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대비의 미적 특성 연구: 솔리드와 보이드를 중심으로

        김진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패션과 건축은 인간의 신체, 공간과 운동 개념을 출발점으로 합목적성과 심미성을 고려한 삼차원적인 조형성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근본 요소를 공유하고 있으며, 각 영역의 요소들은 서로 영향을 주며 영감의 근원이 되고 있다. 패션과 건축(Architecture in Fashion)의 저자 데보라 퍼쉬(Deborah Fausch)는 속도와 변화, 재료, 기술, 대비, 리듬을 통해 공간의 속성이 지닌 관점에서 건축과 패션 유사점과 차이점을 주장했다. 패션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스템의 결과물이며 유연한 것과 달리 건축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적 지점을 점유하며 견고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과 패션은 둘 다 어떠한 ‘공간’과 ‘구조’에 입혀진다는 가장 큰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패션이 인체를 중점으로 착용되는 지점과 동일하게 건축 또한 구조를 중심으로 착용되며 패션과 건축 모두 특정 재료를 사용해 조형물로 탄생한다는 점을 지닌다. 이렇듯 예술가들은 패션과 건축 양식을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별도로 분리함으로써 새로운 조형 공간을 창출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리된 공간을 만드는 기본 요소인 대비(contrast)는 기초 디자인의 원리로 조형 요소를 가진 주체의 고유한 특성이 상대의 특징과 반대되어 더 큰 과장을 강조해 작품의 주제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작품에 극적인 효과를 부여 할 수 있어 예술사에 조형적인 형태 구축에 있어 중요한 기초적 토대로 작용하였다. 즉, 대비는 서로 다름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을 지닌 것으로 사물의 분 명한 차이, 상반됨을 느끼게 하는 원리로 많은 건축, 예술, 패션 분야의 모티프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각 분야의 표현 방식은 조형적 요소로써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 패션디자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소재와 소재의 대비, 색채 대비, 공간 대비, 방향 대비 등 직접적인 의복간의 대비뿐 아니라 디자이너에 의해 의도된 컬렉션에서의 모델(Figure)과 런웨이(ground)의 대비, 모델의 피부색과 의복간의 대비 등 다른 예술 분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다양한 형태의 대비의 패러다임을 보여주고 있다. 대비의 개념은 건축과 의상에 동시에 나타나는 예술적 조형의지이며 다양한 공간 창조의 가능성을 담고 있는 언어이다. 건축에서는 이러한 대비적 특성을 공간 구성의 기본 개념인 솔리드(solid)와 보이드(void)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버려진 것이 아니라 설계 과정에서 건축가들이 의도적으로 만드는 ‘빈’ 공간이다. 건축가는 공간구성 초기 설계 과정에서부터 의도적 부재의 공간을 구성하면서 견고한 솔리드 사이에서 쉬어갈 수 있는 쉼표를 제공한다. 현대 패션 디자인에 여백의 공간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예술 원리의 기본이 되는 대비 이론의 조형적 특성과 건축의 솔리드 보이드의 대비적 조형 양식의 연관성에 주목하며 대비된 공간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솔리드 보이드 개념의 조형 대비가 현대 패션디자인에 가진 가능성 및 실용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건축적 요소인 솔리드 보이드 대비 개념을 통한 패션디자인의 대비의 미적 특성 분석을 목표로 단순 색채, 소재 대비를 넘어 공간과 면의 조형대비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는 다른 차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은 공간이 지닌 3차원의 개념을 2차원의 평면을 바탕으로 관찰하여 보다 세밀한 입체적인 공간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솔리드 소재에 대한 분석이 정확하지 못하여 무거운 면, 불투명한 면이 지닌 투과성, 두께, 질감에 대한 해석이 면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갈수록 단순하면서도 여백의 공간과 채워진 밀도의 공간 사이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다양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는바 신소재, 구축적 디자인, 보이드를 새롭게 해석한 구조 등이 컬렉션에서 새롭게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추가 후속 연구를 통해서 새롭게 등장하는 솔리드 보이드의 대비적 요소를 패션디자인의 미적 특성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대비적 특성의 솔리드 보이드의 조형적 공간에 대한 패션디자인 발상 및 표현 연구에 대한 분석과 이해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향후 보다 창의적인 조형 패션디자인 창작 및 분석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ashion and architecture share a fundamental factor referring to the fact that both are expressed as three dimensional formativeness which considers rationality and aesthetics, starting from human body and the concept of space and kinetic element. Also, fashion and architecture influence each other, and are becoming source of inspiration. Deborah Fausch, who wrote 'Architecture in Fashion', insiste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ashion and architecture in the perspective where the space has an attribute through the change of speed, materials, techniques, contrast, and rhythm. Fashion results from the system which rapidly changes. On the contrary, unlike flexible things, architecture is fixed, solid, and possess a permanent point. Nevertheless, both fashion and architecture have the biggest similarity that refers to being expressed by some 'space' and 'structure.' Fashion is created, focusing on human body, which is similar to the fact that architecture is created, focusing on structure. In this sense, both fashion and architecture are created as sculptures by using specific materials. As such, artists are able to change forms of fashion and architecture into a new space for sculptures through separating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e concept, 'contrast' as a basic element of making a separated space is a principle of fundamental design. 'Contrast', in which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a main agent having a formative element is against the trait of the opponent object, can emphasize much bigger overstatement. Since 'contrast' enables the theme of artwork to not only obviously appear but also make a dramatic effect, it has played a significant basic foundation in forging a formative form. That is, 'contrast' whose goal is to show difference is the principle that allows people to feel explicit difference and a contrary thing. 'Contrast' has been used as a motif in architecture, art, and fashion. Furthermore, as a formative element, the way of expressing by using contrast in each field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This phenomenon can be easily found in modern fashion design. There are diverse paradigms of 'contrast', which are difficult to be found in other arts. For example, there are contrast between 'figure' and 'ground' in the collection which a designer intentionally creates, contrast between models' skin colors and clothes as well as direct contrast between clothes such as contrast between materials, between spaces, and between directions. The concept of 'contrast' is an artist's formative will simultaneously emerging in architecture and fashion, and also a language which refers to containing creative possibility of various spaces. The characteristic of 'contrast' in architecture appears in 'solid' and 'void' which are basic concepts of the construction of space. These are not naturally dumped, but are 'void' spaces created by architects on the process of designing. Architects provide a pause to rest between sturdy 'solids' by making the intentional absent space from the initial phase of designing the construction of space. As fashion designers' interest in blank space in modern fashion design increases, possibility and practicality of formative contrast having concepts, 'solid' and 'void' in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empirical study on space are being studied. Furthermore, the link betwee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he principle of 'contrast'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rt, and the contrast formative form of 'solid' and 'void' of architecture attracts interest among scholars. This study examined formative contrast between space and side under the purpose to analyz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ontrast' in fashion design through 'solid' and 'void,' beyond contrasts between simple colors and materials.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ere are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space was not more sophisticatedly examined by examining the three dimensional concept of space based on the two dimensional face. In addition, analysis on the material of 'solid' was not accurate. Thus, penetrability, thickness, and texture which heavy face and opaque face have were not closely interpreted. Designers' various efforts as for simple blank space and filled space are continuously on progress. It is predicted that new materials, structuring design, and structure to newly understand 'void' will appear. Further studies which analyze newly emerging contrast factors, 'solid' and 'void' in fashion design as aesthetic traits are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which help to analyze and understand ideas and expressions of fashion design on contrast characteristic of 'solid' and 'void' in formative space. Plus, it is anticipated that hereafter this study will be used to analyze and create more creative formative fashion design. Key words : formative fashion design, contrast, solid, void, three dimensional formativeness

      • 패션 소재 컬러에 대한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비교 연구

