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 주민의 문화예술 수용 태도 : 함경북도 출신 탈북자를 중심으로

        조현성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tent of internalization of the North Korea’s dominant value among North Koreans by exploring the reception of artworks among the defectors in their 40s and early 50s who come from North Hamgyeong Province. This study conducted 14 interviews with the defectors from March until August, 2014. This study assumed that the residents in North Hamgyeong Province could be exposed to other countries’ artworks because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to China; and as a result, they might show more variou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rtworks. The defectors in 40s and early 50s had attended elementary school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ary ideological system of the Party; and so, they had been exposed to artworks depicted the Leader when they were stu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defectors in 40s and early 50s had gone through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when they were in 20s and early 30s. Those experiences in their lifetime might have influenced the reception of artwork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viewees showed the changes in the reception of artworks in the three different periods over their lifetime. The first period appeared between their attendance in elementary school and in middle school, the second from their graduation of middle school until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and the last have appeared since the Arduous March. The first type of reception,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occurred among the interviewees when they attend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receiving directly the ‘preferred meanings’ which was the connotative and denotative meaning inscribed in the artworks(text) and was produced by the unitary ideological system of the Party. For them, the Leader’s life and the revolutionists’ life represented in the artworks were a true fact, and the Leader was the ‘significant others’. When they wer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y tended to internalize the dominant value through the extreme involvement in artworks, such as identification and empathy with the artworks. By doing so, they had gone through the first socialization process. However, from the graduation from the middle school until the mid 1990s, the interviewees took diverse decoding positions; first,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position by accepting the ‘preferred meanings’ and internalizing the dominant value, second,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by refusing the ‘preferred meanings’, third, the negotiated decoding position by selectively accepting the ‘preferred meanings’, and lastly the post-encoding position in which the interviewees sought only for fun with neither empathy with artworks nor consideration of meaning of artworks. In doing so, when they were in late teens and 20s, the interviewees showed the various types of socialization, such as the first socialization or re-socialization(alternations) through which the interviewees refused North Korean artworks. Since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in contrast, the diverse decoding positions converged to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and became homeogenous again among the interviewees. They had to quit appreciating any artworks because they had to focus only on survival, and came to doubt the authority of legitimacy of North Korea’s governing Party. The interviewees’ experiences in China and their exposure to the South Korean films made them become more suspicious. Since the Arduous March in the mid 1990s, most interviewees had tried hard to refuse the contact with North Korean artworks by keeping their distance excessively from the artworks. Their refusal of the contact with North Korean artworks showed the fact that the interviewees came to break themselves from the internalization of the dominant value. For them, the Leader was not the ‘significant others’ any more, and the unitary ideological system of the Party became meaningless. In terms of the type of socialization, they came to engage in alternations. Re-homogenization taking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was resulted from the unification of the subjective experiences caused by the objective economic environment, the Arduous March. So far, North Korean users were considered as ‘passive’ and ‘homeogenous’ ones in the studies of reception of artworks.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viewees tended to take various decoding positions depending on their own life experiences. In their late teens and 20s, in particular, the types of reception of artworks became divergent. Even though the interviewees’ reception of artworks showed the homeogenous decoding position in the period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in years since the Arduous March, there was still a slight variation in the homeogenous position depending on the interviewees’ life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maintains that North Korean users are not passive receivers but decoders who can interpret artworks with his/her own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asserts that a person’s factual jud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affect the formation of and the change in his/her reception of artworks over the lifetime. If a person finds a text true, the person takes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position. On the other hand, if a person finds it false, he/she takes the oppositional decoding position. Thus, the reception of artworks is closely related to people’s percep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both an intended consequence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during their attend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a unintended consequence (the interviewee’s oppositional decoding since the Arduous March) of North Korea’s cultural policy in which artworks are considered as a means of the governmental propaganda. 연구는 함경북도 출신 40대~50대 초반 탈북자의 문화예술 수용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북한 주민의 지배 가치 내면화 정도를 파악하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탈북자 14명을 심층 면담했다. 