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자율화 정책에 대한 대학 행정직원들의 인식 연구

        방진섭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대학 자율화 정책에 대한 대학 행정직원들의 인식 연구 교육정책전공 방진섭 지도교수 오영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자율화 정책에 대한 대학 행정직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대학 자율화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실효성 있고 바람직한 대학 자율화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대학 자율화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대학 설립 및 정원운용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대학 입시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사학운영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대학 행정직원들의 대학 평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그리고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역대 정부의 대학자율화 추진내용과 성과분석에 관한 국내외 문헌을 통해 선행연구의 성과를 고찰하고, 대학 자율화의 의미와 내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자율화 정책의 수립과 운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집단으로 “국회, 정당 및 정치인”을 꼽고 있어 사회 전반의 민주화 진전에 따른 입법부의 기능과 권한이 확대·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학 자율화 정책 중 “대학 입시 정책”에 대한 요구와 불만이 가장 높아 여전히 대학 입시 문제는 가장 해결해야 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뜨거운 감자”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부의 대학설립 자율화 정책(대학설립 준칙주의 등)이 부실대학을 키웠다는 주장에 동의하고 있고, 또한 정부의 부실대학 퇴출 등 구조조정 정책에도 찬성하고 있어 정부의 책임과 함께 정부의 역할 강화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 입시에 적용하고 있는 '3불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의 정책에 찬성하고 있어 '3불 정책'의 완화 또는 폐지가 시기상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에 대해서도 찬성하는 의견이 높아 제도적인 보완 등을 통해 대학 입시의 방안으로 정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사립대학들의 자율화 정도가 높다고 생각하고 있고, 사학의 자주성 확보보다는 공공성 앙양에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 공공재로서의 교육을 중시하는 정책의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대학 평가 정책이 대학의 자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면서도 대학의 건전한 발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어 대학의 설립목적과 특성을 감안한 평가 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 학원 강사의 교육문화에 관한 사례 연구

        이창엽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학원 강사의 교육문화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정책전공 이창엽 지도교수 오영재 우리사회에서는 이러한 사교육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한편으로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고, 학원강사들의 교육에 대한 신념과 행동양식이 학생들의 지적배양과 인격수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학원강사들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원강사의 교육관, 교수활동 및 조직활동을 분석하여 학원강사의 문화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양천구 지역을 중심으로 대학입시를 목적으로 하는 재수생 종합학원 및 대입 고등부 종합학원 강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강사의 공교육에 대한 보완형 사교육을 시장에 공급하는 학원강사들은 공교육중심의 교육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교육목표와 교수 방법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보다는 현재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고 어떤 상품이 잘 팔리고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겠는가 하는 시장 원리에 더 민감하다고 해석될 수 있다. 즉, 학원사업을 통한 영리추구행위와 맞물려 학원강사들의 교육적 시각은 ‘교육상품’을 제공하는 공급자의 인식에 기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과 학부모의 공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사교육 문화와 접촉을 통해 더욱 조장될 개연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교육수요자들의 합리적인 판단과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학원의 성과급제 보수체계에서 강의시간과 강의력은 학원강사들의 임금과 직결되기 때문에 공교육 교사들에 비하여 학원강사들은 많은 양의 수업과 이를 통한 경쟁력 있는 강의력이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과 상호작용에 있어 학원강사들은 학교 교사와 같은 수직적 관계보다는 수평적 관계속에서 학생들의 교수자가 되어 학생들과 눈높이를 맞추며, 학부모와 상호작용은 철저한 고객관리 차원에서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공교육체제의 경쟁력 확보 방안과 관련하여 학교현장에 구조적인 경쟁시스템의 도입이 학생들의 교육적 필요를 충족해주는 조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학원조직 활동과 관련하여 학원강사들은 직업의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는 강사직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시장논리에 의한 강사평가와 이를 재계약에 반영하는 등의 경쟁시스템 강요는 교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동기유발을 가져오지만, 잦은 이직 가능성으로 학원조직에 대한 충성도는 낮은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학원강사들은 특정 학원으로 이동시 좋은 평판을 유지하기 위해 동료강사들과 최소한 적대의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어적인 수단적 인간관계를 지향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 재수생 학부모의 교육문화에 관한 질적연구