        전세희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ies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that fashion materials have. Consumers evaluate and purchase fashion material with the accompanied visual information on colors and tex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of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s in the methods for evaluating the visual texture and for the tactile texture (including visual texture) of fash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colors, and evaluation tendenc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hen different colors were applied to equal materials. For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basic colors (White, Black, Beige, Brown, Khaki, Navy) and a variety of textile materials which are basically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were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survey. As experimental samples, a total of forty eight samples classified on the basis of surface characteristics and weight were selected with color measurement and with the naked ey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fashion materials, eight pairs of evaluation vocabularies were chosen. This study had two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second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the seven-point Likert Scale. In the first experiment, material samples were evaluated visually.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tactile texture based on visual and tactile senses was evaluated. Both of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equal study subjects. For better discrimination, samples were shuffled randomly in each one of the experiments. The study results drawn from the experimen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was found to influenc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tendency of equal materials according to visual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methods, equal materials showed a similar evaluation tendency mostly. Some materials showed a different evaluation tendency in the sensibility evaluation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Secondly, the sense evaluation for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was almost consistent. The sense evaluation results were drawn according to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ense evaluation tendency. Thirdly, a sense of gloss, a sense of ruggedness, a sense of thickness, a sense of density, and a sense of luxury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Fourthly, in the visual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according to color characteristics, there was relatively similarity. Aside from that, the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y was defined according to basic color characteristics. Fifthly, a sense of gloss, a sense of ruggedness, and a sense of thickness we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visual and tactile texture evaluation. With regard to a sense of gloss, tactile texture tended to be recognized more strongly; regarding a sense of ruggedness and a sense of thickness, visual texture tended to be recognized more strongly. Sixthly, when a diversity of color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equal fashion materials,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tended to b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mater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A difference in basic colors of fashion materials led to different evaluations of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In this study, visual texture and tactile texture including visual textur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of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s. Evaluation tendencies were diverse according to material and color characteristics. The result wa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sense and sensibility evaluation tendencies of materials work in a complicated way and are applicable to fashion material planning. It is expected to predict consumers’ sense and sensibility and plan the harmony of materials’ texture and colors in the fashion product planning step. 본 연구는 패션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감각 및 감성 평가 경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소비자가 패션 소재를 평가하고 구입할 때 색채와 질감과 같은 시각적 정보가 동반되어 구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패션 소재의 시각적 질감과 시각을 배제하지 않은 촉각적 질감의 평가 방법에 따른 감각 및 감성 평가 차이를 소재 특성과 컬러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동일한 소재일 때 컬러가 다르게 주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평가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이론적 배경 조사를 통해 패션 산업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이직 컬러(White, Black, Beige, Brown, Khaki, Navy)와 다양한 직물 소재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샘플은 표면 특성과 중량감을 기준으로 분류된 총 48개의 샘플로 측색과 육안검사를 통해 선발하였고 패션 소재 선행 연구를 통해 8쌍의 평가 어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1차 실험과 2차 실험으로 진행하였고 7점 리커트척도(Likert Scale)로 평가하였다. 1차 실험은 시각으로만 소재 샘플을 평가한 시각적 질감 평가이며, 2차 실험은 시각과 촉각을 동시에 사용한 촉각적 질감 평가를 의미한다.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 동일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실험 순서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각각의 실험마다 샘플을 무작위로 섞어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의 표면적 재질 특성이 감각과 감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 방법에 따라 동일한 소재의 평가 경향은 대부분 유사한 평가 경향을 나타났으며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감각 평가 방법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인 소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에 대한 감성 평가는 거의 일치하였으며 소재 특성과 감각 평가 경향에 따라 나타나는 감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셋째, 광택감, 요철감, 두께감, 밀도감, 편안함, 고급감이 소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넷째, 컬러 특성에 따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는 상대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베이직 컬러 특성별 감각과 감성 평가 경향을 정의하였다. 다섯째, 광택감, 요철감, 두께감은 유채색의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광택감은 촉각적 질감이 더 강하게 인지되며 요철감과 두께감은 시각적 질감이 더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을 나타났다. 여섯째, 동일한 패션 소재에 컬러 특성이 다양하게 주어졌을 때, 소재와 컬러 특성에 따라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평가 경향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패션 소재에서 나타난 베이직 컬러의 차이가 서로 다른 시각적 질감과 촉각적 질감의 평가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각적 질감과 시각을 배제하지 않은 촉각적 질감을 소재 특성과 컬러 특성으로 분류하여 감각과 감성 평가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소재와 컬러 특성에 따라 평가 경향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재에 나타난 감각과 감성 평가 경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패션 소재 기획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패션 상품 기획 단계에서 소비자들의 감각과 감성을 예측하여 소재의 질감과 컬러를 조화롭게 기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하이브리드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Guo, Jia Qi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패션은 문화의 중요한 표현이며 시대의 필요에 따라 끊임없이 변한다. 미니멀리즘이든 해체주의든 이러한 사조의 성행은 모두 그들의 배후의 문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각종 사조의 흥성과 쇠퇴는 모두 사람의 수요 및 심미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오늘날 사람들은 자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유일무이한 스타일을 추구한다.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융합됨에 따라 하이브리드 패션 점점 다양하게 선보이는 오늘날에 해체하고 재구성하고 또 해체하고 또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유일무이한 스타일을 탄생했다. 하이브리드 패션은 주로 규칙적인 고유적인 구조를 부정함으로써 표현하고 단순히 인체의 비율, 미학적 원리, 실루엣, 대칭 등 요소에 따르지 않는다. 임의의 스타일이나 복식의 일부분을 자유롭게 조합하고 아무런 규칙도 없다. 따라서 패션 스타일이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복식의 어떤 부분도 독립된 개체가 될 수 있으며 각각 복식의 스타일과 패턴의 특징을 종합하여 2차 또는 3차 재구성할 수 있다. 전통적인 원단이나 패턴에 국한되지 않고 어떤 재료도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하이브리드 패션의 세분화된 스타일은 전통적인 복식에서 나타난 적이 없었던 새로운 미적 감각을 지니며, 완전한 복식이 철저하게 분해되어 재조합됨으로써 새로운 스타일을 형성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패션의 조형성 특성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 트렌드의 변화와 스타일 코드를 살펴봄으로써 개성화를 추구하는 오늘날의 하이브리드 패션 있어서 개성적인 라이프 스타일을보여 주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있다. 하이브리드 패션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연구를 통해 하이브리드 패션의 탈장르성, 융합성, 불확정성, 복합성을 토대로 조형적 요소 실루엣, 소재, 색채, 디테일의 네 가지 측면에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제작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로 다른 성격과 장르나 소재간의 혼합을 통해 독특한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서로 다른 장르간의 혼합 과정에서 공간관계나 배열순서가 새롭게 재결합되면서 하이브리드 패션의 탈장르성이 나타난다. 둘째, 두 개나 두 개 이상을 요소를 단순히 섞거나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를 유형에 따라 분류해서 절충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하이브리드 패션의 융합성을 보여준다. 셋째, 고정된 디자인의 체계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다양성, 양성성 등을 반영한 불규칙적인 형태나 형식의 표현은 하이브리드 패션의 불확정성을 드러낸다. 넷째, 무작위적으로 조합된 복합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변이와 과장을 통해 소재를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는 창의적인 변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테마를 한 디자인에 혼합함으로써 표현되는 하이브리드 패션의 복합성이 나타났다.