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지식경영적 해석

        홍애자 추계예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지식경영순환 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인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은 문화예술 경험 기회를 넓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분석 및 해석 과정은 이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공 복지적 목적과 목표들을 가지게 된다. 이에 프로그램의 성공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과정이 요청되며,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복지차원에서 기획할 수 있도록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 경험분석에 사용된 분석기준은 문화예술의 가치 및 특성, 기능을 적용한 복지프로그램의 품질・과정・효과성이었다. 분석결과는 지식경영활동에 따른 순환요소, 지식생산, 지식저장, 지식공유, 지식활용 등의 프로세스에 따라 해석하였다.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경험자들의 경험분석을 바탕으로 적절한 의미를 도출하고, 경험들에 대하여 질적인 분석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진행을 거치면서 사례연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경험이 갖는 적절한 의미를 도출해 냈다. 이 연구에서는 8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연구 참여자 1인당 2~4회 실시하였다.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은 그 성격, 목적, 내용 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수혜자들의 감성욕구와 더불어 지적욕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간들이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대상을 충분히 알고 경험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와 관련된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을 어떻게 공동체에 제공하는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경험분석과 함께 지식순환을 기초로 하는 지식경영활동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 진행을 관찰해야 한다. 아울러 각 개인이 경험한 지식의 경험을 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예술프로그램과 개인의 경험에 대한 지식경영적 분석과 해석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바탕에서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을 개인경험을 토대로 질적 연구와 지식 경영 순환 활동에 따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이 연구를 거쳐서 도출된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자들은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 진행 인력들이 전문적이며,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과 과정에 대해서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경험자들은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의 우수한 품질 및 진행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인지적 · 정서적으로 공감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셋째, 지식 경영적 해석에서는 발견하고 획득 · 창조된 생산된 지식, 그 지식의 수용・조직화를 거쳐 저장되고, 다시 지식들이 전이・소통되어 공유되고 어떻게 적용되어 활용되느냐를 밝힐 수 있었다. 또 본 연구 진행 과정에서 참여 경험자들의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지식경영 순환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도출되었다. 첫째, 경험자들이 지식생산에 대해 창조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잘 짜여 진 계획에 의한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경험자들은 다양한 문화의 이해와 세대 간 문화차이가 해소되는 지식을 획득・창조하고 있었다. 경험자들은 지식저장 과정에서는 상상력의 자극을 통해 자유로운 사고와 영화수용에 관한 자부심 및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경험하였다. 둘째, 경험자들은 지식공유 과정에서 상호간 심리적 전이, 소통이 가능했으며 따라서 정신적 포만감을 바탕으로 칭찬과 상대에 대한 존중 및 공감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지식 활용의 측면에서 경험자들은 공존·공생의 지혜, 카타르시스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경험하였고, 감동적인 즐거움과 감성이 회복되고 고양됨을 경험하였다. 셋째, 경험자들은 일련의 경험을 공유하고, 공감・활용・적용・해석을 위해 새로운 지적내용을 창출하고 구조화할 수 있는 실천적 커뮤니티(CoP)를 형성해 나갈 능력을 배양하고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시 말하면, 참여자들이 지적인 정도에 따라 프로그램 수용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비 큐레이터에 의한 수준 있는 작품선정과 인문학적 해설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했음을 파악했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의 구성과 확장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파악하였다. 첫째, 연구자가 수행했던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경험분석은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의 지식가치를 확인하고 보다 확산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향유자인 시민들은 정서적 즐거움과 함께 자기발전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하는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을 요구한다. 따라서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 담당자들은 경험자들의 변화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지식경영 활동의 다양한 요소들로 해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복지프로그램이 추구하는 공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with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and apply the theory of knowledge management circulation for the interpretation. The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considered in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ning the experience with culture and ar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process of evalua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 is dedicated to achieving these goals for public welfare and goals. It requires a process of evaluation to determine whether a program has succeeded, and the topics of study were selected to plan culture and arts programs in terms of welfare. This study considered as the standards of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experience with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and the quality,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welfare programs that apply fun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irculatory factors, knowledge productio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application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evaluation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derived valid meanings based on the analysis of experience and studied the experienc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rough this proces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case studies was applied to derive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participants. This study selected eight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2-4 times between November 2014 and June 2015. In order to pursue the purpose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eneficiaries' intellectual desire in addition to their emotional desire. One needs to know and experience a subject matter sufficiently in order to satisfy the intellectual desir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as to how to provide the relevant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to a commun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process based on the circulation of knowledge,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experience with programs, to observe the progress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Also,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experience of knowledge experienced by each individual. However, there has not been almost any study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and arts programs and individual experiences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approach.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through qualitative studies and knowledge management circulation activities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at the staff members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were professional and that the qualitative level and process of programs were outstand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stantly sympathized with the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both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in regards to their outstanding quality and progress. Third, interpretation in terms of knowledge management clarified that the knowledge that has been discovered, acquired and created is stored through acceptance and organization and how the knowledge is transmitted, communicated, and applie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participants were thinking about the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based on the theory of knowledge management circulation to derive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approaching knowledge production in a creative manner and receiving programs based on a well-organized plan. By doing so, they were acquiring and creating knowledge that bridges the divide in cultural understanding and cultural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the process of knowledge storage, they experienced liberal thinking by stimulating imagination, pride in acceptance of movies, and structural problem-solving. Second, in the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psychologically transfer and communicate knowledge to be able to expand the capacity to compliment based on mental fulfillment and respect and sympathize with others. In terms of knowledge application, they experienced the wisdom and catharsis of coexistence and the enhancement of impressive pleasure and recovery of emotions. Third, the participants shared a series of experience and nurtured the ability to form a community of practice (CoP) to create and structuralize new intellectual contents for empathy, us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had a few implications. In other words, the acceptance of programs vary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intellectual level.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ograms were selected through movie curators' selection of quality pieces and interpretation in terms of humanities. This study suggested new ideas for the composition and expansion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analysis of experience with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to identify and extend the knowledge value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Also, there should be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that allows the people, the beneficiaries, to enjoy emotional amusement and realize the meaning and value of self-development. Therefore, the administrators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should closely analyze the changes of participants, analyze the results with various element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serve as a bridge toward the common goals pursued by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Second, my analysis of knowledge circulation process of culture and arts welfare programs as a par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process can further expand the function of culture and arts through welfare programs. Eventua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특성과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두드리자! 다함께 타카타카!>를 중심으로

        엄유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연계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연계프로그램의 현황과 실제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대구지역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 연계프로그램으로 선정된 <두드리자! 다함께 타카타카!>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특성과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특성의 분석 기준은 자발성, 참여성, 집중성, 다양성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문화예술교육 효과를 인격 함양 및 삶의 질 향상, 창의성 제고, 의사소통 능력 강화, 문화적 정체성 강화, 문화수용성 제고, 문화예술 향유 기회의 확대로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프로그램 운영자인 교수자 5인을 선정하여 질문지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인 자발성과 참여성은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능력과 자기 주도적인 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인 집중성과 다양성은 청소년들의 관찰력을 제고시키며 스스로의 성찰과 반성적인 사고의 태도를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었으며 개방적인 사고와 함께 상호 존중의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들의 창의성 계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영향을 주며 스스로 목표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 의사소통의 역량을 키워주었으며 자신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개개인의 정서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예술교육으로 자신의 시간을 보내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청소년들은 현재와 미래의 잠재 관객이 될 가능성이 보였으며 지속적인 예술교육을 통하여 예술을 소비할 수 있는 미래 예술참여자를 육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두드리자! 다함께 타카타카!> 프로그램을 현장감 있고 실제적인 운영을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들은 수업 초반에 파트를 나누어 개인연습과 파트 연습을 진행하여 청소년들과 관계를 맺어가며 빠르고 친밀한 라포형성이 되었고, 전체적으로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섬세하게 진행하여 청소년들 이 함께 쉬고 이야기를 나누는 경험이 넓어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수자들은 학습자 한명 한명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수자들이 서로 공유하여 어려움 없이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좋은 분위기 속에서 청소년들이 더 즐겁게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지역연계 프로그램이지만 교육 프로그램이 선정되고 진행될 때 꿈다락의 목적에 걸 맞는 완성도 높은 커리큘럼을 위하여 교지역 문화재단의 섬세한 교육적 피드백 강화해야 한다. 넷째, 모든 차시의 수업의 목표와 방향성이 결과발표회로 맞추어져 있어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기술적인 부분이 더 필요하여 악보를 분석하고 음악을 들으며 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배려하여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들은 외부적인 영향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 하며 대화를 통하여 부모님께서 꿈다락의 부정적 시각에도 참여하려는 학생이 있어 부모님과의 대화시간을 마련하여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시간을 여유 있게 가질 수 있도록 드러나는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진행되는 연주회 모습이 창의적인 결과발표회를 개발하고 계획하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은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으로 받아 드리며 즐겁게 참여하여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향후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통하여 자신의 토요일에 여가시간이 의미 있고 예술교육에 대한 의미와 효과성에 대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을 변화를 위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과 예술적 체험을 통한 청소년의 자기개발에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이 프로그램에 참여자는 교수자이며 방과 후 수업의 학생들에게 홍보하여 꿈다락을 알고 지원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문화재단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홍보와 대상을 직접 찾아갈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개선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연계프로그램은 다양한 참여자들이 예술교육을 경험한 사례를 늘리고 예술교육의 효과와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case is about the operation of a regional linkage program for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a cultural art education for adolescents. Youth Cultural Art Education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goal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operation cases of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This study selected <Let‘s knock, Takataka!> that was selected as a regional linkage program for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in Daegu in 2021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ultural art education.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rt education were set as spontaneity,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diversity. Furthermore,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as personality improvement, enhancement of life quality, improvement of creativity, enforc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identity, enhancement of cultural accommodation, expansion of the chances to enjoy cultural art regarding the effects of youth cultural art education. The five instructors who were the program operato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o conduct a questionnaire interview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spontaneity and particip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rt education, help adolescents maximize their independent and self-directed abilities. Second, it was analyzed that concentration and divers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rt education, helped adolescents improve their observation, enable their own reflection and reflective attitude of thinking, and help them have an attitude of mutual respect with open thinking. Third, it was analyzed that cultural art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creativity, influenced establishing their identity, and allowed them to set goals on their own. Fourth, cultural art education has developed adolescent communication skills and increases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nvey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ifth, individual emotional changes were made through 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spending their time with art education and felt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improving. Sixth, th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ultural art education were likely to become potential audiences in the present and future, and are contributing to fostering future art participants who can consume art through continuous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Let‘s knock, Takataka!>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alistic and practical ope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s divided the part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conducted individual practice and part practice to form fast and intimate relationships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adolesc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resting and talking together was expanding by delicately conducting classes in a pleasant atmosphere as a whole. Second, the instructors shoul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er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adolescents to participate more pleasantly in a good atmosphere in which the instructors can share them with each other to help them learn without difficulties. Third,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is a regional linkage program, but when the educational program is selected and carried out, delicate educational feedbacks from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a high-quality curriculum suitable for the purpose of KKumdarak. Fourth, since the goals and directions of all lessons are orientated to the result presentation, more technical parts are needed to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sufficient time to analyze the sheet and listen to music for storytelling should be considered. Fifth, adolescent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due to external influences, and there are students whose parents want to participate in the negative view of Kkumdarak through dialogue, so they should expand their opportunities by providing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parents. Sixth, even though it is a program that allows adolescents to focus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vealed results so that they can have time leisurely, the ongoing concert should provide a way to develop and plan creative result presentatio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s future research tasks as follows so that adolescents can positively accept cultural art education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analysis that finds the meaning of life by participating joyfully. First, through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lay a central role in adolescent self-development through national policy support and artistic experienc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about the significances and effects of art education through experiencing the significant leisure time on Saturday through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Second,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are instructors and the program promotes after-school classes to advertise and support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should actively promote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s regional linkage program and improve practical ways to find the subjects. Third, as for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s regional linkage program, research on learning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various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art education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value of art education.