연구 대상자는 유일사상체계 형성 이후 인민 학교에 입학하여 어릴 때부터 북한의 지배 가치가 포함된 문예물(텍스트)을 접한 세대이며,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과 외국 영상물 유통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지역의 거주자다. 문예물 관람자의 느낌·감정을 의미하는 수용 태도는 생애 주기와 시기에 따라 3개 시기(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 번째는 인민학교~고등중학교 시기, 두번째는 고등중학교 졸업~‘고난의 행군’ 이전, 세 번째는 ‘고난의 행군’~입국 이전이다. 유일사상체계 확립 이후 인민학교에 입학하여 20대~30대 초반에 ‘고난의 행군’을 맞이한 함경북도 주민의 문화예술 수용 태도는 유소년기의 동질성(지배적 해독, 지배 가치의 내면화), 청년기의 다변화, 그리고 ‘고난의 행군’ 이후의 재동질화 경향(대립적 해독, 텍스트 접촉 거부, 지배 가치의 내면화 탈피)으로 요약할 수 있다. 유소년기에는 수령 형상 문예물과 기타 북한 문예물에 내포되고 외재한 ‘선호된 의미’(preferred meanings)인 유일사상체계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지배적 해독을 한다. 문예물에서 재현된 수령과 혁명가의 삶은 ‘사실’이며, 수령은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s)다. 학생은 북한 텍스트에 ‘극단적 관여’를 통해 동일시하고 감정 이입을 하면서 지배 가치를 내면화한다. 피면담자 대부분의 이 같은 수용 태도는 집체 관람, 제한된 텍스트, 생활 부담이 없는 연령대, 유일사상 교육 체계의 확립, 안정적 경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유소년기의 피면담자는 ‘중요한 타자’인 수령과 유일사상체계를 수용하면서 1차 사회화 단계에 있다. 고등중학교 졸업 이후부터 ‘고난의 행군’까지는 수용 태도가 분화된다. 북한 문예물의 ‘선호된 의미’인 유일사상체계를 수용하는 지배적 해독자, 거부하는 대립적 해독자,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교섭적 해독자가 존재한다. 그리고 문예물의 의미와 맥락을 탈각시키고 감정 이입 없이 재미만을 찾는 탈해독자가 나타난다. 성분·가족사, 문화예술 관심도, 관람 정도, 관람 정서 같은 삶의 경험이 문예물 수용 태도에 영향을 준다. 청년기 수용자의 사회화 단계는 문예물의 수령을 ‘중요한 타자’로 여기며 감정적 동일시를 하는 1차 사회화부터 북한 문예물을 거부하는 재사회화까지 다양하다. ‘고난의 행군’ 이후에는 대립적 해독으로 수용 태도가 재동질화된다. 생존을 위해 모두가 장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문예물 관람은 중단되고 체제 정당성을 의심한다. 의심을 확인시켜 준 매개물은 중국 경험과 한국 영상물 관람이다. 중국에서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고, ‘고난의 행군’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되면서부터 한국 영화를 보기 시작한다. 중국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체험하면서 북한의 지배 가치를 보여주는 북한 문예물을 더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한국 영화를 탐닉할 경우에는 남한 영화에 부분적 동일시와 감정 이입을 하기도 한다. ‘고난의 행군’ 이후 대부분의 피면담자는 북한 문예물 접촉 자체를 거부하는 ‘극단적 거리’를 유지한다. 접촉 거부는 이들이 북한 지배 가치의 내면화에서 벗어났음을 보여준다. 수령과 유일사상체계는 더 이상 ‘중요한 타자’는 아니다. 이들은 재사회화 또는 부분적 변형의 단계에 들어선다. ‘고난의 행군’ 이후 대립적 해독의 재동질화는 경제적 여건이 주관적 경험을 흡입해 버린 결과다. 지금까지 북한 문화예술 연구는 두 가지를 전제하는 경향이 있다. 하나는 수용 태도의 차이가 없는 ‘동질적 수용자’란 가정, 다른 하나는 지배 가치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 수용자’란 가정이다. 동질적 수용 태도는 유소년기와 ‘고난의 행군’ 이후 대체적 경향이지만, 북한 주민을 수동적 수용자로 보기는 어렵다. 문화예술 관람자는 생애 주기, 당시 북한 사회의 정치경제적 환경을 공유하기에 동질적 수용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고난의 행군’ 이전 청년기의 수용자는 삶의 경험에 따라 단수(單數)가 아니라 복수(複數)로 존재한다. 또한 유소년기와 ‘고난의 행군’ 이후에도 수용 태도가 동질적이지만 동질성 내에서도 주관적 경험에 따라 편차가 있다. 북한의 문예물 관람자는,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사회적 여건과 주관적 경험에 근거한 기호 해독자다. 한편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 수용 태도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은 텍스트의 사실성 여부 판단이다. 텍스트를 사실로 인식하면 지배적 태도를, 텍스트를 거짓으로 인식하면 대립적 태도를 보인다. 문예물에 대한 수용 태도가 체제에 대한 인식과 분리되지 않는다. 이것은 문화예술을 선전·선동의 수단으로 삼은 북한 당국의 의도한 결과(유소년기의 지배적 해독), 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고난의 행군’ 이후의 대립적 해독)다.

      • ‘돈주’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김직수 북한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Donju' is a newly born rich group in North Korea who accumulated wealth based on their market adaptability during the social change called the march of suffering. They obtained capital from market activities and have becoming the economic establishment in North Korea. The market activation provides a great opportunity for merchant groups to grow. Increasing a number of merchants, some of them have become wholesalers, others accumulated capital through the investment on state-owned enterprises. They are all 'Donju'. 'Donju' is maintaining completely distinguished lives in food, clothing, housing, and child rearing, so it is emerging as a new class in North Korean society. Nonetheless, 'Donju' has some limits to growth. Because the market is not institutionalized in North Korea, 'Donju' is accumulating capital only through illegal economic activities, so their social class remains quite unstable. To overcome limitations, 'Donju' is seeking to strengthen a tie with the political establishment, and the unhealthy links between business and politics and corruption are structured in North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 wealth is concentrated in a small number of economic upper part and it discriminatory reflects on standard of living. As the relative deprivation of ordinary people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social conflict in North Korea grows. Examining changes in status and aims of a new rich group called 'Donju' is helpful to verify economic inequality and to understand social unrest of North Korea. Keywords: Donju, formation process of Donju, social changes in North Korea, a new rich group in North Korea, North Korean commercial capitalist, the march of suffering, a new class in North Korea. ‘돈주’는 북한 고난의 행군으로 인한 사회변화의 과정에서 시장적응능력을 토대로 부를 획득한 신흥 부유층이다. 이들은 시장 활동을 통해 자본을 획득하여 북한의 새로운 경제적 기득권층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시장의 활성화는 상인계층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상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일부 상인은 도매상으로 발전하였고, 일부 상인은 국영기업소에 투자하여 자본을 축적하기도 하였다. 이들이 ‘돈주’이다. ‘돈주’들은 식생활과 의복, 주거생활, 자녀양육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일반주민들과 차별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 북한의 새로운 계층으로 발전하고 있다. ‘돈주’들은 시장의 확대과정에서 기존의 정치적 토대가 아닌 뛰어난 시장적응능력으로 부를 획득하고 새로운 기득권층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시장의 제도화가 미약한 상황에서 ‘돈주’들은 비법적인 경제행위를 통해 자본을 축적하기 때문에 계층적 지위는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돈주’들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정치적 기득권세력인 간부계층과의 결탁을 강화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정경유착과 부정부패가 구조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와 함께 소수의 경제적 상층부에 부가 집중되고 이것이 생활수준을 통해 차별적으로 나타나게 되면서 일반 인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커지게 되었다. 신흥부유계층들의 위상과 지향점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은 북한의 경제적 불평등 구조의 양상을 확인하고 향후 북한의 사회불안 요소를 가늠하는 리트머스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탈북청소년의 시민성(市民性) 연구