        강대민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재수생 학부모의 교육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정책전공 강대민 지도교수 오영재 우리나라의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은 매년 약 12만 여명의 재수생을 양산하고 있으나 재수를 하는 경우에 있어 공교육에서의 대안은 전무한 상태이다. 공교육의 부재라는 현실 속에서 재수생들이 대학입시에 실패한 후 ‘재수 학습 과정’이나 ‘추후 진로 선택 과정’에서 학부모 ‘교육문화’와 ‘역할’은 재수생의 합격당락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교육관과 자녀의 교육 지원활동을 분석하여 한국 재수생 학부모들의 문화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양천구 목동 소재 재수종합학원 재수생과 삼수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접을 통해 학부모의 ‘교육을 보는 시각’,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지원’ , ‘학원을 통한 자녀교육 지원’, ‘진학지도 활동에서 재수생 학부모 교육문화’를 탐색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보는 시각과 관련하여 한국의 재수생 학부모들은 학력사회와 학벌사회의 병폐를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교육적 성공이 사회적 성공의 관건이라고 보아 학벌사회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오히려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고착화된 대학 서열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될 것이며, 이는 재수생의 확대 재생산을 가져와 학부모와 학생들을 더욱 힘들게 만들 뿐만 아니라 지&#8228;덕&#8228;체의 전인교육을 중시하는 공교육 체제의 신뢰를 더욱 더 붕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학벌중심의 사회를 능력과 적성을 중심으로 사회적 지위가 배분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고착화된 대학 서열 체제가 해소되어야 한다. 둘째, 학원을 통한 자녀교육 지원과 관련하여 자녀의 교육적 성공을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동원해야 한다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여 가정생활이 재수생 자녀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재수 준비 기간의 대학진학을 위한 학습정보 수집 방법은 기존의 학교를 중심으로 학부모들 간의 ‘학습 정보 수집 방식’에서 탈피하여 신문, 방송, 인터넷 교육업체, 지인을 통한 학습정보뿐만 아니라 ‘대입 전형 정보’ 수집방식 등으로 다원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원을 통한 자녀교육 지원과 관련하여 재수 기간의 공교육의 부재는 재수 종합학원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학부모로 하여금 사교육에 대한 만족감과 경제적 부담을 동시에 느끼게 하고 있다. 따라서 재수생 종합학원 등에 대해 재학생 대상 보습학원에 비해 한 단계 높은 교육당국의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며 더 적극적으로 방과 후 학교형태의 수업을 재수생에게도 개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진학지도와 관련하여 재수생 학부모들은 최종적인 진학 전략에 있어서 입시컨설팅 사교육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또한, 대학에서의 전공에 대한 적성이나 소질, 미래 직업에 대한 장기적인 고려보다는 합격가능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안정 지향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출신학교를 중심으로 졸업생을 위한 입시 상담 팀을 편성하여 학생 개개인의 특기와 적성에 맞는 전공과 미래직업에 대해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제공 및 진학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 대입재수생의 교육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강병수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대입재수생의 교육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정책 전공 강병수 지도교수 오영재 우리사회에서 매년 약 12만 명에 달하는 청소년들이 해마다 대입 재수라는 경험을 하고 있으며, 대입 재수생들은 1년이라는 기간 동안 학생도 사회인도 아닌 재수생으로서의 정체감을 가지고 지내며 체계적인 공교육의 혜택에서 소외 되어 있다. 따라서 재수기간을 하나의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인식 하여 이들의 교육적 행태와 과정들을 면밀히 분석하는 총체적이고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대입 재수생 교육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준거로 재수생들의 입시제도와 사교육에 대한 인식, 학습문화, 생활문화, 진로선택 문화를 파악하고 분석한 후 하위문화로서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양천구 목동 지역과 경기도 평촌지역 지역 재수종합학원 재수생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수생의 경우 수능제도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수능제도를 재수생에게 유리한 입시제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재수기간의 공교육부재 상태는 학원을 하나의 학교로 생각할 만큼 사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재수생들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반증이며, 재수생들의 수능제도에 대한 인식은 재수생의 양산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위한 정책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과정과 방법에 있어 도구적 순응의 행태는 여전하였으나 학습과정에서 의문사항의 질문에 상당히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리고 각 대학들이 요구하는 수능영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모의고사 성적에 따라 일희일비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수능 성적에 대한 압박감에 따른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긍정적 방향의 자기암시를 강화하고 있었으며 ‘타율적 학습과정’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교육의 부재 상태에 있는 재수생에게 방과 후 학교형태의 수업을 재수생에게도 개방하는 방안과 EBS 교육방송의 콘텐츠를 다양화해 질의응답, 학습과정 멘토 프로그램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재수기간 동안 입시 실패로 인한 열등의식으로 인해 자신감 상실등의 심리적 위축과 심리적 긴장이 재수기간 내 상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수생들을 위한 개별적이고 효과적인 상담프로그램을 공교육 차원에서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재수생들의 경우 대학입시에 대한 목표와 기대가 재수를 경험하면서 현실적인 눈높이로 조정 내지 재정립되고 있었으며, 더불어 명문대학을 지향하는 뿌리 깊은 학벌주의는 “그냥 수능 성적되는 대로”의 진로 선택기준을 통해 재생산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재수생들은 장기적인 고려보다는 합격가능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안정 지향적인 태도를 보였다.