      • 미디어파사드 특성이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관람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철수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e modern society, the pattern of human life is changing from immersion in one’s work to putting emphasis on leisure culture activities and enhancing human values. A cultural art space has been converted into a place for creation of cultural arts using digital contents and consumption of digital cultural products to play various spatial roles. A media facade gives a deep impression about the artworks in a short time and an opportunity to approach and understand cultural arts with effect in a place of exhibition and performance of cultural arts. Media facade means the digital contents that accord the essence of visual expression, and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that bring about a new change in cultural paradigm through the universal value of arts by people-oriented communic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accelerate researches on the use of cultural arts contents which can increase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by drawing a new paradigm of cultural arts with media facade and grasping the positive effects of various cultural activities conducted with media fa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s that can increas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of consumers using media facade and suggest the methods of application of digital heritage so that media facade could create and accord the cultural and economic values of the digital contents produced by the interface among man, culture and machine.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way how to establish a digital platform which can operate and execute the digital contents produced by cultural convergence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how to introduce 4D works, holography, new media hyper facade, new media performance, tangible contents, etc. for effective use of the cultural arts industr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performed for attainment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spectator motivation of visiting a cultural art space for each sample characteristic; emotional motivation differed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and symbolic motivation differed by gender and age. Meanwhile, relational motivation did not differ by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income. Secon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est of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facade on a cultural art space, spatial characteristic was partially adopted as it had influence only on symbolic motiva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 was adopted as it had influence on emotional motivation, symbolic motivation and relational motivation. Meanwhile, medium characteristic was partially adopted as it had influence on symbolic motivation and relational motivation. Thir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est of the influence of the spectator motivation of the cultural art space on space preference, emotional motivation, symbolic motivation and relational motivation were adopted as they had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space preference and revisit. Emotional motivation and relational motivation were adopted partially as then had influence on recommend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of spectator motivation in the influenc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media facade on a cultural art space, emotional motivation, symbolic motivation and relational motiva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 and revisit respectively.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propos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space of media facade needs to prepare a method of use of interactive video contents which can promptly provide consumers with better accessibility to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nd the roa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educational facilities for convenient use of the information. Second, the media facade must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space for cultural communication and it is needed to develop a connected media facade, a wireless network system such as wireless LAN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ata system such as an optical wireless network which can transmit massive information to make consumers the main agents of artistic work activ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 Third, excessive commercial operation, disorderly display of light, simple images, etc. make a space irrelevant to arts which causes light pollution and leads to social problems. In relation to this,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Light Pollution due to Artificial Lighting limits the lux and brightness(cd/㎡) of lighting, bu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efficient method of operation of light based on color temperature, color rendition, continuity, lumen, etc. to realize high-quality works. Fourth, the convergent activities of digital devices and cultural arts must be converted to digilog works which could create a sp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generate local culture and feeling with a creative space of cultural arts, and enhance the value of the cultural arts industry using cultural resources that become the materials for symboliz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alize digital heritage which can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digital contents so that writers, artists, producers, engineers, etc. could develop creative and high-quality media facade works through mutual cooperation. Moreover, interface contents using digital technology need to be provided so that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attributes could interact effectively with other objects through realization of the universal value of cultural arts by recognizing the unique way of living of other users and respecting cultural diversity. Fifth, in the modern society, creative spaces have been formed with digital devices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e related with cultural and economic values by the intera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cultural arts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ltural technologies such as kinetic lights, interactive media, ceramic speaker, etc. using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technical solution for convergence with media using the figure input and output devices such as light pen and display, optical scanner technology used for treatment of image information, and the action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hardware for image conver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visual activities of the media facade and strengthen people-oriented cultural communication. Moreover, a media platform must be established for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of the system and data, the foundation for the digital service, to transmit and share the information using the contents of culture, arts, humanities, science, technology, etc. created through mutual interaction. Sixth, cultural conten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differentiated contents through efficient collaboration of different genres of orchestra, play, dance, musical, etc.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pagate convergence contents such as new media performance. In addition, 3D images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have been realized and now it is necessary to popularize emotional media contents such as 4D images, holography, and new media hyper facade that can be felt actually through arts, technologies and techniques. Moreover, regarding digital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to suggest future-oriented directions of culture, economy and industry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develop and propagate tangible digital contents that can be used for real-time two-way communication. This study performed an on-site cas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facade and conducted a survey with ordinary people regarding media facad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tasks of the future which will have to be performed for complement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irst, for professional examination of the field which has not been don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elect research participants among field workers or researchers and carry out researches using the methods of in-depth interview, etc. Seco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tinuous follow-up researches systematically on the areas dealt with in this study including the tangible digital contents of media facade, convergence of holography, etc. with advanced technologies,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genres, and various areas of professional technologies. Third, to complement the narrow range of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in each category including workers, artists, on-site specialists and the academic world for empirical follow-up researches as well as the researches that can activate the function of a cultural art space. 현대사회는 과업에 몰입하던 삶이 인간의 가치를 통한 여가문화 활동을 중시하는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문화예술공간은 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예술을 창조하고 디지털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장소로 전환되어 공간의 역할도 다양화되고 있다. 미디어파사드는 문화공간의 전시와 공연장소에서 짧은 시간에 작품에 대한 깊은 인상을 심어 주고 문화예술을 감명 깊게 다가 가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파사드는 시각적 표현의 본질을 부여하는 디지털콘텐츠로 인간 중심의 소통으로 예술의 보편적 가치를 통한 새로운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파사드를 활용한 문화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출하고, 다양한 문화 활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경제적·문화적 가 치상승 효과를 부여하는 문화예술의 콘텐츠 활용의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파사드를 활용한 소비자의 다양한 문화 활동을 높 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미디어파사드가 인간, 문화, 기계 간의 인터페이 스로 생산된 디지털콘텐츠의 문화경제 가치를 창출하고 부여할 수 있는 디지 털 헤리티지(digital heritage)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정보통신 기술과 문화적 융·복합으로 생산된 디지털콘텐츠를 운영하고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의 구축 방안과 문화예술산업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4D, 홀로그래피, 뉴미디어 하이퍼 파사드, 뉴미디어 퍼포먼스, 실감형 콘텐츠 등의 도입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설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공간의 관람동기에 대한 표본특성별 차이 분석은 감성적 동 기는 성별, 연령, 직업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징적 동기는 성별, 연령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계적 동기는 결혼상태, 교육수준, 월 소득 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미디어파사드 특성이 문화예술공간의 관람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가 설 검정한 결과 공간적 특성은 상징적 동기에게만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분 채택되었으며, 디자인적 특성은 감성적 동기, 상징적 동기, 관계적 동기에 영 향을 미치고 있어 채택되었다. 그리고 매체적 특성은 상징적 동기, 관계적 동 기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문화예술공간의 관람동기가 공간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 검정 결과 감성적 동기, 상징적 동기, 관계적 동기는 공간선호도의 만족과 재관람 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채택되었다. 그리고 감성적 동기와 관계적 동기가 추 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분 채택되었다. 넷째, 미디어파사드의 공간적 특성이 문화예술공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람동기의 매개효과를 가설 검정한 결과 감성적 동기, 상징적 동기, 관계적 동기가 만족과 추천 그리고 재관람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 로 각각 나타났다. 