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하이브리드 패션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총 8벌의 창의적인 의상을 제작하였다. 실루엣은 주로 세련감과 자연스러움을 제시하는 하이브리드 패션의 특징이 나는 에이라인(A-Line), 박시 실루엣(Boxy silhouette), 벌크 실루엣(Bulk silhouette),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ilhouette) 등으로 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남성 패턴을 참조하여 제작하였고 여러 장르간의 결합으로 패턴을 구성하여 탈장르성을 나타낸다. 또한 하이브리드 패션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소재는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컨셉에 적합한 나일론, 면, 울, 혼방원단, 야광원단, 방수원단 등 여러 소재의 혼합을 통해 하이브리드 패션의 복합성 및 융합성을 표현하였다. 소재와 디테일을 강조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색채는 무채색을 주조색으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디테일에서는 다양하게 재활용 케이프타이를 배치해서 재킷과 팬츠를 연결방식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올풀림 긁기 처리와 스티치 기법의 결합으로 불확정성을 표현하였다. 또는 Inside-to-outside hybrid 기법과 오버록솔 솔기처리를 사용하여 포켓이 드러나게 만듦으로써 하이브리드 패션의 불확정성을 표현하였다. 위 연구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패션의 특징을 고찰하고 패션 컬렉션에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디자인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여 복식의 실루엣, 소재, 색채, 디테일 등 주요 요소로 현대패션에 하이브리드 패션의 미적 특성을 모색하였다. 하이브리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현대패션에 응용하여 새로운 창작방식과 아이디어를 재발견하고 다양한 하이브리드 디자인의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독특하고 혁신적인 디자인 컨셉으로 하이브리드 패션은 현대 패션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독특한 스타일로 발전하는 것을 증명하였는데 한시적으로 모든 것을 분석하는 것에 있어 범위가 제한하여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며 다른 분야에서 하이브리드 패션의 응용에 대한 연구도 응용 할 수 있고 새로운 틀이 되길 바라며 더 나아가 하이브리드 패션에 대한 실질적인 사례로서 의의를 갖게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패션 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바이럴 마케팅 특징 연구 : '인스타그램' 계정을 중심으로

        최성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소비자 욕구가 다양해지고 감성 마케팅에 따른 고급화 전략이 부각되면서, 패션과 예술의 콜라보레이션 즉 ‘패션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패션 브랜드들이 인스타그램 같은 SNS를 활용하여 자사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홍보하는 ‘바이럴 마케팅’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에서 진행되는 패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바이럴 마케팅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패션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중심으로, 패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어떠한 바이럴 마케팅 특징이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스타그램의 기업 공식 계정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0년 04월 09일 AM 12:00 #콜라보레이션과 #아트콜라보레이션이라는 두 개의 해시태그로, 2015년 01월 01일부터 2020년 01월 31일까지 기간에 해당하는 포스팅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패션 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전체 바이럴 마케팅 숫자는 국내 브랜드 25개, 해외 브랜드 20개로 조사되었다. 이중에서 like 숫자와 해시태그 파급 횟수가 가장 많은 4개 브랜드를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패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바이럴 마케팅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문화 및 신진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점을 들 수 있다. 고전 작품이나 유명 아티스트의 작품과 협업하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현재의 패션 아트 콜라보레이션에서는 대중문화 캐릭터 및 신진 아티스트와 협업하는 사례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즉 ‘스누피’, ‘펭수’ 등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또는 일러스트레이터, 타투이스트 같은 신진 아티스트와 협업하는 사례가 빈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국내 패션 브랜드 마인드 브릿지는 일러스트레이터 섭섭의 반전이 있는 캐릭터 아트워크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타깃 층인 ‘일하는 사람들’의 취향을 고려한 콜라보레이션(2020)을 진행하였다. 둘째,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광고 플랫폼을 창출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인플루언서의 활용 방식은 단순 활용과 적극 활용 두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즉 배우나 연예인 등 대중문화 스타가 사진〮영상 포스팅에 활용되는 단순 활용 방식뿐만 아니라, 바이럴 마케팅의 콘셉트 설정 및 제작에 깊이 개입하거나 제품 서비스 생산까지 참여하는 적극 활용 방식도 살펴볼 수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 해외 브랜드 구찌는 3명의 유명 인플루언서(니니, 얼 케이브, 조 블루 아켓)을 기용하여, 디즈니 캐릭터인 미키 마우스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콜라보레이션(2020)을 진행하였다. 셋째, 콘텐츠 제공과 고객의 직접 참여 이벤트 구성이라는 이원화 전략이 이루어지는 점을 들 수 있다. 콘텐츠 제공은 키덜트적인 요소, 환상성과 유희성의 요소,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바탕으로 패션 화보 또는 제품 사진 콘텐츠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이벤트 구성은 참여 이벤트나 기프트 증정 이벤트를 통해 바이럴 마케팅 과정에 고객이 직접 참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국내 SPA 브랜드 스파오는 EBS 인기 프로그램 <자이언트 펭TV>와의 콜라보레이션(2019)에서 제품 출시 이전에 SNS 채널을 활용한 디자인 참여 조사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댓글과 해시태그를 통해 고객의 놀이 공간이 구축되어 고객이 적극적 소비자로 변모하게 되는 점을 들 수 있다. 인스타그램 상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댓글 및 해시태그 놀이는 고객의 자발적 참여와 타 고객의 유입까지 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해외 브랜드 에스.티. 듀퐁은 SF영화 <스타워즈>와의 콜라보레이션(2019)에서 댓글로 친구를 소환하여 영화 티켓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제품과 광고모델 등 비주얼 요소가 중요한 기존 광고와 달리, 인스타그램에서는 비주얼,스토리텔링 요소는 물론 고객이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쌍방향 소통을 통해 큰 바이럴 마케팅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럴 마케팅의 향후 발전을 위한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바이럴 마케팅 시 친숙한 대중문화 캐릭터 외에 다양한 매력과 독창성을 지닌 아티스트와 협업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패션, 뷰티, 헬스라는 거대 카테고리에서 벗어나 고객 타깃 층에 맞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보다 세분화된 마케팅 방식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제공과 이벤트 구성 외에 고객의 능동적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패션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특징을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바이럴 마케팅의 현황 및 대표 사례를 실증 조사,분석한 논문이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콜라보레이션되는 아트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바이럴 마케팅 방식이 적용되어야 함을 규명한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둘째, 패션 브랜드들이 대중문화 캐릭터와 신진 아티스트, 유명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하여 고객층 확장을 유도하는 바이럴 마케팅 특징을 전개하였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패션 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바이럴 마케팅의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consumer needs have diversified and the strategy for upgrading along with emotional marketing has emerged, the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or "fashion art collaboration," is increasing. Besides, "viral marketing"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in which fashion brands use SNS such as Instagram to promote their art collaboration produc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viral marketing for fashion art collaboration products conducted on Instagram.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out what viral marketing features are in progress in fashion art collaboration products, focusing on Instagram accounts of fashion brands active in Korea. As a method of resear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Instagram's official corporate account. April 09, 2020, AM-noon Two hashtags, #Collaboration and #Art Collaboration, were searched for postings from January 01, 2015, to January 31, 2020.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viral marketing for the artistic collaboration of fashion brands was found to be 25 for domestic brands and 20 for foreign brands. Among them, four brands with the most number of likes and hashtag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examples. The characteristics of viral marketing for fashion art collaboration produ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fact that collaboration with pop culture and emerging artists is actively conducted. Unlike existing methods of collaborating with classic works or works of famous artists, the most common examples of collaboration with pop culture characters and emerging artists are in the current fashion art collabora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frequent cases of collaboration with characters based on movies or TV programs such as "Snuppy" and "Pengsu," or new artists such as illustrators and tattooist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domestic fashion brand Mind Bridge conducted a collaboration (2020) considering the taste of their target audience, 'working people', using character artwork with the reversal of illustrator Seopseop. Second, the use of social influencer creates a new way of advertising. There are two ways to utilize influencer: active and straightforward.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examine not only the simple utilization method of famous culture stars such as actors or entertainers but also the low utilization of the concept setting and production of viral marketing or the production of product service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Gucci, an overseas brand, used three famous influencers (Nini, Earl Cave, and Joe Blue Archet) to conduct a collaboration (2020) based on storytelling using Mickey Mouse, a Disney character. Third, the dualization strategy of providing content and organizing direct participation events by customers can be considered. The content provision appears in the way fashion pictorial or product photo content is provided based on elements of a kidult, elements of fantasy and amusement, and elements of storytelling.