      • 숲유치원 운영사례에 관한 연구

        이성자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숲유치원 운영사례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전공 이성자 지도교수 오영재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교육의 일환으로 숲에서 자연친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숲유치원의 유형별 운영현황을 비교해 보고,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및 교사&#8228;숲해설가&#8228;학부모 등의 인식과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및 효과 등을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주기적 체험형태로 운영 중인 강촌의 숲속다람쥐학교, 홍천 삼마치 숲유치원, 서울 수락산 숲유치원과 매일반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송파구청 구립어린이집, 인천대학교 숲유치원, 숲자연체험놀이학교 등 총 6곳을 선정하여 운영형태 등을 비교해 보고,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및 교사&#8228;숲해설가&#8228;학부모 등의 면접 및 참여관찰, 전화인터뷰를 통해 숲유치원의 운영사례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인식을 알아 보았다. 그 결과, 숲유치원의 교육방식 및 운영 형태는 조금씩 다르다 하더라도 숲은 유아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호기심을 심어주고, 유아의 건강과 기쁨, 자연과 더불어 살아 가는 방법을 배우는 초록 놀이터로서 최고의 교육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주기적 체험형 숲유치원의 경우, 유아교육기관은 교육비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다는 것과 짧은 체험시간(1시간~2시간)을 최대 활용한 알찬 교육은 장점이라 할 수 있으나, 체험횟수와 자유놀이 시간 부족 등은 자연생태계 관찰의 연속성과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능동적 체험 방식을 강구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주고 있다. 또한 매일 운영하는 숲유치원의 경우, 자유놀이 중심의 능동적 체험과 날씨나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라 할 수 있으나, 학부모가 경제활동을 하는 맞벌이 부부나 저소득층의 자녀는 보낼 수 없어 자칫 소외계층이 생길 수 있는 소지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숲유치원의 교육 주체들의 인식에서 원장 및 교사의 경우, 자연생태계의 전문성 고취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교사들을 위한 ‘유아숲생태지도’ 교육과정이 신설되어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길은 열렸지만 교육수요가 없어 실행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그러므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은 교사들의 노력과 의지에 달려있다고 본다. 또한 교사들은 주입식 실내교육의 한계를 숲유치원의 자연체험 교육에서 찾고 있었으며, 숲유치원 참여기회를 마련해 준 관계기관과 프로그램 진행을 해주고 있는 숲해설가에게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었다. 숲해설가의 인식에 있어서는, 숲생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재교육&#8228;심화교육 과정과 유아의 특성이나 심리&#8228;행동발달 상황을 이해하는 유아교육 분야를 공부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제도적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아울러 숲해설가의 계약직 신분불안 해소를 위한 고용대책과 숲유치원 운영공간 확충, 프로그램 준비, 시설보완 등을 위한 재정적 지원 등도 관계기관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숲해설가들은 숲에서 매일 만나는 맑고 순수한 유아들의 즐겁고 행복해 하는 모습과 변화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힘들지만 가장 큰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학부모의 인식에 있어서는, 선행학습 등 주입식 공부와 경쟁에서 탈피하여 자연 체험의 추억을 간직하고, 자연과 함께 상생하는 법을 배워가며, 공부보다 사람이 먼저 되어야 한다는 바람직한 교육관을 가지고 아이의 자연친화 교육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주체(원장 및 교사, 숲해설가, 학부모)들이 인식한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에 있어, 유아들은 숲에서 만나는 모든 자연생태계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집중하며 관찰하고, 살아 있는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살아가기 위한 먹이사슬의 관계성에서 생존전략을 이해하며, 서로 양보하고 배려하는 마음에서 사회성 발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숲속의 자연을 이용한 많은 움직임은 신체조절 능력과 동작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자연을 통한 유아의 오감체험은 감성과 인지&#8228;정서&#8228;언어발달을 이루는 가운데, 유아기 때 형성된 자연친화력과 환경보존 태도 등은 유아가 살아가는 동안 전 생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데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숲유치원에서 나타난 교육적 효과에 있어서는, 유아들은 숲 체험 후 실내교육에서 뛰어난 집중력을 보이며, 표정도 밝아지고 긍정적 마인드를 형성하며 감정 조절 능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숲에서 습득한 자연생태 지식은 유아의 자신감과 자기 표현력을 높여 주고 햇빛과 바람, 아름다운 자연이 주는 혜택으로 유아는 정신적&#8228;육체적으로 건강해지며 자연친화적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숲유치원 가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며, 실내교육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것들을 숲유치원의 자연체험 교육에서 찾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아들은 자연에서 뛰어 놀았던 추억과 감성으로 성인이 되어 다시 숲으로 돌아가게 될 때, 아련한 숲유치원의 추억을 다시 떠올리게 될 것이다.

