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전북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dergraduate students. 386 college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Ego- Resilience Inventor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students had, the less Interpersonal Problems they had. Specifically,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d on coldness, socially control, self centerdness, nonassertiveness, dominance, self sacrifice and coldness was the factor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was influenced the most. ego- resilience influenced on nonassertiveness, socially control, coldness, self centerdness, over nurturant and nonassertiveness was the factor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was influenced the most. These results represented a necessary step n developing a counselling program to enha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to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박정화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space where the play is performed is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has a relational connection with humans in various ways. In the past, stage Design was an expression focused on realistic and concrete reproducibility based on themes, stories, and narratives, but in modern times, the spatial, creative, and symbolic expressions of the new meanings created by designers and the cultural and visual interpretation abilities of the audience have become possible. However, although expressive expansion and technical media of stage Design have been actively attempted, there are few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ories for new visualization, technological evolution, collaboration, and utilization, and a small number of prior studies previously conducted in Korea. In addition, there is little research as an expression method for visual narrative. Therefor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features, I tried to present various features and types of visual narratives by organizing and focusing on the features and elements of visual illusion, and then restructuring them.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illusion of stage Desig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ome problem consciousness. First, what will you maximize the illusion of the subject, story, and narrative? Second, why is illusion important in stage art? Third, what stimulates the change of the audience, and the various styles of illusion What can you deliver? Fourth, what expressions should be used in stage Design to enable visual stimulation, simultaneous synchronicity of space and time, and a new welcome experie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background of this problem consciousness, and through this study, the diversity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s can be seen in stage Design,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experiencing illusion through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igital and media will become clear. In order to theorize various visual narratives for illusion, discussions were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visual narratives and what can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by using theories research method. The first ‘Isochronic Type’ showed a tendency to agree on time, realism of space, and sympathetic among the elements of illusion.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has a visual narrative structure of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of a linear structure with an emphasis on genre form, and 'Speciality of space and time' for reinterpreting viewpoints and functions of time and space. It appeared as a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 of 'variation of internal combustion' for narrative expansion. The second ‘Convergence Type’ tended to be the center of contact among design and technology, communication between media, differentiation of physical elements, recognition of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and directing of association.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y appear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and have a visual narrative structure through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of symbolic formative media and understanding responses. It appeared as a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 of 'expansion of open structure that communicates communication between media' and 'multiplicity of variation, superposition of debounding for cognition and association'. The third ‘transformation type’ showed cognitive and reminiscent of the welcome elements, differentiation of physical elements, fluidity of media, and trend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appears as a complex new transformation through multiplication and differentiation. It was shown as a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 of 'openness of movement for fluidity' and 'symbolism of multisimism for differentiation of physical elements of visual transformation'. The fourth “dismantling type” showed the trend of three-dimensional communication through design and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for technolo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nd boundary among the welcoming elements. When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y appear as structural and functional complexities, and are heterogeneously composed and formed with new meanings and actions. Based on the message of the formative language and the visual narrative structure of the interpretive integrated language, the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Expandability of Multi-layering for Relational Deconstruction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nd 'Expansion of Variability for Boundary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Design' Appeared The fifth 'relationship type' tended to be cognitive and associative, virtual space, and mutually comprehensive communication among the welcoming elements, and when the above result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expansion of space appeared, and multi-channel and It appeared as a visual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emotional reaction,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visual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onstruction for mutual relational virtual space' and 'participation and sharing for comprehensive communication'. In sum, it shows the theme, story, narrative and technological evolution with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expansion of visual narrative expression of stag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media. While many stage Designs focus on a few concepts from the aforementioned types, they actually appear to cross between the five types. In addition, the presented type is only a conceptual tool as a new approach, not a tool for showing or separating into a stage Design space. The visual and narrative expression for the illusion of the most ideal stage Design is based on five types of sensuous expressions: work, directing, narrative, concept, design, movement, and non-verbal language. It is expressed in a new form of multiple layers and multiple layers. Stage Design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audience shares more information and allows interactive (between the subject of movement and the audience) communication. The dual structure of Story and Discourse is directed to the audience by welcoming the specialty of space and the narrative of time according to the story through various expressions by narrative, through the combination of experimental visual narrative I was able to know that I was delivering it. The visual narrative approach to maximize the illusion is the basis for a new approach and experience to the changes and values of stage Design required by society, culture, performances, and the public.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극(劇)이 행해지는 공간은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장소로서 상호 간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과 관계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무대미술은 주제, 스토리, 내러티브 중심의 사실적, 구체적 재현성에 치우친 표현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관객들의 문화적, 시각적 해석 능력과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창작한 새로운 의미의 공간적, 창조적, 상징적 표현이 가능해졌다. 