그리고 감성적 동기, 상징적 동기, 관계적 동기가 만족 과 추천 그리고 재관람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감성적 동기, 상징적 동기, 관계적 동기가 만족과 추천 그리고 재관 람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파사드의 공간은 소비자의 다양한 문화 활동을 높일 수 있는 접근성과 정보이용에 편리한 도로 정보, 교육시설 정보 등을 즉각적으로 제공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영상콘텐츠의 활용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미디어파사드는 문화적 소통의 공간으로써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 어야 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가 작품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커넥티드(connected) 미디어파사드, 무선랜이나 이동통신망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광무선 네트워크 등의 데이터 시스 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상업적으로 과도한 운영, 무질서한 빛의 표출, 단순한 이미지 등 예 술과는 무관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빛 공해가 발생하여 사회적 문제를 일 으키고 있다. 이에 대한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은 룩스(lux)와 휘도 (cd/㎡)로 제한하고 있으나, 질적 수준의 작품을 구현하기 위한 색온도, 연색 성, 연속성, 루멘(lumen) 등의 효율적인 빛 운영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디지털과 문화예술의 융합적 활동은 문화적 소통의 공간을 창조하고 문화예술의 창의적 공간으로 지역의 문화와 향수를 느낄 수 있고 상징화의 재료가 되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 산업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디 지로그(digilog) 작품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디어파사드의 작품개 발은 작가, 예술가, 연출가, 엔지니어 등의 협력으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질 적 수준이 보장된 작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디지털콘텐츠의 지적 재산권을 보장할 수 있는 디지털 헤리티지(digital heritage)가 실현되어야 한 다. 또한, 인간은 서로 다른 문화적 속성으로 사용자 간 문화적 고유한 삶의 방식을 인정하고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여 문화예술의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통해 다른 객체와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인터페이스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디지털을 이용한 창의적인 공간이 형성되고, 정보통신기술(ICT)과 문화예술의 상호작용으로 문화경제 가치에 관계를 맺고 있어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키네틱 라이트(kinetic lights), 인터 랙티브 미디어, 세라믹 스피커 등의 문화기술을 개발하여야 한다. 그리고 미 디어파사드의 시각적 활동을 극대화하고 인간 중심의 문화적 소통을 강화하 기 위한 라이트펜, 디스플레이 등의 도형 입출력 장치와 이미지 정보를 처리 하는 광학 스캐너의 기술과 이미지 변환에서 하드웨어에 동작 명령을 주는 커맨드를 활용한 미디어 매체와 융합하는 기술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 한, 문화, 예술, 인문학, 과학, 기술 등의 상호작용으로 창작된 콘텐츠를 이용한 정보전달과 공유하는 디지털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과 데이 터가 선순환되는 미디어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문화콘텐츠는 4차산업 시대에 오페라, 오케스트라, 연극, 무용, 뮤 지컬 등의 장르 간 효율적인 협업을 통하여 차별화된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 어, 뉴미디어 퍼포먼스 등의 융·복합적인 콘텐츠를 개발·보급하여야 한다. 그 리고 가상증강현실 등의 3차원 입체 영상을 실현하고 있어 예술, 기술, 기법 등을 통해 실감할 수 있는 4차원 입체 영상, 홀로그래피(holography), 뉴미디 어 하이퍼 파사드 등의 감성적인 미디어 콘텐츠의 대중화를 실현하여야 한다. 또한, 디지털 문화콘텐츠는 실시간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화·경제·산업의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실시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실감형 콘텐츠 등을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미디어파사드 특성에 관한 현장 사례연구와 미디어파사드를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현장성에 대한 전문화를 위하여 현장에서 근무하거나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 등의 방 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미디어파사드의 디지털 실감형 콘텐츠, 홀로그래피 등과 첨단기술과의 융복합, 장르 간 협업과 다양한 전문기술 분야에 대한 체계적 인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선정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사자, 예술창작자, 현장전문가, 학계 등을 포함하여 권역별로 연구대상을 확대한 후 속 실증적 연구와 문화예술공간의 기능을 활성화할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미술품 구매 목적에 따른 미술소비자 유형에 관한 연구

        정영숙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Characteristics of artworks are different from other functional products. Artworks are experiential good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a separately study needs to be conducted on consumption typ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rtworks. In addition, a positive attitude is required on them. Since art consumers are the grounds on which artworks can be acknowledged for their values and existence, studies on art consumers must be carried out in depth with consideration on the specificity of art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rt consumers into art-oriented, investment-oriented, decoration-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type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demand for artwork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urchasing artworks, artists, places of transaction and policies as components of the arts market, and to suggest a means for professionalization of the arts market. Theoretical study and survey we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rt consumers deduced from preceding studies, 400 subjects including 200 customers who purchase artworks and 200 potential custom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on the difference in components of the arts market according to types of art consume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factors.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tems under purchasing purpose of each factor of the arts market. Factor rotation was made to converge by repeated calculations using VariMax with Kaiser normalization. Duncan's test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 between groups.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 result obtained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components of the arts market preferred by art consumer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purchasing. Various promotions are needed to provide segmented information for investment-oriented consumers who prefer Western paintings and figurative art. In terms of artworks, artists must provide segmented information and link it with relationship marketing for investment-oriented and relation-oriented consumers who prefer professional artists. In terms of place of transaction, the role of gallerists who provide bidding information for investment-oriented and relation-oriented consumers and construct close relationship with artists stood out as important. In terms of policy, consumers who prioritize relationship with art experts were highly interested in policies on taxation and donation. Consumers who prefer policies supporting artists and environment were found to prioritize policy protection on highly artistic works. Second is the result shown on the difference in components of the arts market preferr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rt consumers and potential consumers. In terms of artworks, potential art consumers prefer Korean paintings. While they do not actually consume artworks, they have great curiosity about installation arts and media arts, and are pointed out as the reason for emergence of these fields. In terms of artists, art consumers prefer full-time artists and have greater attention on artists with whom they have past experience of purchasing artworks. In terms of place of transaction, art consumers and potential consumers prefer to purchase works through galleries and art fairs. Potential consumers prefer art fairs at which works can be purchased after appreciating and comparing diverse works as the place to buy their first artwork. In terms of policy, art consumers had higher score on all items compared to potential consumers. Third is the result shown on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different types of art consum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rt consumers and potential consumers. Art-oriented art consumers place greater importance on characteristics of artworks than their personal tastes compared to potential consumers. On the contrary, potential consumers had no difference from art consumers in the preferred figurative form, but they place importance on colors. Decoration-oriented potential consumers are concerned about diversity of space compared to art consumers. Investment-oriented potential consumers potentially consider consumption of artworks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benefits. Relation-oriented art consumers and potential consumer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of consumers has great impact on art consumption. Fourth i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the arts market on different types of art consumers. In terms of artworks, consumers were found to regard art, investment and relationship as more important than decoration, recognizing artworks with consideration on value and investment. In terms of artists and place of transaction, the arts market interested in art, decoration, investment and relationship recognizes diversification of artists, as well as places of transaction. In terms of policy, investment and relationship are deemed as more important than art and decor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art consumers need to prepare in advance for different purposes of collection such as artistic value, decoration and investment. Professional analysis on the arts market is required after obtaining basic knowledge on art history and discovering individual taste. Potential consumers are decoration-oriented and art-oriented. These potential consumers, in terms of place, overwhelmingly prefer galleries, art fairs and paintings. A strategy to convert them into art consumers is necessary.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make them clarify the purpose of collection. Second, art consumers are relation-oriented and prefer to form community of art consumers and obtain transaction information from art museums and galleries. Accordingly, 미술품은 여타의 기능적 상품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미술품만의 고유한 특성을 지닌 경험재다. 따라서 이러한 미술품의 특성에 따른 별도의 소비 유형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요구된다. 미술소비자는 미술품이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존재할 수 있는 토양이므로 미술소비자에 대한 연구는 미술품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미술소비자를 예술지향형․투자지향형․장식지향형․관계지향형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미술시장의 구성요소인 미술품․작가․거래장소․정책 등의 구매 목적에 따른 미술품 수요 차이를 분석하여 미술시장의 전문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함께 설문 조사를 병행했다. 설문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미술소비자 분류에 근거하여 미술품 구매고객 200명, 잠재구매고객 200명 등 400명을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사했다. 미술시장 소비자 유형별 미술시장 구성 요소의 차이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이원분산분석(Two-way analysis of variance)을 이용하였다. 요인 추출 방법은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미술시장의 요소별 구매목적 구분 내의 항목별 차이가 있는지 여부는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해 접근했다. 회전 방법은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Varimax)를 이용하여 반복계산에서 요인 회전이 수렴되게 하였다. 집단별 차이를 분석할 때는 던컨(Duncan) 분석을 사용했다. 유의수준은 10%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소비자가 구매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미술시장 구성 요소에 따른 차이 검증에서 얻은 결과다. 미술품 측면에서 서양화와 구상미술을 선호하는 투자지향형 소비자를 위해 세분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홍보가 필요하다. 작가는 전문작가를 선호하는 투자지향형․관계지향형 소비자를 위한 세분화한 정보 제공과 함께 관계마케팅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거래장소 측면에서 경매를 선호하는 투자지향형․관계지향형 소비자를 위한 경매정보 제공과 작가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갤러리스트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됐다. 정책에서는 미술전문가와 관계를 중시하는 소비자의 경우 세금·기부금 관련 정책에 관심이 높았다. 작가·환경 지원정책을 선호하는 소비자는 예술성이 높은 작품에 대한 정책 보호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술소비자와 잠재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미술시장 구성 요소의 차이검증에서 나타난 결과다. 미술품 측면에서 미술품 잠재소비자는 한국화를 선호하며, 실제로 미술품을 소비하지는 않지만 설치미술이나 미디어아트에 대해 많은 호기심을 가져 이 분야의 부상 원인으로 지목된다. 작가 측면에서 미술소비자들은 전업작가를 선호하며 미술품 구매 경험이 있는 작가에게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 거래장소 면에서 미술소비자와 잠재소비자는 갤러리와 아트페어를 통한 작품 구매를 선호한다. 잠재소비자는 첫 미술품 구매처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고 비교한 후 구입할 수 있는 아트페어를 선호한다. 정책은 미술소비자가 잠재소비자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미술소비자와 잠재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미술소비자 유형 선호 특성으로 나타난 결과다. 예술지향형 미술소비자는 잠재소비자에 비해 예술품의 특성을 본인의 취향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반면 잠재소비자는 선호하는 조형적 형태에서는 미술소비자와 차이가 없었으나 색채를 많이 고려한다. 장식지향형 잠재소비자는 미술소비자에 비해 다양한 공간을 염두에 둔다. 투자지향형 잠재소비자는 경제적 이익을 고려한 미술품 소비를 잠재적으로 고려한다. 관계지향형 미술소비자와 잠재소비자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소비자의 관계성이 미술 소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미술시장의 특성이 유형별 미술소비자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다. 미술품 측면에서 장식보다 예술과 투자, 그리고 관계 형성을 중요시 여겨 가치와 투자를 함께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가와 거래장소 측면에서는 예술과 장식, 투자, 관계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미술시장이 작가는 물론 거래장소의 다양화 현상을 인지하게 한다. 정책 측면에서는 예술과 장식에 대한 관심보다 투자와 관계를 중요시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인 미술소비자는 예술적 가치와 장식을 위한 수집과 투자를 위한 수집에 대한 사전준비를 해야 한다. 미술사에 대한 기본 지식과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한 연후에 미술시장에 대한 전문적 분석기술이 필요하다. 잠재소비자는 장식지향형과 예술지향형을 성향을 보인다. 이들 잠재소비자는 장소적 측면에서는 갤러리와 아트페어, 그리고 회화를 압도적으로 선호해 이들을 미술소비자로 전환하고자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수집 목적을 분명히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미술소비자들은 미술관과 갤러리 미술소비자의 커뮤

