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Attitude of hospice cancer patients towards life-sustaining treatments mentioned in advance medical directives

        윤호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연구배경: 호스피스는 무의미한 생명연장 보다는 생존기간 중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의 전제조건으로는 환자들의 자율성에 기초한 사전의료지시서의 윤리적, 사회적, 법적 인정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국내 현실은 아직 사전의료지시서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법적인 효력도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입원 당시 호스피스 암환자들이 작성한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및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둘째,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작성한 사전의료지시서의 내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간의 일치 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다. 방법: 2008년 3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완화의료센터에 입원하여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한 호스피스 암환자 102명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여, 그 중 사전의료지시서 작성 당시 의식이 명료했던(10≥GCS) 74명을 대상으로 선택항목에 대한 빈도와 환자의 어떤 특성이 항목선택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 단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그 중 사망한 42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선택과 의료중재의 일치 여부를 대상자 별로 나누어 빈도로 나타내었고, 항목별로는 맥네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명치료 중에서 CPR 74명(100%), Intubations & Ventilator 74명(100%), Dialysis 71명(97.3%), ICU 71명(95.9%), Drug CPR 70명(94.6%), Defibrillation 73명(98.6%), Anti-arrhythmic Agent 66명(98.2%)로 받지 않겠다고 하였고, Antibiotics 73명(98.6%), TPN 73명(98.6%), Tube feeding 48명(64.9%), Transfusion 65명(91.5%), Lab & Image 69명(94.5%)가 받겠다고 하였다.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특성과 연명치료 항목간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p>0.05). 호스피스병동 입원 시,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환자가 선택한 연명치료와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는 일치 여부는 데이터가 빠진 대상자를 제외하고 38명으로 분석하였으며 35명(92.1%)에서 일치하지 않았다. 그 중 환자가 원했던 연명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가 32명(84.2%)이었다. 항목별로는 Antibiotics, Tube feeding, Transfusion이 유의하게(p<0.05)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 환자들은 Antibiotics, TPN, Tube feeding, Transfusion, Lab & Image 항목을 연명치료로서 선호하였다. 호스피스 암환자가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선택한 연명치료항목과 임종 48시간 이전에 시행되었던 의료중재는 대부분이 일치하지 않았다. 중심 단어: 호스피스 암환자, 사전의료지시서, 일치, 불일치, 의사결정

      •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에 관한 연구 : 협상·조정 제도 절차 및 기술 중심으로

        윤호민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While there are various procedures for conflict resolution methodology to include trials and others, in the case of labor dispute, due to those characteristics such as continuity of labor relations and necessity for a rapid resolution of a dispute, the peculiarity of the dispute itself, which makes the method of trial with its inherent dichotomizing character inappropriat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such, in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a trend to actively utiliz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to resolve a dispute through deriving at a mutual consent between the stake-holders outside the court room trial for labor-business disputes. This is because ADR can alleviate many problems that might occur when pursuing a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e pre-existing trial procedures, as it is devised to minimize the loss of time and resources and to draw a solution that is mutually satisfying to the stake-holders. Although the labor dispute resolution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developed for the past half a century and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has been used ADR via mediation and arbitration, there are significant limitations to dispute resolution despite such advances as labor disputes became bigger, more common and politicized, and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terms of not only institutions and procedures but also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comparative review of ADRs in developed nations in order to rapidly and fairly resolve labor disputes, and to elucidate those course of actions with which to tackle the institutional and technical problems of dispute resolu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in detail is as follows. First, the paper will provide a measure to ameliorate the institution, organization and manpower management methods in order to enhance the labor dispute resolution functions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in relation to the functions of ADR. Second, in regards to the institutions and procedures of ADR, this study will illuminate measures to efficiently mediate the dispute through measures such as bargaining in order to prevent a dispute from occurring rather than relying on post-dispute resolution, and to improve the mediation itself to a service-like apparatus by neutralizing those austere