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 of the event is being conducted in a way that the customer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viral marketing process through a participation event or a gift-giving event. As a case in point, the Korean SPA brand Spao held a design participation survey event using SNS channels in collaboration (2019) with the popular EBS program "Giant Peng TV." Lastly, through the comments and hashtags, the customer's play space is established, so that the customer becomes an active consumer. The comment and hashtag games, which are actively conducted on Instagram, are responsible for attracting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ustomers and the influx of other customer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ST, an overseas brand. DuPont summoned a friend with a comment in collaboration with SF film <Star Wars> (2019) and held an event to present a movie ticket. Besides, unlike existing advertisements where visual elements such as products and advertising models are essential, Instagram has shown a sizeable viral marketing effect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that customers can enjoy and participate in as well as visual storytelling elem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thre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viral marketing. First, in addition to familiar pop culture characters in viral marketing, it is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artists with various charms and origina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ore sophisticated marketing method that utilizes an influencer suitable for the target audience of customers beyond the broad categories of fashion, beauty, and health. Finally, in addition to providing content and organizing events, strategies are required to draw active participation from custom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aper that distinguis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art collaboration and empiricall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representative cases of viral marketing.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different viral marketing methods should be appl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being collaborated. Seco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fashion brands suggested that they developed a viral marketing feature that induces expansion of the customer base by using popular culture characters, emerging artists, and famous influenc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primary data needed to present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future Fashion Brand Art Collaboration produc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viral marketing4

      • 현대패션에 나타난 비디오 아트의 다중화면 특성 연구

        김한솔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ology, the major method of expressing fashion is shifted from offline and print based media to online and mobile based media. Accordingly, in contemporary fashion, visual elements implemented through digital screens, mostly on computer monitors gradually become more important. Also, as the digital and online environments in the early-2000s, which were implemented centering around static images, gradually changed to dynamic images based on various social media, including YouTube, the utilization of dynamic image such as video or film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expression of contemporary fash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multi-frame in video art, which is the method in which more than two dynamic images show one visual material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aspects of changes and conducted a theoretical discussion and analysis with the cases of the utilization of images in which multi-frame appears in contemporary fashion to analyz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frame in video art and draw the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discussion by sorting out the video art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low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play in video art defined in the studies into ‘cohesiveness’, ‘reciprocity’,‘atypicality’,‘transcendence’, and ’deconstruction’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and analysis of cases based on this theoretical discussion. ‘Cohesiveness’ is included in the basic concept of multi-frame combining more than two dynamic images, and this is a characteristic that creates visual attraction by juxtaposing or putting in a row various media as well as different videos in different positions. ‘Reciprocity’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occurring between more than two objects or action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appearing by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device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work, and between the splited screens of work. ‘Atypicality’ is the characteristic that covers the atypicality appearing while reflecting an image proceeding by continuous transformation, atypicality appearing while reflecting more than two dynamic images, not reflecting one dynamic image on the screen, and atypicality in the method of utilizing the frame making an atypical outline through installation. In other words, the atypicality of multi-frame appearing in video art is the property of the image changing on the screen or the installation lacking typicality. ‘Transcendence’ refers to the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appearing while playing each different space and different time in the split screen. It is the concept that includes spatial transcendence based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like bidirectional relay broadcasting through satellite as well as temporal transcendenc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saving technology expressing the limitation of one-time field expression. Lastly, ’deconstruction’ is a characteristic of intentional segmentation of dynamic images due to installation or editing. It implies social and cynical tendencies, and includes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space and time, which is the most essential feature of video art.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cases with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multi-frame of video art drawn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eceding studies as the basic perspectives. - Multi-frame appearing in installations and dynamic images utilized in the runway and back-wall in ‘fashion show’ - Multi-frame appearing in video installations utilized in ‘fashion exhibition’ - Multi-frame appearing in fashion film registered in the official account of each brand of each online platform brand of ‘fashion films’ - Multi-frame appearing in prototype and showpiece in ‘tech-fashion’ combined with the technology of fashion products. Through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frame in video art appearing in contemporary fashion and defined its characteristics in four as follows. First, ‘playfulness’ is the characteristic that recreates more than two dynamic images into atypical and humorous images through disconnection, contrast, and juxtaposition. Second, ‘transcendence’ is the characteristic implying the transcendence appearing as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art becomes ambiguous, as well as the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appearing as more than two dynamic images formed or installed as layouts in various ways, such as juxtaposition, contrast, and repetition, reflect different time or space and atypicality, the property breaking from the existing form or the property of the irregular form. Third, ‘reciprocity’ is the character appearing in interactions occurring between dynamic image and the work, or dynamic image and the audience, which implies seductiveness, connectivity, and liquidity. This reciprocity is the characteristic mainly appearing in a certain event like a fashion show or exhibition, or fashion presentation. Fourth, ‘fantasy’ is the characteristic implying unrealistic visual elements appearing transcending the fixed boundary, unrealistic object created by designers, and the separation with reality appearing through virtual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art’s multi-frame appeared in contemporary fashion by analyzing the multi-frame cases studies in video art and contemporary fashion.