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화에 있어서 고향 풍경의 심상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수채화 작품을 중심으로-

        쑤솽펑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회화에 있어서 고향 풍경의 심상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수채화 작품을 중심으로- 제 출 자 : 쑤 솽 펑 지도교수 : 구 만 채 본 연구는 연구자의 수채화에 나타난 심상적 표현을 고찰하기 위해 이루 어졌다. 연구자의 수채화 작품은 고향의 이미지를 다양한 조형 요소와 기술 을 이용하여 재현하는 사실주의 계열의 그림이지만, 실제 자연 풍경에 연구 자의 감성이 더해진 심상적 이미지로 이해할 수 있다. 고향은 생명체가 태어나고 성장한 장소로서 연구자에게도 출생 순간부터 청소년기까지 어린 시절의 삶과 기억이 가득 차 있는 추억의 공간이다. 이 러한 기억에는 가족, 친구 및 고향 풍경과의 밀접한 연결뿐만 아니라 기억 과 관련된 감정 경험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자의 회화작품에는 이러한 기억 이 담겨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은 연구자의 어린 시절 고향에 대한 추 억을 다른 사람과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이기도 하다. 고향 풍경은 연구자의 회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산과 강, 들판, 마을, 건물은 연구자의 작품의 주요 소재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고향 풍경을 그와 관련된 색채, 구도 및 디테일을 통해 전달하려고 노력한다. 특 히 감성적 표현은 연구자의 회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관객과의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연구자의 회화작품은 기술적 표현뿐만 아니라 감정적 표현도 포함하고 있 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연구자의 수채화에 사용된 감성적 표현이 자연 이미지[刑象]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수채화가 감정을 전달하는 도구로서 자연 현상에서 갖는 의미와 내용을 분석했다. 수채화의 감정 표현은 기술적 측면뿐 아니라 화가의 내면 감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수채화 작품은 화가가 고향의 자연 풍경에 대한 독특한 이해 와 감정 경험을 반영한다. 감정 연구를 통해 인간의 감정이 어떻게 발생하 고 표현되며, 행동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과 창작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고향에 대한 심상과 감정이 회 화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이해하고, 향후 연구자의 창작에 대한 지향 점을 찾고자 한다. 또한 관객에게 고향과 감정적 연결에 대한 공감을 일깨 우길 희망한다. 본 연구는 고향 자연 풍경 수채화 작품의 감성 표현을 심층적으로 탐구 한다. 이러한 작품들을 자세하게 분석함으로써 예술가가 창작 시 사용하는 다양한 감정 요소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는 색상 선택, 선의 활용, 형태 형성 및 구도 배치 등이 포함된다. 이 포괄적인 연구는 수채화를 통해 예술 가가 고향 자연 풍경에 대한 깊은 감정과 풍부한 경험을 전달하는 방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채화 작품을 자세히 분석할 뿐만 아니라 문헌 연구와 역사 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여 수채화의 발전 역사와 유 명한 수채화 화가의 작품을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수채화는 표현력이 풍부한 예술 매체로서 종종 상징적인 형상을 통해 깊 은 의미와 감정을 전달한다. 수채화에서는 색채, 모양, 구도 등의 요소를 통 해 상징적인 형상을 간편하게 조형하여 작품에 더 깊은 함의를 부여할 수 있다. 연구자의 회화 기술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미술 철학의 핵심이며, 내 마음 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수채화에서의 감성적 표현 연 구는 나에게 깊은 예술적 경험과 사유 공간을 제공했다. 감성적 표현의 섬 세한 관찰과 연구를 통해, 계속해서 탐험하고 실습함으로써 나는 색채 심리, 형식 구조, 그리고 구도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은 내 창작 언어를 풍부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연구자의 미적 감각도 확장시켰다. 앞으로의 미술 실천에서는 회화작품을 통해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는 데 더욱 중점을 두고, 관람자가 연구자의 작품에서 더 많은 영감을 느낄 수 있 도록 노력할 것이다. 연구자는 감성적 표현의 분야에서 더욱 뛰어난 성과를 이루어 더욱 풍부하고 감동적인 미술 작품의 창작과 소통을 원한다. 연구자 의 감정과 관람자의 마음 사이에 깊은 공감을 일으키고자 한다. 키워드: 고향 풍경, 심상 표현, 감성

      • 한국 민화의 스토리텔링 연구

        김미선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한국 민화의 스토리텔링 연구 제출자 : 김미선 지도교수 : 구만채 민화(民畵)는 ‘그림으로 표현된 이야기’다.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들여다보면 ‘낯설지 않은 새로운 이야기’, ‘오래된 지혜’ 그 자체다. 민화를 스토리텔링 관점으로 고찰하고 오래전 조상들의 시간과 지금 우리의 문화 콘텐츠 연결 성을 찾고자 한다. 민화가 지닌 시의적절함과 작가의 의도가 긴 시간을 통 해 우리에게 끼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민화가 동시대 사람들에게 얼마 나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는지 생각하면서 다양한 작품감상을 통해 민화에 내재한 ‘이야기의 가치’를 발굴·공유하려고 한다. 스토리텔링의 소재이면서 그 자체로 이야깃거리인 우리 민화는 민족의 미 의식과 정서적 감정이 가식 없이 담겨 있고, 표현에 있어 형식이나 재료에 구애됨이 없다. 자유롭고 다양한 묘사로 독창적인 표현 형태를 보여주고 있 다. 요즘처럼 신문, 방송, 영화, 인스타그램, 인터넷 같은 의사 전달 매체가 없던 시대에 민화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톡톡 히 했다. 민화 작가는 당 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상식에 기 반하여 다양한 정보를 맥락이 있는 이야기로 ‘꿰매어’ 자기의 생각을 시각적 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람들은 대문이나 병풍, 혹은 살림 도구에 붙여놓고 ‘한눈에 척’ 그 말(그림)뜻을 헤아리고 이해하면서 화답했다. 스토리텔링은 소재, 내용구성, 전달 방식이라는 삼박자가 잘 맞아떨어져야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력을 지닌다. 그런 측면에서 민화는 올드하거나, 그림 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의 그림이라거나, 뭔가 격이 떨어지는 그림이 아니다. 오히려 시공간을 초월해 ‘창의적인 발상이 맥락을 타고 흐르는’ 하 나의 서사가 된다. 그러므로 민화는 21세기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큰 콘텐츠다. 디지털 시대의 특성에 맞는 ‘이야기하기’와도 뜻이 통한다. 스토리 텔링(Storytelling)에서의 ‘Telling’은 단순히 말한다는 의미를 넘어 구상, 설 계, 만들기 같은 실행(Doing)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금은 이야기를 생산하고 이야기를 소비하는 시대다. 정보의 융합 능력 과 의사소통이 중시된다. 현대인들에게 이야기의 설계와 표현능력은 모든 비즈니스및 문화·예술 활동의 성패를 가늠하는 기준점이 되었다. 단순히 정 보만 충실히 전달해서는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지 못한다. 전공자가 아니 더라도 인터넷을 치면 누구든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런 정보들을 얼마나 흥미롭게 전달하느냐가 관건이다. 민화는 스토리가 풍 부한 소재이며 동시에 이야기의 완결 구조를 갖는 문화유산이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시선으로 민화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동안 우 리가 놓치고 살았던 ‘민화의 가치와 존재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외국에서는 없는 이야기도 만들어 부가가치를 만드는데, 우리는 한 시대를 풍미한 ‘살아 숨 쉬는 이야기’인데도 한구석에 밀쳐두고 외면해오지는 않았는지 묻고 답 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민화는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 지금 우리, 그리 고 앞으로 살아갈 후손들 모두를 연결해주는 이야기보따리이다. 사물을 영상과 스토리로 헤아리는 시대에 스토리텔링 매체이자 구성요소 로서 민화는 다른 문화권과 확연히 구별되는 우리만의 독특한 ‘이야기공작 소’ 밑그림 역할을 충실하게 해낼 것으로 믿는다. 바로 그 믿음이 본 논문에 서 집중한 가치이고, 우리나라의 민화를 계승, 발전, 재구성해야 하는 이유 이자 목표다.