박정화·김주연,「키네틱아트를 통한 극공간디자인 연출 사례」,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no.3, 2018, pp. 221-228 그로인해 무대미술의 표현적 확장과 기술적 매체가 적극적으로 표현, 시도되고 있으나, 여전히 새로운 시각화와 기술적 진화 및 협업, 활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립된 이론이 미비하고, 국내에서 기연구된 소수의 선행 연구와 비주얼내러티브를 위한 표현 방법으로써의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과 특징에 대한 체계적 접근을 통해 연구의 역할과 환영의 특징 및 비주얼내러티브 구조, 표현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이를 다시 구조화한 후 다양한 특징과 비주얼내러티브 유형을 제시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무대미술의 환영에 대한 이론적 이해에서는 몇 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주제, 스토리, 서사의 환영을 무엇으로 극대화할 것인가? 두 번째, 왜 무대미술에서 환영이 중요한가? 세 번째, 관객의 변화를 무엇으로 자극하고, 다양한 양식(樣式)적 환영을 무엇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네 번째, 시각적 자극과 시공간의 동시성 및 새로운 환영 경험이 가능하기 위해 무대미술에서 어떤 표현을 활용하여야 하는가? 위의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 연구를 통해 무대미술에서 비주얼내러티브 표현의 다양성을 알 수 있고, 디지털, 미디어 간 협업과 소통을 통해 환영을 경험하는 목적과 효과가 분명해지리라 생각한다. 환영을 위한 다양한 비주얼내러티브의 개념화를 위해 근거 이론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비주얼내러티브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관객들에게 무엇을 전달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등시유형’은 환영 요소 중 시간의 일치와 공간의 사실 중심으로 경향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장르적 형식이 강조된 선형적 구조의 표현과 재현의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가지며 있다. 또한 시공간의 시점 및 기능의 재해석을 위한 ‘시·공간의 특수’ 와 내러티브 확장을 위한 ‘내연의 변주‘ 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융합유형‘은 환영 요소 중 디자인과 기술의 접점, 매체 간 소통, 물리적 요소의 차별화, 종합적 인지,연상 중심으로 경향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서로 결속하고 연결의 관계성 안에서 나타나며, 상징적 조형 매체와 이해적 반응의 재현과 표현으로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디자인과 디지털, 미디어의 기술적 접점을 통해 매체 간 소통을 전달하는 ’열린 구조의 확장’ 및 다중적 변이, 인지와 연상을 위한 ’탈 경계의 중첩‘ 으로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이 나타났다. 세 번째 ’변형유형‘은 환영 요소 중 종합적 인지, 연상과 물리적 요소의 차별화, 매체의 유동 중심으로 경향이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증식과 분화를 통해 복잡한 새로운 변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형 언어, 해석적 언어와 맥락적 메시지 및 해석과 재현의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바탕으로 흔적과 변형의 매체 유동을 위한 ’움직임의 개방’ 및 시각적 전환의 물리적 요소의 차별화를 위한 ‘다중심의 상징‘ 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해체유형‘은 환영 요소 중 경계의 관계에서의 기술을 위한 디자인 을 통한 입체적 소통의 경향이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구조적, 기능적 복합성으로 표현되어 새로운 의미와 작용으로 인한 이질적 구성으로 형성한다. 또한 조형 언어의 메시지와 해석적 통합 언어의 비주얼내러티브 구조를 바탕으로 관계적 해체를 위한 ’다층화의 확장’ 및 기술적 디자인의 경계 관계를 위한 ‘외연의 가변‘ 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관계유형‘은 환영 요소 중 종합적 인지, 연상과 가상공간 및 상호 관계적 경향이 나타났고, 위의 결과를 작품 해석과 종합해 보면, 공간의 확대로 표현되었다. 또한 멀티채널과 정서적 반응, 소통의 경험, 체험을 바탕으로 한 비주얼내러티브 구조와 상호 관계적 가상공간의 ’통합적 구축’ 및 종합적 소통을 위한 ‘참여와 공유‘의 비주얼내러티브 핵심 항목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무대미술에서는 비주얼내러티브를 통해 표현의 확장과 기술적 매체 발달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각의 환영이 표현되고 있고, 더불어 주제, 스토리,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무대미술 공간에서 꾸준한 기술적 진화가 행해지고 있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무대미술은 앞에서 언급한 유형 중에 몇 가지의 컨셉에 중점을 두고 있으면서도, 실제적으로는 다섯 가지 유형 사이를 넘나들며 나타난다. 또한 제시된 유형은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서의 개념적 도구일 뿐이지, 무대미술 공간에 편중되도록 나타내거나 분리시키려는 도구는 아니다. 가장 이상적인 무대미술의 환영적 비주얼내러티브 표현은 다섯 가지 유형의 감각적 표현을 작품, 연출, 내러티브, 컨셉, 디자인, 움직임, 비발성적 언어 등을 기반으로 독립적, 병행적, 혼합적, 변이적, 다중적, 다층적인 새로운 양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무대미술은 관객이 보다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종합적 (공간, 매체, 관객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야기(Story)와 담화(Discourse)의 이원적 구조를 바탕으로 매체의 결합, 내러티브에 의한 다양한 표현 방식은 비주얼내러티브를 통해 공간의 특수성과 스토리에 따른 시간의 서술성을 환영으로서 관객에게 연출되고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bid, p. 228 환영을 극대화하기 위한 비주얼내러티브 접근은 사회, 문화, 공연, 대중이 요구하는 무대미술의 변화와 가치에 새로운 접근 방식과 경험을 할 수 있는 바탕이 되며, 디지털, 미디어적 소통으로 관객은 좀 더 다양한 양식적 환영을 체험할 수 있는 경험 확대의 가능성을 결론으로 알 수 있었다.

      • 파빌리온 건축을 통한 예술적 공간경험 확장에 관한 연구

        이민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예술의 개념이 확장되면서 다원화되고 복합적인 현대미술의 흐름에 따라 전시공간 또한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예술적 공간경험을 위한 20세기 현대미술의 대표적 전시공간의 모습인 화이트큐브를 넘어서 다양한 장르의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현대미술 전시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전시공간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공간경험을 위한 전시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 전시에서 공간경험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게 되는 예술적 감상의 변화 속에서 미술관 내의 파빌리온 건축을 통해 관람자가 마주하는 새로운 공간경험에 대한 확장을 연구함에 목적을 둔다. 감상적 공간경험 개념의 변화와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건축의 개념을 정립하고,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건축프로젝트인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oung Architect Program)>을 중심으로 국제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미술관들의 파빌리온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여 각 작품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추출한 파빌리온의 특성을 바탕으로 2014년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참여하게 된 국립현대미술관의 2014년-2017년 시행되었던 파빌리온을 연구대상으로 다양한 공간적 분석을 통한 공간경험의 확장의 요소를 분석하였다.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파빌리온 건축 프로젝트는 현대미술과 건축의 만남을 통하여 이들의 접점에서 미술작품을 일상의 공간으로 가져오며 예술과 삶의 긴밀한 관계를 재고하게 한다. 예술작품으로서 파빌리온이 예술적 공간경험의 확장을 보여주는 요소를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파빌리온 건축의 기술적 특징에 따른 공간으로의 기능적 확장. 둘째, 관람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공간경험에 대한 관람객 참여중심의 공간으로서의 체험적 확장. 셋째, 실용의 건축에서 실험의 건축으로 전이되어 예술작품으로 인정되기 시작한 파빌리온에 대한 예술성에 따른 미학적 확장. 넷째, 랜드마크 성격의 주목성과 장소와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물리적 장소성을 넘어 개념적 접근을 통한 공간적 확장을 들 수 있다. 현대미술에서의 파빌리온 건축프로젝트는 관람객 활성화와 더불어 새로운 현대미술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 건축의 도입은 이것을 작품으로 바라보게 하며 감상의 대상을 전시공간 자체로 변화하게 했다. 오늘날의 전시공간의 의미는 공간의 경험 또한 작품의 일부가 되며, 이것은 전시에 있어 공간경험의 확장으로 이어지게 한다. 이와같이 예술적 공간경험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전시 장르로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ollowing the diversified and complex trend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 space has thu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appreciating art as the concept of art dilated. Exhibitions of various genres are being held beyond the walls of white cube, the representative 20th century contemporary art space and new forms of exhibitions for the aesthetic spatial experience are appearing amidst the existent spaces subsequent to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rt spaces.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expansion of new spatial experienc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pavilion withi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where audience view works of art through the spatial experience of the exhibition space. This study also establishes the concept of pavilion architecture as work of art and the change of spatial experience in appreciating art and derives the features of pavilion in four categories, based on cases of museums within the international network around "Young Architect Program", an architectural project of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USA). Upon such attributes of the pavilion, elements of extended spatial experience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analysis on the pavilions arrange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14 to 2017), the first institution in Asia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and study of the respective elements, the "Young Architect Program" brings art into our daily space, enabling recollection of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art and life. The expansion of aesthetic spatial experience of pavilion as work of art could be categorized in four elements. 1. Expansion of func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attributes of pavilion architecture 2. Expansion of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behavior of appreciating art centered around visitor participation and visitors' experience of space 3. Aesthetic expansion according to the artistic value of pavilion recognized as work of art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from practical architecture to experimental architecture 4. Expansion of placeness through the conceptual approach beyond physical space,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space and attractiveness as a landmark It could be identified that pavilion construction project in contemporary art activates the audience while suggesting new concept of contemporary art. The introduction of pavilion architecture as work of art has changed the exhibition space into work of art as well as the subject of viewing. The current significance of exhibition space encompasses the spatial experience as part of the art and this leads to the extension of exhibition space. In this account, subsequent studies on approaching aesthetic spatial experience with new perspectives should be performed.