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provide fodder for the research work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extensively utilized in contemporary fash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the baseline bibliographic data for designers and fashion experts by presenting the directivity of contemporary fashion revealed through the cases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cases of image or video, dynamic images centered around audio and video appearing in fashion. 미디어와 기술의 발달에 따라 패션을 표현하는 수단이 오프라인 및 인쇄 매체에서 온라인 및 모바일 매체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대패션에서는 컴퓨터 모니터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화면을 통해 구현되는 시각적 요소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사진과 같은 정적(靜的)인 이미지 중심으로 구현되던 2000년대 초반의 디지털 및 온라인 환경이 점차 영상 플렛폼인 유튜브를 포함한 각종 SNS는 동적(動的) 이미지를 중심으로 변화됨에 따라 현대패션의 표현에서도 영상 또는 비디오의 활용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기반하여 두 개 이상의 동적 이미지가 하나의 시각자료를 나타내는 방식인 비디오 아트의 다중화면에 집중하였으며, 현대패션에 다중화면이 나타난 영상 활용 사례를 비디오 아트의 다중화면 특성을 바탕으로 분석 및 특성 도출을 진행하기 위하여 비디오 아트와 다중화면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비디오 아트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정리하는 방식으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다중화면의 특성을‘결합성’,‘상호성’,‘비정형성’,‘초월성’,‘해체성’으로 도출하였다. ‘결합성’은 두 개 이상의 동적 이미지를 결합하는 다중화면의 기본적인 개념에 포함되며, 동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각기 다른 위치에 병치 또는 병렬하여 하나의 작품으로서 시각적 이끌림을 만들어내는 특성이다. ‘상호성’이란 두 개 이상의 물체 또는 행위 사이에 일어나는 특성으로 서로 다른 기기 사이, 관객과 작품 사이 그리고 다중화면의 분할된 화면과 화면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간의 작용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비정형성’은 스크린 속에서 변화되는 이미지 또는 정형성이 결여된 설치물이 띠는 성질이며, 지속적으로 변형되어 진행되는 이미지를 비추며 나타나는 비정형성과 스크린 안에 2개 이상의 동적 이미지를 비추며 나타나는 비정형성, 그리고 설치를 통하여 비정형적인 아웃라인을 만드는 프레임을 활용하는 방식에서의 비정형성을 포괄하는 특성이다. ‘초월성’은 분할된 화면에서 각기 다른 공간과 시간을 재생하면서 나타나는 시공간의 초월이 띄는 성질이며, 일회적인 현장 표현의 한계를 표현한 영상 저장 기술 발전에 기반한 시간적 초월성 뿐만 아니라 위성을 통한 양방향 중계와 같은 기술 발전을 토대로 한 공간적 초월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마지막으로 ‘해체성’은 설치방식이나 비디오 편집으로 인한 동적 이미지의 의도적인 분할로 나타나는 성질이다. 이 특성은 사회적 성향과 냉소적 성향이 내포되어있으며, 비디오 아트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으로 도출된 시공간의 해체와 재구성이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비디오 아트에 나타난 다중화면의 다섯 가지의 특성을 기본 관점으로 하여 다음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패션쇼’의 런웨이(runway), 백월(back-wall)에 활용된 설치물 및 동적 이미지에 나타난 인한 다중화면 -‘패션 전시’에 활용된 영상 설치물에 나타난 다중화면 -‘패션 필름’중 온라인 플렛폼의 브랜드별 공식계정에 등록되어 있는 패션 필름에 나타난 다중화면 - 패션 제품 중 기술과 결합된‘테크 패션’의 프로토 타입(prototype)과 쇼피스(showpiece)에 나타난 다중화면 이를 통해 현대패션에 나타난 비디오 아트의 다중화면 특성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규정하였다. 첫째, ‘유희성(遊戱性, Playfulness)’은 2개 이상의 동적 이미지를 단절, 대비, 병치를 통하여 비정형적이고 유머러스한 이미지로 재창조하는 특성이다. 둘째, ‘초월성(超越性, Transcendence)’병치, 대비, 반복등 다양한 방식의 레이아웃으로 구성되거나 설치된 2개 이상의 동적 이미지가 서로 다른 시간 또는 공간을 비추면서 나타나는 시공간의 초월성뿐만이 아니라 과학과 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나타나는 초월성, 기존의 형태를 탈피하거나 불규칙적인 형태의 성질인 비정형성을 내포한 특성이다. 셋째, ‘상호성(相互性, Reciprocity)’은 현혹성과 연결성, 유동성을 내포한, 동적 이미지와 작품 사이 또는 동적 이미지와 관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간의 작용에서 나타난 성질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성은 주로 패션쇼나 전시와 같은 특정 이벤트에서 주로 등장하는 특성이다. 넷째, ‘환상성(幻想性, Fantasy)’은 정형적인 경계를 초월하면서 나타나는 비현실적인 시각적 요소와 디자이너가 창조하는 비현실적인 요소, 그리고 가상공간을 통해 나타나는 현실과의 분리를 내포한 특성이다. 본 연구는 영상 또는 비디오(video)라 불리는 동적(動的) 이미지의 다중화면 사례를 분석하여 현대패션에 나타난 비디오 아트의 다중화면 특성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현대패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미디어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 작업에 대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패션에 나타난 시청각 중심의 동적 이미지인 비디오의 활용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디자이너 및 패션 전문가에게 기초적인 문헌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패션 브랜드 르메르(Lemaire)에 나타난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미적 특성 연구

        Lyu, Xin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7

        1898년에 창립된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의 이론은 무엇보다도 사람의 실제적인 행동이 제일 중요하다고 여기고 사물을 탐구하는 방법은 단지 구두적으로 문의나 과장적 (hyperbolic doubt) 의문이 아니라 그 사물의 본질에 대한 진정한 의심이 필요하다. 또한, 프래그머티즘 이론의 핵심은 연구 대상의 실제 효과를 고려하여, 이러한 효과에 대한 개념의 이해는 최종 연구 대상에 대해서 전반적인 이해라고 여기는 것이다. "프래그머티즘"이라는 이름은 1898년에 처음 나타났다. 처음 이 이론의 창시자는 퍼스 (Charles Sanders Peirce)이고, 나중에 윌리엄 제임스 (William James)를 통해서 보급되어 나아갔다. 그리고 존 듀이 (John Dewey)가 네오 프래그머티즘(Neopragmatism) 이론에 대해 해석을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 프래그머티즘과 네오 프래그머티즘의 이론을 바탕으로 패션 브랜드 르메르(Lemaire) 사례 분석하여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학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 항상 유행 트랜드를 추구하는 디자이너와 달리 크리스토퍼 르메르 (Christophe Lemaire) 대표로 자기만의 미학 색깔을 추구하는 디자이너들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또 어떤 패션은 현대 사람들이 필요한 것인지, 다시 생각하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에서 프래그머티즘 이론은 방법론, 경험론, 진리론, 역사관, 윤리학 다섯 가지 부분을 나누어서 살펴보고 프래그머티즘 대표적인 인물의 이론의 공통점을 도출되었다. 또 1960년대 다시 주목을 받은 네오 프래그머티즘 이론과 고전 프래그머티즘 이론을 비교하면서 서로의 차이점을 파악하며,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프래그머티즘의 이론에서 추구한 브랜드 르메르(Lemaire)를 대표로 패션디자인 사례를 네 가지 부분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적 특성이 아래와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색채는 패션 중에 가장 표현력이 있는 요소 중에 하나라서 처음에 색채 조합을 출발하여 지금까지 발표한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브랜드 르메르(Lemaire) 전체 색채 배합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르메르(Lemaire)는 원단의 투자는 전체 원가의 비율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화려한 장식적인 겉모습보다는 원단의 선택에서 심중하다. 특히 일상생활의 질에 신경을 많이 쓰기 때문에 작품의 착용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이다. 셋째, 오늘날 패션에서는 감성적 낭만과 향낙주의(sybaritism)을 추구해왔고 패션의 사용 목적이 ‘실용’에서 ‘꾸밈’으로 바꾸었다. 전통적인 패션 미학은 점점 장식 원소의 창조를 중시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르메르(Lemaire)는 사람들이 제대로 패션을 ‘사용’할 수 있게 꾸준히 복식의 실용성을 강조하고 복식의 각 부분을 신중히 고려하여 착용자를 위해 디자인을 하는 것이다. 넷째, 사람들은 르메르(Lemaire) 매 시즌 컬렉션을 살펴보면 처음에 크게 변화를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매 시즌마다 관찰하면 숨기는 디테일 디자인 부분들이 많다. 이상의 패션 분석을 통해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프래그머티즘 미학 특성이 실용성, 절제성, 정교성, 창조성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사람은 매일 입는 복식은 단지 장식용이나 신분을 자랑하는 도구만은 아니다. 프래그머티즘의 미학 특징 중 하나가 바로 기능성이 높은 실용적인 특징이다. 패션디자인의 최종 이념이자 목표는 예술성과 실용성의 결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예술성을 너무 많이 추구하면 복식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둘째, 패션계에서 물론 비즈니스 방면을 고려해도 되지만 디자인 자체는 원래 있어야 하는 원칙을 벗어나면 안 된다. 르메르(Lemaire)처럼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추구하는 브랜드는 일관성 있게 브랜드를 경영해 왔고 디자이너가 주목해야 할 중심은 무엇보다도 작품의 자체라는 것을 깨달았다. 셋째,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추구하는 브랜드는 절대 유행 트랜드을 타지 않고 그들의 패션디자인을 보면 꼭 어떤 통일성과 안정성의 특질이 존재하고 있고 유행하는 모습보다는 자기 원래 가지고 있는 모습을 반영하는 표현이자 침착하고 태연스러운 태도를 가지고 있다. 넷째, 르메르(Lemaire)같은 브랜드들은 겉에 눈에 띄는 화려하고 과장한 장식 요소보다는 실용성이 높은 작은 디데일의 부분에서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데 하지만 디테일에 변화를 시키는 것은 도전성이 있고 어려운 것이다. 본 연구가 패션 브랜드 르메르(Lemaire)대표로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보다 미래 어떻게 해야 패션디자인의 예술성과 실용성의 통일을 할 수 있고, 시각적인 미학을 느끼는 동시에 패션디자인의 본질을 이룰 수 있는지가 패션의 올바른 발전하는 방향을 다시 생각하기를 기대한다.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즘에 관한 연구 : 아니마와 아니무스 관점을 중심으로

        최지윤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6