regulations on the timing and object of mediation. Third, pertinent to the techniques of ADR, although some differences in individual capabilities might exist, the success rates of negotiation and mediation techniques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if the labor dispute mediation procedures can be codified and consistent educ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social scientific approach. Hence,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ases of mediation techniques and measures used by developed countries. The content of this dissertation is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paper explores the necessity of ADR due to the distinctive nature of labor dispute and the currently existing ADR system. Because of the continuity of labor relations and the disparity of negotiation, peculiar characteristics of labor dispute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these factors makes it different from the other general dispute resolution methodologies. As such, rather than the dispute resolution method of pre-existing dichotomized trial, ADR, which is more expeditious and effective and which best reflects the intents of both stake-holders, can be more efficient. In the current realm of labor in Korea,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usually utilize ADR measures such as mediat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negoti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mediation institutions through the pre-existing ADR methods and analyze its current state and results. Furthermo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labor dispute resolution system of other countries and Korea,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DR system will be illustrated. Generally in other countries, expert full-time mediator or conciliator provides impartial mediation from a third party position; preventive mediation and services allow in-advance prevention of dispute resolution; and not only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well developed private mediation institutions facilitates private sector mediation. Moreover, bases upon the comparative legal review of developed countries' labor dispute resolution system, the problems of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urrent ADR will be provided. Since the timing and object of mediation is severely regulated, proper service for mediation is institutionally not allowed and hence many problems arise as not only the post-dispute but the pre-dispute resolution cannot be made easily and private mediation is inactive due to the lack to expert mediation personnel. In terms of technique, due to Korean cultural factor, the technique for negotiation and mediation is highly dependent up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despite the existence of outstanding advance mediation techniques, such techniques are seldom studied or utilized due to the strong tendency that concludes that technique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is not very useful.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will be explored in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From an institutional aspect, for seamless mediation, facilitating 'pre-mediation support system', which can provide bargaining even before the request from the labor-business stake-holders is filed will help alleviate the strict regulations on mediation object and timing. Also, establishing a service-like mediation system that can prevent a dispute from happening by providing efficient mediation through bargaining not only for post-dispute resolution but pre-dispute resolution will be required. In terms of technique, while there might exist some differences in individual capabilities for negotiation and mediation techniques, by codifying labor dispute mediation procedures through social scientific approach and by acquiring those techniques though constant education it will be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labor-business negotiation and mediation. As such, utilizing and developing the various relevant mediation techniques of developed countries' labor dispute is necessary. The most well-known technique of interested based negotiation (Interest-based, IBN) which this US FMCS uses can be one example. This technique can b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measure that can create a win-win situation though mutual understanding, which diverts from the positional negotiation that leads to win-lose conclusion only by sticking to one's own position and hence different sides losing and taking away as it was done in the past. There is a few phases in this technique. First, one must clarify the hidden interest rather than the position that is revealed in the surface by distinguishing positions and interests. Next, various alternative options which can be mutually beneficial to both partie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optimal alternative should be selected though brain-storming. There