      • 어린이병원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연구

        박준영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recent years, as the awareness of the health of modern people has increase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have been effective and adult mortality has decreased. However, the serious diseases and mortality rate of children are increasing as compared with the medical effects. Currently, although children are less immune than adults, they are more likely to be infected with germs because they use medical facilities with adults and have a different emotional need than adults and have a much higher emotional anxiety in a rigid hospital setting. Thus, the need for a specialized space for children's healing space is emerged. Doctor Leland Kaiser of the University of Cololado said,“Curing is a scientific high-tech about the patient's physical body, and healing is an emotional and mental high-touch of the patient's cognitive psychology”. Thus, the positive environmental stimuli of curing and healing should be combined. Thus,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medical environment suitable for children 's illness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healing design in child hospital design.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conceptual, temporal, and spatial) and method of research are set up, and the lack of prior research is set a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2, theoretical review examines the literature and research of children's hospitals and biophilic design, and then presents an analytical model by extracting characteristic elements. In chapter 3, the researcher analyzes selected children's hospitals with an analysis matrix through site visits and searches. Chapter 4 suggests biophilic design of children's hospital based on the result of case analysis in the children hospital design. In Chapter 5, the conclusions are reach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The overall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responding to the healing environment appear in ‘early childhood and childhood’under the age of 13,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motional desire’, ‘healing preference color’, ‘preferred physical activity’, and ‘healing sense stimulation’ appear. Second, the biophilic design elements that are highly used in children's hospitals are ‘natural elements’, ‘light and space’ in Korea and ‘natural elements’, ‘natural shape’, ‘light and space’, and ‘evolved human relationships’ in overseas. All are considered comfort, stability, and agrement by inducing ALPHA-wave. Third, as a factor reducing the fear of children, ‘shape and form of nature’ is expressed as a figure of animals and plants as a 2D character or sticker in Korea, and ‘shape and form of nature’ and ‘evolved human relationship’ was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an objet in overseas. Domestic hospitals have also considered aesthetics and communication, but color manuals for children and new contents are needed. Fourth, for the purpose of overcrowding the emergency room and preventing infectious spread, the domestic government has shortened the stay time by ‘an exclusive joint treatment’ and ‘supplement of recruitment’. Outside the country, the disease code is separated and room and flow of human traffic are separated and solved. This should spread to many hospitals in Korea. Since this study has a limit of concept design proposal of biophilic design of children's hospital,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patterns and manuals for practical desig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s of in-depth biophilic characteristic study. 최근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질병 예방과 치료가 효과를 거두어 성인 사망률은 감소하게 되었으나 이런 의학적 효과에 비해 어린이의 중증질환 및 사망률은 증가 하고 있다. 현재 어린이들은 성인에 비해 면역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을 성인과 함께 이용하고 있어 세균에 감염될 확률도 높고 성인과는 다른 정서적 욕구를 가지고 있어 경직된 병원의 환경에서 훨씬 높은 정서적 불안감을 갖는다. 그리하여 어린이 전문 치유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Cololado대학의 의사 Leland Kaiser는“치료(curing)는 환자의 물리적 신체에 관한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하이테크이고 치유(healing)는 환자의 인지 심리에 관한 경험적이고 정신적인 하이터치라고 하였다. 이렇듯 치료와 치유의 긍정적 환경 자극은 함께 병행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질환에 맞는 의료시설과 심리에 맞는 치료환경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어린이 병원 설계 시 치유 적 디자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1장 서론에서는‘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개념적, 시간적, 공간적), 방법’을 설정하고 선행연구에서 부족한 점을 본 연구의 필요성으로 세운 뒤 연구의 흐름 도를 정리한다. 2장 이론고찰에서는 어린이병원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문헌 및 연구들을 살펴본 후 특성요소를 축출하여 분석 모형을 제시한다. 3장 선정된 어린이 병원들을 현장답사 및 검색을 통하여 분석매트릭스로 분석한다. 4장 어린이 병원 디자인 제안에서는 사례분석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병원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제안한다. 5장에서는 종합 결론에 이르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종합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환경에 반응하는 어린이의 특성은 13세 이하 ‘유아기, 아동기’에서 나타나며‘어린이정서욕구, 치유선호색채, 선호신체활동, 치유감각자극’의 특성이 나타난다. 둘째, 현재 어린이 전문병원에서 높게 사용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는 국내는‘자연 요소, 빛과 공간’이며 국외는‘자연요소, 자연모양형태, 빛과 공간, 진화된 인간과 관계’등이 있다. 모두 알파파를 유도함으로써 편안함과 안정성, 쾌적성을 고려하고 있다. 셋째 어린이의 두려움을 줄이는 요소로는 국내는‘자연의 모양과 형태’를 동식물 캐릭터로 2D 그림이나 스티커로 단순 표현 하였고, 국외는 ‘자연의 모양과 형태, 진화된 인간의 관계 등이 오브제적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국내 병원도 심미성과 소통 성을 고려하였으나 어린이 환자를 위한 색채 매뉴얼과 새로운 콘텐츠가 필요하다. 넷째 응급실 과밀화와 전염성 확산방지를 위하여 국내는‘협진전담, 인력충원’등으로 체류시간을 단축시켰고, 국외는 질병코드를 분리하여 실과 동선을 분리하여 해결하고 있다. 이는 국내 많은 상급병원으로 확산 실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병원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컨셉 디자인 제안이라는 한계점을 지녔기 때문에 심도 있는 바이오필릭 특성 연구로는 사례수를 높여 실질적인 디자인을 위한 패턴과 매뉴얼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어린이공원의 CPTED에 관한 연구

        김정민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198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개발로 인해 범죄 발생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다. 통계청에 의하면, 현대인들은 사회안전의 다양한 요인 중 범죄 발생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범죄 및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범죄로부터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예방이론으로써 CPTED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어린이공원은 주택지로부터 접근성이 좋아, 이용률이 높은 편에 속하며, 어린이는 범죄로부터 취약한 대상으로 범죄 발생 시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어린이공원의 CPTED적용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CPTED에 대한 선행연구는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를 대상으로 하거나, 시설물에 대해 주로 연구되어왔을 뿐,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므로, 본 연구는 범죄로부터 취약한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하기 위해 CPTED개념을 적용하여 현장 조사를 통해서 CPTED의 범죄예방환경조건을 고려한 어린이공원디자인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약자로써 보호되어야 할 어린이를 대상으로 주택지에 조성된 어린이공원에 대해 현장 조사를 행하여 CPTED개념의 적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어린이공원과 CPTED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CPTED의 원리 6가지와 이에 세부내용을 도출하고, 경찰청에 정보공개요청을 통해, 서울시에 위치한 지자체 중 아동 범죄율이 높은 순으로 노원구, 은평구, 송파구, 도봉구 4곳을 대상지로 선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어린이공원을 단독주택 및 빌라에 위치하고, 상상어린이공원으로 재조성되었으며, 1,500㎡의 면적을 가진 곳으로 최종 선정하여, 지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CPTED개념을 실천하기 위해 제시한 주요지침 및 가이드라인에서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용성 증대, 명료성 강화, 유지관리 총 6가지의 CPTED원리를 도출하여, 본 연구의 연구대상 지인 어린이공원에 적용 가능한 세부지침들을 토대로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례대상지인 노원구, 은평구, 송파구, 도봉구에 위치한 어린이공원 중에서는 도 봉구에 위치한 새동네 어린이공원이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CPTED의 6가지 원리에서는 유지관리 부분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원조성 이후 관리미흡으로 인해 본연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아 그 기능을 잃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공원은 불특정다수가 이용 가능한 장소로써 여러 범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범죄로부터 가장 취약한 대상인 어린이를 위한 공원을 대상으로 범죄예 방디자인(CPTED)을 적용한다면, 공원을 이용하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주변의 거주민들의 불안을 감소시켜 줄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공원 이용자 수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한 어린이공원을 계획 및 재조성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Since 1980s, the rapid urban development has led to quickly increase the number of crimes.