      • 문화예술 지원사업 운영 사례분석 연구 : 서울 365 거리공연을 중심으로

        이운섭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organized street performances an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rough experience cases, collected data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conducted interviews by organiz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mainly by professional artists such as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local activists run by performers of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The interview consisted of 8 ques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performances in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and 6 questions on the performance factors of street performances, and based on thi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is a popular program, and it was found that busy modern people can spend their free time and leisure through performances, so they can watch performances in public curiosity and daily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ers of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showed an active attitude in developing their abilities and programs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through a smooth relationship with the staff during the performance period. Third, it was found that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was conducted in a classic with a story and provided original performance. In addition, differentiated programs were provided to citizens so that citizens could visit the performance with the int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s and the sound of each instrument, but they could not perform only in professional performance halls. Fourth,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was found to reflect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formers by using a performance method suitable for the place and time in each performance to induce professional programs and audience concentration during the performance. Fifth,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helped citizens enjoy culture and arts of various ages by forming a free atmosphere of th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programs that citizens wanted. Sixth,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not only watched programs with neighbors but also positively helped local residents' culture and arts communities in various places by gathering people due to the performance. Seventh,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was found to be enjoyable by stratifying positive emotions and satisfaction through performances in a busy society in consideration of viewers' lunch time or work time. The conclusions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alistic and practical operation of the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is performed in a moving space, so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promote it in advance so that many citizens can watch it. Second,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is a performance with staff, but a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establish a smooth relationship between officials and performers by creating a website or various sites to solve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officials. Third,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should consider various situations, such as noise and other performances, which are the limitations of street performances, and come up with a plan to shar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venue in adv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performance. Fourth,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is a popular song for citizens and should seek way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rofessional classical performances are pos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music majors. Fifth, since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is a performance that sees the influence of the season and the performance standing up,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erformance technique that can enjoy culture and art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citizens. Sixth,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should diversify the method of performing in various places such as schools, senior citizens' centers, and cultural centers, not in designated places to help foster the community. Seventh, in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there is no way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when it is a non-face-to-face performance due to COVID-19, so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share various programs that can help improve the live performance or happiness of the performance. Participants in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have limitations in selecting and objectifying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due to difficulties in one-on-one interviews and direct meetings with research participants due to COVID-19, and future research tasks to supplement this are as follows. First,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performance experts and citizens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research participants by preparing an interview questionnaire for the effect of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Second, we did not hear the opinions of the operators in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that was not included in this study, and limited to research on programs conducted by researchers, so a study that compares and analyzes other similar performances should be conducted. Third, <Seoul 365 Street Performance> is being conducted in 50 locations, but the contents of their operational performance are not shared, so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share these performances together.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거리공연, 문화예술 활동을 경험사례를 통하여 정리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과 대면과 비대면을 통해 질문지를 구성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서울 365 거리공연> 연주자가 운영하는 전문예술인 전문강사, 지역 활동가를 중심으로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서울 365 거리공연>의 거리공연의 특성 8문항과 거리공연의 성과요인 6문항의 질문지를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대중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바쁜 현대인이 조금이라도 공연을 통하여 여유 있는 시간과 여가를 보낼 수 있어 대중의 호기심과 일상에서 공연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예술의 경험을 자연스럽고 적극적으로 관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 365 거리공연> 연주자들은 공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자신의 능력과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공연의 기간동안 스텝과의 원활한 관계를 통해 연주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이야기가 있는 클래식으로 진행하여 독창적인 공연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에게 악기의 소개와 특징, 각 악기의 소리로 시민들이 공연을 찾아 갈수 있도록 차별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지만, 전문적인 공연장에서만 보여줄 수 있는 공연을 하지 못하였다. 넷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공연 회차 동안 전문적인 프로그램과 관객의 집중을 유도 할 수 있도록 매 회차에 장소와 시간대에 맞는 연주 방법을 활용하여 연주자들의 전문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를 위하여 공연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시민들이 원하는 공연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문화예술 향유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공연으로 인하여 사람을 모이게 함으로써 이웃들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관람할 뿐 아니라 각종 장소에서 지역주민들의 문화예술 공동체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관람자들의 점심시간이나 퇴근 시간을 고려하여 바쁜 사회 속에서 공연을 통하여 긍정적인 감정과 만족을 층족 하여 즐겁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 365 거리공연> 사업을 현장감 있고 실제적인 운영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이동하는 공간에서 공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관람할 수 있도록 미리 홍보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스텝들과 함께 진행하는 공연이지만 관계자와 소통을 할 수 없어 공연에 완성도를 높이기에 부족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홈페이지나 각종 사이트를 만들어 관계자와 공연자들의 원활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협력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거리공연의 한계인 소음, 다른 공연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하고 공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미리 공연장을 파악이 가능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시민을 대상으로 대중성 있는 곡으로 공연이 진행하여 클래식 음악 전공자의 관점에서 전문적인 클래식 공연이 가능한 환경조성의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다섯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계절의 영향과 일어서서 공연을 관람하는 공연이기 때문에 문화예술 향유와 시민들의 집중을 높일 수 있는 공연기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여섯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공동체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정된 장소에서 공연이 아니라 학교, 경로당, 문화센터 등 다양한 장소에서 공연을 진행하는 방법을 다각화하여야 한다. 일곱째, <서울 365 거리공연>중 코로나19로 인하여 비대면 공연으로 촬영 공연으로 진행하였을 때 시민들과 소통 할 수 없는 방법이 없어 공연의 라이브 공연이나 행복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았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서울 365 거리공연>에 참여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하여 1대1 면담과 연구참여자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에 어려움이 있어 연구 방법과 조사 대상을 선정하고 객관화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365 거리공연> 효과에 관한 연구에 인터뷰 질문지를 작성으로 연구참여자를 통하여 질적 분석한 것에 대한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주전문가와 시민들을 의견을 반영한 양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포함하지 못한 <서울 365 거리공연>에 운영자들의 의견을 듣지 못하였고, 연구자가 진행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로 제한되어 다른 유사한 공연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서울 365 거리공연>은 50개소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들의 운영성과에 관한 내용이 공유되지 못하고 있어 이 공연들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장애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융합프로그램의 경험 해석에 관한 연구 :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와 표현력을 중심으로

