치, 환경문제 등의 다양한 이슈들까지 다룰 수 있도록 주제선정의 폭을 열어줌으로서 자신의 주장을 작품 속에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사회비판적인 시각이 열리게 되었다. 넷째, 낙서화는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끌어내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시각화하기 위해 뛰어난 표현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표현의 핵심을 담아내는 감각에 더 중점을 두기 때문에 기교적인 요소보다는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솔직하게 나타낼 수 있는 표현력이 길러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낙서화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활용한 미술수업은 자아와 동료간에 소통의 통로를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주제 발상을 원활히 하고 창의적 사고를 불러일으키며 순수 창작의 경험을 제공해준다는 긍정적인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아스팔트포장의 탄소배출량 추정을 위한 간략화 LCA모델

        김규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포장에 관련된 연구는 토목공사의 수요가 증가하며 기존 도로의 유지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포장의 설계와 시공기술, 유지관리 분야의 품질 향상을 위한 관련연구와 환경성 부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환경성 부분의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전 세계가 2020년 개도국의 참여를 포함한 교토의정서의 전면적 발효에 발맞춰 온실가스 발생 감축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등의 관련 법규를 마련하는 등 해당 산업분야의 환경성 개선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도로포장공사의 지속적인 사용과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성 분석이 고려된 연구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개선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제조, 사용, 폐기 등 전체 Life cycle 로부터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Life Cycle Assessment(LCA)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아스팔트 포장공사를 대상으로 CO2배출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LCA 분석은 제조업 분야를 비롯한 건축분야와 사회기반시설의 환경부하 평가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의사결정 도구로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그 절차와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LCA분석은 매우 광범위한 대상에 적용되며 많은 시간과 복잡성을 띄는 가운데 그 분석이 쉽지가 않다. 건설 분야의 도로포장공사는 특정 cycle에서 큰 CO2를 배출하기 때문에 전면에 걸쳐 복잡한 LCA분석을 수행하지 않아도 비슷한 CO2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고 사료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implified Life Cycle Assessment(S-LCA)를 수행하여 간편하게 CO2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여 기존 LCA분석을 통하여 얻은 CO2배출량 결과와 추정한 CO2배출량을 비교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자 및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의사결정 도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포장공사 25곳의 데이터를 LCA분석하고 S-LCA분석이 고려된 회귀분석 모델을 제시하여 본 연구의 효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상호 텍스트성에 기반한 비평 교육 방안 : 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비평적 활동

        김규연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is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can not be expected critical thinking kidney of learner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acking and curriculum stylized take place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Currentl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each subject, and learning curriculum important critiques educational training, and are shown in the curriculum country. However, because the critique education of these has not been performed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at through a process like this, you would expect the positive changes of the height of the critical thinking of students is difficult. This study provides a critique education as a means of education for learners of these, to extend the ability of some and the accompanying critical thinking. You are going to in the mouth measures critical education to reflect the theory of the text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criticism of these, centered on the literary text. Chapter 2 of this paper,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tex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riticism which is the basis of mutual text group critique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direction of criticism education by looking at the educational meaning of criticism. Criticism education, with educational meaning kidney of critical thinking, improvement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expressive kidney creative, and recharge of the attitude of reflection. If you keep in mind that there is interdependence between the language of human thought, in conjunction with language activities, education of the accident has to be education in nature. In Section 3, we describe the actual teaching of critical activities and aspects of the structure of the education criticism based on the text of each other. Guess the stratigraphic two of teaching and learning of critical activ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critical theory from the configuration aspects of the content, and your mouth teaching model critical education to see how the integration of inter-relationships of the two-layer position I was in the. In addition, upon to perform criticism, education, and is directed to a direction to read crit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cess focus, leverage all the language activities (speaking, listening), write critical discourse. In addition, I have designed in the direction to run step-by-step activities criticism in term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learner-centered. It was set up set up corresponding connec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of