        김신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on educational directions for nurturing citizenship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This analysis is based on surveys conducted on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in South Korea to figure out their current state of citizenship and main factors of forming their citizenship. The citizenship is classified into democratic value, belief and behavior sector, and civic participation sector.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citizenship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in democratic value, belief and behavior sector is relatively high, while their citizenship in civic participation sector is lower than average. Such trends are similar to those of South Korean teenag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cratic value, belief and behavior sector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tend to be highly supportive for the freedom rights. In particular, they tend to strongly object to restrictions on human rights of suspects who were charged for threatening national security. However, they do not tend to strongly object to media companies which business companies or governments own, and political leaders whose family members take up public offices. The distinct feature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in civic participation sector is that they have a weak will to take part in political resistance activities. Followings are main factors that affect formulating citizenship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Male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tend to show lower state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racial equality while their consciousness of national identity is in higher state. The older they are, the higher their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s characterized. The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who have stayed in third countries for longer period of time tend to show higher consciousness of equal rights for migrants. However, their will to partake in political resistance activities and their political efficacy tend to be shown low. The survey was found that the higher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educational degree is,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spent more time in receiving education in North Korea tend to show weaker will to take part in illegal politic resistance activities in South Korea and also show weaker will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as a youth at present. The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who have stayed in South Korea for longer period of time tend to show weaker will to take part in future political activities. In addition, their national identity, their credibility on public organizations, and their political efficacy tend to get lower.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experiences of political socialization in South Korea have positively affected their democratic value, awareness of their rights, awareness of importance of good citizenship, overall consciousness of social equality, consciousness of racial equality, consciousness of migrants’ equality, national identity, attachment and awareness to the nation, credibility on public organizations, efficacy in politics, participatory will to political resistance activities, legal protesting activities, participatory will to illegal protesting activities, participatory will to current political activities, and participatory will to future political activities. Their experiences of political socialization in South Korea out of all other independent variables have most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ir overall citizenship.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who are educated by alternative schools in South Korea are characterized that their participatory will to illegal political resistance activities tends to be relatively high, however, their awareness of democratic value and rights, awareness of importance in good citizenship, overall consciousness of social equality and gender equality, racial equality consciousness, and migrants’ equality tend to show relatively low. To summarize, the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experiences of political socialization in South Korea have the most positive and strong impact on building their citizenship. These will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should be reflected in educating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in the future for nurturing their citizenship. The survey result also suggests that more efforts are required to develop citizenship of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who are educated by alternative schools in South Korea so that their negative variables can be improved. Fostering youth generation to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South Korean society to maintain more stabilized democracy and to promote further development of the democrac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schools and society in South Korea to provide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who have been raised in the socialist system, North Korea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citizenship at present as well as in future preparations for intern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through integration of their respective social valu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s and society in South Korea make more efforts to provide various ways with context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adolescent migrants by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of civic consciousnes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의 새로운 시민이 된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의 방향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에 탈북청소년의 현재 시민성의 실태와 시민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시민성은 민주적 가치·신념 및 태도영역과 시민적 참여 영역으로 대별된다. 조사 결과, 탈북청소년의 시민성의 양상은 민주적 가치·신념과 태도 영역은 대체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시민적 참여 영역은 대체로 평균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기존 남한청소년의 시민성 조사 결과와 비슷한 경향성을 나타낸 것이다. 탈북청소년의 민주적 가치·신념 및 태도 영역의 특징적 양상은 자유권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것이다. 특히 국가안전을 위협하는 용의자의 인권제한에 대해 강한 반대를 표시하고 있다. 정치지도자 가족의 공직진출과 기업과 정부의 언론사 소유에 대해서는 그다지 강한 반대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민적 참여 영역에서 나타난 탈북청소년의 특징은 정치적 항의 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낮다는 것이다.