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종화의 전승과 금봉 박행보의 예술세계 연구 = The succession of Nam-Jong-Hwa(original painting) and the research on the art world of Park Haeng B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96094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호남대학교 대학원 , 미술학과 한국화전공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 95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구만채

      • UCI식별코드

        I804:24014-200000365996

      • 소장기관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연 구 자 : 정인순 지도교수 : 구만채 금봉(金峰) 박행보(朴幸甫)(1935∼)이하,‘금봉’이라 함)은 1960년 26세에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891∼1977) 문하에 들어가 남종화를 전승하...

      국문초록
      연 구 자 : 정인순
      지도교수 : 구만채


      금봉(金峰) 박행보(朴幸甫)(1935∼)이하,‘금봉’이라 함)은 1960년 26세에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891∼1977) 문하에 들어가 남종화를 전승하였다. 1970년 36세에 두 번째 스승인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1903∼1981)으로부터 그림의 구도와 서법를 배웠으며, 1977년에는 세 번째 스승인 만취(晩翠) 위계도(魏啓道)(1926∼1990)으로부터 한학을 배움으로 작가로서 갖추어야 할 시(詩), 서(書), 화(畵)를 겸비하게 되었다. 스승 의재 허백련은 형상보다 뜻을 더 중요시하여 사의적(寫意的) 그림을 추구하였으나, 금봉은 스승의 뒤를 이어 남종문인화를 계승 발전시키면서 스스로 자기만의 화필을 성립시켜 추상적인산수를 창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가 세 사람의 스승으로부터 배움의 길을 가면서 인격 완성에도 그 목적을 두고 정진하였던 과정들을 연구하면서 그의 삶과 예술세계에서 배어나는 은일사상(隱逸思想)과 남종화(南宗畵)의 화맥(畵脈)은 어떠한 과정을 거처 왔는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는 남종화(南宗畵)의 화맥(畵脈)의 전승자로서 그 뿌리를 찾아봄으로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가 갈라지게 된 배경, 화풍에 대한 변화, 역사적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남종화가 조선에 유입되어 토착화되기까지와 여러 작가들의 상호 작용은 어떠하였으며, 전승과 활동과정을 연구하고, 조선후기 남종화 유입 이후 국가의 격동기와 개화기를 거치는 동안 시대적 흐름이 작가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들의 선택, 그리고 동시대의 작가들은 어떻게 공존 하였으며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남종화의 화맥(畵脈)이 어떠한 과정으로 전승 발전되어 왔는지를 연구하였다.
      호남지방(湖南地方)에 남종화가 특별히 형성되어진 배경에는 조선시대 정치세력에 밀려 유배 왔던 서화(書畫)인들의 영향도 있으며, 진도에 소치(小癡) 허련(許鍊)(1808∼1893)의 일가는 남종화의 전승과 전통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소치 허련은 남종화를 호남에 토착화 시켰으며, 1920년대부터 미산(米山) 허형(許灐)(1862∼1938)이 진도에서 강진을 거쳐 목포화단에서 활동하면서 허백련과 허건에게 전승자로의 역할을 하였다. 1945년 이후에는 광주에서 허백련이 전통화맥을 고수하며 전통회화관을 꽃피웠고, 목포에서는 허형의 뒤를 이은 남농(南農)허건(許楗)(1907∼1987)이 전통위에 그 시대가 요구되는 혁신이란 개념으로 자유분방한 조형적(造型的)인 화풍(畵風)의 형성을 이루어 두 갈래의 양대 산맥을 이룬 점이 특징적이다.
      일제강점기와 남, 북이라는 분단의 혼란기, 개화기로 밀려드는 서구문물과 전통을 지키려는 과도기에 중앙 집중적인 미술이 특정지역인 호남에 남종화의 화맥이 마치 호남의 그림처럼 종착화되었다. 그들은 역사의 격동기에도 자주적인 민족성을 엿볼 수 있었고, 남종화를 고수하였던 배경에는 일제에 저항하고자하는 사상적 민족의식이 잠재되어 남종화로 표출되어지기도 하였으며, 그들은 서로 공존공생하며 활동하였다.
      금봉은 문인화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실력을 갖추어 (국전)대한민국미술대전에 출품, 문교부장관상과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등, 10년에 걸쳐 수상하여 초대작가가 되었고, 남종화을 전승하였으나 남종화의 전통성을 벗어난 표현이나 주제에 그만의 독특하고 추상적인 기법을 확립하였는데, 이는 서양적인 양식과 동양적인 양식을 자연산수에 접목하고자 시도한 노력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여 지며, 한시와 그림의 시화집을 발간하여 지역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는 진도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광주까지 원거리를 오가며 그림공부를 해야 했던 불리한 여건도 확고한 신념으로 타파 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많은 것을 섭렵하고 실험을 통해 얻어내는 창의적인 연구자로 이 시대에 요구되는 예술가의 길을 갔다 하겠다.
      IT 산업 등 경제 산업분야는 빠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으나 문화예술분야는 경제 성장만큼 조명 받지 못하는 현실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본 논문은 하철경교수님의 추천에 의해 금봉 박행보의 예술세계를 연구하면서 남종화의 전승과정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방법 : 금봉의 년보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문인화작품은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남종화작품은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분석하고 말기 추상적인작품과 한시와 한시화작품 등은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인터넷과 여러 참고문헌을 활용하고 금봉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유추해 가며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Abstract
      The succession of Nam-Jong-Hwa(original painting)
      and
      the research on the art world of Park Haeng Bo