      • 대입수험생의 재수 결정 제도적 동기에 관한 사례연구

        심행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대입수험생 재수 결정의 제도적 동기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정책전공 심행천 지도교수 오영재 학력지상주의가 팽배해 있는 우리 사회의 현행 대학 입시 제도는 치열한 학업 및 입시 전쟁으로 인해 매년 약 12만 여명의 재수생들을 양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재수생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을 밝혀낼 수 있는 ‘왜 재수생 집단은 양산되는가?’ 라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수생발생의 원인을 입시제도라는 교육내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대입수험생의 재수 결정의 제도적 동기를 연구하여 재수생 발생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입시 제도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재직 중인 서울 양천구 목동 소재 재수종합 J학원에서 담임을 맡아 지도하고 있는 학생들 중 12명의 재수생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접을 통해 입시 제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수시&#8228;정시모집에서 내신, 수능, 대학별고사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대입수험생 재수 결정의 제도적 동기를 탐색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은 자주 변화하는 입시정책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고, 입시제도 변화를 재수의 당위성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입시 방법의 다원화에 따른 과도한 학습 부담, 수시로 변하는 입시정책에 대한 적절한 대응 부족, 입시 전략에 대한 정보 부재로 인해 입시 정책 자체가 재수생 발생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교육 정책에 대한 수험생들의 신뢰가 뒷받침이 되어 고교 3년간의 장기적인 계획으로 입시에 임할 수 있도록 입시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절실하다고 본다. 둘째, 수시 모집에서 고1, 2 기간의 내신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경우 고3 시기에 노력만으로 낮은 내신 성적의 극복이 어려워 논술과 인 · 적성과 같은 특정 영역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나타났으며 궁극적으로 재수를 선택하게 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수능최저등급제 또한 대학들의 학교 내신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주요한 입시 변수가 되면서 재수 결정의 동기로 작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원화된 입시 정책과 학교 교육의 유기적 연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수능 반영 비율이 높은 정시모집에서는 재학생의 경우 경쟁력의 약하여 높은 수능 반영 비율이 재수를 선택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내신 전형요소의 경우 내신성적이 우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 모두 내신의 실질 영향력 약화가 재수 선택의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비교내신제는 특목고 출신 특혜 논란과 함께 특목고 출신 졸업생들과 내신에 부담을 느꼈던 일반고 출신 졸업생의 경우도 재수와 삼수를 선택하게 되는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 했다.