criticism, the subject of criticism, a point of view critically, critique text generation, and meta-criticism, the stage of having to reflect critically tuition model of critical education. Based on this, we designed a teaching lesson plan critical activities with a focus on literary texts. The detailing of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eaching by advancing the Student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for this. Analyzes of the reaction of learners experiment class, to reflect the results, we proposed guidance for planning of lessons critical activities in the end. Run the experiment class of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class tuition critical activities with a focus on text of literature has paid off in the formation of subjective reaction height and critical thinking of learners I became convinced that it is a draft. Accept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through the class critical activities, it converges to thinking of yourself this, also, to give confidence to the subjective reaction of their learners, attitude to respect the value of the other party it is now possible to foster. In addition, part of the learner has changed to clear is the change of recognition in contact with the text of the literature. If you run continuously teaching critical activities with a focus on literature text, mainly voluntary you can learners to learn various methods of interpretation acts of individuals, to appreciate truly the literary text, to evaluate is going to be able to form a specific attitude. It can be a teaching a very effective way to form a reaction proactive literary text critical thinking and recharge of learners, teaching critically activities, system in the field of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needs to be performed on an ongoing basis and basis. [Key Words] Critical Thinking, Thinking power, Criticism, Critical Education, Critical activities, Literary text, Text Scaffolding, Textuality, Intertextuality, Hyper-textualit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eaching model of critical activities, Involved formation, Establish a point of view, Critical Writing, Meta-criticism, Reflect, Paratext, Subjective-reading, Intuitive-reading, Analytical-reading, Impression-Evaluation, Discourse, Impression, Analysis, Evaluation. 본 논문은 공교육의 현장에서 이뤄지는 정형화된 교육과정과 주입식의 교수·학습 방식으로는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국가교육 과정 안에서 각 교과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비평 교육을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평 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교수·학습 현장에서 시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이라는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학습자들에게 비판적 사고력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비평 교육을 제안한다. 이러한 비평 교육의 실천 방법으로 상호 텍스트성 이론을 반영하여 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는 비평 교육의 방안을 구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상호 텍스트성에 기반한 비평 교육의 근간이 되는 비평과 상호 텍스트성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비평의 교육적 함의를 살피고 비평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비평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 통합적 관점의 향상, 창의적 표현력 신장, 반성적 태도의 함양이라는 목표를 지향한다. 인간의 사고가 언어와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둘 때 사고 교육은 언어활동과 연계되어 필수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평 교육은 비평적 사고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비평적 언어활동을 축으로 실행 방향을 설계한다. 3장에서는 상호 텍스트성에 기반한 비평 교육의 구성 측면과 비평적 활동 수업의 실제를 기술한다. 내용 구성적 측면에서 비평 이론의 교수·학습과 비평적 활동의 교수·학습이라는 두 가지 층위를 살피고, 두 층위의 상호 관계성과 통합의 방법을 살펴 비평 교육의 수업 모형을 구안한다. 또한 비평 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과정 중시의 관점에서 비평적 읽기, 비평적 담화(말하기, 듣기), 비평적 쓰기의 비평적 언어활동을 모두 활용하는 방향을 지향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관점에서 비평적 활동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방향으로 설계한다. 비평 교육의 수업 모형은 비평 대상과 관계 맺기, 비평 대상 텍스트 수용하기, 비평적 관점 세우기, 비평 텍스트 생산하기, 메타비평하기, 비평적 반영하기의 단계로 설정한다. 이를 토대로 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비평적 활동 수업의 지도 계획을 설계한다. 이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10차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여 세부적인 진행 과정과 내용을 기술한다. 실험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비평적 활동 수업의 14차의 지도 계획을 제안한다. 본 연구자는 논문의 실험 수업을 실행한 후 결과 분석을 통해, 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비평적 활동 수업이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과 주체적 반응 형성에 주효한 수업 방안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비평적 활동 수업을 통해 상호 작용의 결과를 수용하고 이를 자신의 사고에 수렴하여 자신들의 주체적 반응에 확신을 얻고 또한 상대의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학습자들이 뚜렷하게 바뀐 부분은 문학 텍스트를 대하는 인식의 변화이다. 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비평적 활동 수업을 계속적으로 실행한다면 학습자들이 개인적 해석 행위의 다양한 방법들을 익힐 수 있어 문학 텍스트를 진정으로 감상하고 평가하는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비평적 활동 수업은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 함양과 문학 텍스트에 대한 주체적 반응을 형성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의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통한 학생 주도적 독서활동 활성화 방안 : 현장의 인식 및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김규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promote student-led reading activities using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materializes human abilities into computer programs also has changed the competences necessary for humans. In a time when the competences such as creativity, character, sociality, and self-direction are emphasized, reading is again in the spotlight 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ffective and cognitive thinking skills of humans. However, nowadays, individuals in most age groups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do not read enough, and reading culture has gradually declined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n educational plan to foster lifelong readers, which is the original goal of reading education. Many previous studies on adolescent readers have found that,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reading activities, the educational approach needs to consider not only their cognitive domain but also affective domain.