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이 남자인 경우 남녀평등 의식과 타민족(인종)평등 의식은 낮게 나타났고 국가정체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남녀평등 의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제3국에 오래 체류한 탈북청소년일수록 이민자의 평등한 권리에 대한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치적 효능감과 정치적 항의 활동에 참여하려는 의지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학력이 높을수록 즉, 북한에서 교육받은 기간이 길수록 비합법적인 정치적 항의 활동과 현재 청소년으로서 정치사회적 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거주기간은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한국거주기간이 길면 국가정체성과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정치적 효능감과 미래 정치활동 참여의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의 정치사회화 경험은 민주적 가치와 권리 인식과 바람직한 시민성의 자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사회적 평등 의식 전체와, 타민족(인종)평등 의식, 이민자 평등 의식, 국가정체성, 국가에 대한 애착과 인식,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정치 효능감, 정치적 항의활동 참여의지, 합법적 항의활동, 비합법적 항의 활동에의 참여의지, 현재 정치활동 참여의지, 미래 정치활동 참여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모든 독립변인 중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거의 모든 시민성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민주적 가치와 권리 인식, 좋은 시민성의 자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사회적 평등 의식 전체와 남녀평등 의식, 타민족(인종)평등 의식, 이민자 평등 의식이 낮게 나타나지만 비합법적 정치적 항의활동 참여의지는 높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한국에서의 정치사회화 경험은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형성에 가장 긍정적이고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 향후 이들에 대한 시민성 교육의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으며 대안학교 변인의 부정적인 영향은 대안학교 재학 학생들에 대한 시민성 교육에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 세대를 바람직한 민주시민으로 길러내는 일은 우리사회의 안정적인 민주주의 유지와 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에서 온 탈북청소년이 건전한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현재뿐만이 아니라 향후 통일된 사회의 가치통합을 통한 내적 통합을 준비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학교와 사회에서 다양한 방식과 내용으로 탈북청소년의 시민성의 특징적 양상을 반영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 Pd-Ni 합금 박막 및 Pd 나노선을 이용한 초고감도 나노 수소센서 개발

        이은송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수소에너지는 친환경 에너지의 하나로 크게 관심을 모으고 있으나 수소가스는 대기 중에 4% 이상 누출되면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수소에너지 상용화 연구에 앞서 수소가스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검침할 수 있는 수소센서의 개발이 요구된다. 최근 수소가스에 대한 선택성이 높은 Pd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나노기술을 센서 제작과정에 접목시켜 센서의 크기를 줄이고 전력소모를 낮추려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 박막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수소 농도 검지 특성과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한 Pd-Ni 합금 박막과 수소 검지 특성을 향상시킨 Pd 나노선을 이용한 소자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수소 검지를 위한 Pd 박막과 Pd-Ni 합금 박막은 스퍼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Pd 박막은 5 - 400 nm의 다양한 두께로 제작하였고, Pd-Ni 합금 박막은 증착률 조절을 통해 Ni의 농도를 4 - 26 %로 변화시켜 제작하였다. 이들을 0 - 2 %의 수소 가스에 노출시켜 박막의 전기적 저항 변화를 확인하고, 수소 농도에 따른 민감도를 수소 흡수와 탈수 과정에서 각각 확인하여 Pd-H 계의 상전이에 따른 저항이력 거동과 박막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Pd 박막의 두께가 저항이력 거동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께에 따른 구조 변화 형상을 관찰하였다. 한편, Pd-Ni 박막에서 Ni의 함유에 따라 상전이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저항이력 거동과 구조 변화가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Ni의 함유량의 변화에 따라 Pd-Ni 합금 박막의 수소 검지 특성을 민감도와 반응 시간의 측면에서 측정하여, 최적화된 Ni의 비율이 약 7 % 임을 결론내렸다.Pd 나노선 수소 센서를 위한 소자는 스퍼터링 시스템과 전자빔 식각 공정을 이용하는 방법과, AAO 템플레이트에 전기도금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스퍼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나노선 소자의 경우, 20 nm와 400 nm 두께의 나노선을 사용하여 민감도를 확인하고 이를 Pd 박막의 저항이력 거동과 비교하였다. 또한 나노선의 두께를 100, 200, 400 nm로 달리하여 민감도와 반응시간을 관찰하였고, 나노선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표면적 대 부피 비가 증가하여 민감도는 증가하고 반응시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20 nm 나노선의 경우 기판 표면의 클램핑 효과t가 지배적으로 작용하여 수소 검지 특성이 향상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AO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나노선은 분산 과정을 거쳐 클램핑 효를 무시할 수 있게 되는데, 나노선의 지름이 감소하면 민감도가 증가하고 반응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향 연구 : 신문기사의 유형 및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성옥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남한 사회에서 소수자로 살아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다루는 언론의 보도가 이들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과 직결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동아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에서 보도된 북한이탈주민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들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고 있고, 신문사별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기사의 ‘표제’를 분석하여 ‘전쟁’, ‘대처 및 긴장’, ‘신체’로 범주화되고 있고, ’과어휘화‘ 경향과 감정적 표현이 나타나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를 부정적이고 불안정한 사회 병리현상으로 ’전제‘하고 있음을 알았다.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인 성공 사례나 범죄 사건을 보도할 때 북한이탈주민의 명칭 구분을 통해 이들을 ‘타자화’, ‘대상화’하고 있고, 주로 ‘소수자ㆍ사회적 약자’이면서, ‘국가보호대상’으로 규정하면서 ‘주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라는 사회 현상을 정의함에 있어 ‘개인화’하고 있고, ‘포용과 복지의 대상’으로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보도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향되고 배타적인 인식을 전달하고 있었는데, 앞으로 언론이 이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통일을 위해 함께 협력할 동반자로서 인식하는 방향으로 전환해 가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thesis focuses on news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n refugees as seen by South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tendencies of the Korean media regarding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articles from the Dong-A, Cho-Sun, Kyung-Hyang, and Hankyoreh newspapers over 2 years beginning on January 1st, 2007, and employ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the research First,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y patterns. Likenesses and differences i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newspapers was examined.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headlines of each article. These headlines categorized the North Korean refugees into 'war', 'tension', and 'body', and often used emotional expressions and exaggerated terminology. In addition, the headline's premise regarded the issues surrounding the North Korean refugees as a social pathology that is negative and unstabl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text of the articles. Those articles objectified the North Korean refugees and regarded them as a social minority in need of protection by the government. Also, they defined the North Korean refugees as objects of welfare. They personalized and marginalized those refugees. As a result, the media tendency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delivered a biased and exclusive percep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uth Korean media should recognize the North Korean refugees for who they are, and as partners to cooperate with for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유럽연합(EU)의 제5차 확대로 본 동서 유럽의 통합 : 남북통합을 위한 성찰