are also many other advanced mediation techniques. In order for these techniques to be settled and used in Korea, the fact that positional negotiation of the past will not be useful in resolving labor-business problems should be emphasized, and advanced techniques should be constantly developed whil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rational labor-business mediation culture could be nurtured. Finally, case study of Dr. Sangson - Whitmore's employment dispute will be examined to see how negotiation and mediation process is actually applied. * Key words : Labor disputes, Labor relations commissio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Negotiation, Mediation, Preventive mediation, Interest based negotiation 분쟁해결방법에는 재판 등 다양한 절차가 존재하지만 노동분쟁의 경우는 그 성격상 근로관계의 계속성 및 신속한 분쟁해결 등의 필요로 인해 일도양단적인 재판을 통한 분쟁해결방안으로는 적절하지 않은 특수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노사 간 분쟁에 대해 법정의 재판이 아닌 재판 밖에서 당사자 쌍방의 합의를 이끌어내어 분쟁을 해결하는 대체분쟁해결(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 ADR)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대체분쟁해결은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분쟁당사자들이 상호 만족하는 해결을 도출하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기존 재판절차에 따른 분쟁해결 시 나타날 수 있는 많은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노동분쟁의 해결제도가 반세기 동안 발전되어 왔고 주로 노동위원회가 조정중재 등을 통해 대체분쟁해결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발전에도 불구하고 노동분쟁이 보편화, 대형화, 정치화되면서 분쟁해결에 상당한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제도적, 절차적 사항 뿐 아니라 기법적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분쟁을 신속하고도 공정하게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의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제도를 비교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제도적 문제점과 기법상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의 기능과 관련하여 노동위원회의 노동분쟁해결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도와 조직 및 인력 운영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의 제도 및 절차와 관련하여 사후적 분쟁해결 뿐 아니라 분쟁이 일어나기 전에 교섭 등을 효율적으로 조정함으로 인해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조정의 시기나 대상 등의 엄격한 규제를 완화하여 조정을 서비스화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의 기법과 관련하여 협상·조정기법은 비록 개인의 역량차가 있더라도 사회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노동분쟁조정절차를 매뉴얼화 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그 기법을 습득한다면 노사 협상·조정 성립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 선진국의 노동분쟁해결 관련 조정 기법 및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노동분쟁의 특수성에 따른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의 필요성과 현행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제도에 대해 살펴본다. 노동분쟁은 근로관계의 계속성 및 교섭의 불균형성 등 기타 이유로 일반 분쟁해결방법과는 다른 특수성이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해결방법 또한 기존의 일도양단적 재판에 의한 분쟁해결방법보다는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양 당사자의 의사를 가장 잘 반영하는 대체적 분쟁해결이 효율적이다. 우리 현행 노동분야에서는 주로 노동위원회가 조정 등 대체적 분쟁해결 수단을 활용하고 있는데 현행 대체적 분쟁해결방법으로 협상(단체교섭)과 조정제도의 특징 및 진행과정 등을 살펴보고 그 실태 및 성과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외국 노동분쟁해결제도를 우리나라와 비교분석하여 현행 대체적노동분쟁해결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외국은 전문 상근조정인 또는 알선인이 중립적으로 제 3자의 입장에서 조정을 담당하고 있고 분쟁해결을 사전에 예방하는 예방적 조정 및 서비스가 발달되어 있으며 공적기관 못지않게 사적 조정기관이 상당히 발달해 사적조정이 활성화되어 있다. 그리고 선진국 노동분쟁해결제도의 비교법적 검토를 토대로 현행 대체적 노동분쟁해결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제도적으로는 조정의 시기 및 대상 등이 엄격하여 조정의 서비스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라 사후적 분쟁 뿐 아니라 사전적 분쟁해결 또한 쉽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아울러 전문 조정인력의 부족으로 사적조정이 활성화 되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법 등에 관해서도 한국적 문화의 원인과 함께 협상·조정 기법은 개개인의 특성 및 역량에 많이 좌우되며 연구를 통한 기법 개발 등이 크게 효용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강해 세계적으로 훌륭한 선진 조정 기법 등이 있음에도 연구도 저조하고 잘 활용되지도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른 개선방안으로 제도적 차원과 기법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제도적 차원에 관해서는 조정대상의 엄격한 규제를 완화하고 조정 시기관련해서 노사 당사자의 조정신청 이전이라도 원활한 조정을 위하여 교섭을 주선하는 ‘조정 전 지원제도’ 및 사적조정을 활성화하고, 사후적 분쟁해결 뿐 아니라 분쟁이 일어나기 전에 교섭 등을 효율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는 서비스적 조정제도의 구축이 필요하다. 기법적 차원에 관해서는 협상·조정기법은 개인의 역량차가 있더라도 사회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노동분쟁조정절차를 매뉴얼화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그 기법을 습득한다면 노사 협상·조정 성립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 선진국의 노동분쟁해결 관련 다양한 조정 기법의 활용 및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 연방조정알선청(FMCS)이 주로 활용하는 이해중심적 협상기법(Interest Based Negotiation : IBN)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 과거의 입장적 협상(Positional Negotiation)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상호이해를 통해 쌍방이 WIN-WIN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기법은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먼저 입장(Position)과 이익(Interests)을 구분하여 양 당사자의 표면에 드러난 입장이 아닌 내심의 숨은 이해를 확인하고, 다음으로 브레인스토밍 등을 이용하여 양 당사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다양한 옵션(대안)을 개발하고 그 중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선진 조정기법 등이 많이 있는데 이런 기법 등이 우리나라에서 정착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과거의 입장적 협상이 노사간 문제해결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지시키고 지속적으로 선진 조정기술을 개발하고 교육시켜 합리적인 노사 조정문화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협상·조정 과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상손박사 - 휘태모아 부부의 고용분쟁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 주제어 : 노동분쟁, 노동위원회, 대체적분쟁해결제도, 협상, 조정, 예방적 조정, 이해중심적 협상기법.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레스토랑 고객의 감성분석에 관한 연구 : 외래관광객의 온라인 리뷰 빅데이터 중심으로