      • 철학, 과학, 예술로 본 상반상성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김경란 호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철학, 과학, 예술로 본 상반상성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Upper Composition in Philosophy, Science and Art 제출자 김경란 지도교수 구만채 본 연구는 철학, 과학, 예술로 본 상반상성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삶의 가치와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자의 예술관이 그 계기였다. 연구자는 2019년 ‘혼돈 속에 질서’라는 제목의 설치작품을 제작하면서 음양사상과 물리학을 탐구하였으며, 특히 본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반상성(相反相成)을 접하고, 이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주제인 ‘혼돈 속에 질서’에 대한 상반상성 이론을 다양한 학문적 해석과 상반상성의 대표적 현대미술가의 작품을 통하여 고찰함을 목적으로 둔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상반상성의 이론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철학과 물리학, 예술학 중심으로 살펴보고, 상반상성의 대표적 조형예술가인 볼프강 라이프(Wolfgang Laib, 1950~)와 쿠사마 야요이(草間 彌生, 1929~)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철학적 관점에서 본 상반상성의 이론은 우주만물의 근원인 음양과 빛의 잔상인 명암과 색채를 통하여 규명할 수 있다. 상반상성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서로 반대되는 것이 서로를 이룬다.’는 뜻이다. 이는 우주만물의 근원인 태극을 양분하는 음(陰)과 양(陽)의 확산이자 64괘를 나타낸 <태극팔괘도(太極八卦圖)>에서 볼 수 있다. 64괘는 모두 32쌍으로 이루어져 인간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64가지의 다양한 상황을 함축하고 있다. 상반상성의 토대인 음양은 상반된 개념을 지닌 우주의 기본원리이자 생명체가 탄생하는 시발점으로서 서로 대립적이며 순환하는 특수 관계다. 빛이 있는 상태의 밝음(明)은 빛이 없는 어둠(暗)은 음양처럼 상호 대립적이지만 서로 없으면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그런 점에서 음양이나 명암은 모두 상반상성의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토마스 영의 ‘이중 슬릿(Young's double-slit experiment)’ 실험을 통하여 밝혀낸 빛의 파장으로 여러 가지 색이 상반상성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물리학적 입장에서 본 상반상성 이론은 나비의 작은 날갯짓이 날씨의 변화와 같은 엄청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태초의 존재로 혼돈의 상태인 카오스(Chaos)와 그로부터 탄생한 질서의 세계인 코스모스(Cosmos), 그리고 카오스와 코스모스가 공존하는 ‘카오스모스(Chaosmos)’, ‘자기 닮음의 도형’이라 불리는 ‘프랙털(fractal)’ 등을 통하여 규명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학적 다섯 요소는 상반상성의 논리를 설명해준다. 나비효과 이론은 미세한 변화가 엄청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카오스는 혼돈과 무질서 상태이지만, 그와 정반대인 질서가 필연적으로 연관되어 대조적이면서도 상호 보완하며 조화를 이룬다. 코스모스는 끝을 알 수 없는 무한한 공간으로 기묘한 작동 원리와 절묘한 상관관계를 품고 있다. 카오스모스는 확률적 추측이 가능하나 결정론적 추론이 불가능한 현상이다. 프랙털은 자기유사성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그 양상은 만델브로 집합, 코흐 곡선, 시어핀스키 삼각형, 페아노 곡선 등에 그 모습이 나타나는데, 상반상성의 이론으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고찰한 상반상성은 서로가 상반되지만 서로를 완성시킴을 의미한다. 이는 미술에서도 아름다움[美]은 추함[醜]을 바탕으로 삼는다는 논리로도 설명된다. 조형예술의 주요 제재인 자연이 탄생과 성장 그리고 소멸을 반복하면서 상반상성과 관련된다. 이는 연구자가 생각하는 탄생과 죽음에도 연관된다. 이러한 상반상성의 조형예술에 대하여 대표적인 상반상성의 현대미술가인 볼프강 라이프와 쿠사마 야요이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볼프강 라이프(Wolfgang Laib, 1950~)는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했으나 주변의 인사와 사회, 자연환경에서 동양철학에 심취하면서 자연물을 이용한 설치작가로 전환하였다. 라이프는 자연재료들을 통하여 인간이 자연과 공생하며, 생성과 소멸의 순환 과정에 있음을 제시하였다. 라이프의 초기작인 <브라만다>는 서로 다른 양자(兩者)의 화합을 이루는데, 이는 서로 대립·대조하는 두 존재가 맞물려 상호작용하는, 즉 상반상성의 조형성으로 이해된다. 이런 상반상성의 조형세계는 이후의 돌, 우유, 꽃가루, 쌀, 밀랍 등의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타원형, 사각형, 원뿔, 삼각형, 다각형 등의 기하학적 형태를 제시하는 작품에서도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여성미술가인 쿠사마 야요이(草間 彌生, 1929~)는 어려서부터 앓은 정신질환을 치유하는 수단으로 조형예술 작업을 해왔다. 그는 꽃무늬 식탁보를 보고 수없이 많은 꽃무늬가 공간을 떠도는 환영(幻影)을 접한 뒤 지금까지 물방울무늬(Polka Dots)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조형예술 활동을 지속해 왔다. 땡땡이 점으로 불리는 물방울무늬는 쿠사마의 작품에서 우주이자 사랑과 평화, 영원을 상징한다. 그리고 작가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남성의 성징인 남근(男根) 형상과 함께 자기유사성과 프랙털 양상을 보이면서 무한히 확장하는 상반상성의 조형성을 연출하는 특징이 있다.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 하나를 이루는 상반상성을 철학과 물리학, 조형 학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연구자는 2008년부터 시작한 설치작업부터 2019년에 새로 시작한 ‘혼돈 속에 질서’ 시리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 특히 끝을 알 수 없는 무한한 우주 태양계에 속해 있는 지구는 광활한 우주 속의 아주 작은 행성에 불과하지만, 본질적으로 우주와 하나가 되는 것처럼 연구자의 작품도 거대한 담론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철학적 입장에서 본 상반상성은 자기복제와 자기 유사성을 내포하고, 우주 만물의 모든 존재가 순환 과정에서 상반되는 존재들이 하나를 이룬다. 둘째, 물리학 이론에서 본 상반상성은 본질이 하나이지만 여러 분야로 쪼개어진 구조다. 셋째, 삶과 죽음이 공존 하는 삶의 굴레에서 ‘유기적 순환’과 ‘혼돈 속에 질서’의 관계인 우주와 자연이 덧없음과 삶의 이치를 바로 세우는 계기가 된다. 넷째, 예술 이론에서 본 상반상성은 쿠사마 야요이와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을 통하여 발견한 상반상성의 공통된 유사성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상반상성의 의의와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상반상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접근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 대나무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적용사례 분석 연구 : 중국 현대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미전치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대나무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적용사례 분석 연구 -중국 현대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제출자 미전치 지도교수 구만채 오늘날의 생활 공간은 단일한 철근 콘크리트 모델 위주로 제한되어 있어 주거환경의 동질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나무는 친환경적이 고 재생이 가능한 재료로 성장주기가 짧고 식재 및 개발이 편리하며 탄소 순환에도 참여하여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함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대나무는 우 수한 특성으로 인해 가장 중요한 천연 재료 중 하나가 되었다. 대나무 재료 의 사용은 인간의 생존과 발달의 전반적인 모든 과정을 동반하여 사용되었 다. 대나무 문화는 중국의 우수한 전통문화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고대 부터 대나무는 문인묵객들에 의해 군자의 품성을 찬양받아 대나무와 관련된 시서화가 대량으로 전해져 왔다. 또한 대나무 공예품은 더욱 정교하고 섬세 하며 대나무 제품도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우수한 전통문화에 대한 애정과 자연 디자인 이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생활양식을 전 승하고 선도하는 것은 특색 있는 주거 공간 환경이다. 전통 건축 기예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글로벌화, 도시 화 및 과학기술화 과정의 영향하에서 발전하며 전통의 전승 방식은 점진적 으로 발전되는 경지에 직면하게 하였다. 생산방식, 기술 이념의 교류와 융합 은 건설기술의 진보, 건축의 효율성 제고를 촉진하는 동시에 도시의 모습의 동일화, 인간과 지역 관계의 분리, 건축문화의 다양성의 희석화를 초래하며 전통 기예도 피할 수 없이 격렬한 충격을 받는다. 기예 및 그 문화적 가치 를 어떻게 지속시키고 전파할 것인가는 오늘날의 경영진과 연구자들이 깊이 고민하고 관련 조치를 제정해야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축 가들도 끊임없이 이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을 확장해야 하는 방향이다. 대나무는 열대, 아열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널리 사용되며 생활 용구로 제작하고 건축을 구축하는 상비재료로 오래전 동양적인 일종의 시각 기호가 되었다. 또한 “대나무 문화”의 관상적인 형태적 아름다움은 경관 디자인의 기본 형태 요소로서 그 독특한 문화적 기질은 경관의 정신적 품질과 의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은 대나무 문화경관의 미학, 문학 등 방면의 특징을 점차 소외시키고, 모호하게 하며, 일찍이 경지의 아름다 움, 서정 서사의 특색과 오늘의 일상생활은 소원하게 한다. 본 논문은 중국 대나무 문화의 심도 있는 해석 및 응용연구를 통하여 주 거 공간 디자인의 우수 사례를 참고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문헌자료, 비교 분석법, 들판 고찰법을 통하여 주거 공간과 관련된 문헌을 수집하고 정리하 였으며, 국내외 연구현황을 명확히 하고 주거 공간의 조성을 접전으로 삼아 구체적인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대나무 디자인 설계 연구에서 한국, 중국, 일본 연구사례에서의 필요성 있는 의의를 참고하여 연 구자의 연구에 응용하여 대나무 디자인 발전적인 방향과 의미있는 가치, 문 화적인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중국 대나무 문화의 고찰과 대나무 공간 사례연구를 통해 대나 무 문화의 공간 디자인의 의미와 필요성, 그 특성을 서술하고 연구자의 대 나무 디자인 설계를 제시하여 대나무 공간 디자인의 발전적인 방안의 필요 성과 그 의의를 제시한다. 연구자는 중국의 대나무 공간 사례연구 과정에서 대나무 디자인의 설계 연구에 관한 필요성 있는 가치, 학문적인 의미와 문 화적인 발전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키워드: 대나무 문화, 전승, 공간 디자인, 주거환경 디자인, 친환경