      Jeong In Soon
      Advisor : Prof. Koo Man Chae

      Geumbong Park Haeng-Bo(朴幸甫)(1935∼)(hereinafter referred to as “Geumbong”), he joined Uijae(毅齋) Heo Beak-Ryun(許百鍊)(1891∼1977) in 1960 at the age of 26 and passed down NamJonghwa(original painting). In 1970, he learned the composition and calligraphy of paintings from his second teacher, Sojeon (素筌) Son Jae-Hyung(1903-1981) at the age of 36 and in 1977 and was taught Chinese Literature by the third teacher, Manchu(晩翠) Ui Gae-Do(魏啓道)(1926-1990). Therefore he was able to combine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s a painter. Master Uijae Heo Baek-Ryun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meaning than the image and pursued a self-determined painting, but Geumgong succeeded the master and developed Nam Jong hwa, creating his own hand painting and abstract landscape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search the processes he devoted to learning from his three mentors and devoted himself to the completion of his personality and Eunil ideology(隱逸思想) and NamJonghwa had gone through in his life and art world.

      By looking for its roots as the successor of NamJonghwa, he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division between NamJonghwa and BookJonghwa, changes in the style of painting, and historical trends. In addition, he studied the interactions, transmissions, and activities of various artists until NamJonghwa was introduced into Choseon Dynasty and became indigenous. He also studied that the influence of the times and their choices on the painters, how the contemporary painters coexisted, and how Namjonghwa's tradition developed through generations during the turbulent and enlightenment period of the country, after the influx of Namjonghwa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background of the special formation of Namjonghwa in the Honam region was influenced by the Seohwa(書畫) people who were exiled by the political power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amily of Sochi(小癡) Heo-ryeon(許鍊)(1808∼1893) in Jind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uccession of Nam Jong-hwa and the development of tradition.
      Sochi Heo-ryeon made NamJonghwa indigenous to Honam, and from the 1920s, Misan(米山) Heo hyung(許灐)(1862∼1938) played a role as a successor to Heo Baek-ryeon and Heo Geon while working in the Mokpo painters group through Gangjin in Jindo. After 1945, in Gwangju, Heo Baek-ryun developed the idea of ​​traditional painting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painting ideology. In addition, in Mokpo, Namnong(南農), who succeeded Heo Hyung, formed a free-spirited formative style based on the concept of innovation required by the time on the tradition, forming two major mountain ranges.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period of confusion between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and the transitional period to preserve the tradition from the western cultures, the central art of Nam Jong-hwa ended like a painting in Honam. From them, even in the turbulent period of history, we could see the independence of ethnicity, and in the background of adhering to Namjonghwa, the ideological national consciousness to resist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latent and expressed as Namjonghwa, and they coexisted and acted together.