        윤호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Along with an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aradigms in various domestic industries have changed, where in the field of ‘hospitality’ is experiencing diverse changes based on digital technologies compri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c. In particular, consumers are writing and sharing their experiences of services they had received real-time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access to internet via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by which the data thereof are increasing explosively. Such a vast amount of review data can play the important role over entire domain of consumers’ decision making, as well as the roles of delivery of information and recommenders wherein the positive reviews on services they had experienced increase the loyalty of consumers. In addition, the review data reflect diverse kinds of consumers’ emotions frankly expressed thus they can be exploited as resources to measure and improve consumers’ service experiences. A survey employing questionnaire is widely used to measure customers’ experiences through which diverse kinds of questions can be used for quantification of consumers’ experiences however it has disadvantages of measurement errors dependent on limitations of sampling and errors in memory of past experiences of respondents, terminologies in questions, and length of questions etc. On the contrary, the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has an advantage of identifying psychological aspects of respondents realized by the broad collection of all written opinions in categories freely set by consumers which was difficult to identify through conducting quantitative studies despite disadvantages of selecting appropriate respondents and difficulty in measurement according to intended designs of the analysis.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read the emotional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by using the left on-line reviews of restaurants, and to verify the presence of positive effects of sentiment polarity values of selection attributes upon overall level of customers’ satisfaction and differences in types of restaurants. To conduct the study, the data of on-line reviews on hotels and restaurants of customers were collected from the Review Community (TripAdvisor). The crawler was prepared by using Python to collect the data from corresponding community by which the profile information of customers, reviews written in English, and comprehensive scores thereof were collected. And then, the text mining techniques were exploited for the analysis of each text.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was used to quantify the text data, and the frequency analysis on keywords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was carried out. And then,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distinguish each sentence in reviews in terms of selection attributes of the foods, price, service, and atmosphere, and then the distinguished sentences were put into the sentiment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tourists. Finally, the test of hypotheses was carried out by using techniques of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ffectu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s in sentiment polarity at each type of restaurants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custom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rough conducting sentiment analysis on the on-line reviews left by tourists. Common terms used to express dissatisfaction of tourists comprised time, staff, wait, late, forget, missing, and wrong etc. The terms imply the degree of hospitality of employees in restaurants and management of waiting time of customers in restaurants could influence greatly on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of customers. In respect of each type of restaurants, the terms comprising expensive, quality, course, table, reservation, credit, card, glass, plate, table, lobby, cat, and taxi etc. appeared in fine dining restaurants, whereas the terms such as English, speak, language, queue, and busy etc. appeared in casual dining restaurants. The terms such as line, quick, fast, seating, parking, wrap, and dirty were frequently used in describing the quick and self-service restaurants. This suggests the factors of dissatisfaction vary according to each type of restaurants. Seco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were compared by using the results of