      • 남종화의 전승과 금봉 박행보의 예술세계 연구

        정인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연 구 자 : 정인순 지도교수 : 구만채 금봉(金峰) 박행보(朴幸甫)(1935∼)이하,‘금봉’이라 함)은 1960년 26세에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891∼1977) 문하에 들어가 남종화를 전승하였다. 1970년 36세에 두 번째 스승인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1903∼1981)으로부터 그림의 구도와 서법를 배웠으며, 1977년에는 세 번째 스승인 만취(晩翠) 위계도(魏啓道)(1926∼1990)으로부터 한학을 배움으로 작가로서 갖추어야 할 시(詩), 서(書), 화(畵)를 겸비하게 되었다. 스승 의재 허백련은 형상보다 뜻을 더 중요시하여 사의적(寫意的) 그림을 추구하였으나, 금봉은 스승의 뒤를 이어 남종문인화를 계승 발전시키면서 스스로 자기만의 화필을 성립시켜 추상적인산수를 창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가 세 사람의 스승으로부터 배움의 길을 가면서 인격 완성에도 그 목적을 두고 정진하였던 과정들을 연구하면서 그의 삶과 예술세계에서 배어나는 은일사상(隱逸思想)과 남종화(南宗畵)의 화맥(畵脈)은 어떠한 과정을 거처 왔는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는 남종화(南宗畵)의 화맥(畵脈)의 전승자로서 그 뿌리를 찾아봄으로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가 갈라지게 된 배경, 화풍에 대한 변화, 역사적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남종화가 조선에 유입되어 토착화되기까지와 여러 작가들의 상호 작용은 어떠하였으며, 전승과 활동과정을 연구하고, 조선후기 남종화 유입 이후 국가의 격동기와 개화기를 거치는 동안 시대적 흐름이 작가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들의 선택, 그리고 동시대의 작가들은 어떻게 공존 하였으며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남종화의 화맥(畵脈)이 어떠한 과정으로 전승 발전되어 왔는지를 연구하였다. 호남지방(湖南地方)에 남종화가 특별히 형성되어진 배경에는 조선시대 정치세력에 밀려 유배 왔던 서화(書畫)인들의 영향도 있으며, 진도에 소치(小癡) 허련(許鍊)(1808∼1893)의 일가는 남종화의 전승과 전통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소치 허련은 남종화를 호남에 토착화 시켰으며, 1920년대부터 미산(米山) 허형(許灐)(1862∼1938)이 진도에서 강진을 거쳐 목포화단에서 활동하면서 허백련과 허건에게 전승자로의 역할을 하였다. 1945년 이후에는 광주에서 허백련이 전통화맥을 고수하며 전통회화관을 꽃피웠고, 목포에서는 허형의 뒤를 이은 남농(南農)허건(許楗)(1907∼1987)이 전통위에 그 시대가 요구되는 혁신이란 개념으로 자유분방한 조형적(造型的)인 화풍(畵風)의 형성을 이루어 두 갈래의 양대 산맥을 이룬 점이 특징적이다. 일제강점기와 남, 북이라는 분단의 혼란기, 개화기로 밀려드는 서구문물과 전통을 지키려는 과도기에 중앙 집중적인 미술이 특정지역인 호남에 남종화의 화맥이 마치 호남의 그림처럼 종착화되었다. 그들은 역사의 격동기에도 자주적인 민족성을 엿볼 수 있었고, 남종화를 고수하였던 배경에는 일제에 저항하고자하는 사상적 민족의식이 잠재되어 남종화로 표출되어지기도 하였으며, 그들은 서로 공존공생하며 활동하였다. 금봉은 문인화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실력을 갖추어 (국전)대한민국미술대전에 출품, 문교부장관상과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등, 10년에 걸쳐 수상하여 초대작가가 되었고, 남종화을 전승하였으나 남종화의 전통성을 벗어난 표현이나 주제에 그만의 독특하고 추상적인 기법을 확립하였는데, 이는 서양적인 양식과 동양적인 양식을 자연산수에 접목하고자 시도한 노력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여 지며, 한시와 그림의 시화집을 발간하여 지역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는 진도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광주까지 원거리를 오가며 그림공부를 해야 했던 불리한 여건도 확고한 신념으로 타파 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많은 것을 섭렵하고 실험을 통해 얻어내는 창의적인 연구자로 이 시대에 요구되는 예술가의 길을 갔다 하겠다. IT 산업 등 경제 산업분야는 빠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으나 문화예술분야는 경제 성장만큼 조명 받지 못하는 현실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본 논문은 하철경교수님의 추천에 의해 금봉 박행보의 예술세계를 연구하면서 남종화의 전승과정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방법 : 금봉의 년보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문인화작품은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남종화작품은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분석하고 말기 추상적인작품과 한시와 한시화작품 등은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인터넷과 여러 참고문헌을 활용하고 금봉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유추해 가며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Abstract The succession of Nam-Jong-Hwa(original painting) and the research on the art world of Park Haeng Bo Jeong In Soon Advisor : Prof. Koo Man Chae Geumbong Park Haeng-Bo(朴幸甫)(1935∼)(hereinafter referred to as “Geumbong”), he joined Uijae(毅齋) Heo Beak-Ryun(許百鍊)(1891∼1977) in 1960 at the age of 26 and passed down NamJonghwa(original painting). In 1970, he learned the composition and calligraphy of paintings from his second teacher, Sojeon (素筌) Son Jae-Hyung(1903-1981) at the age of 36 and in 1977 and was taught Chinese Literature by the third teacher, Manchu(晩翠) Ui Gae-Do(魏啓道)(1926-1990). Therefore he was able to combine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s a painter. Master Uijae Heo Baek-Ryun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meaning than the image and pursued a self-determined painting, but Geumgong succeeded the master and developed Nam Jong hwa, creating his own hand painting and abstract landscape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search the processes he devoted to learning from his three mentors and devoted himself to the completion of his personality and Eunil ideology(隱逸思想) and NamJonghwa had gone through in his life and art world. By looking for its roots as the successor of NamJonghwa, he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division between NamJonghwa and BookJonghwa, changes in the style of painting, and historical trends. In addition, he studied the interactions, transmissions, and activities of various artists until NamJonghwa was introduced into Choseon Dynasty and became indigenous. He also studied that the influence of the times and their choices on the painters, how the contemporary painters coexisted, and how Namjonghwa's tradition developed through generations during the turbulent and enlightenment period of the country, after the influx of Namjonghwa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background of the special formation of Namjonghwa in the Honam region was influenced by the Seohwa(書畫) people who were exiled by the political power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amily of Sochi(小癡) Heo-ryeon(許鍊)(1808∼1893) in Jind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uccession of Nam Jong-hwa and the development of tradition. Sochi Heo-ryeon made NamJonghwa indigenous to Honam, and from the 1920s, Misan(米山) Heo hyung(許灐)(1862∼1938) played a role as a successor to Heo Baek-ryeon and Heo Geon while working in the Mokpo painters group through Gangjin in Jindo. After 1945, in Gwangju, Heo Baek-ryun developed the idea of ​​traditional painting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painting ideology. In addition, in Mokpo, Namnong(南農), who succeeded Heo Hyung, formed a free-spirited formative style based on the concept of innovation required by the time on the tradition, forming two major mountain ranges.