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ason adolescent readers do not read enough is that they have gradually lost interest and motivation for reading, in particular, with the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Digital content platforms such as videos, music, and games that the students enjoy collect and analyze users' big data to deliver customized recommendations that meet the tastes of individual users. For the students who regularly consume the customized digital contents on mobile devices, the reading environment consisting of school libraries and bookshelves at home is no longer interesting.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is study aimed for a reading promotion plan by fostering a read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student-led read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to plan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as a reading environment that would promote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nd explored its applicability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field. Although several governmental surveys have regularly provided basic statistics on the school libraries and the integrat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further improvement, their actual utilization rates of students has not increased with repeated complaints. Therefore, given the necessity of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experiences in the fiel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one teacher group consisting of five Korean language teachers, librarians, and librarian teachers and one student group consisting of fou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n,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education, and perceptions and demands for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The teacher group included teachers who were enthusiastic in reading education who had made a variety of educational attempts for reading education. This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rable reading educ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needs to be added to schools’ current resources. Each transcribed interviews were analyzed at a semantic unit to derive general structures by group. For further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based on a common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student group, all four students had low reading motivation. They have never received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at the current school, saying that the difficulty in book selection lowered their interest in reading. Therefore, students thought that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a convenient online environment that helps students in book selection and enables communications with their peers, would be useful for them. In the case of the teacher group, they felt the necessity of providing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unanimously, saying that th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select the right book for themselves. They also said that, although some school provided the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it was not easy for the majority of the schools. Most of the teachers said that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would be helpful, whereas some teachers perceived the portal system negatively in that it could be challenging to use it in the actual high school environment and could lead to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to promot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was required, and that it was not easy to apply the relevant education to the general school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that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could serve as an auxiliary measure for reading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use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among the mini-theorie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s a standard for constructing the application plan so that the portal system contributed to th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reading activities. The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use of the system, and suggested ways to mee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erms of reading activities, every student has different topic of interest, reading level and interest level. However, schools that do not have the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have only provided uniform reading education overlooking such individual