        송미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애 청소년의 교육 효과 유리드믹스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문화 예술교육 융합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교육을 시행한 경험을 해석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 청소년들의 신체 놀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를 적용하여 음악 영역, 미술 영역, 체육 영역, 그리고 융합하여 프로그램은 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17년에는 음악 영역을 2018년은 음악 영역과 미술 영역으로 확대하였으며, 2019년 융합프로그램으로 3년간의 기간을 두고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를 시간, 공간, 힘, 무게, 균형, 유동성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장애 청소년들이 필요한 유리드믹스의 표현력을 인지력, 지각력, 집중 력, 협동심 그리고 배려심을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그리고 장애 청소년 교육효 과를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장애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융합프로그램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시간, 공간, 힘, 무게, 균형, 유동성을 적용한 시간은 빠르기, 공간은 음의길이, 힘은 강약, 무게는 보충 리듬, 균형은 아티큘레이션, 유동성은 규칙적인 박으로 유리드믹스 의 리듬 요소를 학습으로 연주를 하고 작품을 전시하는 학습이 장애 청소년들의 표현력과 효과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음악 영역을 도입하였을 때는 장애 청소년들이 적응하는 데 시간 이 필요하였으며, 인사하기와 자기 표현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여 프로그램의 효 과를 높일 수 있었다. 음악 영역과 미술 영역에서 좀 더 확대되는 리듬 요소와 미술에서의 신체 감각을 찾을 수 있어 장애 청소년의 교육 효과가 높은 점도 있 었으나 장애 청소년의 성격에 따라 음악과 미술에 적응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융합프로그램은 운영하는 과정에 처음에 혼선이 있었으나 장애 청소년들이 학습 과정에 자신을 찾을 수 있고, 타인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다양한 것을 이해하는 과정에 융합영역에서 발표회와 전시회를 경험하면서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를 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의 표현력과 장애 청소년교육의 효과 경험을 해석한 결과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청소년의 인지력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시간과 유동성을 프로그 램에 적용하여 점차적 리듬의 흐름과 신체리듬을 통해 규칙적인 박을 이해할 때 향상되었다. 장애 청소년은 악기사용을 통하여 음악을 학습하고 사고를 인식하 는 이해력이 낮고 음악을 이해하는 악기사용을 신체리듬으로 노래하는 간단한 표현이 어색하여 음악 영역과 미술 영역을 병행하고 진행하여 좋은 성과가 나타 났다. 그러므로 장애 청소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다양하고 리듬감 있는 악 곡을 사용하고, 특색 있는 미술 재료들을 구성하여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표현하 는 신체리듬을 표현하는 학습이 되도록 대응력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으로 확 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청소년의 지각력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공간과 균형을 프로그 램에 적용하여 공간의 음의 세분이 음의 리듬으로 움직임의 속도를 알아갈 수 있다고 생각될 때 표현이 효과적이었으며 균형은 아티큘레이션으로 악상기호들 을 감지하고 느낌으로 표현할 때 향상되었다. 장애 청소년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가 적절히 사용하는 것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미술 영역과 라 인댄스와 플레이타임에서 다양한 리듬 요소를 적용하여 최선의 학습이 되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 청소년의 집중력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시간과 유동성을 프로 그램에 적용하여 시간의 빠르기가 음악 영역, 미술 영역, 라인댄스, 플레이타임 전 영역에서 향상되었다. 그리고 장애 청소년의 신체기능이 부자연스럽고 느리 므로 유동성의 규칙적인 박을 적용하여 반복적인 학습을 할 때 집중력이 향상되 는 것으로 분석되어, 장애 청소년들이 가정과 교육 기관에서 반복적인 수업이 꾸준히 이어지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 청소년의 협동심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힘과 무게를 프로그램 에 적용하여 힘의 강약 소리가 크고 작음을 신체 에너지 관계의 학습에서 향상 되어 리듬요소를 적절하게 적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게에서는 보충 리듬을 적용하여 원음과 다른 음을 인식하는 수준으로 학습이 되었다. 이처럼 장애 청 소년의 협동심은 타인과 오랜 관계나 지속적인 상호적 관계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타인과의 관계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보조프로그 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장애 청소년의 배려심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무게와 힘을 프로그 램에 적용하여 무게의 단선율 형식이 동기, 악구, 악절 등 가요형식의 노래를 신체로 표현하고 캐논의 메아리 모방을 적용할 때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장애 청소년의 배려심을 높일 수 있는 보충 리듬 요소를 색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모방학습을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시간과 유동성을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향상되었다. 시간의 빠르기의 변화는 장애 청소년들에게 빠르기의 리듬이 신체를 통해 느껴질 때 향상되고 유동성의 규칙적인 박은 학습 의 이해가 많이 요구하는 반복 학습에서 자아존중감의 향상으로 분석되었다. 영 역에서 리듬 요소의 변화를 적절하게 적용하여 장애 청소년들이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세분화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한다. 일곱째, 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힘과 무게를 프로 그램에 적용하여 향상되었다. 무게의 보충 리듬은 도입에서 자기소개하기로 의 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힘의 강약은 파트별 연습으로 정확한 음정을 크고 작게 표현할 때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 청소년들의 의사소통은 소외된 감정을 자신 있게 표현하기 위한 도입과 전개 부분에서 학습이 라인댄스 플레이타임, 융합에서도 적절한 학습으로 진행되어 효과적인 학습이 되었다. 그 러나 미술 영역은 도입부에 편중되어 혼합박자와 혼합 박의 결합을 활용하여 장 애 청소년의 의사소통이 전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 방 법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여덟째, 장애 청소년의 창의성은 유리드믹스 리듬 요소 공간과 균형을 프로 그램에 적용하였다. 공간의 음의길이는 도입부터 전개까지 음의 속도의 간격을 악기와 동작으로 리듬감을 주어 창의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균형은 악상기호 를 공감하는 것으로 독창성을 장애 청소년이 악기나 신체를 통해 창의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라인댄스, 플레이타임, 융합에서는 공간의 리듬 요소에 창의성이 향상되어, 장애 청소년의 창의성 효과를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위해 리 듬 요소 공간의 푸가 등을 적용하여 역량을 강화하는 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 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suggesting a plan for program operation by interpret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after developing a cultural arts education convergence program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Eurhythmics for disabled adolescents. To this end, by applying the Eurhythmics rhythm element, which is centered on physical play of disabled youth, th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and fusion programs are targeted for disabled youth, with the music area in 2017 and the music area and art area in 2018.,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hree-year period as a convergence program in 2019. Eurhythmics rhythm elements were divided into time, space, power, weight, balance, and fluidity, and the expressive power of Eurhythmics needed by disabled adolescents was applied by dividingly cognition, perception, concentration,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gradually so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of disabled youth can improve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The cultural arts education convergence program for disabled youths applies the Eurhythmics rhythm elements time, space, power, weight, balance, and fluidity. It was analyzed that learning to play the rhythm elements of Eurhythmics as learning and exhibit works improves the expressive power and effectivenes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when the music field was introduced, it took time for the disabled adolescents to adapt, and it wa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conducting greetings and self-expression methods. There was a point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disabled youth was high because the rhythm elements and the physical sensations in the art area could be found more expanded in the music and art area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adapting to music and a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youth. And although there was confusion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convergence program, youth with disabilities can find themselves in the learning process, communicate with others smoothly, and understand various things while experiencing presentations and exhibitions in the convergence area. It was analyzed as an opportun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Therefore, the conclusions expre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ressive power of Eurhythmics rhythm elements and the experience of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disabled youth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abilitie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ere improved when they understood regular beats through gradual rhythmic flow and body rhythm element time and fluidity to the program.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learned music through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s and had a low understanding of recognizing thinking, and the simple expression of using an instrument to understand music with a body rhythm was awkward. Therefor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youth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rhythmic pieces of music and expand it to a respons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o that it is a learning that expresses the body rhythm to explore and express ideas by composing characteristic art materials. Second, The perceptual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as effective when it was through that subdivisions of spatial notes could know the speed of movement with the rhythm of notes by applying the eurhythmics rhythm element space and balance to the program. improved when expressed as howeve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need a lot of effort to properly use the rhythm elements of eurhythmics, and for this purpose, measures to support the best learning by applying various rhythm elements in the art area, line dance, and playtime should be prepared. Third, The concentration of the disabled youth was improved in all areas of music, art, line dance, and playtime by applying eurhythmics time and fluidity to the program. and because the physical functions of disabled youths are unnatural and slow, it is analyzed that concentration improves when repeated learning is applied by applying regular beats of fluidity, so that disabled youths can continue learning with repeated classes at hom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the existing environment.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cooperative spirit of the disabled adolescents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eurhythmics rhythm element power and weight to the program, and the rhythm element was appropriately applied as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power were improved in 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energy. In weight, the supplementary rhythm was applied to the level of recognizing a sound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ound. In this way, it is analyzed that the cooperative spirit of the disabled youth is often expressed in long-term or continuous mutu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xiliary program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Fifth, It was analyzed that the consideration of the disabled youth was improved when applying the weight and power of eurhythmics and rhythm elements to the program, and the monophonic form of weight was expressed as a body song, such as a motive, a phrase, a passage, etc., and the echo imitation of the canon was applied. as su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o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learn to imitate supplemental rhythm elements that can increase their consideration by applying a different method. Sixth, The self-esteem of the disabled adolescents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rhythm element time and fluidity to the program. The change in the speed of time is improved when the rhythm of speed is felt through the body in disabled adolescents, and it was analyzed as an improvement in self-esteem in repetitive learning that requires a lot of understanding of fluid, regular, and rhythmic learn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gram in whi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learn subdivided levels of self-esteem by appropriately applying changes in rhythm elements in he field. Seventh,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ere improved in the program that applied the eurhythmics rhythm element power and weight. The supplemental rhythm of weight was found to be communicated through self-introduction at the introduction, 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power were analyzed to be improved when the correct pitch was expressed large and small through practice for each part. Communication among disabled adolescents became effective learning as learning proceeded with appropriate learning in line dance, playtime, and convergence i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part to confidently express alienated emotions. However, the art area should be expanded to a method of reconstructing a program that can be applied as a whole to the communication of disabled youth by using the combination of mixed beat and mixed beat as it is concentrated in the introduction part. Eighth, For the creativity of disabled youth, eurhythmics rhythm element space and balance were applied to the program. As for the length of the sound in space, the interval between the speed of the sound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development was given a sense of rhythm with instruments and movements, so creativity was improved. and balance is sympathizing with musical symbols, and it was analyzed that creativity is improved through musical instruments or body in disabled adolescents. In line dance, playtime, and convergence, creativity is improved in the rhythm element of the space,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arning plan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by applying the fugue of the rhythm element space for a program that promotes the creative effect of the disabled youth.