        이정은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nalyzed the integration policy and process of the Eastern and Western Europe centering upon the 5th enlargement of the European Union(EU) in 2004 which accepted the eight countries of the Middle and Eastern Europe as a new member. Western Europe has been keeping up liberal democracy and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Eastern Europe has experienced socialism and communism under the rule of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is is an attempt to achieve a lesson for the South-North unification in the future from its experience of integration. With no communication for nearly half a century under the Cold War, it wasn't easy to reunify under the roof of the EU for Eastern Europe and Western Europe. There was a big gap in economy, an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not only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but also within people's values or way of thinking. Because of this, the EU proceeded a long-term, multi-layered preparation, distinctive from the enlargement until the 4th when it accepted other Western European countries as their member. This study assembled politic, economic and foreign policies which the EU promoted to get ready for the 5th enlargement; from 1989 after the fall of the Berlin Wall until 2004 when the Middle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join the EU. And it also examines what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tried to do to fulfill the proposed conditions that were given from the EU. Following that, it looks into the deepening policy of integration, came in earnest after the enlargement. The attempt of deepening in order to enhance a strong community spirit based on the tie between members was shown in various social, 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In social policy, social engagement of the weak and the minority was highlighted in addition to employment and labor welfare policy. And in the field of culture and education, the policy has been developed to a direction of expanding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s within the young generation. With the consensus that external growth is not the solution of true integration spreading among the EU, these attempts are constantly strengthening itself since the 2000’s. The final goal of these integration policies is the construction of ‘The United States of Europe’ and an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sense of unity as a ‘European citizen’. To overcome the different nature between members which have increased to 27 countries since the 5th enlargement, the EU suggested a philosophical basis called ‘Unity in Diversity’. In specific methods, the flexibility of the policy was pursued to avoid unilateral demand of Western Europe to Eastern Europ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s considered as a flexible approach adopted by the EU to admit the disparity of the members and reflect the gap in speed of performance. Finally, this kind of approach, philosophy and goal of integration was analyzed. Despite its limitations and side effects, East-West European integration by the EU presents a reference for our preparing of inter-Korean unification such as the following. EU, leaded by western developed countries, delivered a long-term, full point support and preparation to embrace Eastern Europe. They also invested in infrastructures of these countries to eliminate the economic gap, and made various political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 of social difference. Moreover, attempts to respect the diversity of culture, history, religion and language have been continued. However, to successfully apply this integration model in our case, the change in North Korea's attitude should be the premise. The Middle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not only proceeded on system transition since the collapse of the socialism, but also made active effort to meet the many demanding conditions for joining the EU.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such voluntary cooperation and mutual respons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ce that could proceed the integration. 이 연구는 유럽연합(EU)이 중·동유럽의 8개 국가를 신규 회원국으로 받아들인 2004년 제 5차 확대(enlargement)를 중심으로 동유럽과 서유럽의 통합 정책 및 그 과정을 분석했다.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유지해온 서유럽, 이와 달리 옛 소련의 지배 하에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체제를 경험한 동유럽간 통합 경험을 통해 남북한의 미래 통합 시도에 시사점을 얻기 위한 시도이다. 냉전 체제 하에서 반세기 가깝게 교류가 없었던 동유럽과 서유럽이 유럽연합이라는 지붕 아래 재결합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경제 격차가 엄청났고, 정치 사회 시스템도 달랐을 뿐 아니라 사람들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 때문에 유럽연합은 다른 서유럽 국가들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인 4차까지의 확대와는 다른 장기적, 다층적인 준비 작업을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유럽연합이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1989년 직후부터 중·동유럽 국가들이 회원국으로 가입하는 2004년까지 제 5차 확대를 위해 준비하기 위해 추진한 정치, 경제, 외교 정책을 종합 정리했다.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이 제시한 각종 가입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도 함께 검토했다. 확대 이후 본격화된 통합의 심화(deepening) 정책을 다루었다. 구성원간의 결속력을 바탕으로 강하게 맺어진 공동체 의식을 높이려는 심화 시도는 각종 사회, 문화, 교육 정책으로 나타났다. 사회 정책에 있어서는 고용과 근로 복지 정책 외에 약자와 소수를 포용하는 사회포용정책이 강조됐고, 문화와 교육 부분에서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상호 이해와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들이 전개됐다. 외형적이 확대만으로는 진정한 통합을 이루기 어렵다는 공감대가 유럽연합 내부에서 확산되면서 이 시도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추세다. 