sentiment analysis. Contrary to customers visiting restaurants who left many reviews on respective services and foods, the reviews on prices appeared relatively few, wherein the difference in scores of emotion on selection attributes between sex and age of customers appeared insignificant. Besides, the ratio of dissatisfaction on price and service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foods and atmosphere of restaurants from the analysis of customers divided into groups of the satisfaction (positive) and dissatisfaction (negative) of selection attributes. This suggests the service of restaurants requires continuous awareness and management in that the failure in providing pertinent service could lead to the dissatisfaction of customers. Third, the differences in values of sentiment polarity of selection attributes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were compared. The value of sentiment polarity of selection attributes of foods, service, and atmosphere of fine dining restaurant appeared highest, whereas the highest value of sentiment polarity of selection attribute of price appeared in the quick and self-service restaurant. In respect of the appraisal of tourists on the high-class fine dining restaurants, they appeared satisfactory on foods, service, and atmosphere therein while they exhibited dissatisfaction on prices of restaurants. Fourth, the ANOVA tests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ues of sentiment polarity of selection attributes. The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selection attributes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Fifth, the effect of sentiment polarity of selection attributes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upon degree of satisfaction of customers was examined. Values of sentiment polarity of foods, price, service, and atmosphere of restaurants upon customers’ satisfaction were verified by conducting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The values of sentiment polarity of food, price, and service appeared with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whereas the effect of the value of sentiment polarity of atmosphere of restaurants appeared insignificant. This was concluded the preference to foods, price, and service than atmosphere of restaurants of practical tourists affected relatively more on the degrees of satisfa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tourists reflected in on-line review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sentiment analysis of selection attributes per each type of restaurants based on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by which the study demonstrated the quantification of customers’ experiences was enabled through the information of text. Together with ordinary approaches that measured customers’ experiences by exploiting conventional surveys employing respective questionnaires, the study approach to text review also demonstrated that it could bring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Keywords selection attribute of restaurant, on-line review, big data, text mi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pic modeling, sentiment analysis 4차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국내 다양한 산업들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고, Hospitality 분야에서도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변화가 생기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대중화 및 인터넷 접근성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들은 서비스 경험을 실시간으로 온라인상 작성 및 공유하고 있고, 그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리뷰 데이터는 소비자 의사결정 전 영역에 걸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정보 전달자와 추천인의 역할을 하는 한편, 긍정적으로 작성된 리뷰는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리뷰 데이터는 고객의 솔직하고 다양한 감성을 담고 있어 고객 서비스 경험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고객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식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설문방식의 경우 연구목적에 따라 다양한 설문을 통해 계량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샘플링의 한계와 응답자가 설문에 응답하면서 과거 기억의 오류 및 설문 용어ㆍ길이에 따라 측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분석은 사전에 연구자가 원하는 목적대로 설계하여 응답자 선정 후 측정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으나, 고객이 자유롭게 작성한 모든 범주의 의견을 폭넓게 수집하여, 양적 연구에서 포착하기 힘들었던 심리적인 부분까지 밝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래관광객이 남긴 온라인 레스토랑 리뷰를 활용하여 만족과 불만족 감정요인을 읽어내고, 선택속성별 감성극성값이 레스토랑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 전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텔ㆍ레스토랑 리뷰 커뮤니티(TripAdvisor)에서 온라인 리뷰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해당 커뮤니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Python을 활용하여 크롤러를 제작 후 고객 프로필 정보, 영문텍스트 리뷰, 종합평점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다. 텍스트 데이터를 계량화하기 위하여 자연어 처리(NLP) 기법을 사용하였고, 레스토랑 유형별 핵심 키워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리뷰별 문장을 음식ㆍ가격ㆍ서비스ㆍ분위기 선택속성별로 구분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였고, 이렇게 분류된 문장을 감성분석을 실시하여 외래관광객의 만족ㆍ불만족 요인을 심층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레스토랑 유형별 감성극성값의 차이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해 통계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관광객이 남긴 온라인 리뷰에 대하여 감성분석을 통하여 레스토랑 유형별로 만족요인과 불만족요인을 비교하였다. 