      Geumbong was able to use literary painting freely, and participated in the Korean Art Competition, and received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the Prime Minister Award for 10 years and became the first artist. Although he inherited NamJonghwa, he established his own unique and abstract technique in expressions and subjects outside the traditional nature of NamJonghwa. This seems to reflect some of the efforts that attempted to combine Western and Eastern styles with natural landscape. In addition, by publishing a collection of poems and paintings, it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He had to study paintings from Jindo to Gwangju while farming, and through this, we could see that he was able to overcome the situation with a firm conviction in unfavorable conditions. Also, it can be said that he has gone the path of an artist required in this era as a creative researcher who has learned a lot and obtained through experimentation.

      In the present era, where economic industry fields such as IT industry are developing rapidly, the reality that the culture and arts field is not as illuminated as economic growth remains a regret.

      This thesis studied the artistic world of Geumbong Park Haengbo and the transmission process of Nam Jonghwa at the recommendation of Professor Chul-Gyeong Ha.

      Research method: Based on Geumbong's annual report, literary works were analyzed focusing on award winning works.

      Namjonghwa works were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and analyzed by dividing into abstract works of the late period, and works of Chinese poetry and Chinese poetry and painting, and this thesis was written by using the Internet and various references, and by analogy through interviews with Geumb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남종화의 유입 (남종화와 북종화 비교 분석) …………………… 1
      • 2. 남종화의 전승 과정 ………………………………………………… 3
      • 3. 예향 진도……………………………………………………………… 4
      • 4. 허백련의 문하생이 되다 …………………………………………… 5
      • 5. 서권기를 쫓아서 ……………………………………………………‧ 6
      • 6. 남종화의 시대적 흐름 ……………………………………………… 7
      • 7. 허백련에게서 받은 영향 …………………………………………… 9
      • Ⅱ. 본론 ……………………………………………………………… 11
      • 1. 금봉 박행보의 삶과 예술 ………………………………………… 11
      • 1. 예술계의 호황(경제 성장기) ………………………………………‧ 15
      • 2. 금봉의 남화산수 …………………………………………………… 16
      • 2. 소치의 은일 사상의 배경은 일지암 초의선사로부터 ………… 17
      • 3. 초의선사 안목 ……………………………………………………… 27
      • 4. 윤두서 (남종화의 유입) …………………………………………… 29
      • 5. 추사 김정희의 학문과 예술관 …………………………………… 32
      • 6. 의재 허백련의 생애와 예술 ……………………………………… 37
      • 1) 허백련의 생애와 그림을 배우게 된 배경 ………………………… 37
      • 2) 당대 작가들과의 상호작용, 남종문인화의 사의적 화격 …………… 39
      • 3) 허백련 제자들과의 상호작용과 합작도 …………………………… 47
      • 7. 미산 허형의 후대에 끼친 영향 …………………………………‧ 49
      • 8. 문인화 진수를 이어온 남화의 화맥 ……………………………‧ 51
      • 9. 금봉의 남화산수는 수묵으로부터 시작되다 …………………… 53
      • 10. 정통성을 따르면서 새로운 화풍 추구 ………………………… 59
      • 11. 한학으로 시, 서, 화의 삼절을 구축하다 ……………………… 62
      • 1) 금봉 자신의 행로에 대한 한시 …………………………………… 63
      • 2) 명량 해협의 작품과 한시 …………………………………………‧ 63
      • 12. 문기 있는 문인화 진수 ………………………………………… 65
      • 13. 문인화로 다져진 화필은 사의적 남화산수로 ………………… 69
      • 14. 현대성이 요구되는 화풍 변화 …………………………………‧ 73
      • Ⅲ. 결론 ……………………………………………………………… 77
      • 필자의 견해 ……………………………………………………………‧ 82
      • 부록 사진 ………………………………………………………………‧ 84
      • 약력 ……………………………………………………………………… 88
      • 직 함 ……………………………………………………………………… 90
      • 참고 문헌 ………………………………………………………………… 91
      • Abstract …………………………………………………………………‧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