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period of confusion between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and the transitional period to preserve the tradition from the western cultures, the central art of Nam Jong-hwa ended like a painting in Honam. From them, even in the turbulent period of history, we could see the independence of ethnicity, and in the background of adhering to Namjonghwa, the ideological national consciousness to resist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latent and expressed as Namjonghwa, and they coexisted and acted together. Geumbong was able to use literary painting freely, and participated in the Korean Art Competition, and received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the Prime Minister Award for 10 years and became the first artist. Although he inherited NamJonghwa, he established his own unique and abstract technique in expressions and subjects outside the traditional nature of NamJonghwa. This seems to reflect some of the efforts that attempted to combine Western and Eastern styles with natural landscape. In addition, by publishing a collection of poems and paintings, it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He had to study paintings from Jindo to Gwangju while farming, and through this, we could see that he was able to overcome the situation with a firm conviction in unfavorable conditions. Also, it can be said that he has gone the path of an artist required in this era as a creative researcher who has learned a lot and obtained through experimentation. In the present era, where economic industry fields such as IT industry are developing rapidly, the reality that the culture and arts field is not as illuminated as economic growth remains a regret. This thesis studied the artistic world of Geumbong Park Haengbo and the transmission process of Nam Jonghwa at the recommendation of Professor Chul-Gyeong Ha. Research method: Based on Geumbong's annual report, literary works were analyzed focusing on award winning works. Namjonghwa works were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nd analyzed by dividing into abstract works of the late period, and works of Chinese poetry and Chinese poetry and painting, and this thesis was written by using the Internet and various references, and by analogy through interviews with Geumbong.

      • 공자(孔子) 선(善) 사상을 기반으로 한 행서 예술작품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조맹 호남대학교 대학관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선(善)은 동서양을 모두에 있어 중요한 하나의 사상이다. 그 내용은 매우 풍부한 도덕적인 의의와 정신적인 추구도 있다. 선은 동시에 예술의 정신이며 심미 기준이기도 하다. 중국 전통서예는 공자의 ‘선(善)’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아 특유의 예술 법칙을 보여준다. 또한 예술의 사상 내용을 중시한다. 서예가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인격과 품성을 더욱 중시한다. 서예작품에 대해서는 그 내적인 사상표현과 감정 전달을 더욱 중시한다. 공자는 ‘완전무결(盡善盡美)’이라는 예술 사상을 제기했다. 이는 일종의 이중 예술 기준으로, ‘盡善’과 ‘盡美’을 다 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공자는 ‘선(善)을 앞세우자’고 했다. 이는 ‘미보다 선을 우선한다’는 뜻이다. 서예가에 대한 이 가르침은 서예창작에서 우선 ‘선(善)’에 대한 추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아름다움’도 자연스럽게 따라 생겼다. 공자의 ‘선(善)’ 예술 사상은 예술가가 마땅히 갖추어야 할 우수한 인격 정신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작품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건전하며 깊이 있는 내용을 담는다. 공자의 ‘미(美)’에 대한 정의는 예술가는 심미적인 안목, 태도와 정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작품에 대해서는 형식적인 면에서 관중들이 그 속에서 미적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예술작품이다. 그러므로 공자의 ‘선(善)’ 사상은 사실 내적인 정신미와 외적인 형식미의 통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선(善)의 사상은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지금까지 모두가 그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善)은 우리 곁에 아주 가까이 있다. 평상시 우리의 작은 행동 하나에도 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선’은 때로 우리와 매우 멀리 떨어져 있지만, 이는 전 인류의 지상 목표라고 말할 수 있고, 사람이 일생에 있어 추구하고자 하는 답안이기도 하다. 서예의 역사를 살펴보면, 중국의 서예는 문자가 탄생한 초기부터 이미 ‘선(善)’이라는 소박한 사상이 내포되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오랜 발전을 거쳐 ‘선(善)’의 사상은 줄곧 서예 사와 함께 존재해왔다. 서예가부터 서예작품, 그리고 각종 서체의 창작 사상과 창작 과정에 이르기까지 ‘선(善)’의 사상이 담겨 있다. 중국 서예 사의 발전은 두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실용성을 위주로 한 시기이고 다른 하나는 실용성과 예술성을 다 같이 중시하는 시기이다. 물론 이 구분은 상대적인 것이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실용성을 위주로 하던 시기의 서예도 예술성이 있었다. 제2단계의 부동한 시기에 서예의 실용성과 예술성의 중점도 서로 달랐다. 하지만 이런 구분은 공자의 ‘선(善)’ 사상과 많은 관련이 있어 주로 두 가지 차원으로 나타난다. 첫째, 공자 사상 중의 선과 미의 관계를 서예의 실용성과 예술성 사이의 관계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층차, 공자 사상 중의 선과 미는 서예 예술성 중의 선(善)과 미(美), 즉 서예 사상의 내용과 형식 사이의 관계만을 가리킨다. 연구자의 견해로는 현대 예술에서 가장 부족한 것이 바로 선(善)의 사상이라고 생각하였다. 옛 동양 예술에 있어서 선(善)은 아름다움 위에, 미(美)에 우선하여 존재했다. 서양 예술은 미(美)의 존재를 더욱 중시하였다. 현시대 중국의 서예는 서방 예술의 영향을 많이 받아 더욱 많은 사람들이 서예의 예술성과 조형을 연구하면서 서예의 인문 정신과 문화 내포를 약화시키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많은 당대 서예가들의 작품은 형식감은 넘치지만 내재적 정신과 작품 사상표현이 매우 결핍하다. 행서(行书)는 서예에서 매우 대표성이 서체로서 실용성과 예술성을 다 같이 중시하는 뚜렷한 특징을 갖고 있다. 동시에 전형적인 ‘인격미(人格美)’와 ‘중화미(中和美)’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두 특징은 공자의 ‘선(善)’ 사상의 핵심이기도 하다. 즉 ‘인(仁)’과 ‘중용(中庸)’이다. 행서의 선의 운용에 대한 연구는 그래서 중요하다. 중국 서예 사에서 ‘천하 3대 행서’로 불릴 만큼 중요한 행서 작품이 세 점 있다. 이 세 작품을 창작한 선행 서예가들은 행서 서가뿐만 아니라 중국 서예 사상 위대한 서예가이기도 하다. 이들은 서예 중의 예술, 인격과 학문의 대표자이다. 본 논문은 이들 세 사람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발견하였다. 첫째, 서예 발전 중‘(善)’ 사상의 운용에 대한 지속성이 있다. 둘째, 서예 창작 중 ‘선(善)’ 사고와 표현의 사상적 기초에 일치성이 있다. 셋째, 서예가의 작품 내용에 나타난 ‘선(善)’ 사상의 계승성이다. 넷째, 선행 서예가들은 행서 창작에서 ‘선(善)’을 적용하는 혁신성을 모색하였다. 연구자가 ‘선(善)’을 기초로 하는 행서 작품을 연구할 때, 선정한 세 가지 중요한 제시 방식의 기초 위에 각각 세 가지 구체적인 연구 방면으로 나뉜다. 자연과 인생에 대한 탐구에 있어서는 또 동양의 천인합일의 인생관, 인간의 세계관, 일상생활 속의 자연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다른 각도와 차원에서 자연 속의 선을 연구하고 있다. 도덕에 있어서 선에 대하여 사고하는 가운데, ‘공자의 선 사상의 계승’, ‘국가와 민족에 대한 자부심’, ‘본성의 선함’이라는 세 가지 방면을 바탕으로 행서 창작을 연구하였다. 개인감정 중의 선의 표현에 대해 연구할 때, 사람의 ‘가족애 정’, ‘사랑’과 ‘우정’의 세 각도에서 창작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각도에서 창작과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행서창작에서 ‘선’ 사상 운용의 철학성과 구체적인 실천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였다. 현대행서의 창작은 새로운 시대정신을 구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에서 경험을 흡수해야 한다. 