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it showed that modern people were most anxiety about crime among the various factors of social safety, and the significance of CPTED has been emerged with raising interest in crime and safety as a precautionary theory, not a post-response to crime. The CPTED application of children's parks are necessary because children's parks have a high utilization rate due to its accessible from residential areas and children are vulnerable to crime and difficult to cope with crime.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es on CPTED have studied only about facilities or for urban housing complexes and schools, so it is lacking the study on crime prevention in children's parks.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suggest the design of children's parks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rime prevention in CPTED by field studies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crime prevention against the vulnerable children's parks to crime by applying the concept of CPTED. This study researched the application status in the concept of CPTED by conducting the field studies of children's parks that we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for children who have to be protected as social weak. As the methods of study, the 6 principles of CPTED and its details were deduct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hildren's parks and CPTED, and 4 areas of Nowon-gu, Eunpyeong-gu, Songpa-gu, and Dobong-gu were selected as targeting areas in the order of high child crime rate among the municipalities in Seoul, by the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n, the children's parks locating with detached houses and villas, reorganized as Imagination-Children's Parks, and having the place of 1,500 square meters in the selected area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 plac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region. Drawing the six CPTED principles of the natural surveillance, access controls, territoriality enhancement, usability expansion, clarity improvement and maintenance in the major index and guideline th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presented to carry out the concept of CPTED,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field studies based on details which could be utilizing to children's parks, the subjective places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New Town Children's Park locating in Dobong-gu had overall low outcomes in the children's parks in Nowon-gu, Eunpyeong-gu, Songpa-gu, and Dobong-gu, as the case-subjective places. Also, it confirmed that the part of maintenance was very low in the six principles of CPTED. It implies that the places' original forms have not maintained due to insufficient management after the creation of the children's parks, do the places have lost their own functions. As children's parks are where unspecified people can use, there can be multiple crimes. Therefore, if it applies CPTED for the parks of children who are the most vulnerable from crime, it can decrease the anxiety of not only children using the parks but also residential neighborhood, and it can be connecting to the positive impact on the number of park user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expects to be helpful as basic data in planning and reorganizing safe children's parks.

      • 미니멀리즘 FNB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광훈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한민국은 건국이후 세계사에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급속하고도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루어냈다.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은 크게 개선되었고 그 과정에 있어 본의 아니게 서구문물과 자본주의의 패혜를 무분별하게 도입하게 되었다. 물질적인 풍요로움은 더 이상 최대의 가치가 될 수 없게 되었으며 다양하고 개성적인 지성 소비시대의 도래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식음료산업과 관련된 서비스와 문화 또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냈으나 짧은 시간내에 기형적인 성장을 초래하였고 그로 인해 점진적이고 탄탄한 내적인 성장보다는 실속 없는 양적인 외적 팽창이 난무하게 되었다. 식음료공간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도심상권을 들여다보면 그 안의 내용보다는 외적인 화려함만을 강조하여 수많은 식음료공간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미적인 요소들은 배제된체 행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표피적 화려함만을 추구하다보니 경쟁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상권들의 경관들은 나날이 난잡해지고 개성적인 지성소비에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시점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디자인철학을 담은 식음료 공간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회색빛 콘크리트 도심에 지친 현대 도시인들 위해 그 상대적 반향으로 자연, 느림, 인간미등에 그 근본을 둔 디자인철학들이 전개되고 있고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형상과 미적 의미를 최소화 하는 현상적 경험으로서의 철학이 담긴 미니멀리즘을 담아낸 식음료 공간디자인은 그 호응에 부합하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미니멀리즘을 적용한 공간으로 상권의 치열한 경쟁으로부터 독창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보할 수 있고 그 철학을 구현해낸 공간에서는 식음료를 집중하며 즐기고 개성적인 지성의 소비와 함께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치유하기에 더 좋은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which has been rare in the history of the world history. The living standard ha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but brought negative sides of the capitalism. The Material affluence is no longer at its highest value and may not be a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advent of times of intelligence consumption. The services and culture related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ve also made remarkable progress, but they have resulted in abnormal growth in a short time, which has led to an external hollow growth rather than an internal solid growth. The downtown shopping district, which has a large portion of food and beverage space, is competing with each other by stressing only the glamour of the contents. Excluded from the aesthetic elements are the pursuit of superficial brillianc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passers-by, which makes the landscape messy and the individual intellectual consumption impossible. This situation has led to the need for food and beverage spaces containing various design philosophies. Especially, the design philosophy based on nature, slowness, and humanity has been well received for city people who are tired of city life. Among them, it would be a good way to express minimalism as the design of food and beverages minimizes their shape and aesthetic meaning. Minimalism can be applied to secure original brand identity from the fierce competition of the merchant. The space in which the philosophy is implemented will provide a good environment for modern people to relieve stress, and will be able to provide services where the consumption of individual.