레스토랑 공통 불만족 용어로 사용된 것은 time, staff, wait, late, forget, missing, wrong 등이다. 즉, 레스토랑 대기시간 관리와 종업원의 친절도가 고객 불만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레스토랑 유형별로 보면 파인다이닝 불만족 용어로는 expensive, quality, course, table, reservation, credit, card, glass, plate, table, lobby, cat, taxi 등이 나타났고, 캐주얼다이닝의 경우는 english, speak, language, queue, busy 등이 나타났으며, 퀵ㆍ셀프서비스 레스토랑의 경우 line, quick, fast, seating, parking, wrap, dirty 등이 자주 사용되었다. 즉, 레스토랑 유형별로 주로 사용되는 불만족 요인 키워드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감성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인구통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레스토랑 방문 고객은 음식과 서비스에 대하여 많은 리뷰를 작성하는 반면 가격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속성별 감성점수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택속성별 만족(긍정) 그룹과 불만족(부정) 그룹으로 구분하여 불만족 그룹의 특성을 파악해 본 결과 가격과 서비스가 음식과 분위기에 비해 불만족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서비스 실패는 쉽게 불만족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 관리가 필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레스토랑 유형별로 선택속성별 감성극성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음식, 서비스, 분위기 선택속성 감성극성값은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이 제일 높았고, 가격선택속성 감성극성값은 퀵ㆍ셀프서비스 레스토랑이 제일 높았다. 외래관광객이 고급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에 대한 평가시 음식, 서비스, 분위기는 대체적으로 만족하지만 비싼 가격으로 인해 가격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레스토랑 유형별로 선택속성 감성극성값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레스토랑 유형별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레스토랑 유형별로 모든 선택속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레스토랑 선택속성별 감성극성값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음식ㆍ가격ㆍ서비스ㆍ분위기 감성극성값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음식ㆍ가격ㆍ서비스 감성극성값은 고객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위기 감성극성값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실리를 중시여기는 외래관광객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분위기 보다는 음식, 가격, 서비스 속성이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에 기반한 선택속성별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온라인 리뷰에 담긴 속성별 고객의 만족 및 불만족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고, 레스토랑 유형에 따라 비교한 연구로서, 텍스트 정보를 통해 고객의 경험을 계량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기존 설문 조사를 통해 고객 경험을 측정하던 일반론적인 접근방식과 더불어 텍스트 리뷰를 통한 연구방식 또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핵심어 : 레스토랑 선택속성, 온라인 리뷰,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자연어 처리, 토픽모델링, 감성분석

      • 병원 및 자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심장질환자의 심폐기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윤호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at the impact of center and home based aerobic exercise programs on cardiopulmonary capacity and body composition for cardiac patients during 6 week. Total number of subject were 24,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11-center based group, 14-home based group) by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Both exercise programs were consisted with 30 minute, 3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after aerobic exercise programs, we analysed effects and changes on cardiopulmonary capacity and body composit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SW ver. 18.0 and results were repor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S.D.). To investigate within-group comparisons and to verification on effects of exercise, we did paired t 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test. Significance was set at p<.05. At the maximal exertion level, oxygen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 in both group but heart rate, duration of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and minute venti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 in center based aerobic exercise group. At the ventilation threshold level, oxygen consumption, minute ventilation, minute respiratory frequency and occurrence time of ventilation threshold was significantly increase in center based aerobic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in body composition variables.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center and home based aerobic exercise programs increased oxygen consumption at maximal exertion level, so that improve cardiopulmonary capacity but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So home based aerobic exercise program with self monitoring diaries will help cardiac patients for regular and effective exercise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and it will improve the aerobic exercise program compliance as well as it will give another option for cardiac patients who can't participate in center based aerobic exercise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심장질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병원 및 자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심폐체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24명의 실험 대상자 중 11명은 병원 유산소 운동프로그램 군, 13명은 자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 군으로 비확률 표집방법을 통해 집단을 배정하였다. 