그래야만 서예작품이 더욱 많은 의의와 가치를 가질 수 있다. Seon(善) is an important philosophy in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t has a rich ethical significance and is also a pursuit of spiritual cultivation. At the same time, it embodies the spirit of art and serves as a criterion for aesthetics. Traditional Chinese calligraph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showing its unique artistic principles. Additionally, calligraphy focuses on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writer while emphasizing the expression of inne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artwork. Confucius proposed the artistic philosophy of "Jinshan Jinmei", which means one should strive for both goodness and beauty in their artwork. However, Confucius also emphasized putting Seon first and prioritizing goodness over beauty. In calligraphy creation, pursuing Seon must come first, and then beauty will follow naturally.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can be understood as an outstanding personality and spirit that every artist should possess. Works of calligraphy carry positive, wholesome, and profound content. Confucius' definition of "Mei(美)" is that artists should have a sense of aesthetic vision, attitude, and spirit in creating artworks that allow audiences to experience aesthetic enjoyment through the formality of the work. Therefore,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is the unity of internal spiritual beauty and external formal beauty.“ The philosophy of Seon(善) is a very important topic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Regardless of Eastern or Western cultures, people have been striving to find its answers since ancient times. Seon is sometimes very close to us, and even in our everyday actions, there are meanings of Seon(善) is sometimes far away from us, but it can be considered as the ultimate goal of humanity and the answer that people seek throughout their lives. Looking at the history of calligraphy, it can be discovered that Chinese calligraphy already contained a simple philosophy called 'Seon(善)' from the early days of the birth of characters. Over a long period of development, the philosophy of 'Seon(善)' has always coexisted with calligraphy. From calligraphy to calligraphic works and various font creations, the philosophy of 'Seon(善)' is embedded in the creation proces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alligraphy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one focused on practicality and the other emphasizing both practicality and artistry. Of course, this distinction is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Calligraphy during the period focused on practicality also had artistic qualities. During the steady second phase, the emphasis on practicality and artistry in calligraphy was different. However, this distinction primarily manifests itself in two dimensions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Confucius' 'Seon(善).'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ity and artistry of calligraphy can be see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 and beauty in Confucian though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 and beauty in Confucian thought only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and form of calligraphic artistry. From the researcher's perspective, the most lacking aspect in modern art is the philosophy of Seon(善). In ancient Eastern art, Seon was prioritized over beauty and aesthetics. Western art has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beauty. Contemporary Chinese calligraph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Western art, and as more people study the artistry and form of calligraphy, it has begun to weaken the humanistic spirit and cultural significance inherent in calligraphy. Therefore, many contemporary calligraphers' works are abundant in formality but lack internal spirit and expression of artistic philosophy. Running hand is a calligraphy style that has a distinct feature as a font, emphasizing both practicality and artistry. It also include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beauty" and "harmony beauty," which are the core of Confucius' philosophy of Seon(善), specifically, "Ren(仁)" and "Zhongyong(中庸)." Therefor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Seon in Running hand is important. There are three important Running hand works in Chinese calligraphy history that are known as the "three greatest Running hand works in the world." The calligraphers who created these three works are not only masters of Running hand but also great representatives of Chinese calligraphic art, personality, and scholarship. Through a study on these three calligraphers, this paper reveals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continu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Second, there is consistency betwee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expression of Seon in calligraphic creation. Third, there is an inheritance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the content of calligraphic works. Fourth, the calligraphers sought innovation by applying Seon in Running hand creation. When researching Running hand work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eon(善), researchers divide their studies into three specific directions, each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ree important presentation methods. In exploring nature and life, they also study the Seon in nature from three different aspects: Eastern philosophy of unity between nature and humans, human worldview, and nature in everyday life. Regarding morality, researchers have studied Running hand creation based on three aspects: "inheritance of Confucius' philosophy of Seon," "pride in the country and nation," and "innate goodness." When studying the expression of Seon in personal emotions, they conduct creative research from three angles of "family affection and love," "friendship," and "love." By conducting creative and research work from various angles, researchers have systematically explored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Running hand creation.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cursive calligraphy not only needs to embody a new era's spirit but also needs to draw experiences from traditional culture so that calligraphy works can have more meaning and value.