        In modern society, it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ambiguous to divide the boundary between men and women and to define their expected roles according to biological sex.Considering that clothing has played the most direct and vital function of expressing gender, the fashion types of men and women in modern fashion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more complex self-identity, not a reflec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 identit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tendency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exualism by specifically classifying female and male images based on KarlGustav Jung's Anima and Animus circular theory and collecting and analyzing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modern fashion based on empirical design elements. To this end, over the last 10 years from the 2010s to 2020, 3,000 cases of both male and female fashion images were analyzed in national and foreign fashion brands, TV commercials, print media advertisements, and fashion magazines. The classification of analysis is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items, silhouettes, details, materials and colors. The sexuality in modern men's fashion has divided the image into traditional male images 'Retro sexualism', soft masculine images 'Weaver sexualism', neutral images 'Metro sexualism' and 'Cross sexualism' that is indistinguishable from women's external styles. The above type of men's fashion is centered on two axes: the balance of relationships with 'strong masculinity', a charming persona for men, and the balance of women's sex in men according to motherhood and ero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se four types of men's fashion, traditional male retro sexuality emphasized shoulders. It was dominated by ample straight silhouettes, showing functional materials, items and dark color tendencies of achromatic colors. This tendency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actively reflecting fashion items and materials, which are increasingly considered feminine by Weaver, Retro, and Corss sexualism, and color also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being used boldly as Corss sexualism. Sexualism in modern women's fashion has divided the image into 'Hetero sexualism,' an image of traditional Wives, 'Sapio sexualism,' an image of social success, 'Erotic sexualism,' an image of sensuality, and 'Feminism sexualism,' which emphasizes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The female fashion image above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in which femininity is expressed and expressed to the extent that the latent Animus prototype is self-conscious. It is understood that the image of women in modern fashion has evolved into various forms, including the rejection of traditional femininity, the emergence of gender, and gradual bias toward masculinit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limit to interpret the tendency of sexualism in contemporary fashion as a simple dichotomous gender value of the past and that this understanding can be expanded by individualization of Jung's anima and animus. Second, we verified the influence of gender values on modern fashion. The recent hybrid trend of sexuality in Korea is mostly a reflection of changesin values in modern society. Third, sexuality fashion is theoretically classifiable, suggesting that it can give theoretical stimulus through empirical fashion cases as well as merely theoretical linguistic, conceptual ones. Since the type of sexualism in modern fashion derived from the study and the view of changing values and self-expression are likely to continue to emerge in the future, the search for new aesthetic possibilit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sm in fashion design should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현대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경계를 구분 짓고 생물학적 성에 따라 그 기대되는 역할을 규정하는 것이 점점 무의미해지고 있을 정도로 복합적이고 모호한 양상을 보인다. 의복은 젠더를 표현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중요한 기능을 담당해 온 것을 고려하면, 현대 패션에 나타난 다양한 남녀의 패션 유형은 단순한 전통적 성 역할 정체감의 반영이 아닌 보다 복합적인 자아 정체성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이 가지는 내면의 양성성과 이원적 성 역할에 대해 융의 아니마ㆍ아니무스 원형 이론을 토대로 여성상과 남성상을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특성이 현대 패션에 어떻게 반영되어 표현되는지 실증적인 디자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수집 분석하여 섹슈얼리즘의 경향성과 표현 특성을 제시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성의 복합적인 자아정체성 반영을 융의 이론과 현대 패션의 섹슈얼리즘의 연구를 통해서 경향성과 표현 특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대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의 국ㆍ내외 패션브랜드와 TV 광고와 인쇄매체 광고, 패션잡지에서, 총 남성 패션 이미지와 여성 패션 이미지 각각 3,000건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분류는 아이템, 실루엣, 디테일, 소재, 색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즘은 그 이미지를 전통적 남성 이미지인 ‘레트로 섹슈얼리즘’ , 부드러운 남성적 이미지인 ‘위버 섹슈얼리즘’ , 중성적 이미지인 ‘메트로 섹슈얼리즘’ , 여성의 외적 스타일과구분이 없는 ‘크로스 섹슈얼리즘’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남성 패션의 유형은 남성으로써 바람직한 페르소나인‘강한 남성성’과의 관계의 균형과 모성과 에로스에 따른 남성안의 여성성인 아니마의 균형 정도의 두축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이 네 가지 남성 패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전통적인 남성상의 레트로 섹슈얼리즘은 어깨를 강조하고 넉넉한 직선적 실루엣이 주를 이루었으며, 실용적인 소재와 아이템 그리고 무채색 중에서 어두운 컬러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위버, 레트로, 크로스 섹슈얼리즘으로 갈수록전통적으로 여성적이라고 간주하는 패션 아이템과 소재를 적극적으로 패 션에 반영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컬러 또한 크로스 섹슈얼리즘으로 갈수 록 제한 없이 과감하게 사용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즘은 그 이미지를 전통적 아내의 이미지인 ‘헤테로 섹슈얼리즘’ , 사회적 성공을 추구하는 이미지인 ‘사피오 섹슈얼리즘’, 관능성을 과시하는 이미지인 ‘에로틱 섹슈얼리즘’남성과 여성의 평등을 강조하는‘페미니즘 섹슈얼리즘’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여성 패션 이미지는 잠재된 아니무스 원형이 자아에 의식화되는정도에 따라서 여성성이 얼마나 발현되고 표현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이해할 수 있으며, 현대 패션에서 여성의 이미지는 전통적 여성성에 대한 거부와 양성성의 대두와 그리고 점진적인 남성성으로의 편향 등으로진화되어 온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네 가지 여성 패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여성, 즉 아내의이미지인 헤테로 섹슈얼리즘에서는 과거의 여성 복식 형태를 차용하여긴 치마, 둥근 실루엣, 허리선의 강조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샤피오, 에로틱, 페미니즘 섹슈얼리즘의 경향이 각각 발달함에 따라 저 채도, 원색, 무채색 계열 등 컬러 및 실루엣의 과감한 변화를 통해 절제된 단순미, 세련미, 관능미, 강인함 등 기존 남성의 성 역할이 반영되었던 이미지를 점차 차용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대 패션에서 드러나는 섹슈얼리즘의 경향성을 과거의 단순한 이분법적 젠더 가치관으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의 개성화로 그 이해를 확장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젠더 가치관이 현대 패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발견되는 섹슈얼리티의 혼종적 경향은 다분히 현대사회 가치관 변화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섹슈얼리즘 패션이 이론적으로 분류 가능하며 이는 단순히 이론적 언어적 개념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증 패션 사례들을 통해 이론적 자극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즘의 유형과 이에 담긴 가치관의 변화와 자아의 발현이라는 관점은 앞으로 계속적으로 나타날 양상이기에 패션 디자인에서 섹슈얼리즘의 특징이 가진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앞으로도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 추상표현주의의 작품 특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Zhang, Lu Yue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6

        회화와 패션은 다른 분야이지만 패션은 오랜 시간 회화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왔고 현재에는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현대회화는 패션디자인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추상표현주의 회화의 창작정신, 창작 이념, 창작 기법은 모두 패션디자인에 거대한 영향과 본보기가 있다. 중국의 회화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중심에 서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 추상표현주의 회화가 현대 패션디자인 방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을 통하여 희망하고 고유의 관념과 생각을 타파하고 혁신을 추구하며 예술과 디자인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추상주의 회화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혀내고 이를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여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중국 추상회화예술은 창의적인 예술가의 결과로서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시하는 연구 방법은 매우 타당한 연구 방법이다. 또한 중국 추상표현주의 회화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패션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함으로서 디자이너 및 학생들에게 패션디자인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중국 추상표현주의 회화 역사중 대표적인 화가 오대우, 주덕군, 조무극과 오관중 이 네 명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추상표현주의 작품의 조형적 특징을 형태, 색상과 구도의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패션 사례를 분석하여 패션에서 나타난 추상표현주의의 사례를 살펴본 후 모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패션디자인의 영감 자료로서 사용, 창의적인 8벌의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 추상표현주의 중 1930년부터 2000년까지 중국을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이다. 또한 패션 사례 분석을 위해 패션 컬렉션 이미지는 최근 10년간 4대 컬렉션에서 나타난 추상표현주의가 반영된 패션디자인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중국 추상표현주의의 이론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 방면이다. 중국 추상회화의 화면은 보편적인 형태가 약간의 점, 선, 면이 적용되어 있고, 모두 붓과 먹성이 있는 느낌이다. 둘째, 색상 방면이다. 추상적인 색채를 이용하여 화면의 공간감을 구축하고, 중국 화 전통미학에서의 의운미의 색채를 추상회화에서의 색채로 융합시켜 중국 특유의 형식감과 시적 감각을 갖추도록 하였다. 셋째, 구도 방면이다. 화가들은 추상적인 화면에 수묵의 허공관계를 표현하여 교묘하게 처리한 공백의 배치를 보여준다. 중국 추상표현주의는 영향이 크지만 패션디자인에서는 여전히 찾아볼 수 없는 현상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추상표현주의 작품 특징은 패션디자인에서의 응용을 기존의 자료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기법의 경우 추상 패션은 도안의 활용 및 레이어 겹침 기법을 많이 적용하여 충격적인 효과를 표현하였다. 둘째, 구성에서 여백, 분할 해체 기법을 많이 활용하여 전체적인 디자인에 상상력을 더할 공간을 주었다. 셋째, 색상 쪽은 고명도의 색상을 이용하여 패션디자인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하였다. 넷째,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서 풍부한 미적 감각을 표현하였다.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중국 추상표현주의 작품 특징의 조형성과 2차 패턴 디자인 개발을 바탕으로 총 8벌의 창의적 의상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중국 추상회화 작가의 회화 형상을 함께 접목 하여, 우선 예술적인 추상 패턴을 만들고 패션디자인 중에 추가하였다. 중국 전통 회화작품 중 브러시 스타일의 원소를 추가하여 표현성에 효과를 부여하였다. 중국 추상표현주의 회화 중에 나타난 선과 형태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길고 넓은 곡선과 간단한 직선의 윤곽이 통합되어 사용된다. 중국 추상표현주의 작품의 특징이 살아나도록 에이치라인 실루엣(H line silhouette)과 엑스라인 실루엣(X silhouette), A라인 실루엣(A line silhouette)등으로 표현하였다. 적합한 면마、 트렌치 소재 및 주름 잡힌 소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추상표현회화의 특징을 패션에 적용한 형색의 자유, 이미지 구상 인식 불가능 등의 특성과 형식을 분석하였고, 중국 특유의 추상화의 형식적 미감을 패션디자인의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할 중국 추상표현주의 회화가 반영된 다양한 패션디자인이 제시되길 기대한다.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비건 패션 스타일의 미적 특성 연구