      • 한국과 일본 전통창호의 비교 및 현대적 활용에 관한 연구

        Tanaka Mika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이 창조해 놓은 유형적 측면의 유산 중 건축물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건축물에 있어 자연적인 채광이나 바람의 유입을 관장하는 창호는 기능적인 측면과 미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건축과 실내공간에서 중요한 역할 및 기능을 하는 창호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인 창호는 건축이나 실내공간에서 점유되는 비율이 지역이나 건축적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50-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건축 및 실내공간에서 조형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연구의 필용성은 매우 높다. 특히 전통 창호는 한국과 일본의 시대적 배경, 생활문화를 반영하는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서 기술의 발달이나 생활문화의 변화로 전통 창호는 다른 모습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에 대하여 답사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의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도출된 특성을 요소별로 분류하여 현대 건축이나 실내공간에서 전통 창호의 특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내용과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 분석하므로 한국과 일본의 창호특성에 대하여 종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나라의 전통 창호를 비교하여 도출한 자연적 특성, 정서적 특성, 조형적 특성, 연계적 특성, 상징적 특성의 5가지 공간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여 현대에서 전통 창호가 활용되어 적용된 공간에서 5가지의 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검토한다. 현대 공간의 분석 범위는 전통 계승에서 상업공간은 많은 사람들이 찾아가서 직접 문화에 접할 수 있으며, 더 유효적인 방법으로 사람들이 전통 창호의 공간 특성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상업공간으로 한정하였다. 상업 공간 중에서 호텔 공간, 소규모 음식점, 스토어 공간의 3가지 유형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비교의 결과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는 자연과의 연관성을 중요시하는 것을 공통점으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의 전통 미학은 모두 소박함의 아름다움을 찾는 미학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셋째, 전통 창호의 역할은 외부와의 차단, 비, 바람 등에서 실내 공간을 지키는 것, 통풍과 조도조절 등외에 창살과 창호지에 의한 그림자의 공간 연출이나 간접적인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연결 등이 있다. 넷째, 사례에서 활용된 공간 미학 중에서 한국의 사례는 음양오행은 모든 사례에서 볼 수 없었으나 음양오행의 사상은 상업 공간에서의 체현은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를 가지고 공간 특성을 5가지 요소로 상업 공간에 한정하여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각 나라의 전통 창호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엿볼 수 있었다. 전통 창호만으로 한국과 일본의 전통적 미학 및 의장성을 다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좀 더 확대하여 두 나라의 더 많은 특성을 도출하여 한국과 일본의 공간 디자인 특성 비교 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If the lives of humans are intangible contents, construction is a tangible framework containing life. The targets of this study, windows and doors, comprising 60 percent of buildings, are an important element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low of age. In particular,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is the component reflecting backgrounds and living cultures of Korea and Japan. In the modern times, ow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r the changes in living culture,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began to be used in different figur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atively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in Korea and Japan by examining how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are used in modern life and which role they play after comparing windows and doors of Korea and Japan and deriving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how five space elements - spontaneity, emotionality, formativeness, connectivity, and symbolism - derived by comparing windows and doors appear in applied spaces. When it comes to traditional succession of commercial spaces, since a number of people can experience culture and feel spac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based on more effective methods,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commercial spaces. Among commercial spaces, twelve cases of three types - hotel space, cafe space, and store space - were selecte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omparison, windows and doors of Korea and Japan had the common point of regarding relevance with nature as important. Second, traditional aesthetics of Korea and Japan share the common point of seeking beauty of simplicity. Third, the roles of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other than blocking outside, protecting indoor spaces from rain and wind, ventilation, and illumination regulation, there are the functions of displaying shadow spaces casted by muntins and window-paper and directly connecting external spaces and inner spaces. Fourth, among space aesthetics used in cases, among the cases in Korea, the Yin-Yang Five Elements cannot be found in all case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ideology of the Yin-Yang Five Elements was not materialized in commercial spaces. This study looked into space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of Korea and Japan in commercial spaces based on five elements. There was a limitation in comparing all traditional aesthetics and designs of Korea and Japan based on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Future studies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tudy, derive more characteristics of the two nations and continuously carry out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Japan.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아이코닉 건축과 장소 브랜딩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양지윤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a study regarding the public perception on iconic architecture which has been erected strategically from the viewpoint of marketing in the present age. Historically, iconic architecture has existed as a crystal of reflecting contemporary desires and values with varying forms and characteristics. Even in modern times, iconic architecture produces an instant iconic image with a heteromorphic appearance and unique style with the backdrop of consumerism, while the general publ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place branding as they determine the perception of an image even in the realm of architecture. Similar to this, from the viewpoint of place branding iconic architecture is labelled landmark buildings or signature architecture and has settled as a space marketing strategy indispensable for places seeking change into a tourist attraction. In government-led place branding strategies, studies on public perception are insufficient as they are limited to specialists and the small group of elite members. It justifies the necessity for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in enhancing place competitiveness for the future by proving statistical obje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branding and iconic architecture. On the subject of iconic architecture which came about after 1990 when the Internet started to be commercialized, this study used a research method of analyzing online popular texts on iconic architecture. The location for conducting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U.K. as industrial cities representing the U. K.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re were plenty of cases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a tourist city with the competitiveness of possessing iconic buildings as landmarks using cultural flagship facilities as an effective mechanism as part of large-scale revitalization program. Cases used for this analysis were selected from single public buildings with reference to the rankings of the 21st-century landmarks within “The Independent”, a British newspaper. On that note, cases where iconic architecture was intentionally used for the focus of regional redevelopment were obtained. The Introduction, Chapter 1, is an overview of the study and clarifie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It also looks into domestic and foreign trends and compares methodologies through contemplating foregoing studies. Theoretical review, Chapter 2, investigates the concep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iconic architecture. And it identifies the theoretical basis of iconic architecture from the viewpoint of place branding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identity as place branding and image, suggesting iconic architecture as place branding identity. Study method, Chapter 3, draws a framework for textual analysis based on the precedent theories of place branding. It also presents the types of iconic architecture for place branding through precedent theories and expert survey. Then it selects three cases for text mining-based analysis and suggests hypotheses for empirical analysis. Analysis, Chapter 4, presents the concept of big data-based text mining and text mining using SN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nd then major analytical techniques. The process of text mining analysis focused on the three selected cases is as follows: Postings on the Facebook for each structure and place were collected for the past year, refined with noun and adjective forms and the frequency and ratio of concurrent appearance were analyzed. Next, key text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er’s