      • 가상현실(VR) 환경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 중국 스포츠 피트니스 "VR Workout" app를 중심으로 -

        마혜 호남대학교 호남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가상현실(VR)은 사용자 체험을 초과하는 체험을 창조하여 사용자가 가상세계에 더 깊이 통합할 수 있게 한다. 가상현실(VR) 헤드셋 하드웨어 및 가상현실(VR) 앱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가상세계를 만들어 내며, 현실 세계를 기준으로 현실 세계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랙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잠재력이 강하다. 가상세계에서 개발자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자유롭게 창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으며 강렬한 잠재력과 가까운 현실과의 인터랙션 체험을 실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세계에서 학습, 일, 게임, 연구 등의 활동을 수행할 때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상현실(VR)의 발전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다. 가상현실(VR)의 응용 분야는 매우 넓으며, 생활 분야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및 쇼핑 소비 등 상업 활동에 사용되고, 특히 게임 엔터테인먼트 소비의 응용 시장이 가장 넓다. 생산 분야에서는 제조, 서비스, 공공 관리 등 생산 활동에 주로 사용되고, 자동차, 선박, 의료, 교육 등 산업에 점차 적용되어 실제 생산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미국은 교통 내비게이션, 도시 계획, 스마트 교통, 스마트 주차, 스마트 빌딩 및 스마트 관리 등 분야에서 가상현실(VR) 기술을 긍정적으로 채택하여 극대한 상업 가치와 사회적 이익을 얻고 있다. 가상현실(VR)은 스포츠 피트니스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2022-2027년 중국 정부는 5000억 위안을 투자하여 각 분야에 가상현실(VR)의 응용을 가속화하는 장려 계획 중에는 스포츠 피트니스 분야도 포함되었다. 시간이 짧은 동안에도 스포츠 피트니스 분야에 가상현실(VR)이 적용되고 있으며, 전문 기술 병목 현상뿐만 아니라 인터랙션 디자인 문제도 마주하고 있다. 전문 기술 병목은 가상현실(VR) 하드웨어 장치 면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하드웨어 장치의 무게, 착용 방식, 조작 방식, 시스템 플랫폼 등이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 문제는 사용자 체험 디자인과 인지 심리 등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터랙션 디자인은 사용자가 가상현실(VR)을 인정하는 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용자의 재이용 의도는 가상현실(VR) 관련 제품 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환경에서 스포츠 피트니스 앱 인터랙션 디자인이 사용자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래와 같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현황과 개요를 이해하여 목적, 연구 방법 및 범위를 밝혀내는 개요 부분에서, 가상현실(VR) 앱의 인터랙션 디자인이 근본적으로 변화하여 사용자의 조작 방식과 인터랙션 체험이 이전과는 다르게 되었다. 가상현실(VR) 환경에서, 본 논문은 사용자 사용의도를 영향 주는 요인과 경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실험법과 조사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조사 및 분석하여 사용자 사용의도를 영향 주는 인터랙션 디자인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중국 스포츠 피트니스 "VR Workout" app, 인터랙션 디자인 및 사용자 사용의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사용자 사용의도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여 세 가지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 사용자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가상현실(VR) 하드웨어 장치, 가상현실(VR) 앱 개발,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 인터랙션 체험, 인지 심리학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더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더 미세한 상호 영향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 측정과 사용자 조사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연구 대상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용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이 사용자의 스포츠 피트니스 체험에 가장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은 동작 폭, 속도 및 변화 복잡도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하며, 이 세 가지 요소가 같이 사용자의 인터랙션 체험에 영향을 미쳤다.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은 사용자인지 및 체험의 향상과 함께 변화하며, 즉 사용자인지는 반복 사용에 따라 향상되고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 요소는 사용자인지에 따라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사용자의 더 높은 인지 수준을 만족시키고 사용자에게 더 나은 인터랙션 체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 스포츠 피트니스 "VR Workout" app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인터랙션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의 사용의도는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스포츠 피트니스 앱 사용자 사용의도 연구를 통해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이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사용자는 "VR Workout" app의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발견하고자 한다. 둘째,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이 사용자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동작의 폭, 속도 및 변화 복잡도 세 가지 측면이다. 동작의 속도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효과가 가장 뚜렷하고, 다음으로는 동작의 변화 복잡도가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는 동작의 폭이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동작 속도의 빠르기는 동작의 조합 내용과 방식과 관련이 있다. 동작 속도가 더 빠를수록 사용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동작 조합의 방식이 더 다양할수록 사용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의도가 감소하며, 사용자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동작 속도를 선호하였다. 상기한 상황은 동작의 범위와 복잡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동작의 속도에 비해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강하지 않았다. 넷째, 인지 심리학에서 사용자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요약하였다. 중국 스포츠 피트니스 "VR Workout" app는 사용자가 스포츠 피트니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 사항은 반복 사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더 높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사용의도를 유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는 "VR Workout" app의 사용자 사용의도를 얻기 위한 핵심이 되는 인터랙션 디자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사용자 요인, 가상현실(VR) 착용 장치 요인,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과 사용자 사용의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각각의 요인은 다른 세 가지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 작용하는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하나 전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상현실(VR)은 실제 세계에 가장 가까운 인터랙션 조작으로 사용자에게 강렬한 잠재 체험을 제공하며,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중국 스포츠 피트니스 "VR Workout" app에서의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은 다른 가상현실(VR) 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상현실(VR) 앱 개발 작업을 수행할 때 인터랙션 액션 디자인은 인터랙션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포스트모더니즘을 시각으로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 문화에 연구