        최정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6

        Fashion brands have utilized animal skin and materials, such as leather and fur, for a very long time, and have played a driving role in stimulating the possessive desires of human beings. However, cultures that use fur have created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cruel animal abuse and exploitation, an abhorrent disregard for life, and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The interest of animal groups and the emergence of vegan fashion based on the issue of animal welfare that began in the 2000s has prompted awareness of fashion brands that have indiscriminately utilized animal materials. Vegan fashion has emerged as a new trend as consumers have increased their consideration of ethical consumption. The term vegan refers to the highest level of a vegetarian and represents a person that does not consume any animal products or by-products. Vegans will also avoid using any products that are tested on animals. Vegans reject any item that comes from an animal, even products used in everyday life. It has become a lifestyle that has created a culture called Veganism. Vegan fashion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maintaining a vegan lifestyle, and has come to collectively refer to clothing, shoes, bags, and accessories made from non-animal materials, such as vegetable or synthetic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vegan fashion and the defin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 defines the concept of vegan fashion, examines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establishes a system for analyzing vegan fashion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In the scop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cases of vegan fashion seen in modern fashion from the 1990s to 2019, when vegan fashion began to emerge. Vegan fashion was divided into luxury brands, mid-priced brands, and SPA brands. Vegan fashion was th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ficial vegan brands certified by PETA and Farm Sanctuary as brands that did not use animal materials in any part of their product lines, and non-official vegan brands that aimed to utilize vegan fashion standards in the long-term but had not been certified by the two aforementioned animal organizations. The brand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official vegan luxury, mid-low price, SPA brand, unofficial vegan luxury, mid-low price, and SPA brand. The 112 brands that were analyzed include eight official vegan luxury brands, 18 informal vegan luxury brands, 68 official vegan mid-priced brands, seven vegan mid-low brands, one official vegan SPA brand, and 10 unofficial vegan SPA brands. The following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on the selected study subjects,  First, Resemblance is an aesthetic characteristic that has the meaning of modeling or imitating something else, reproducing the original or recreating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It is divided into a realistic position that draws the object as it is and an ideal position that allows the beautification and exaggeration of the object. Both positions have a common point in nature, and they refer to the production of objects that resemble animal materials but are created from vegetable materials or eco-friendly materials. Resemblance of the factual position that enables ethical and rational differentiation is a characteristic that reproduces the rich, shiny hair, the feeling of fur, and the overall appearance of animal skin and materials without actually using anything from an animal. Resemblance of the ideal position, which allows beautification and exaggeration, originates from the desire to return to nature, resulting from the sense of human lo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echanization and materialism have led to indiscriminate development by recognizing nature as the dominant object for humans, leaving modern people with nostalgia for the nature that has been destroyed. This stimulates the desire to return to the broad nature of the past, which is represented by the stage and costume details used in vegan fashion collections. Second, Ex-Original is a characteristic that is transformed from simple form to complex and diverse form out of bond form. There are two types of Ex-Original used in vegan fashion styles. They are used for a completely different purpose than the original one, making it difficult to guess what the original form was as well as the material of the finished object. The technology utilized by the first type of Ex-Original has high value added by recycling objects and adding design from existing stereotypes and social notions. The second type of Ex-Original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what raw material was used and hardly any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Ex-Original objects and objects made from animal materials. If the first type of Ex-Original refers to the physical aspects, the appearance of the most popular vegan fashion style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used in the second type of Ex-Original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materials. Change is a relatively chemical aspect of Ex-Original. The concept of the original state is not tied to one thing. Ex-Original, which can be changed in any way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ideas, is a very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development of raw materials used for clothing.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aesthetic feature that underlies the other two concepts. Third, Publicity, which is referred to as an aesthetic feature in this paper, reflects the direct intention of the subject to be recognized by others. In addition, Publicity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expressed when a particular phrase or a specific costume representing personal values ​​is worn. The criminal concept of Publicity commonly used in society has a negative meaning, yet the concept of Publicity in vegan fashion style has a positive meaning as it reflects the subject's intention to give a positive perception. Many fashion houses have officially declared a halt on using fur as a tool for corporate image renewal. They have released public statements saying they use fake materials instead of animal materials on their clothing labels. They are also working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the vegan lifestyle through the use of positive phrases. All three of these instances represent Publicity. Publicity is more effective when items are worn by celebrities. Celebrities that are popular and well-known to the public through various media channels are always exposed to Publicity. Celebrities use vegan fashion as a medium of belief that represents their values. Many celebrities even launch their own vegan fashion lines to gather support. Publicity in the vegan fashion style is accompanied by a pioneering role in expressing proactive expression and Veganism. While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vegan brands mainl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this paper deriv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egan fashion styles in contemporary fash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esthetic approach of vegan brands. Arranging these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egan fashion style in contemporary fashion can help design ideas of future fashion brands, provide a new source of inspiration, and create a framework for the future creation of work.