      • 음악활동경험이 아동·청소년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코리아주니어빅밴드 연주활동경험을 중심으로

        이수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Based on the context that music activities can minimize various social problems which can appea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uman, the fact that music activities are based on emotional and mental factors and give a profound effe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uman has been quite a lot addressed recently through previous studies.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where such its effectivenes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to human growth can be understood.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studies on a new direction of musical activity strategy in the future and the proper growth development throughout the life cycl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pacts which influence the growth development of the members doing music activities in Korea Junior Big Band which is an established group with the purpose of musical activities in children and you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and human relationship which influence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music playing experience by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required for the various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the essence of music activities. The plan for continuous musical activities was proposed by understanding the positive effect on the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music playing experience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where music activity experience influences human development for the members of Korea Junior Big Band. When it comes to the study item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first is what relationship the childhood music activity has with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 The second is what relationship the music activities of early, middle and late youth have with cognitiv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 The second is what relationship the music activities of childhood and early, middle and late youth have with the educational effects and music activity growth.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study items, the members configured by different growth levels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target while focusing on music activity experience in Korea Junior Big Band as a case study. So, the observation method was used for the childhood to analyze cognitive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musical activity and the interview was implemented to analyze emotional development, human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musical activity for the youth in this study. For the childhood, two kindergarten children players and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 play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among the members of Korea Junior Big Band. And in order to implement empirical research on music activity intensively, two middle school student players, two high school student players and two university student players were chosen for in-depth interview. Obtained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music activity experience’s effect on human growth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music activities during childhood gives a positive impact on their body development and mental comfort and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lso provides a positive achie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growth of social skills through the team work between members from the experience that members take care each other and bear together provides a positive impact. Second, while the participation in world-class festival, etc. in youth time gets experiences such as music exchange, self-reliance and stable activity so that it gives a positive impact such as increasing social skills, the music playing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helps with the increase in their concentration in self-learning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school life so that it seems to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students. Third, it showed that an ensemble activity with foreigners at the time of the middle of youth provides an opportunity to form friendship and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n the process of achievement and enjoying its beauty, it allows unique chord in each part to make harmony each other so that it helps with the emotional development. It appeared that this period become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self-expression during music playing activity with adults in the international festival as a high school student and the participation in famine experience performance provides a positive impact in building neighbor loving human relationship. Fourth, it seems that TV appearance and award experience at the time of late youth allows creating self-esteem during university life and the sound music activity where the finished work can be imagined through effort provides a positive emotional impact in establishing emotions. And as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and visiting government agency events can allow them to see our socie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provides a positive effect in expressing emotions naturally in creating human relationship. Fifth, when it comes to the growth effect by music activities in childhood, TV appearances and various performance experiences helped improve presentation skill, self-directed, improvement in patience,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solidarity in students and confidence and desire in the performance were improved so that it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 effect and participation in public performance help with the growth of music activities. Sixth, when it comes to growth effect in early youth, i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est due to exposure in broadcast media and international level of performance, camp life and playing a new genre increased the happiness in a belonged group and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 음악활동이 인간의 성장발달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맥락을 바탕으로 음악활동이 정서적・정신적 요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간성장발달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최근 상당히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효과성과 인간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기인하는 정도를 알 수 있는 연구는 아직도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아동과 청소년의 음악활동을 목적으로 구성된 단체로 코리아주니어빅밴드에서 음악활동을 하는 단원들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정서적·정신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새로운 방향의 음악활동 전략과 생애주기에 걸친 올바른 성장발달에 연구의 필요성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변화에 요구되는 음악 교육의 발전과 음악활동의 본질을 탐색하여 연주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성장발달에 미치는 정서적 함양과 사회성, 인간관계에 대해 어떠한 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코리아주니어빅밴드 단원들을 대상으로 연주경험을 통해 인간성장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알아보고 음악활동경험이 인간발달의 효과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여 지속적인 음악활동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아동기의 음악활동이 이동의 인지발달과 사회성발달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청소년 전기, 중기, 후기의 음악활동이 청소년들에게 인간관계와 정서발달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아동기와 청소년 전기, 중기, 후기의 음악활동은 교육적 효과와 음악활동 성장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사례인 코리아주니어빅밴드 음악활동경험을 중심으로 성장발달 단계별로 구성된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인지발달, 사회성 발달과 음악적 성장 분석하기 위하여 아동기는 관찰법을 활용하였으며 청소년기에는 정서발달과 인간관계 발달 그리고 음악적 활동의 성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동기는 코리아주니어빅밴드 단원 들 중에서 유치원생 2명과 초등학생 2명의 연주자를 관찰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음악활동 경험적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청소년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중학생 2명, 고등학생 2명, 대학생 2명의 연주자를 심층면담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음악활동경험이 있는 인간성장발달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의 적극적인 음악활동의 참여는 신체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정신적 안정감을 주고 초등학교 학생들은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여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원들이 단체 활동을 통한 배려하고 인내하여 동고동락하는 경험으로 단원들 간의 유대감 형성을 통한 사회성의 성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전기의 시기에 세계적 수준의 축제 등의 참여는 경연참가자의 캠프 생활을 통해 음악 교류와 자립심과 안정적인 활동의 경험을 얻어 사회성을 높여 주는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중학교 학생들로 연주활동을 체험한 결과 자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집중력이 증가되어 학교생활에 있어서도 적극 참여로 다른 학생들의 관계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중기의 시기에 외국인과의 합주활동은 국제사회에서 협력과 우애성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어 성취감도 생기고 아름다움을 즐기는 과정에서 각 파트마다 가진 독특한 화음을 서로 융화하고 서로 어우러짐을 재구성할 수 있어 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고등학교 학생으로 국제 페스티벌에서는 성인들과 함께 연주활동을 하면서 자기표현의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고 기아체험 공연 참여로 이웃을 사랑하는 인간관계 형성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후기의 시기에 방송 출연과 수상 경험은 대학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자존감을 형성하게 하고 정성적으로 완성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건정한 음악활동이 정서확립에 긍정적 영항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부기관의 행사 참여와 방문의 기회가 새로운 시각으로 사회를 바라다 볼 수 있어 인간관계 형성에 자연스럽게 감정을 표현하는데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기의 음악활동의 성장효과는 방송출연과 다양한 공연 경험으로 발표력, 자기주도, 인내심향상, 창의성 형성, 학업성취도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의 유대감, 공연의 자신감과 욕망이 높아져 음악활동의 능력 향상되어 인지적 발달과 연관되어 교육적 효과와 대중 공연의 참여로 음악활동 성장에 기여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 전기의 음악활동의 성장 효과는 방송 매체에서 소개와 국제 수준의 공연으로 학업성취도와 관심도의 향상 합숙생활과 새로운 장르

      • 음악 감상 활동이 청소년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영숙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사회 환경과 정보기술 발달로 청소년의 일탈 현상이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인격형성과 자아의 성장은 인생설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 감상이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음악 감상을 통한 정서적 안정감 제고, 자아 존중감의 향상, 불안의 해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총 3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이중 마무리하지 않은 설문지와 무응답 설문 50부를 제외한 총 250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음악 감상이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성 해소는 대중가요와 POP보다 클래식, CCM이 공격성과 정서적 불안정성 해소에 더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력하고 자극적인 음악보다 조용하고 부드러운 음악, 종교적인 음악이 청소년의 긴장을 더 늦추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청취시간이 많을수록 긴장해소, 열등감해소 등 정서적 불안정성 해소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음악 감상이 자아존중감 증대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가정적 자아는 클래식과 CCM이 높았다. 학업적 자아는 클래식과 국악을 선호하는 학생의 정서가 안정되어 자아존중감 증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호하는 음악 분위기는 긴장수준과 사회적 자아, 일반적 자아, 학업적 자아, 가정적 자아, 자아 존중감에서 부드러운 음악이 긴장수준이 낮고 자아는 높음을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냇째, 음악 감상시간이 길수록 정서가 안정되어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동·청소년 불안장애가 적은 것으로 보아 음악 감상이 정서함양에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는 전체적으로 질풍노도의 시기로 조용하한 음악을 오래 들을수록, POP이나 대중가요에 비해 클래식이나 CCM을 즐겨 들을수록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보이면서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함양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불안 학생들이 청취 음악콘텐츠의 장르 선정으로 정서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클래식, CCM 등을 유도하여야 한다. 조용하고 부드러운 음악이 긴장수준이 낮고, 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 가정적 자아, 학업적 자아, 자아존중감이 높아 에에 필요한 음원 자료를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정서불안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장시간 음악 감상이 정서적 변화에 안정을 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일정기간 동안 존속할 수 있도록 음악 감상의 기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정서불안 학생은 교육과 양육의 과정에서 정서의 안정을 기할 수 있는 선곡지식 등을 알려주어 이를 적극 활용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음악 감상 효과의 세부적 연구를 통해 포괄적으로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음악 감상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근거로 체계적이고 다양한 내용이 포함된 음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에게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실제 음악의 청취를 통한 변화의 연구 등 질적 연구방법들이나 사례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s social environ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ve developed in modern society, deviant phenomenon of youth has been diversifying. Therefore, personality formation and self-growth of the adolescence have impacted on planning their own life a l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method for improvement of emotional stability,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relieving anxiety by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the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on youth emotion. This study utilized 250 fully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research material among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 the relief of aggression and the emotional instability of the adolescence, classical music and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were much more effective than POP, popular music. In addition, the quiet, gentle music or religious music helped youth relax further than powerful and provocative music. The more they listened to music, the more positive contribution it is likely to appear for the relief of the emotional instability, for example calming tension and eliminating inferiority complex Second, i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at music has an effect on self-esteem increases, Classical music and CCM show more effectiveness on the family-self. For the academic-self, Classical music and Kook-Ak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better effects to develop self-esteem because Classical music and Kook-Ak (Korean traditional music) help to stabilize the emotions of the students Third, in the aspects of the atmosphere of the preferred music, soft and smooth music show to help to reduce the tension for social-self, typical-self, academic-self, family-self and self-esteem and to strengthen the self-ego Fourth, the longer listening to music shows to settle the emotions, to increase self-esteem and the lower uneasy disability of children and youth, so this longer listening proves to contribute to cultivate the healthy emotion The adolescent period is called as the time of storm and gale. Therefore, the more listening to soft and smooth music, classical music and CCM than popular music, the mor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more positive contribution on improving self-esteem for the adolescent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 the students who have emotional instabilities or growing pains are led to listen to classical music and CCM by selecting the genre of the musical contents which contribute on emotional stability. Because the soft and smooth music reduces the tension for social-self, typical-self, academic-self, family-self and self-esteem and to strengthen the self-ego, the music contents consumers who have emotional instabilities should be provided these kinds of the sound sources in real-time to approach through internet. Second, the support plan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enjoy the music to last the effects on self-esteem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the longer listening to music helps to stabilize the emotional change positively. Therefore, we need to expand this research to more various are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on youth emotions comprehensively through the fine and detailed study. Then to develop the music program including systematic and various contents based on the effect of the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on youth emotion should be adopted to the adolescents. To do this, we expect to continue the various studies and researches such as case studies or studies on the quality aspect related to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adolescents through listening to music practically