differences. Also, the current reading environment of students has not kept up with the pace of digital development. In this context, a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using big data analysis would be a reading environment close to the students' daily lives,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reading activities and enabling customized support in situations where teachers cannot guide them. Moreover, since the system would allow teachers and researchers to review students' reading activity data and deepen discussions on reading education, the system can be a valuable topic for future research. It is hoped that various relevant discussions can contribute to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the read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customized portal system of school libraries and the betterment of the reading environment in students' liv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생의 주도적 독서활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인간의 능력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인공지능의 개발이 실현되었고,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창의성, 인성, 사회성, 자기주도성과 같은 능력의 함양이 강조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독서는 인간의 정의적 사고와 인지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기 독자부터 성인기 독자까지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독서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독서교육의 본래 지향점인 평생 독자 양성을 위한 교육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청소년 독자에 대한 많은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 독서활동을 위해서는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적 접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 독자의 독서 부족 현상의 원인을 읽기 흥미도 하락에 따른 독서 동기의 부재로 보았고, 그 요인 중 하나를 스마트폰을 위시한 모바일 기기 사용의 확대라 생각하였다. 학생들이 즐기는 영상, 음악, 게임 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는 사용자의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맞춤형 정보를 전달한다. 이처럼 일상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맞춤형 디지털 콘텐츠를 향유하는 학생들에게 학교의 도서관과 가정의 책장을 대표로 하는 독서환경은 더 이상 흥미로운 대상이 아니다. 학생의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주도적 독서활동이 가능한 독서환경을 모색하여 독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촉진할 독서환경으로 학교도서관의 맞춤형 포털시스템을 구상하였고,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그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도서관과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에 대한 기본적 통계 수치는 국가 조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를 바탕으로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학생의 이용률은 증가하지 않고 같은 불만 사항이 반복되었다. 이에 따라 현장의 경험을 분석한 뒤, 그 내용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보았기에 교사와 학생의 면담을 통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어교사와 사서, 사서교사로 이루어진 교사집단 5명과 중·고등학생으로 이루어진 학생집단 4명을 연구 참여자로 구성한 후, 개별 면담을 통해 독서교육 현황에 대한 의견수렴과 학교도서관 맞춤형 포털시스템의 인식 및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집단의 경우, 독서교육에 관심이 많은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독서교육에서 다양한 교육적 시도를 한 능숙한 교사를 포함하고자 하였다. 이는 바람직한 독서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탐구와 함께 현재 학교의 자원에 더해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라는 추가적 지원이 필요할지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각 면담 내용을 전사한 후 의미단위를 분석한 뒤 집단별 일반적 구조를 도출하였고, 이후 연구 결과의 세부 분석을 위해 공통 구조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집단은, 4명의 학생 모두 독서 동기가 낮은 상태였고, 현재 학교에서 맞춤형 독서교육을 받지 못하며, 도서 선택이 쉽지 않기에 독서에 대한 흥미를 일으키지 못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렇기에 학생들은 도서 선택 단계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친구들과의 소통이 가능한 편리한 온라인 환경이라는 점에서 맞춤형 포털시스템이 도움이 될 것이라 보았다. 교사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맞춤형 독서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느끼며, 학생들이 자신에게 맞는 책을 선택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답하였다. 또한 일부 학교에서 맞춤형 독서교육을 진행하고는 있지만, 현재 일반적인 학교 환경에서 맞춤형 독서교육이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다고 보았다.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도움이 될 것이라 답하였고, 일부 교사의 경우에는 고등학교 환경에서 실질적 활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교사의 업무량 과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의 독서 동기 촉진이 가능한 맞춤형 독서교육이 필요하며, 현재 일반적 학교 상황에서는 해당 교육 실현이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렇기에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 맞춤형 독서교육의 보조적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촉진하여 주도적 독서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기결정성 이론의 미니이론 중 기본심리욕구이론을 활용 방안 구성의 기준으로 삼았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의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 활용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토대로 자율성·유능성·관계성의 충족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활동에 있어 학생의 관심사, 읽기 수준, 흥미도는 모두 다르다. 하지만 현재 학교 독서교육에서는 이를 포괄할 수 있는 맞춤형 독서교육의 실천이 어려운 상황이기에 대부분 획일적인 독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현재 경험하고 바라보는 독서환경은 디지털 시대의 발전 속도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이 학생의 생활과 밀접한 독서환경으로서 독서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며, 교사가 지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맞춤형 도서 지원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더 나아가 교사와 연구자들은 시스템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활동 분석 자료를 확인하며 독서교육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수 있기에, 연구 대상으로도 가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다양한 논의를 통해 맞춤형 도서관 포털시스템을 포함한 독서환경의 기술적 개선이 실현되어 독서환경이 학생들의 생활에 밀접하게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