        송백림 호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체적 시각과 공상과학의 결합에서 시작하였다. 다양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의 혼합 특성을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 문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향후 관련 디자인 작품(특히 캐릭터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지도와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  사이버 펑크(Cyberpunk)와 관련된 디자인 작품들이 더 많은 사회적 호응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주제의 연구 분위기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신체적 시각과 공상과학의 결합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은 대중적인 독서의 일종이지만 포스트모더니즘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지와 낯설게 하기의 상호작용적 특성으로 인해 사회적 비판의 중요한 수단이 되며 사회적, 문화적 기능을 소유하게 된다.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은 문화저항의 범주에 포함할 수도 있다. 오늘날 사회기술이 점점 더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조건에서의 사회 문제를 겨냥하고 대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독립성, 복잡성 및 명백한 신체 테마를 가진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 소설은 1980년대에 탄생하였다. 영국 미학 학술계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부흥하였던 황금기에 일어났으며 신기술이 대대적으로 발전한 시대이기도 하다.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신체적 테마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밀접한 관계는 새로운 기술조건에서 신체의 변화와 자신과 새로운 기술 사이에 형성된 새로운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반영한다. 독립성, 복잡성 및 명백한 신체 테마를 가진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은 1980년대에 탄생하였다. 영국과 미국 학술계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황금기에 일어났으며 그 시기는 신기술이 대대적으로 발전의 시대이기도 하였다. 사이버 펑크(Cyberpunk)를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에서 체계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현실,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내폭, 사이버 펑크(Cyberpunk)와 대중문화 간의 대화 세개 방면에서 논의했으며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혼합성"은 포스트모더니스트 특성을 갖고 있음을 밝혔다. 첫 번째는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의 현실성이다. 즉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시공간 장면은 먼 미래의 세계가 아니라 수십 년 후 가까운 미래에 있다는 것이다. 이 미래는 현재 경험과 트렌드를 바탕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상된 미래의 관점에서 현재의 현실을 설명하고 오늘날 발전이 가능하게 초래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특히 새로운 기술이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쳐 새로운 개인 유형과 새로운 기술환경을 형성하는지 보여 주었다. 미래는 현재로 무너지고 현재는 미래와 합쳐진다. 이것은 시간의 융합이다. 두 번째로 사이버 펑크(Cyberpunk)는 콘텐츠와 창작 수법에서 표현된 내부 폭발성이다. 다양한 형태의 경계, 문화 간, 생물학과 기술 간, 현실과 비현실 (또는 시뮬레이션) 간에 경계가 없음을 구현하였다. 사이버 펑크(Cyberpunk)는 창작 수법에서 많은 요소를 결합하고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공상과학 및 기타 대중문화 코드를 결합하여 새로운 유형의 공상과학을 형성하였다. 세 번째는 사이버 펑크(Cyberpunk)와 대중문화의 상호작용과 대화이다.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탄생은 대중문화의 자원을 유용하는 동시에 대중의 시야에 들어간 사이버 펑크(Cyberpunk)는 폭넓은 반향과 반응을 받았다. 이러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자원이 되어 대중문화 속으로 스며든다. 따라서 사이버 펑크(Cyberpunk)는 포스트모더니즘 조건의 반영일뿐만 아니라 대응이기도 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조건의 구축에 직접 참여하고 대화의 과정을 형성하며 공상과학에서 문화 형식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문화 메커니즘이 형성된다. 현재까지 이어온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인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문화이다. 인간과 기술의 용합이 갖다준 포스트 휴먼 (Post-Human) 주체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점차 인체에 융합되는 기술에 집중하겠습니다. 인간과 기술의 결합은 새로운 '포스트 휴먼 (Post-Human)'사이버 펑크(Cyberpunk) 주체를 가능하게 형성한다. 이는 일정한 수준에서 전통적 인본주의의 종말을 의미하며,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문화 메커니즘에 도전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조건하에서의 자아 다양화 변화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자아는 변화하는 개념이며 기술과 인간 통합의 시대에 새로운 형태의 자아, 즉 사이보그 자아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자아의 과정에서 전근대주의에서 모던으로, 또한 나서 포스트모더니즘의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를 추적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자아이론에서 사이보그 이론은 매우 중요한 분파이다. 왜냐하면 사이보그는 전형적인 사람과 전자 기계의 통합에 대한 상상력이며, 이 모호한 개념은 인간과 기계 사이에 명확한 구분선을 그리기 어렵고 인간의 궁극적인 귀착점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준다. 사이버 펑크(Cyberpunk)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 있어서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기술적인 내용에 주목할 때, 이러한 작품이 '펑크' 정신을 갖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사이버 펑크(Cyberpunk)가 탄생된 초기에는 단지 기억의 편리를 위해 이 단어를 만들었을 수 있으며 진정한 펑크 정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발전이 심화됨에 따라 사이버 펑크(Cyberpunk)는 진정한 펑크 정신을 점점 더 구체화하고 있다. 이것은 기술 분야 (특히 컴퓨터 기술)에서 영웅적인 서사시가 아니라 민간인, 개인주의적, 반항적인 개인 경험이다. 요컨대 포스트모더니즘사회는 신체와 뇌에 포스트모더니즘 기술이 개입하여 사회생활에 포스트 휴먼 (Post-Human)이 등장하면서 인간의 행동과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인은 선행 연구의 탐색과 분석을 통해 사이버 펑크(Cyberpunk)의 신체적 특성을 결합하여 사이버 펑크(Cyberpunk) 공상과학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혼융에 부합하는 특징을 더욱 검증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과학 기술 상황하에서 신체적으로 발생하는 변화 및 사람들이 자신과 신기술 간에 형성하는 새로운 관계를 제기하였다, (즉,포스트휴먼이 나타날 가능성이다.) 포스트 휴먼 (Post-Human)의 출현 가능성과 결합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개념을 제기하였다. 즉, 사이보그 신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 다른 과제로 확장 시켰다. 즉 중국의 사이버 펑크(Cyberpunk) 현황에 대한 연구이다. 문화적 개념을 발견하는 것은 하나의 진화과정이다. 사이버 펑크(Cyberpunk)가 중국에 전달된 후 중국의 경제발전에 따라 중국 전통문화와 어떠한 통합이 이루어지게 될 것인가? 이것은 분명히 의미있는 연구 분야이며 새로운 발견이 있기를 바란다.

      •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 발전의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장오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의 장애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대 시각문화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에 속한다는 관점이 전체 논문에 일관 되었다. 본 연구의 기본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에서는 시각문화에 대한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논문의 작성법, 연구대상 (내용), 연구목적, 연구방법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의 표현형식에 대한 정리를 통해 시각문화 발전의 장애요인을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이러한 장애요인을 초래한 원인을 찾고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 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중국의 맥락(언어 환경)과 결합하여 중국 시각문화 문제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각 장의 주요 내용에 대한 설명이다. 제2장에서는 시각문화, 포스트모더니즘, 개념 환경의 함의를 밝히고 있다. 이것은 본 연구의 작성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환경이 처음으로 제시되어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개념자동차(컨셉트 카), 개념가구, 개념공간과 같은 단어들은 자주 들어 봤지만 "개념 환경"(概念環境)이라는 단어는 이전에 들어 본 적이 없었으며 본 연구에서 조건으로 사용하였다. 동시에 시각문화에는 주로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 번째는 인류 역사상 모든 시각과 관련되는 문화를 말한다. 두 번째는 특히 시각적 특성을 지닌 현대문화를 말한다. 시각문화의 두 번째 의미는 본 연구에서 논의되는 주요 내용이다. 그런 다음 두 가지 관점에서 현대 시각문화의 주된 의미를 논의하였다. 첫 번째는 시각문화의 특성으로서 시각문화가 존재하는 토대이다. 