analytical framework. Social network analysis (One-mode network, Ego network,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by creating network data. Frequency was drawn by carrying out text mining on places and, after the process of refinement, key texts were picked out with an adjective form. Then, correlation between place and architecture was identified through two-mode network analysis, one of social network analyses, and verified with QAP. Subsequently, comparison and comprehensive analysis were performed by integrating analysis for each case. Conclusion, Chapter 5, describes an overall conclu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conic architecture and place branding through text mining, refers t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makes a proposal on further studies. Results of the study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thesis was posited that “Iconic architecture shows the characteristics relate to place branding.” Public perception was investigated by grasping people’s emotional image and attributes regarding iconic architecture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 collected data, centrality analysis and ego analysis on social network and CONCOR analysis. In all of the structures, their spatial function ranked high while the name of the relevant area of their location was also talked about. Tourism-related texts are notable because in architectural frequency, texts such as nearby tourist attractions, restaurants, hotels, comments on guide tour, transportation, tour agencies, etc., were sampled proving that tourism is a major source of perception. Besides, the public is considered to recognize iconic architecture not by attributes in detail but entirely and they finally put their entire experience of architecture into emotional image texts. A communication channel was also drawn into You Tube, Facebook, BBC, and more. As to the relation to architectural image, image relationship to architectural attributes appeared higher than that to non-architecture attributes showing that architectural attributes have larger influence on architectural image than non-architecture attributes. Besides, adjective-form emotional images of ‘belonging to a place’ appeared in each place proving that the perception of architecture which functions as the place’s landmark. Then, there appeared a percep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background of foregoing studies by architecture. In the case of the Titanic Belfast, the art and cultural attribute was recognized as a popular, beautiful in commemoration of wandering and bustling in happiness.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perception of holding the core story of architecture portrayed popularly and beautifully, even in their commemoration of the centenary of the tragic sinking of the luxury liner based on the movie of Titanic. Wales Millennium Center was also recognized as belonging to Wales whose art and cultural attributes are considered international and creative culture. This is the part in correspondence to the intention of creating an internationally outstanding architecture by allowing for the enduring regional character of Wales. For Turner Contemporary, the art and cultural attribute was found to be recognized as a new culture of the old ocean city, chic and popular, belonging to the place. However, texts of emotional image in our analysis appeared redundantly in many attributes showing that the general public recognizes architecture as a whole, and there wer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m in detail by attribu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NS texts. The second hypothesis was posit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conic architecture and place.” People’s emotional images within the targeted zone were collected using big-data text mining analysis and shared images between iconic architecture and place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a two-mode network during social network analysis. Relationships between iconic architecture and place branding were grasped by verify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QAP correlation analysis, all architecture and pla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ver 0.3 with a very significant result of a p-value under 0.002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hen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0.05. Considering that shared ratio between architecture and place was 4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over 0.3 means a very high level of correlation.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all architectural images in our subject of study and the images of place at the location of architecture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third hypothesis was posi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ople’s perceptions divided by the type of iconic architecture used widely in place branding.” When dividing by the type of architecture in place branding, Wales Millennium Center is an image intension type, Titanic Belfast image reinvention type and Turner Belfast image rebirth typ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image texts by the degree of using the existing image for place branding. In centrality analysis, emotional image text was drawn the most (11) from Wales Millennium among the 20 higher ranks showing a high centrality. From Titanic Belfast, emotional image text was deduced the second most (9) among 20 higher ranks. Lastly, Turner contemporary showed the least (6) among 20. The importance of image appeared differently by the degree of using the image of an existing site culture. Intention type was the highest ranked, followed by reinvention type that was next highest ranked and then, rebirth type was the ranked the lowest. As to the text ratio by sub-attributes sorted by the researcher, intention type showed high results in art and culture, place culture and infrastructur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inducing and strengthening new forms of art and culture into the existing culture, while reinvention type showed the spatial function of site culture with the highest rate meaning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new image by sublimating place culture to spatial function. Finally, rebirth type showed spatial function highest implying the need for using a new spatial function with a core element.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thesis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following scholarly suggestions. First, the current study will contribute to a new method of collecting the people’s views because it analyzed iconic architecture which has made gains in success in place branding from the object point of SNS, a viewpoint of the general public. It has room for endless development in usage according to diverse viewpoints of analysis because of the capability to collect and digitize open feedback. Second, it presented a method to use big data research in spatial design, which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It presented a method of big data analysis on the subject of a single architecture by networking and comparing the texts sorted by the researcher’s analytic framework by type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rough expanding the frequency of concurrent appearance among text mining methodologies. Third, it has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of architecture to place. The researcher’s analytic framework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a network by drawing noun-form and adjective-form texts, digitized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statistically by comparing networks between architecture and place. It is expected that examining place branding closely like this through iconic architecture can be a reference for increasing place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This study used text mining as a means of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conic architecture and place branding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the times. Recently, the emphasis of landscape research is expanding from analysis on the production of a physical building environment to the way of landscape representa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architecture, plaza, street but also media spaces, maps, painting, literature, movies, advertisement, photos, journals and cyberspace, which reproduces such landscapes. It can be said that the spin-off effect of this study for the future lies in using text mining as a platform of how to read and interpret the symbol and meaning of such cultural landscapes. 본 논문은 현시대의 마케팅적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건립되는 아이코닉 건축의 대중적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아이코닉 건축은 역사적으로 동시대적 염원과 가치관을 반영한 결정체로 그 형태와 성격을 달리해 왔다. 소비지상주의를 배경으로 한 현대 아이코닉 건축은 이형적인 외관과 독특한 표피로 즉각적인 아이코닉 이미지를 생산한다. 아이코닉 건축은 장소 브랜딩 관점에서 랜드마크 빌딩 혹은 시그니쳐 건축으로 불리며 관광지로의 변화를 도모하는 장소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공간마케팅 전략으로 자리잡았다. 