      • New 사내 경영컨설팅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업교육의 성과에 관한 사례 연구

        양혜정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많은 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의 업무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기업 간, 동료 간 치열한 경쟁이 계속되는 환경에서 스스로를 통제하고 주인의식을 가지며 자신의 업무에 전문성을 가지고 업무역량을 높여 나가는 것은 기업이 바라는 우수한 인재가 가져야 할 핵심 자질이며, 기업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화두가 되고 있는 직원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New 사내 경영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성과를 본 연구에서 검증하게 하였다. 이를 위해 사내 경영컨설팅의 개념, 구성요인,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New 사내 경영컨설팅 프로그램의 단계는 대상 선정, 팩트 분석, 오리엔테이션, 인터뷰, 분석 및 처방, 챌린지캠프, 컨설팅 결과보고, 이행지원/성과관리(총 8단계)로 구성하였다. 대상선정은 top-down방식과 bottom-up방식(New 사내 경영컨설팅 프로그램 요구수용)을 병행하여 컨설팅 대상 선정기준에 따라 진행하였다. 팩트(fact)분석은 컨설팅 대상 기관의 사업현황 및 실적자료를 토대로 진행하였다. 오리엔테이션은 컨설팅 대상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사내 경영컨설팅 관련 설명회 및 의견수렴의 내용으로 진행하였으며, 인터뷰는 오리엔테이션 대상 기관의 전 직원 대상으로 사전에 준비된 질문 리스트를 기본으로 하여 사업현황, 활동수준, 조직문화 관련 내용으로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및 처방은 인터뷰 설문 결과 및 진단 결과를 심층 분석하여 대상 기관의 특성에 적합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진행하였다. 챌린지캠프는 대상 기관 별 적정 참석인원을 배정하여 팩트(fact)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대상 기관에 특화된 개선방안을 공유하여 새로운 출발과 도전을 다짐하는 마인드 셋업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였다. 컨설팅 결과보고는 지금까지 진행된 사내 경영컨설팅 진행결과를 공유하고 진행상 개선 사항이나 추가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를 보강하고, 해당 기관장과 팀장에게만 컨설팅 및 인터뷰 결과 세부내용을 공유하여 추후 사업추진의 방향성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행지원/성과관리는 해당 기관 별 진행된 컨설팅 사항(개선사항, 문제점 해결방안 등)에 대하여 프로세스를 정립/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진행하였다. 그래서 실제 기업의 경영성과에 기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향후 실제 기업교육현장에 적용되어 각 현장에 맞도록 최적화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기업들이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외 전문 컨설팅업체에게 고가의 컨설팅 수임료를 지급하고 중·장기적 프로젝트가 끝나고 나면 궁극적으로 컨설팅 업체에서 제공한 솔루션을 해당 기업의 환경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은 컨설팅업체가 아니라 해당 기업의 숙제로 남아있어 실제적으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 직접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맹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내에 최적화된 경영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내에 직접 적용하여 경영성과의 결과를 Quick Fix로 도출할 수 있는 기업교육의 형태로 사내 경영컨설팅을 새롭게 설계하였다. 그러므로 연구를 통해 기업에서는 직접 기업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함으로써, 새로운 기업교육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초등학교 저학년 독서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박정연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독서교육의 역할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 시기의 아동에게 적합한 독서교육 계획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학습과정과 상호작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일본의 독서교육을 비교․ 검토하여 현재 독서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은 문식성과 인성 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의 인성과 학업성취는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아동들은 교육내용과 자신의 배경지식을 관련지어 학습하며 독서를 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익숙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창의적 사고능력의 발달을 지향하는 지식정보사회의 독서교육에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적 특성을 반영하여 문식성과 인성발달에 중점을 두는 독서교육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개발과정은 Tyler(1949)의 교수개발모형과 Molenda, Pershing & Reigeluth(1996)의 ADDIE모형을 참고하였고 내용의 전개에는 독해전략중심 독서교육모형인 통합읽기모형, 총체적 언어학습모형, 개별화 읽기모형, 구조화된 언어접근 모형, 쓰기학습모형을 적용하였다. 차시마다 총 4회의 수업으로 구성되며 독서과정을 중심으로 1회는 선행학습과 배경지식의 활성화, 2회는 독해와 이해, 3회는 자율 독서, 4회는 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응용력을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독서교육은 학교적응을 비롯한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발달적 특성이 반영된 체계적인 계획과 지속적인 실천이 수반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on developmental feature of the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role of reading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analyzed children's characteristic and compared our reading education with foreign country by referring to literatures and precedent studies on reading education. and develop the lesson plans that improve reading education issues. Through study, find out the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is in the crucial period to language acquisition and character develops. and school achievement is in complementary relations with personality. Also children in this period learn educational contents from background knowledge. and accustomed to acquire new knowledge by reading. The lesson plans of this study that focused on literacy and character's develops is based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which is an objective that reading education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developmental feature of the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development process is based on Tyler(1949)'s teaching learning model and Molenda, Pershing & Reigeluth(1996)'s ADDIE model. and to develop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apply Four Blocks, Whole-Language, Individualized Reading,Patterned Language Approach, Author-Reader-Inquirer Cycle of the strategy of reading education. Every instruction is composed of 4 steps. the 1 step is for prerequisite learning and background knowledge activation, 2 step is for reading and understanding, 3 step is for self-regulating reading, 4 step is for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bility. The reading education is significant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would have great effect on school life include adoption to school. Therefore should be combined with systematic plan for developmental feature and continuous education.