이런 통합 정책들의 최종 목표는 ‘유럽합중국(The United States of Europe)'의 건설과 ‘유럽 시민(European Citizen)’으로서의 정체성 및 일체감의 확립이다. 유럽연합은 제5차 확대 이후 27개로 늘어난 회원국간의 이질성 극복을 위해 ‘다양성 속의 통합(Unity in Diversity)’이라는 철학적 바탕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서유럽이 중·동유럽에 일방적인 강요나 포섭 정책을 쓰지 않도록 정책 시행의 융통성을 추구했다. ‘열린 조정 방식(Open Method of Coordination)’은 회원국간 격차를 인정하고 목표 이행의 속도차를 반영하기 위해 유럽연합이 채택한 유연한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이런 통합의 방식과 철학, 목표 등을 마지막으로 분석했다. 유럽연합의 동서 유럽 통합은 그 한계와 부작용들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남북 통합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제시한다. 서구 선진국 중심이었던 유럽연합이 중·동유럽을 껴안기 위해 장기간 전방위적인 지원과 준비 작업을 한 점, 경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이들 국가의 인프라에 꾸준히 투자했던 점, 사회적 이질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각종 정책적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 문화와 역사, 종교, 언어의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한 시도를 계속해 왔다는 점 등이 모두 그렇다. 다만 이 통합 모델이 우리에게도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려면 북한의 태도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 중·동유럽 국가들은 사회주의 붕괴 이후 체제 이행은 물론 유럽연합 가입을 위한 여러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런 자발적인 대응과 상호 협력이 통합을 진행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 중 하나였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북한 산림정책과 산림정책 환경 연구 : 신년사와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전범권 북한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북한의 산림은 약 30%이상이 황폐화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 산림 황폐화는 기후변화 차원에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북한 산림복구는 경제적인 측면이나 환경생태적인 측면에서 남북한 양측이 희망하는 것이다. 북한 산림복구를 위한 남북한 협력을 위해서는 북한 산림정책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한 이해와 그 배경이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FAO가 제시한 산림정책체계를 북한 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이것을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이 산림정책체계는 산림정책이 산림정책 수립·실행에 영향을 주는 주변의 산림정책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변화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 산림정책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인자와 그 체계내의 관계들 중 산림정책 수립·실행과 산림정책 환경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북한 산림정책 수립·실행과 산림정책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는 1950년부터 2014년까지의 신년사와 로동신문을 활용하였다. 신년사에 포함된 산림관련 내용이 북한 산림정책과 산림정책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김일성시대(1950년-1994년) 45년 동안 6회의 신년사에 치산치수 및 다락 밭 건설 등 산림관련 내용이 포함되었다. 신년사에 언급된 치산치수는 1960년대 경제림 조성정책과 연계되며 다락 밭 건설은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산림황폐화의 한 원인이 되었다. 김정일시대(1995년-2011년) 17년 동안 9회의 신년사에 국토관리차원의 산림관리 및 원림화가 포함되었다. 국토관리차원의 산림관리는 1998년 국토환경보호성의 설치와 함께 산림을 강, 하천, 도시 등과 연계한 종합적 산림관리로 이끌었고 원림화는 북한의 주요한 산림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김정은시대(2012년-2014년) 3년 동안 3회의 신년사에 포함된 원림록화 등은 김정일시대 원림화 정책과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로동신문 산림관련기사는 벌채, 임산물생산, 양묘, 산림조성, 산림관리, 초급위원회, 열성자 대회, 호소문 등 18개의 소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소주제들이 지난 60여 년 동안의 북한 산림정책을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 되었다. 북한 산림전문가들에게 설문을 통해 소주제들을 경제 분야, 환경생태 분야, 정치/동원 분야, 행정능력 분야, 적응/대처 분야로 구분하고 이것을 북한 산림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는 산림정책 환경으로 보았다. 북한 산림정책 환경은 1950년대 및 1960년대의 경우 순환식 집중채벌 등 목재생산 정책들로 이루어진 경제 분야 중심의 산림정책 환경을 나타낸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목재생산 정책들과 산림조성 및 산림관리 정책들로 구성된 경제와 환경생태 분야 간에 균형을 유지한 기간이다. 그리고 김일성시대 후반기인 1990년-1994년과 김정일시대인 1995년-2000년대는 목재생산 등 경제 분야 중심에서 산림조성 정책들이 강화된 환경생태 중심의 산림정책 환경으로 중심축이 이동한 시기로 볼 수 있다. 신년사와 로동신문의 산림관련내용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별로 북한 산림정책과 산림정책 환경을 적절히 대변해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시대별 북한 산림정책 체계를 도출하였다. 북한은 제한된 산림정책 환경을 가지며 그 중에서도 경제 분야와 환경생태 분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산림정책들이 결정되고 변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issue of North Korea’s forest deforestation has drawn international attention in the climate change dimension as more than 30% of North Korea's forests have been devastated. Both South and North Korea hope that the forest restoration of North Korea will bring positive impact on economic,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While considering these important issu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forest policy and its environment in North Korea,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forest resto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orest policy and its environment in North Korea between 1950 and 2014. FAO Forest Policy Framework was used as tool for the analysis, and the relevant data and information were mostly collected from New Year's Messages and Rodong Newspapers in North Korea. Forest-related issues being mentioned in New Year’s Messages have impact on the direction of the forest policy in North Korea. During the 45 years of Kim Il Sung's rule (1950-1994), forest-related matters were mentioned six times in his New Year’s Messages focusing particularly on forest and water con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ttic arable land. Addressing these concerns triggere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Reforestation Policy, and of the attic arable lands in the mid-1970s. During the 17-year period of Kim Jeong Il's rule (1995-2011), forest-related topics were mentioned 9 tim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orest and land management, which resulted the establishment of Wonlimhwa policy. The policy has become the major forest policy of North Korea since then. During Kim Jeong Eun (2012-2014)'s period, these issues were mentioned three times in his respective New Year's Messages, mostly with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Kim Jeong Il period. Forest policies during the period of Kim Il Sung, Kim Jeong Il, Kim Jeong Eun are well reflected in the forest-related articles published by Rodong Newspaper. The forest policy and its environment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were mostly focusing on the economic sector primarily on intensive timber production. In the 1970s and 1980s, there was an equilibrium of emphasis on both economic and environment concerns. Between 1995 and 2000s, the forest policy and its environment began to shift away from economic sector towards the environment sectors.