정부주도의 장소 브랜딩 전략에서 전문가와 소수 엘리트 계층에 한정된 연구가 아닌 대중적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갖는다. 이에 따른 장소 브랜딩과 아이코닉 건축의 상관성에 대해 통계에 의한 객관성을 증명하여 향후 장소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기적으로는 인터넷이 상용화된 시기인 1990년 이후의 아이코닉 건축을 대상으로 하였고 온라인상의 아이코닉 건축에 관한 대중적 텍스트 분석을 연구의 방법으로 하였다. 지역은 영국으로 한정하였다. 영국 산업혁명의 상징인 공업도시들은 대규모 재생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문화적 플레그쉽 시설을 효과적인 메카니즘으로 사용하여 관광도시로 발돋움 하려는 기반을 만든 사례가 풍부하였다. 분석에 사용 된 사례의 선정은 영국 인디펜던트 신문사의 21세기 랜드마크 순위를 참조하여 단일 공공 건축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지역재개발의 초점으로 의도적 아이코닉 건축이 활용된 사례를 정하였다. 건축과 지역의 상관성은 장소 브랜딩의 위계인 국가>지역>대도시>중소도시>구역>특정지점 중 구역단위의 장소 브랜딩을 다룬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개요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분명히 한다. 또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국내 및 국외의 연구흐름을 살피고 방법론을 비교한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아이코닉 건축의 개념과 배경 그리고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장소와 건축, 랜드마크로서 아이코닉 건축을 계사하였다. 그리고 장소 브랜딩으로서의 아이덴티티 개념과 이미지와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서 장소 브랜딩의 관점에서 아이코닉 건축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제3장 연구방법에서는 장소 브랜딩 선행이론에 근거하여 텍스트 분석을 위한 분석의 틀을 추출한다. 아울러 선행이론과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장소 브랜딩 아이코닉 건축 유형을 제시한다. 그리고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위한 3가지 사례를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가설을 상정한다. 제4장 텍스트 마이닝 분석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방법론인 빅데이터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개념과 SNS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 그리고 주요 분석 기법을 제시한다. 선정된 3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최근 1년 간 각 건축 및 지역의 페이스북 게시글을 수집하고 명사와 형용사형으로 정제의 과정을 거쳐 동시출현 빈도 및 비율을 분석하였다. 이후 연구자의 분석의 틀로 핵심텍스트를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데이터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 분석(원모드 네트워크, 에고 네트워크, CONCOR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지역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해 빈도추출 및 정제의 과정을 거치고 핵심텍스트를 형용사형으로 추출하였다. 이 후 지역과 아이코닉 건축의 상관관계를 소셜 네트워크 분석 중 하나인 이원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밝히고 QAP로 검증하였다. 그 후 각 사례별 분석을 통합하여 비교 및 종합분석 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아이코닉 건축과 장소 브랜딩의 상관성에 대한 종합 결론을 기술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아래와 같다. 본 논문의 첫 번째 가설은 "아이코닉 건축은 장소 브랜딩에 관한 특성을 나타낸다"로 채택되었다. 수집데이터의 빈도분석과 소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 및 에고분석, CONCOR 분석을 통해 하여 아이코닉 건축에 대한 대중의 감성이미지와 속성을 파악해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모든 건축에서 공간기능이 상위에 랭크되었고, 건축이 위치한 해당지역명도 함께 회자되고 관광이 중요 인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중은 아이코닉 건축을 세부적인 속성별로 인식하기보다는 총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건축의 총체적 경험을 결론적으로 감성이미지 텍스트로 표현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채널 역시 유투브, 페이스북, BBC등으로 도출되었다. 건축의 이미지와 관계 측면에서는 비건축 속성보다는 건축 속성과의 이미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나, 건축의 속성이 비건축 속성에 비해 건축 이미지에 주는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지역별로 ‘지역의 것’이라는 형용사형 감성이미지가 출현해 지역 랜드마크로서 기능하는 건축의 인식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건축별 선행연구의 배경과 부합되는 인식이 나타났다. 타이타닉 벨파스트의 경우 예술문화 속성이 대중적이고 아름다고 유랑을 기념하는, 붐비면서도 행복함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타이타닉의 영화를 발판으로 여객선의 침몰 100주년의 비극을 기념하면서도 대중적이고 아름다운 스토리로 그려낸 건축의 핵심 스토리를 담고 있는 인식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의 경우도 예술문화 속성이 국제적인 창조된 문화적인 웨일즈의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웨일즈의 지역성을 살려서 국제적으로 뛰어난 건축을 만들고자 했던 의도와 부합하는 점이다. 그리고 터너 컨템포러리의 예술문화 속성은 새롭고 멋지며 대중적인 지역의 것으로 인식되어 노후 된 해양도시에 새로운 문화로서 지역의 것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분석중의 감성이미지 텍스트가 여러 속성에 중복하여 나타나 대중은 건축을 총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세부적으로 속성별로 분석하기에는 SNS 텍스트 특성상 한계점이 있었다. 두 번째 가설은 "아이코닉 건축과 지역은 상관성이 있다"로 채택되었다. 구역단위 지역의 대중의 감성이미지를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수집하고, 소셜 네트워크 분석 중 이원모드 네트워크 결과를 통해 아이코닉 건축과 지역 간의 공유 이미지를 도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여 아이코닉 건축과 장소 브랜딩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QAP 상관분석 결과, 모든 건축과 장소가 0.3이상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이 0.05일 때 상관계수에 대한 p-값이 0.002이하로 매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건축과 지역의 공유 비율이 40%인 점을 고려할 때, 상관계수가 0.3이상이 나오는 것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결과적으로 연구 대상의 모든 건축의 이미지와 건축이 소재한 지역의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세 번째 가설은 "장소 브랜딩 내 아이코닉 건축의 유형별로 대중의 인식이 차이가 있다"로 채택되었다. 장소 브랜딩 유형별로 나누면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는 이미지 원용형, 타이타닉 벨파스트는 이미지 변용형, 터너벨파스트는 이미지 생성형이다. 장소 브랜딩에서 기존이미지를 활용하는 정도에 따라 이미지 텍스트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 웨일즈 밀레니엄의 건축의 중심성 분석에서 감성이미지 텍스트가 상위 20중 11개로 가장 많이 도출되었으며 중요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타이타닉 벨파스트의 감성이미지 텍스트가 상위 20개 중 9개로 두 번째로 많이 도출 되었다. 터너 컨템포러리는 상위 20개중 6개로 가장 낮았다. 기존 장소문화의 이미지의 사용정도에 따라 이미지가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미지 원용형이 가장 높고, 이미지 변용형이 그 다음, 이미지 생성형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분류한 세부 속성별 텍스트 비율을 살펴보면, 이미지 원용형은 예술문화, 장소문화, 인프라가 높게 나타나 기존 문화에 새로운 예술 문화를 도입해 강화하는 것이 주요한 반면, 이미지 변용형은 장소문화 공간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장소문화를 공간기능으로 승화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생성형은 공간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나 핵심요소로 새로운 공간기능을 사용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시사점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장소 브랜딩 내에 성공한 아이코닉 건축을 대중의 관점인 SNS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대중의 의견 수렴 방법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오픈 피드백을 수집하고 수치화 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석의 관점에 따라 활용에 무궁한 발전의 여지가 있다. 둘째,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장소 브랜딩 내에 성공한 아이코닉 건축을 연구함으로 아직 초기 단계인 공간디자인학에서의 빅데이터 연구에 방법을 제시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방법론 중 동시출현 빈도 등의 방법론을 확장시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연구자의 분석의 틀로 분류한 텍스트를 네트워크화해 유형별로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서, 단일 건축을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건축과 지역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자의 분석의 틀로 명사형과 형용사형의 텍스틀 추출하여 네트워크의 유의미성을 확인하고, 건축과 지역 간의 네트워크를 비교함으로서 그 상관성을 수치화하고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아이코닉 건축을 통한 장소 브랜딩을 규명함으로서 향후 장소경쟁력 향상을 위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다만, 대중은 건축을 분석하여 인식하기보다는 경험이 주는 총체적 서비스와 감성이미지를 형용사적으로 표현함으로 속성별로 세부적인 텍스트 수준의 분석에 있어서는 한계성이 있었다. 최근 경관연구의 강조점은 물리적 구축환경의 생산에 대한 분석에서, 경관이 재현되는 방식으로 확대되고 있다. 건축, 광장, 거리등의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관을 재현하고 있는 지도, 회화, 문학, 영화, 광고, 사진, 저널, 사이버 공간 등의 미디어 공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맥락으로 시대적 정보소통을 아이코닉 건축과 장소브랜딩의 상관성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사용한 것이다. 다시 말해, 문화경관의 상징과 의미를 읽어내고 해석하는 방식으로서의 플랫폼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구축하였다. 앞으로의 공간디자인학 및 경관디자인 연구에서 빅데이터를 통한 연구방법은 지속적으로 발전 및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테마파크 라이드어트랙션의 GRC를 활용한 조형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충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me Park is becoming popular as a new form of leisure entertainment with increased leisure time and income as a result of transition to a full-fledged leisure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n recent years, theme parks have evolved into a place where people share new experiences and cultures while also changing as a place to satisfy the aspirations of modern people. The amusement felt available at the theme park is the essence of human activity, while non-everydayness is a factor in maximizing the amusement. The theme park should, therefore, provide a space for non-daily experiences through multi sensorial interaction to provide experience that is extraordinary for theme park visitors. To this end, recent theme parks are using GRC to create space. GRC is suitable for making theme park as it has the formative properties to express different shapes and textures within the range of steel-made designs, and it is construction material with fire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water.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spatial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ide attraction using GR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C application in creating a ride attraction environment and to inform the design of the new ride attraction environment. This thesis is develop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range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examines various theories of space design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theme park and ride attraction and the space component of the ride attraction. Chapter 3 defines GRC's concept and analyzes the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and expression. Chapter 4 selects the ride attraction using GRC among domestic and overseas theme parks to conduct a case analysis through direct visit and analysis of the image map. Chapter 5 is used to present the spatial design of the ride attraction using GRC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case analysis. Chapter 6 concludes with the above conclusion and looks at the direction of the ride attraction utilizing GRC.