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s that vegan fashion styles provide a sense of original direc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ers were unable to investigate all of the small and new vegan brands that are continuously being created as vegan fashion continues to emerge as a huge trend with social phenomena. It is also a disappointment that the range of research on jewelry, accessories, and cosmetic brands included in the fashion world have not yet been expanded on. Subsequent papers will need to cover a wider range of smaller vegan brands in order to derive new aesthetics of vegan fashion styl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of vegan fashion styl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which will help aid in the direction of new creation. It is expected that vegan fashion style characteristics will be used in the future for fashion design ideas and expressions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인류의 오랜 역사와 함께해 온 가죽, 모피와 같이 동물의 피부 표면을 활용한 소재는 인간의 소유욕을 자극하는 촉매제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지만 모피를 소비하는 문화는 잔인한 동물 학대와 착취, 생명 경시 사상의 만연과 환경오염 등의 다양한 문제를 낳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동물 복지 문제에 대한 동물 단체의 관심과 비건 패션의 등장으로 동물성 소재를 무분별하게 사용해 오던 패션 브랜드에 자각을 촉구하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소비자 또한 윤리적 소비를 고려하게 되면서 비건 패션은 새로운 트렌드(Trend)로 떠올랐다. 비건(Vegan)은 채식주의자 중에서도 동물에게서 나온 모든 부산물을 포함, 동물 실험을 거친 제품은 모두 먹지 않는 가장 높은 단계의 채식주의자(Vegetarian)를 이야기한다. 비건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까지 동물에게서 얻어진 모든 것을 거부하며, 이것이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게 되면서 비거니즘(Veganism)이라는 문화를 만들어 냈다. 비건 패션은 비건 라이프스타일인 비거니즘의 범주 내에 속하며, 동물성이 포함되지 않은 식물성 소재나 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만든 옷이나 신발, 가방, 그리고 액세서리 등을 총칭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비건 패션을 분석하고 비건 패션의 미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비건 패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형성과 발전에 대해 살펴보며, 현대 패션에 나타난 비건 패션 디자인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를 정립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비건 패션이 대두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2019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현대 패션에 나타난 비건 패션 사례들을 럭셔리 브랜드, 중저가 브랜드, SPA 브랜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더불어 전 제품군에 걸쳐 동물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 페타(PETA, Peopl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s)와 팜 샌추어리(Farm Sanctuary) 단체에서 인증을 받은 브랜드를 공식 비건 브랜드, 인증을 받지는 못하였으나 장기적으로 비건 패션을 지향하는 브랜드를 비공식 비건 브랜드로 나누었다. 브랜드의 종류는 공식 비건 럭셔리, 중저가, SPA 브랜드, 비공식 비건 럭셔리, 중저가, SPA 브랜드 총 여섯 가지의 브랜드 구분이 가능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브랜드는 공식 비건 럭셔리 브랜드 8개, 비공식 비건 럭셔리 브랜드 18개, 공식 비건 중저가 브랜드 68개, 비공식 비건 중저가 브랜드 7개, 공식 비건 SPA 브랜드 1개, 비공식 비건 SPA 브랜드 10개로 총 112개의 브랜드를 분석하였다. 선정된 연구 대상을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의 미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모본성(模本性, Resemblance)은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 본래의 것을 재현하거나 대상의 외형을 다시 만들어 내는 의미를 지니는 미적 특성이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사실적 입장과 대상의 미화와 과장을 허용하는 이상적 입장으로 나눠진다. 두 가지 입장 모두 자연을 대상화로 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동물에게서 얻어지는 부산물의 외형을 식물성 소재나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해 그대로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윤리적이며 합리적인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실적 입장의 모본성은 풍성하며 윤기 나는 털, 진짜 모피와 같은 촉감, 동물의 가죽 한판을 동물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대로 재현해 내는 특성이다. 미화와 과장을 허용하는 이상적 입장의 모본성은 자연으로의 회귀 욕구에서 시작된 성질로,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인간의 상실감에서 비롯되었다. 기계화와 물질 만능주의는 인간에게 자연을 지배 대상으로 인식시킴으로써 무분별한 개발을 야기하였고, 현대인들에게 파괴된 자연에 대한 노스탤지어(Nostalgia)를 남기게 되었다. 이는 과거 광활했던 자연으로의 회귀 욕구를 자극하며 비건 패션 컬렉션의 무대와 의상의 디테일들로 나타나게 된다. 둘째, 탈원형성(脫原型性, Ex-Original)은 본디의 꼴에서 벗어나 단순한 모습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는 특성이다. 비건 패션 스타일에서는 본래 쓰이던 용도를 벗어나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와 본디 원형 자체의 추측이 어렵고 완성된 꼴의 재료까지도 알기 힘든 두 가지의 탈원형성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기존의 고정관념과 사회적 통념에서 탈피하여 대상을 재활용하고 디자인을 가미해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전자의 탈원형성과 기술의 발전으로 외형적으로 동물성 소재와 다른 점을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그 원료를 추측하기 힘든 후자의 탈원형성이 그것이다. 전자 용도의 변화에 따른 탈원형성이 비교적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탈원형성이라면, 후자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신소재의 출현으로 비건 패션 스타일에서 가장 각광받는 외형의 변화는 비교적 화학적인 측면의 탈원형성이라고 볼 수 있다. 원상이라는 개념은 하나에 묶여 있지 않으며 발상의 전환에 따라 무엇으로든 변화가 가능한 탈원형성은 의상의 원료 개발 부분에서 매우 중요한 원동력이 되므로, 나머지 다른 두 개념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미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공연성(公演性, Publicity)은 자신의 존재가 타인에게 인식되려는 주체의 직접적인 의도가 반영되며, 개인의 가치관이 담긴 특정 문구나 특정 의상을 착용했을 시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통 사회에서 통용되는 형법상의 공연성이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면 비건 패션 스타일에서의 공연성은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 주려는 주체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차이가 있다. 다수의 패션 하우스가 공식적으로 모피 중단을 선언하며 기업 이미지 쇄신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 가짜 동물성 소재임을 의상에 라벨이나 문구로 공공연하게 명시하는 것, 긍정적인 문구를 통해 비건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활동적인 이미지를 담아내는 것 등이 모두 이 공연성에 해당한다. 공연성은 유명 인사가 착용했을 시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다양한 언론 매체를 통해 얼굴을 알리고 대중에게 인기를 얻는 스타들은 항시 공연성에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스타들은 자신의 가치관을 대변하는 신념의 매개체로 비건 패션을 이용하기도 하고, 혹은 자신이 직접 비건 패션 라인을 런칭 하여 화제성을 모으기도 한다. 비건 패션 스타일에 나타나는 공연성은 적극적인 의사 표현과 비거니즘을 알리는 선구자적인 역할에 수반된다.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주로 경제적 관점에서 비건 브랜드를 분석했다면, 본 논문은 현대 패션에 나타난 비건 패션 스타일의 미적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기존 연구보다 비건 브랜드에 대해 미학적 접근을 했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비건 패션 스타일의 미적 특성을 세 가지로 정리함에 따라 미래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발상에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고, 새로운 영감의 원천과 작품 창작의 틀을 마련해 줌으로써 독창적인 방향성을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비건 패션이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 하나의 커다란 트렌드로 자리 잡아감에 따라 계속해서 새롭게 탄생하고 있는 소규모의 신생 비건 브랜드를 모두 조사하지 못한 것에 있다. 더불어 패션의 영역에 포함되는 주얼리와 액세서리, 코스메틱 브랜드까지 연구 범위를 확장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후속 논문은 보다 더 넓은 범주를 아우르며 비건 패션 스타일의 새로운 미적 특성까지 도출해 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비건 패션 스타일과 미적 특성 연구에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새로운 창작의 방향성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바, 향후 다양한 방법으로 비건 패션 스타일 특성이 패션 디자인 발상 및 표현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과 중국 운견(云肩)의 특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Mei, Wan Ting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7772926

        글로벌 패션문화가 빠른 발전하는 현재에서 전통 복식문화를 어떻게 계승하고 보호할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 고전 문화 연구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많은 오늘날, 새롭고도 아름다운 디자인을 해내는 것은 디자이너들이 추구하는 목표 중 하나다. 전통적인 요소를 단순히 모방하고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패턴 소재와 디자인의 결합을 통해 전통적인 매력을 잃지 않으면서도 현대인의 패션에 대한 심미적 욕구를 복합시키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부터 여성 복식의 아름다움과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은 패션 디자인에서 중요한 스타일 중 하나로서 연구 가치가 있다. 중국 고대 복식 문화를 대표하는 운견(云肩)은 우아한 기품으로 중국 고대 여성의류의 미를 상징한다. 그리스 시대를 대표하는 그리스 고전주의는 어느 한 부분을 강조하지 않으면서 전체적인 아름다움과 인체미의 조화를 이루는 복식의 미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두 스타일의 디자인 특징을 활용해서 디자인한 것은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과 중국 운견의 특징을 디자인의 요소로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또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과 중국 운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두 스타일의 디자인적 특징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디자인을 만든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고 이 방법으로서 나중에 더 많은 디자인에 활용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두 고전 복식의 공통점을 이어받아 새로운 디자인을 창작하며 이런 결합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표현기법과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양과 서양의 고대 복식 중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과 중국 운견의 특징을 디자인의 요소로 활용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연구과 역사 서적 검토하는 방법으로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과 중국 운견의 개념, 역사과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의 디자인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중국 운견과 그리스 고전주의 스타일의 발전 역사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중국 운견과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의 패턴과 도안, 색채 등의 특징을 요약하였다. 그 다음으로 2013년 이후 파리, 런던, 밀란, 뉴욕, 상하이 패션쇼과 전시회 사진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하여 그리스 고전주의와 운견의 특징이 나타난 패션디자인을 제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대표적인 디자이너별로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의 특징이 나타난 현대 패션 디자인을 분석했고 중국 운견의 특징이 나타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실루엣, 문양, 소재, 색채를 분석하였다. 또 디자인 요소를 요약하여 운견과 그리스 고전주의 스타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서 두 시대의 스타일과 어울리는 방법으로 디자인을 제안했다. 이 방법으로 운견의 형태를 단순화하고 조형을 변화시켜 다양한 주름과 결합하여 디테일 부분을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치마 부분은 운견의 중첩 특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새롭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구현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