      • 프로야구 프론트 서비스 교육이 구단이미지와 충성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육정책 전공 박선희 본 연구는 프로야구 프론트 서비스 교육이 구단이미지와 충성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프로야구 구단 롯데, 한화, KIA, NEXEN, SK의 5개 구단의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11일부터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 프론트 서비스 교육이 구단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강의자질, 참가자태도, 교육내용이 구단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프로야구 프론트 서비스 교육이 구단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강의자질, 참가자태도, 교육내용, 시설환경이 구단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구단이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먼저 내재적 만족에 있어 구단이미지는 내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외재적 만족에 있어서도 구단이미지는 외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구단충성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먼저 내재적 만족에 있어 구단충성도는 내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외재적 만족에 있어서도 구단충성도는 외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야구 프론트 서비스 교육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먼저 내재적 만족에 있어 강의자질, 참가자태도, 교육내용이 내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외재적 만족에 있어 강의자질, 참가자태도, 교육내용이 외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전체적인 연구결과 프로야구 프론트 서비스 교육이 구단이미지 및 충성도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입증시켜 주었다. 즉, 수준 높은 교육내용과 참신한 강사진의 구성으로 새로운 지식과 이론을 접목한 서비스 교육이 제공될 때 참가자 또한 높은 열의를 갖고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교육은 긍정적인 구단이미지와 충성도로 이어져 종국적으로는 내외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제임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대학 교육과정과 자격제도의 연계에 대한 인식 연구 : 문서실무사 교육과정 수강생을 중심으로

        유윤석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과정과 자격 제도와의 연계에 대한 연구 대상자들의 인식을 밝히고, 그것들이 어떤 작용 속에서 상호 필요성을 나타내는지 연구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들이 자격과 연계한 대학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교육의 수준과 만족도, 자격 취득 후의 효과 또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미국, 일본, 영국, 호주의 사례를 참고하여 교육과 자격제도와의 연계성이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대전·경남 지역에 재학 중인 2년제 및 4년제 대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카이자승연관도 검사(Chi-square test of goodness-of-fit)를 실시하여, 각 항목별 인식의 차이와 문항의 응답범주별 빈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들 중 84.2%가 자격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76.1%가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것에 대하여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들의 상당수가 자격증 취득 및 이를 위한 정규교육과정의 편성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다. 3.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취업을 목표로 스펙을 쌓기 위하여 취업의 8대 스펙 중 하나인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학교 교육 외에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연계 교육과정이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들이 졸업 전까지 취득하고 싶은 자격증의 개수는 3개에서 4개 이상으로 많은 자격증을 취득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 대상자들의 자격과 연계한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66.2%가 만족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과 자격의 연계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으로는 컴퓨터 분야와 전공 분야에 대한 반응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연구 대상자 중 70.7%가 자격증 취득이 학업 성취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63.9%가 학점을 취득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61.3%가 상위 교육기관 및 입학 · 편입 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7. 연구 대상자들의 71.2%가 자격증 취득이 관련 분야의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며, 자격증 취득 후 직장생활에서 도움이 된다는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연구 대상자들 75.6%가 자격 취득으로 전문성 향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68.9%자격증 취득으로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