두 번째는 시각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적 특성인데, 이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가 특별한 이유이다. 저자는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의 특징은 주로 시각문화에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 시각문화는 지각문화, 가상 문화, 일상문화이며 소비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두 번째 장절에서는 시각문화의 역사적 발전에 대한 간략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시각문화의 발전과정에 현대 시각문화의 의미와 특수성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장절에서는 시각문화 자체의 발전과 변화를 정리하지 않고 일부 학자의 문화에 대한 연구단계에 따라 시각문화의 발전과정을 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Fredric. Jameson, Daniel. Bell, Foucault, Podria, Nicholas. Mirzoeff 등 학자가 시각문화에 대한 연구시간에 따라 구분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가장 선명하다. 하나는 일상생활이고 다른 하나는 시각매체이다. 일상적인 측면에서“이미지 읽기 시대"와 이미지 전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현대 시각 이미지화 추세와 이미지의 구체적인 특성에 주로 반영된다. 인체와 시각문화: 인체이론과 시각문화와 시각문화의 관계 및 시각문화가 인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소개하였다. 도시 경관 및 관광 체험: 도시 자체가 시각문화의 의미와 시각경험의 의미를 어떻게 갖게 되었는지 및 관광의 시각경험 의미를 해석하였다. 시각적 소비와 시각적 문화: 소비사회에서 시각적 제품과 비시각적 대상의 시각적 의미와 그에 따른 과시하는 소비현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시각매체의 관점에서 시각매체를 크게 전통적인 시각매체와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매체로 나눌 수 있다. 사진, 영화, 텔레비전과 같은 전통적인 시각매체가 어떻게 포스트 모더니즘적 의미에서의 시각매체가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컴퓨터와 같은 전형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매체에서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화적 형태 인 온라인 게임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특정 온라인 게임형태에서 컴퓨터의 포스트 모더니즘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새로운 시각매체에서는 지난 10 년 만에 등장한 일부 새로운 시각매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휴대폰, 태블릿 등 일부 모바일 시각장치와 파생 된 스트리밍(流媒體) 미디어,1인 미디어에 초점을 맞추었다. 시각문화 표현의 형태와 발생 원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의 발전에 몇 가지 장애요인이 있다는 결론을 지었다. 이는 이미지 범람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미지의 영향 및 이미지의 범람으로 인한 미학의 범람, 사람들의 일상적인 미학에 대한 지루함과 무감각 함에서 나타난다. 시각매체가 초래한 시공간의 장벽은 사람 간의 소통의 진정성과 신뢰성이 사라지지 않고 시각적 장벽이 나타나서 반영된다. 시각문화의 거짓 행복: 시각문화가 사람들에게 가져다주는 거짓 행복은 주로 소비를 행복과 동일시되는 데서 반영된다. 시각문화가 형성되고 장애요인이 생성되는 원인은 이미지의 인간성에 있다. 이미지는 사람들이 시간을 공간으로 만들어 시간을 통제하려는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이미지가 더 지각적이고 직관적인 문화형식이기 때문이며 다른 감각기관과 결합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인들이 포스트모더니즘 적 사고방식과 만나게 되면 이미지 문화는 감성적 해방의 형태로 되살아난다. 따라서 시각문화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본능에 보다 직관적으로 부합되는 문화적 형태이다. 시각문화는 소비사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로 소비사회의 상품의 시각화에서 반영된다. 시각기술의 발전: 시각기술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문화형식을 생성하는 반면 현대 복제 및 가상 시각기술은 또한 현대의 이러한 시각문화를 생산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데올로기는 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문화적, 윤리적 상황이 시각문화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서 반영된다. 심미방식의 변화와 예술의 생활화는 시각문화가 경험과 미학을 강조하는 문화적 형태가 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것들이 시각문화 형성의 원인 일뿐만 아니라 현대 시각문화에 장애요인이 발생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시각문화와 시각 장애요인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시각 장애요인에서 벗어나고 특정 의미에서 시각문화를 초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전통적인 심미방식의 컴백. 보다 독립적인 미의식과 합리적인 심미방식을 확립해야 한다. 자연스러운 리얼 시각을 추구해야 하며 시각적 기술에 대한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을 줄이고, 육안과 리얼한 자연간의 접촉에서 시각적 진실성을 회복해야 한다. 시각매체의 매개 역할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축해야 한다. 진정한 행복감을 얻는 것은 삶에서 소비에 대한 거짓 행복에서 벗어나고 삶의 신념과 꿈에 대한 독립적인 소비관념과 초월성을 확립하고 소비로 인한 거짓 평등과 행복을 제거해야 한다. 어떻게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 연구와 중국 맥락(언어 환경)을 결합 시킬 것 인지는 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문화 틀에서 어떻게 중국 전통문화 자원을 결합 시킬 것 인지와 관련이 된다.

      • 루시언 프로이트의 작품세계 관한 연구 : 중국 회화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뤄우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루시언 프로이트(Lucian Freud, 1922-2011)는 영국의 가장 대표적인 사실주의 유화 화가 중 한 명이다. 그는 초상화와 인체 유화를 재해석하여 그만의 강렬하고 개성적인 기법과 형식 스타일을 창조했다. 프로이트의 작품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람들의 충격과 냉담함을 표현하여 당시의 역사에 속하는 특별한 정신적 의미를 전달하였다. 또한 그는 보통 사람을 능가하는 창의력과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인간의 마음 깊은 곳을 탐구했다. 그가 보여준 예술작품과 표현한 회화 언어는 서양 유화의 전통을 깨뜨렸다. 20세기는 서양 현대 예술이 왕성하게 발전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전통 사실주의 회화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지기 시작했으며, 심지어 일부 사람들은 사실주의 회화가 곧 사라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루시언 프로이트는 현대미술의 흐름과 변화를 따르지 않았다. 그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대 예술 환경에서 벗어나 전통적인 사실주의 회화 언어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장했다. 프로이트는 그의 일생을 전통 사실화 형식의 언어 확장과 작품 내 정신성의 융합에 집중했다. 그는 개성화된 예술적 특징으로 사실주의 회화의 지위를 공고히 하였다. 더하여 점차 곤경으로 치닫던 사실주의 회화에 많은 공헌을 하며, 동시에 중국 유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 예술 스타일의 변화와 회화 이론의 구체적 내용 및 회화 사상이 미치는 일련의 영향을 연구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연구내용,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은 루시언 프로이트의 예술적 성장 과정과 예술적 특성을 요약하였고, 프로이트 회화 예술이 사실주의 회화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의 회화 스타일 형성은 한편으로 자신의 성장 경험과 사회적 배경에서 비롯되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일부 서양 회화 대가들의 영향으로 독특한 회화 예술 스타일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 사실주의 회화의 확장과 특정 예술 환경에서 나타난 그의 사실주의 회화에 대한 고수성을 연구하여 그가 창조적으로 사실주의 회화에 크게 기여했음을 확인했다. 제3장에서는 프로이트의 회화 스타일, 회화 언어, 예술적 본질에 대한 탐구를 출발점으로 초기 회화 예술을 탐색한다. 또한 그의 회화 스타일 변화에서 예술적 추구를 설명하고 미적 추구와 회화의 본질을 드러낸다. 앞선 논증을 통해 프로이트 회화 예술의 창작 개념과 창작 기법의 변화를 명확히 하여, 그의 작품이 전통 회화의 미적 형식을 넘어서며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입증한다. 제4장에서는 유소동(劉小東)과 신동왕(忻東旺)을 중국 사실화의 대표로 하여, 프로이트가 그들에게 끼친 영향을 창작 관념적 표현기법 측면에서 열거한다. 또한 프로이트의 영향 이후 그들 각자의 예술적 발전상을 묘사한다. 두 화가의 프로이트 예술적 특징과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프로이트의 사실주의 회화가 중국 회화에 미친 구체적 영향과 표현을 탐색한다. 더 나아가 중국 회화 발전에 대한 프로이트의 실용적인 의미를 정리한다. 끝으로 프로이트의 사실주의 회화가 가진 예술적 특징이 중국 회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가 회화 창작을 하던 시대적 배경과 회화 예술의 본질적 탐구를 기초로 하여, 그의 회화 예술을 전면적으로 해석하고 회화의 진정한 의미를 탐구한다. 제4장의 논증을 통해 프로이트 회화 예술이 창작 개념과 창작 기법적 측면에서 중국 사실주의 회화에 미친 영향을 명확히 했다. 또한 현대 중국 회화 발전에 그의 예술 창작이 긍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대 화가들의 끊임없는 예술 사고 혁신에 있어 큰 공헌을 했음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