      • 북한 성분분류사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전혜란 북한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북한이 추진해 온 성분분류사업은 국가형성초기인 김일성정권에서부터 김정일정권까지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1980년대 전반과 그 이후로 변화의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1980년대 전반에는 성분분류정책의 기본을 유지하며 이루어졌고 그 이후부터는 ‘광폭정치론’에 의한 본인위주의 평가정책이라고 표방하면서 어느 정도 완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것은 북한이 해방 전에 명시하여 추진한 생산수단의 소유관계에 의해 분류한 계급구조가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새로운 정치적 계층분화로 볼 수 있다. 북한이 실시한 성분분류정책은 북한 사회 내의 다양한 불만세력을 억제하면서 사회통제의 기능과 체제의 안정성을 다지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적대계층으로 분류되어 처벌과 감시가 이루어진 사람들에게는 많은 불만을 주는 부정적인 기능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때문에 북한 정부는 기존의 성분분류정책을 완화하여 융통성 있는 2중책을 구사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1980년대 초까지 실시되었던 기존의 성분분류정책은 지속적인 확대·심화정책이었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는 완화되었고, 예술작품을 통해 대대적으로 선전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조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맡은 역할을 더욱 충실히 하였다. 이는 성분에 따른 평가가 아닌 실력위주의 대우를 기대한 결과였다. 하지만 기존의 성분분류는 여전히 문서에 남아있고 특정기관의 임용에 있어서는 변함없이 성분이 중요한 기준이 되었기 때문에 성분분류정책의 완화에도 제한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북한 정부의 성분완화정책은 기존의 성분분류정책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대외적인 사회주의권의 붕괴 등으로 인한 영향 그리고 1990년대 말의 대량아사로 인해 일정 부분 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북한 경제의 어려움은 정부의 배급체계를 마비시켰고 이는 주민들에게 정치적인 지위보다 경제적인 가치를 더욱 중요시 하게 하였다. 즉, 정치적 지위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는 형태로, 과거 ‘성분’중심의 계층분류에서 ‘소유’중심의 계층화로 다시 재편된 것이다. 이러한 북한 주민들의 가치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대내외적인 현실은 북한정부가 향후 더 많은 성분분류정책의 변화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North Korea began the policy of songbun or social classification system since the early stages of nation-building This system continued to prevail, passed down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regime. The changes in the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before and after the mid-1980s. Up to the mid-1980s, the songbun policy retained the original principles but from the late-1980s, it began to promote kwangpok or wide-range politics which advocated for individual evaluation, and the songbun classification began to undergo major changes. The songbun system was established before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first developed to distinguish the relations of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but the weakening of songbun suggests that the old form of songun broke down and resulted in a formation a new political social stratification from this process. North Korea’s songbun policy inhibited the forces of discontent within North Korean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produced several adverse effects. In order to cope with this phenomenon, North Korean government embarked on a flexible dual policy. Up to the early 1980s, North Korea utilized wide range of arts to propagate to its people about songbun policy and other anomalous transitional songbun policy. The changes resulted in a few positive outcomes, where many people felt motivated in their work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the preexisting documents of songbun and sentiments remained, and restrictions still applied to the present for the employment in to certain institutions. To conclude, North Korea’s transitional songbun policy went through many changes from the devastating famine in the 1990s and complete halt of food distribution system. Since then, it restructured the social classification from political to a more pragmatic ownership based class. This suggests that more changes can be expected in the future in the songbun system as more people from North Korea develop democratic consciousness, and adapt to the changing realities.