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ulpture created by GRC should be designed and studied with detailed representation and practicality in mind. With long waiting hours, ride attraction can create shades and benches that match the theme with GRC. This may enhanc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their convenience and visual experience elements. Second, space production with GRC should enable realistic reproductions of the thematic environment. Since the theme story of the movie is delivered through the visitors ' direct experience, it should be possible to create a physical space, a more realistic form, texture, and color representation than a real world. Third, the ride attraction environment created by GRC should be multi-sensitive. Enabling visitors to experience surrealistic experiences requires devices that can stimulate five senses, such as touch and hearing, in addition to visual senses. GRC is water and fire resistant, making it possible to install devices, speakers, and imaging devices without being detected. And it can increase the immersion in surrealistic experience. In the future, the study of GRC's technical complement and the combined experience and sensitivity that are used to stimulate the five senses based on the different formative properties can be presented as satisfying element in the theme park space. A safely constructed ride attraction based on differentiated imagination will prompt tourists to revisit the same theme park in future. 21세기 본격적인 여가사회로의 전환으로 인하여 늘어난 여가시간과 소득으로 테마파크는 새로운 형태의 레저엔터테인먼트로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테마파크는 체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험과 문화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꾸준히 진화함과 동시에 현대인들의 열망을 해소하는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 테마파크에서 가질 수 있는 유희(遊戱)는 인간 활동의 본질이며 ‘비일상성’은 이러한 유희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따라서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를 찾는 이들에게 비일상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감각적(Multi Sensorial) 상호작용을 통한 탈현실적 체험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테마파크에서는 GRC를 활용하여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GRC는 철골로 제작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형상과 질감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조형적 특성과 내화 및 내수성을 가진 건축 재료로써 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테마파크 환경디자인을 조성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GRC를 활용한 라이드어트랙션의 조형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분석이다. 이를 통해 라이드어트랙션 환경조성에 있어 GRC 적용의 타당성을 알아보고 연구 결과가 향후 도입되는 라이드어트랙션 조형 디자인의 활용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내용으로 전개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테마파크와 라이드어트랙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라이드어트랙션의 공간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공간 디자인을 연출하는 다양한 방법을 조사한다. 제3장은 GRC의 개념을 정의하고 시공 및 표현의 기법과 특징을 분석한다. 제4장은 국내·외의 테마파크 중 GRC를 활용한 라이드어트랙션을 선정하여 직접 방문과 도판의 분석을 통해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제5장은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GRC를 활용하여 라이드어트랙션의 공간 디자인 계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6장은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맺으며, GRC를 활용한 라이드어트랙션의 방향성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RC로 조성된 조형물은 디테일한 표현과 실용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 및 연구되어야 한다. 방문객의 대기 및 체류 시간이 많은 라이드어트랙션은 차양, 벤치 등을 GRC로 테마와 어울리게 연출할 수 있고 이는 방문객의 편의 및 가시적 체험요소에 대한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GRC를 활용한 연출은 테마 스토리 환경을 현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라이드어트랙션의 테마 스토리는 방문객의 직접 체험을 통해서 전달되기 때문에 이를 물리적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어야 하는데 다양한 형태와 질감 및 색상 연출이 가능한 GRC는 실제보다 더 현실감 있는 환경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셋째, GRC로 조성된 라이드어트랙션 환경은 다감각적 체험이 가능해야 한다. 방문객의 탈현실적 경험에 대한 대리 체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감각 외에도 촉각, 청각 등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장치들이 필요한데 내수성과 내화성을 가진 GRC는 물과 화염을 발사할 수 있는 장치나 스피커, 영상 장치 등을 눈에 띄지 않게 설치할 수 있어 탈현실적 경험에 대한 몰입을 높일 수 있다. 향후, GRC의 기술적인 보완과 함께 다양한 조형성을 바탕으로 오감을 자극하는 체험과 감성이 융합된 라이드어트랙션 조형 디자인의 연구는 테마파크 공간에 새로운 충족 요소로 제시될 수 있다. 차별화된 상상력에 기반을 두어 안전하게 조성된 라이드어트랙션은 테마파크를 찾은 이들에게 재방문의 당위성을 제공할 것이다.

      • 자연채광에 의한 유아발달을 위한 어린이집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정혜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Due to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and the drastic increase of double-income households, women are no longer looking after their kids but they drop their children off at a daycare center. Owing to such a social change,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which do not have a good environment is increasing. In this regard, a number of efforts have took place so as to improve childcare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but improvement of environment tends to be neglected in many cases. However, when it comes to infant development, natural light not only has health effects including enhancing infants' immune system and preventing diseases but also has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s of infants by displaying various spatial atmosphere based on space structur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shielding equipment. Thus, natural light should be tuned in detail based on activity programs taking place in spaces.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daycare center spatial characteristics for infant development based on natural light. This study derived five daycare center spatial characteristics for infant development based on natural light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infant development, daycare center space, and natural light characteristics after targeting infants aged 3 to 5 - the age bracket showing the greatest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direction toward natural light spatial design of respective spaces at daycare centers in Korea through daycare center case analysis based on classified natural light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 and Japan were both excellent when it came to natural light of childcare spaces. In the case of Japan, it differed from Korea in methods of using by applying diverse sizes, locations, and purpose of us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aycare centers in Korea, they were mainly comprised of skylight for the purpose of ventilation, rather than inflow of natural light, when it came to sanitation spaces. This identified that the importance of sanitation spaces and the awareness of diverse effects through natural light are poor. Natural light inflow at childcare environment is an important element exerting positive influence on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s of infants. Therefor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nflow of natural light is the design factor which must be considered as the basic condition of daycare center spatial design. In the situation which natural light is not important when establishing daycare centers in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made the opportunity to regard inflow of natural light at daycare centers an important design factor for infant development. 오늘날 많은 보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물리적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어린이집의 수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어린이집 보육환경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영유아 발달에 있어 자연광은 유아의 신체 면역체계 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 등의 보건효과 뿐만 아니라 공간의 구조, 실내 마감재, 차폐장치 등에 따라 다양한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하여 영유아의 신체·인지·정서 발달 등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자연채광은 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프로그램에 따라 세심하게 조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채광에 의한 유아 발달을 위한 어린이집 공간특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만6세 이하의 미취학아동 중 신체·인지·정서발달이 가장 활발한 만 3~5세의 유아기를 연구대상으로 유아 발달, 어린이집 공간, 자연채광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채광에 의한 유아 발달을 위한 어린이집 공간특성을 5가지로 도출하였다. 분류된 자연채광 공간특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어린이집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어린이집의 공간별 자연채광 공간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국내와 일본 모두 보육공간의 자연채광은 전반적으로 우수했으며 일본의 경우 채광창을 다양한 크기와 위치, 용도로 적용하여 활용 방법에 있어 국내와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국내 어린이집의 경우 위생공간에 있어 자연광유입 보다 환기를 목적으로 한 채광창이 주를 이루었다. 이를 통해 위생공간의 중요성과 자연광을 통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보육 환경으로의 자연광 유입은 영유아의 신체·인지·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국내 어린이집 설립에 있어 자연채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유아 발달을 위해 어린이집의 자연채광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인식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