      • 제주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공 공연장 운영에 관한 연구 : 참여 동기와 성과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란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 운영을 통하여 지역민의 참여 동기와 공연장 운영 성과로 나타날 수 있는 성과의 인식을 토대로 제주의 지역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별 운영과 전체 공연장 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과 지역문화 활성화, 참여 동기와 성과 인식에 관하여 선행 연구에서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적 연구와 사례 연구, 실증 연구를 병행하였다. 사례 연구는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 중 공연장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기획 공연이 이루어지는 제주문예회관, 제주아트센터, 서귀포예술의전당, 김정문화회관의 4개 공연장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공연장별 전문가와 지역문화예술 전문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공연장별 운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문예회관의 운영관점에서는 지역 특색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과 공연장 문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마케팅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고 지역민의 의견 수렴과 회원 관리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제주문예회관은 다양한 공모사업을 통해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개인과 기업 기부를 확대하기 위한 세제 혜택 시스템을 마련하고, 이용자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부대시설 및 공연 장비 호환을 위한 운영 시설이 보완하여야 하며, 제주지역 안에서의 공연장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하며 도립무용단의 해외 교류를 확대하여 폭넓은 네트워크 구축을 이루어야 한다. 둘째, 제주문예회관의 지역문화 활성화 관점에서는 문화예술 체험 교육 프로그램, 편의 시설 확충으로 지역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 야외 공연시설 보완으로 지역문화공간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제주문예회관은 관객과의 소통이 가능한 공연을 개발하고, 지역 단체 간의 공연 및 간담회 개최를 통하여 지역문화 공동체를 강화하고, 선진 공연 시스템을 도입하고 지역의 페스티벌을 활성화하여 문화 생태계 기초를 조성하여 지역문화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제주아트센터의 운영관점에서는 대중적인 공연프로그램을 운영을 확대하고 공연 예술 운영의 전문 인력을 확보하며 선진 공연 시스템을 도입하고, 제주아트센터는 전문 마케팅 인력을 확충하고 젊은 관객 확보와 공연장 이미지 구축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제주아트센터는 재원 조성을 위하여 위탁과 재단 법인으로 전환하며 기부 및 후원을 확대하고, 운용시설에 있어 중소 극장을 추가 증축하고 야외 유휴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지역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해야 한다. 또한, 제주아트센터는 지역의 교육 기관과 지역 내 공연장과의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해외의 문화예술 단체와 주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제주아트센터의 지역문화 활성화 관점에서는 지역민의 문화예술 향유 확대를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시도되는 공연프로그램과 지역민의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민의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확대하고 야외와 공연장 내 유휴 공간을 지역민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문화공간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제주아트센터는 지역문화예술 단체 공연을 활성화하고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프로그램 참여자 간 공동체 형성을 위한 활동을 지원하여 지역문화 공동체를 강화하고, 전문 예술경영 운영 방식으로 전환하고 시즌제나 페스티벌 형식의 선진 공연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지역 관광 산업과 연계한 콘텐츠 개발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서귀포예술의전당의 운영관점에서는 지역문화 자원을 확대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운영과 축제형 공연 시스템의 운영 정례화가 필요하며, 전문 마케팅 인력을 확충을 지역 특색에 맞춘 전략적 마케팅을 도입하여 다양한 관객 개발, 고정 관객에 대한 혜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셋째, 서귀포예술의전당은 기업의 네이밍 스폰과 현물 지원, 개인 후원자에 대한 지원 사업을 전개하여 재원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시설 설치, 야외 쉼터 조성 등 추가적인 부대시설을 조성하여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하여야 한다. 또한, 서귀포예술의전당은 지역 예술 기관과의 네트워크 확대, 제주지역 외 공연장과의 협력 운영, 해외 기관 및 단체의 네트워크를 구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 서귀포예술의전당의 지역문화 활성화 관점에서는 지역문화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년층의 공연 관람을 확대하기 위한 공연 송출을 다각화하여 지역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확대하고, 지역문화예술 유통의 중심지로 지역 예술인의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 공간으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서귀포예술의전당은 생활문화 사업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공연장을 문화예술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문화 공동체를 확대하고, 관광을 연계한 공연 상품을 개발하고 정기적인 페스티벌 운영을 통하여 지역문화 산업 발전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일곱째, 김정문화회관의 운영관점에서는 공연장 규모에 맞는 중소 극장 형태의 전문적 공연과 지역민의 생활을 반영한 프로그램, 미래 예술인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문 마케팅 인력을 확보하고 지역 방송사를 활용한 홍보를 확대하여 공연장으로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김정문화회관은 개인의 물품과 현금 기부, 기업이나 기관의 네이밍 스폰 등을 통한 재원이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협소한 주차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내 상가, 오피스텔 등과의 협의를 통해 주차 공간을 확보하고 노후 장비를 교체하며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공간을 정비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 내 공연장 간 네트워크와 혁신도시 내 기관과의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어야 한다. 여덟째, 김정문화회관의 지역문화 활성화 관점에서는 선진화된 기획 공연을 확대하고 성과 발표회로 이어지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확대하고 문화예술 정보를 얻고 직접 체험을 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공연장 시설을 조성하고 지속적으로 시설을 보강하여 지역문화 공간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김정문화회관은 자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된 지역문화예술 단체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지역문화 공동체 강화와 상주단체의 공연 유통을 지원함으로 지역문화 산업 기반을 형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실증 연구는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 운영 요소를 독립변수, 지역문화 활성화를 종속변수, 참여 동기와 성과 인식을 매개변수로 하여 가설과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제주지역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3단계 매개효과 검증 방법에 따라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 운영이 지역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역민들의 참여 동기와 공연장 성과 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토대로 얻게 된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은 지역민의 문화예술 향유 확대를 위해 참여 동기와 공연장 운영 성과를 분석하여 공연장 내 프로그램의 운영과 공연장 시설의 운영 방향, 공연장의 체계적인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자료 분석과 공연장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의 체계적인 전략을 연구하여 합리적인 운영 방향을 확립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은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쉽게 하여 지역민의 참여가 확대되어 나타나게 되는 운영 성과를 공연장 운영의 주된 목적으로 설정하여 공연장 설립 목적에 따라 재원을 조성하고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감으로 공연장이 지역민이 상시 이용하는 문화공간으로서 기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셋째,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은 공연장 운영을 통하여 형성된 공동체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역문화 공동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의 문화 공동체가 서로 이해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의 문화 공동체와 공연장이 연계되어 지역문화 공동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제주지역 공공 공연장은 공공성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기에 다양하고 우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역민이 많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운영 성과를 매개한 제주지역의 문화 생태계를 조성하여 지역의 지역문화예술과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연계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public arts centers on the vitalization of Jeju’s local culture based on the achievement recognition that can be exhibited by participation motive of local residents and the operational achievement of the public arts centers, thereby presenting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public arts center in Jeju region and the implications for their operation. To that en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significant variables from the precedent studies with regard to the public arts centers in Jeju region,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in Jeju, participation motive, and achievement recognition. Afterward,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it followed to conducted literature studies, case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together in parallel. As for the case studies, based on the <Ordinance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Performance halls>, this study selected the four art centers, for instance, Jeju Culture & Art Center, Jeju Art Center, Seogwipo Arts Center, and Kim Jeong Culture Center, which have been held the practical planned performances among the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as the study targets. Then, the experts of both each art center and local cultural arts domain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were derived for each art center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First, from the operational standpoint of the Jeju Culture & Art Cen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not only the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various alternatives to lower the access barriers of art centers for the public. Moreover, systematic marketing strategies need to be promoted by expanding the marketing professionals, and the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should be gathered and the member management systems should also be reinforced. The Jeju Culture & Art Center itself should expand the support budgets through various public contest projects, prepare a tax-benefit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donations from individuals and corporates, supplement the auxiliary facilities that users can enjoy comfortably as well as the operating facilities for the compatibility among the performance devices. In addition, it should also build a network among the art centers within Jeju region, and establish a wide range of a network by expanding the exchange of the provincial dance group of Jeju province with overseas entities. Second, from the local culture vitalization standpoint of the Jeju Culture & Art Cent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local people to enjoy culture and arts by expanding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nd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a regional culture and art space by operating the continuous programs and supplementing outdoor performance facilities. In this regard, the Jeju Culture & Art Center should devise performances in ord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strengthen the local cultural communities by holding performances and meetings among local organizations in Jeju region. Moreover, it should introduce advanced performance systems and vitalize the local festivals, thereby establishing a base of the cultural ecosystem to develop the local cultural industry. Third, from the operational standpoint of the Jeju Art Center,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xpand the operation of popular performance programs but also to secure the professional staff in performing arts management and to introduce advanced performance systems. The Jeju Art Center should recruit more professional marketing personnel, secure young audiences, and promote marketing strategies to build an image of the centers. In addition, the donations and sponsorship should be expanded by transitioning the Jeju Art Center to the consignment and foundation corporation, and in case of its operating facilities, the small and medium-sized centers should be expanded more, and outdoor idle spaces need to be operated appropriately so that local residents can use those spaces. Furthermore, the Jeju Art Center should be able to systematically build a network with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enters in the region, and establish periodic connections with overseas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Fourth, from the local culture vitalization standpoint of the Jeju Art center, it is necessary not only to operate the performance programs that are tried in a new way and the programs that reflect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expand the enjoyment of cultural arts of the local residents but also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in education programs and reinforce the functions of local cultural spaces by identifying the ways for local residents to utilize the idle spaces within the centers and outdoor. n addition, the Jeju Art Center should strengthen the local culture communities by vitalizing the performances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and by supporting the activities to form a community among program participants when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t should also switch its operating method to a professional art management type, and develop the contents linked to the local tourism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by establishing an advanced performance system in a seasonal format or a festival type. Fifth, from the operational standpoint of the Seogwipo Arts Center,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jects and festival-type performance systems periodically in order for expanding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It is further required to introduce strategic marketing plans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filling the professional marketing resources and to prepare the measures that can gather various audiences and come up with benefit plans for the fixed audiences having a royalty. In addition, the Seogwipo Arts Center should engage in the corporate naming sponsorship and assistance in kind as well as the support projects for individual sponsors to prepare the measures for raising a fund, and should also enhance user convenience by constructing additional facilities such as outdoor shelters. Moreover, it should not only expand its connections with local art institutions as well as operate cooperation with the centers outside the Jeju region but also establish networks of oversea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ixth, from the local culture vitalization standpoint of the Seogwipo Arts Cent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of local residents by developing the programs that utilize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diversifying the transmission schemes of performances to increase a view of performance for the elderly. Moreover, the functions of Seogwipo Arts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as a local cultural space so that the activity scope of local artists can be expanded and activated as the distribution center of local culture and arts. In addition, the Seogwipo Arts Center should expand and operate the living and cultural projects and make the centers a space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using the culture and arts, thereby expanding the local cultural communities. And it should also develop the tourism-linked performance items, and accomplish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industries through regular festival operations. Seventh, from the operational standpoint of the Kim Jeong Culture Center,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fessional performances suitable for a small and medium-sized center-type, the programs reflecting the daily life of local residents, and programs to foster the artists of the future. Moreover, it is also required to build an image as an art center by securing professional marketing personnel and expanding the promotions using the local broadcasting services. The Kim Jeong Culture Center should not only prepare the measures to raise funds through donations of individual goods and cashes as well as the naming sponsorship from corporates and institutions but also address the narrow parking zone issue by securing the parking spaces through discussions with shopping malls and efficiency apartments in the region. In addition, the old equipment needs to be replaced in order to organize the spaces for operating the programs, and the networks among the art centers in the region as well as a network with institutions within the innovation city should be also established. Eighth, from the local culture vitalization standpoint of the Kim Jeong Culture Cent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lanned performances that were highly advanced and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to enjoy the culture and arts by opera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leading to the achievement presentations. And it also needs to create the facilities in art centers to be open spaces for obtain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information and experiencing them directly, then the functions as the local cultural space should be strengthened by continuously reinforcing the facilities. The Kim Jeong Culture Center should form a foundation for the local cultural industry by continuously supporting the activities of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which were formed through its own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local cultural communities and to facilitate the distribution of performances by residential organizations. As for the empirical study, hypotheses and study models were established using the operating factors of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as independent variables, local culture activation as dependent variables, participation motive and achievement recognition as parameters,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on the general public in Jeju.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rticipation motive and achievement recognition by local residents with regard to the impacts of the operation of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on the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hree-step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The implications of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based on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need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motive and operation achievement of the public art centers to exp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of local residents,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reasonable operation direction should be established by studying the program operation within art centers, the direction of facility operation in art centers, the data analysis for constructing the systematic network of art centers, and the systematic market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achievements of art centers. Second, the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should develop and operate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nd should raise funds and build various network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stablishing each art center by setting the operation achievements, which result from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access, as the main purpose of operating art centers, thereby reinforcing the function of art centers as a cultural space used by local residents at all times. Third, in order to activat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form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rt centers, the public art centers in Jeju region should prepare a plan to strengthen the local cultural community through a connection of the local cultural communities and the art centers together by expanding the support for the local cultural community and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for the local cultural communities to understand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Fourth, since public art centers in Jeju are operated for the purpose of public nature as the top prior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the various excellent programs, and to establish a cultural ecosystem in Jeju region that can mediate the operational achievements as the number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creases, thereby preparing a linkag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as well as the cultural industry.