      • IOC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 승인에 관한 연구

        최진환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IOC의 DPRK NOC 승인과정을 밝히고 남북 스포츠 분단의 역사적 함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북한의 공간(公刊) 문헌과 제5대 IOC 위원장 브런디지 컬렉션 그리고 남북 및 IOC 세 주체 간의 주고받은 서신을 분석하였다. DPRK NOC 승인과정에 나타난 남북 단일팀 논쟁, 국호 논쟁, IOC의 역할, 올림픽 참가 등을 소재로 다뤘다. 본 연구 자료의 분석과 승인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북한이 DPRK NOC 승인을 받고 올림픽에 참가하기까지 IOC 내에서 다퉜던 핵심적인 논쟁은 DPRK ‘국가성’ 인정에 있었다. 이를 위해 북한은 자주와 평등 그리고 상호존중의 대외관계 원칙에 따른 사회주의 진영과 신흥독립국들의 연대를 강화하여, 국제스포츠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IOC는 내부 진영 간의 갈등은 있었으나, 평화를 추구하고 정치적 차별을 반대하는 올림픽 정신에 따라 남북 ‘단일팀’ 구성과 ‘국호’ 논쟁에 적극적 중재자의 역할을 하였다. 그 과정에 KOC는 정통성과 대표성을 끝까지 주장하였고, DPRK NOC는 평등과 자주성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IOC는 DPRK NOC의 주장을 수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한반도에 두 개의 NOC를 탄생시키며 스포츠 분단을 확정했다. DPRK NOC 승인과정에서 북한은 유엔 가입에서 ‘하나의 조선’ 원칙처럼 초기에는 ‘단일팀’ 원칙으로 대응하였으나, 국면 전환에 따른 국가 정체성과 실리를 추구하는 전략으로 선회하였다. 1972년 뮌헨 올림픽은 남북 스포츠 분단의 상징적인 대회였고, 이를 계기로 남과 북은 각각 엘리트 체육과 전문체육을 강화해갔다. This study documents the process by which the DPRK’s NOC achieved IOC recognition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South and North Sports Division. References for this study include officially published DPRK documents; the ‘Avery Brundage Collection’; and correspondence between South Korea (ROK), DPRK, and the IOC. The research focused on issu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united Korean team’, ‘naming of countries’ as well as the process of achieving IOC' recognition of the DPRK NOC.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What was mainly disputed within the IOC until the DPRK participated in the Olympics after achieving the IOC recognition was about international approval for DPRK as an independent country. In order to gain it, the DPRK strengthened Solidarity with other Socialist and emerging developing countries in accordance with DPRK’s foreign relations policy based on Independence, Equality, Friendship and Cooperatio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aking part in the international sports community. The IOC, in opposition to political discrimination and in pursuit of peace, was an active mediator in the formation of a united Korean Olympic team and naming of countries. In the process, the KOC insisted on its legitimacy and representation to the end, while the DPRK NOC strongly advocated equality and independence. The decision of the IOC to accept an independent DPRK NOC resulted in the creation of two NOCs on the Korean Peninsula, leaving a history that led to the division of sports. North Korea initially responded with the policy of ‘united Korean team’ like ‘One Korea’ while being admitted to the UN. However, as the situations changed, North Korea has turned into a strategy to pursue national identity and practicality. The division of sports o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1972 Olympics provided for both a symbolic competition as well as an opportunity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independently develop their ‘elite sport policies’ and their ‘professional sports’ policies.

      • 귀환자와 북한주민들 간의 사회적 갈등에 관한 연구

        오츠카켄지 북한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conflict between returnees from Japan and North Korean People. The study pointes out the repatriation program which North Korean regime was enforced to Koreans in Japan from December 1959. At that time, the compatriots gone over to North Korea faced social and economical difficulties so that they had chose to settle down into their homeland. They were buoyant with expectations to make a fresh life in the homeland. By succeeding in this program, North Korean regime wanted to show the socialism superiority toward all the country in the world and to take the top place in regime competition with South Korea. Without separation from the people in North Korea, the returnees from Japan successfully put down roots in North Korea. Therefore, they could lead a life with the native and thier children was also able to take some parts in school life with the children were members of native tribes. However, the comflict were slowly raised among the returnees and the native in the process of the homecoming program. They took an unfriendly attitude to each other and divided themselves into two groups even using special name. This kind of problems was based on some perceptions caused by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When the internal comflict among people came to the surface, the two leaders in North Korea, Kim Il Sung and his son and successor Kim Jung Il asserted that the people carried out the repartriation program well with the returnees for themselves. Although the two leader’s persuation, it didn’t exercise influence on that comflict. This study analyzed two main questions. One is how the two groups entered into a connection and the other is which sisuation the conflict apreared on. By focusing on the theme, it shows the character of the social unification in North Korea and also indicates another way to understand North Korean society. 1959년 12월부터 개시된 일본에서 북한으로의 귀환사업에 의해 재일교포 중 9만 3,340명이 북한에 건넜다. 그들은 당시 일본의 사회·경제상황에 어려움에 처해있었음으로 북한으로 이주해서 새롭게 시작할 삶에 대한 기대감을 가텼다. 당시 북한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주의 사회로 귀환자들의 대량유입을 성공시키는 것에는 사회주의의 우위성을 세계에 과시하며 남한과의 체제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하고자하는 목적도 있었다. 귀환사업으로 북한에 건넌 귀환자의 대부분은 한반도남부 출신자이었다. 그러나 북한당국은 처음부터 그들 귀환자자라고 사회로부터 격리하려고는 하지 않았다. 따라서 귀환자들은 북한주민과 함께 생활을 꾸려 나갔으며, 자녀 역시 북한주민의 자녀와 함께 학교를 다녔다. 그러나 귀환자와 북한주민의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 귀환사업이 시작되어서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귀환자와 북한주민은 서로를 구별하는 호칭으로 자기 집단과 구별하는 배타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귀환자는 귀환자끼리 어울리며, 북한주민들과 교제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북한주민은 귀환자를 자본주의 사상에 물든 집단으로 인식하였고, 귀환자는 북한주민을 감시와 밀고 등에 대한 의심으로 불신하고 경계했다. 이러한 갈들을 격화시킨 것이 북한당국의 계급정책이었다. 김일성과 김정일은 북한주민들에게 귀환자들과의 사업을 잘 이루기를 반복적으로 독려했지만 그러한 갈등은 해소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귀환사업에 주목하므로서 북한사회 속에서 귀환자와 북한주민이라는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을 가진 두 집단이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인가, 특히 어떤 측면에서 갈등이 생기는지를 파악해서 북한의 사회통합의 특성을 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귀환자와 그 생활에 대하여 미시적으로 접근해 북한주민과의 관계에서 북한사회의 역동성을 보는 본연구는 북한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