      •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의 마케팅 전략차이 분석 연구

        박지향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21st Century is period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as well as period of culture and art. During this period, musical market has shown a rapid growth. It is safe to say that the future of Korea is proportional to the market share of products which contain Korea’s cultural image in world market. The trend of domestic musical industry has become bigger and Blockbuster-ized and has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stage before a growth stage. However, the occurrence of market supply exceeding demand has developed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absence of marketing and play time at limited venues, effects of inflation, increase of labor costs and changes in production condition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future marketing strategy to propose the plan to advance domestic musicals by examining the theories and realities of musical play products and develop elements of marketing strategies in musical market to mak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creative musical and license musical through case analysis and expert analysis. In this research,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of documents method were us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lay industry, musical market and marketing strategy. Also, creative musicals “The Last Empress”, “Dancing Shadow” and license musicals “Notre dame de Paris”, “The phantom of Opera” were selected as cases to provide comparison analysis of their marketing strength. In addition, 30 musical marketing experts were selected to survey/analyze the difference in implement strategy of creative musicals and license musicals focusing on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ere executed through data coding process utilizing SPSS for Windows 17.0 program, multiple respons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through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executed with listed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n musical marketing mix 4P strategy, the survey results for criteria of choosing musical products were artistic value for creative musicals and product recognition for license musicals. Thus, musical plays with artistic value were perceived as favorable in marketing. Second, the results show specialty in the field for creative musicals and recognition in the field for license musicals were important. As for results of castings of actor/actress, survey demonstrate singing ability for creative musicals and star power for license musical were priority. The results of environment level of musical production survey suggest stage production and stage lighting levels are highly regarded but improvements are necessary in sound technology and event staff. Third, the musical ticket price should consider size of venue and product as well as number of product play. The ticket sales proportions of both creative musicals and license musicals show more than half are sold at online stores. Also, the result shows that stage production is the element which affects the price the most. Fourth, the criteria of choosing musical venue for both creative and license musicals were recognition of the venue. The favorable venue for successful musicals for creative musical was medium-sized venue and for license musical was large-sized venue. Fifth, the most effective marketing measure for both creative and license musical was casting of star actor/actress. The most influencing element to success was star actor/actress casting for creative musical and product recognition for license musical. Sixth,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consider in musical marketing 4P strategy was mostly Product for creative musical and Product and Promotion for license musical. The appropriate preparation time for production was 1 to 2 years for creative musical. The difficulties shown in the results are decision to extend play and execution of marketing strategy and choice of product for the license play. Seventh, the production cost increase was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executing musical marketing strategy for both creative and license musicals thus, it is recognized that specialized marketing personnel is essential.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fro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musical must underline the artistic value and increase completion of product by taking sufficient time to prepare. Also, the production should progress between 1 to 2 years because when production period is lengthened then the cost of production is increased. Second, to set musical ticket price, size of venue and product as well as number of product play should be considered. Also, promoting online reservation is essential to ticket sales and increase of production cost as a result of competition should consider size of product and number of product play. Third, creative musical has difficulties to decide venue and marketing strategy correspond to product and should utilize medium-sized selected venues. The license musical should use concrete and systematic method to choose recognized product and utilize large venues to achieve production competitive. Forth,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to successful musical production is artistic product and star actor/actress for creative musicals and product recognition for license musical. Moreover, securing marketing personnel is essential because presently, planning and production personnel are also doing marketing work resulting lack of specialty. The proposals of musical advance plan from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e musical has shown rapid growth within short period and its role in the musical market is expanding. Also, it has contributed largely in development of musical market. Thus, continuous support systems via policy to keep develop and produce successful musicals satisfying Korean sentiment with artistic value must be established. Second, license musical is difficult to succeed because it mu 21세기는 정보와 기술의 시대에서 문화와 예술의 시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뮤지컬시장은 단기간에 많은 성장을 하여 왔다. 한국의 미래는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가 반영된 상품이 차지하는 점유율에 비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뮤지컬 산업은 대형화 되고 불록버스터화 되는 경향이 있으며, 성장기에 접어들기 위한 과도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지는 현상으로 한정된 공연장에서 공연기간과 마케팅의 부재, 인플레이션의 영향, 인건비의 상승, 제작여건의 변화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뮤지컬 공연 상품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뮤지컬 시장에서 마케팅전략에 대한 요소들을 전개하여 이를 토대로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의 차이를 사례분석과 전문가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뮤지컬 마케팅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국내 뮤지컬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뮤지컬 공연산업의 특성과 상품의 특성, 그리고 뮤지컬 시장과 마케팅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였으며,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마련한 창작뮤지컬 <명성황후>, <댄싱새도우>와 라이선스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 <오페라의 유령>을 뮤지컬의 마케팅 사례로 선정하여 뮤지컬 마케팅의 전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뮤지컬 마케팅 전문가 30명을 선정하여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을 작품(Product), 티켓가격(Price), 공연장(Place), 홍보(Promotion)를 중심으로 실행전략에 대한 차이를 조사・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데이터 코딩의 과정을 거쳐 SPSS for Window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교차분석(Cross tabulation)을 통한 카이제곱 (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마케팅 믹스 4P전략에서 뮤지컬 작품선택 기준은 창작뮤지컬은 예술성이 라이선스 뮤지컬은 작품인지도로 조사되어 예술성이 있는 뮤지컬 공연이 마케팅적으로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창작뮤지컬은 해당분야의 전문성이 라이선스 뮤지컬은 해당분야의 인지도가 중요하며 배우 캐스팅 기준에서 창작뮤지컬은 가창력을, 라이선스 뮤지컬은 스타성을 가장 우선하고 있다. 공연제작 환경수준은 무대제작수준, 조명기술수준은 높아 음향기술과 진행 스태프의 수준은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뮤지컬 티켓가격은 공연장규모별 작품규모와 작품공연일수를 고려해야 하며, 티켓판매 비율은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 모두 온라인 예매처에서 과반수이상 판매하고 있고, 티켓가격 책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대제작비로 나타났다. 넷째, 뮤지컬 공연장 선정기준은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이 공연장 인지도로 나타났고 뮤지컬 흥행에 유리한 공연장으로 창작뮤지컬은 ‘중극장’, 라이선스 뮤지컬은 ‘대극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 모두 스타배우 캐스팅을 가장 효과적인 홍보 수단이며, 뮤지컬 공연흥행에 가장 큰 영향력은 창작뮤지컬은 스타배우 출연을, 라이선스 뮤지컬은 작품인지도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뮤지컬 마케팅 4P 전략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창작뮤지컬은 작품(Product)’을, 라이선스 뮤지컬은 작품(Product)과 홍보(Promotion)를 가장 우선하고 있으며, 공연준비기간은 창작뮤지컬의 경우 1년 이상~2년 미만이 적당하며, 창작뮤지컬은 공연장 결정과 홍보전략 진행이 라이선스 뮤지컬은 작품선택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뮤지컬 마케팅 진행시 창작뮤지컬과 라이선스 뮤지컬 모두 제작비 상승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마케팅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 뮤지컬은 작품의 예술성을 중요시하고, 준비기간을 충분히 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야 하며, 라이선스 뮤지컬은 작품의 인지도를 중요시 하며, 제작기간이 늘어나면 제작비 상승을 초래하므로 1년이나 2년 미만으로 공연을 진행해야 한다. 둘째, 뮤지컬 티켓가격은 공연장 규모별 작품규모와 작품공연일 수를 고려하고 티켓판매는 온라인 예매를 활성화해야 하며, 제작비 상승에 따른 경쟁 작품은 작품의 규모나 공연일 수를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작뮤지컬은 작품에 맞는 공연장 결정과 홍보 전략이 어려우며 중규모의 전용극장을 활용해야 하며, 라이선스 뮤지컬은 인지도 있는 작품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선택하여 경쟁력 있는 공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대형 공연장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뮤지컬 공연 흥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창작 뮤지컬의 경우 예술성 짙은 작품과 그에 걸 맞는 스타 배우이며, 라이선스 뮤지컬은 작품 인지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케팅을 전담하는 인력이 부족하여 기획과 제작 전반에 참여하고 마케팅 업무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