두 운동프로그램은 6주간 주 3회, 회당 30분간의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참여 전·후 측정을 통하여 집단의 심폐기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PASW ver. 18.0을 이용하여 집단의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실험 전·후 측정항목에 대한 집단 내 차이검증은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분산측정 방법을 실시하였다. 모든 가설의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최대 노력 수준에서 두 그룹 모두 산소섭취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병원 유산소 운동프로그램 군에서만 심박수, 검사시간, 분당 환기량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기역치수준에서는 병원 유산소 운동프로그램 군에서만 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분당 호흡횟수, 환기역치 발생지연에 대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조성 항목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6주간 시행된 병원 유산소 운동프로그램과 자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은 모두 최대 노력 수준에 해당하는 산소섭취량을 증가시켜 심장질환자의 심폐기능을 향상시켰으나 신체조성에는 큰 변화를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자가 감시 운동수첩을 제공한 자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은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을 보다 규칙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와주어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고, 병원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는 심장질환자에게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혀 주어 심장 운동프로그램 참여율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Alloy617과 12Cr강 이종재료 용접 이음재의 잔류응력 해석과 피로강도 평가

        윤호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 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고, 유가 상승과 수급 불균형 등의 문제로 인해 에너지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개선하는 대책으로 태양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풍력 에너지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 에너지 생산의 40%를 화력 발전이 차지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기존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박전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 중 이다.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 증기온도를 증가시켜야 하고 주 증기 온도를 700˚C 이상으로 올린 차세대 초초 임계급 화력 발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극한 운전 환경에 적합한 재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로서는 상용화되고 있는 소재 중에서 주 증기온도 700˚C 이상의 차세대 초초 임계급 화력 발전에 적합한 소재로는 Alloy617, Alloy625 및 Alloy740 등의 Ni기 합금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Alloy617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내식성, 내산화성 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Ni기 합금은 소재의 가격이 높아 화력발전에 필요한 부품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기존의 화력발전용 재료로 널리 알려진 12Cr강과 Ni기 합금의 조합기술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12Cr강을 저온·저압단 터빈(turbine)부품 소재로 사용하고 고온·고압단에는 Ni기 합금을 사용한다면 터빈부품의 고온 크립강도(creep strength)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제적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2Cr강과 Ni기 합금의 조합을 위한 핵심은 재질이 서로 다른 두 소재의 이종재료 간 용접 기술이다. 이러한 용접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기초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한 정보획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스팀터빈 로터(steam turbine rotor)는 각각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 고압중압·저압단으로 구분되며 고·중압 단에는 Alloy617소재를 적용하고 저압단에는 12Cr강을 적용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Ni기 합금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Alloy617 합금과 12Cr 강의 이종재료 접합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loy617과 12Cr강의 이종재료 접합부의 야금학적 특성, 용접부의 피로강도, 용접잔류응력에 대한 해석을 통해 용접부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평가함으로써 용접부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reduce CO₂ gas emission from the steam power plant is to improve its performance by elevating the steam temperature to 700℃.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licable materials at high temperatures. Ni-based Alloy 617 and 12Cr steel are used in steam power plants, due to there remarkabl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creep strength,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Alloy 617 and 12Cr steel have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and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similar material welding technologies. Moreover, in order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dissimilar material welded structures, the assessment of metallur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fatigue strength, fracture mechanical analysis and welding residual stress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on dissimilar material welded joints. In this study, first, multi-pass dissimilar material welding between Alloy617 and 12Cr steel was performed under optimum welding conditions. Next, mechanical properties of dissimilar material welded joint were assessed, including the static tensile strength, hardness distribution, microstructual analysis, fatigue strength and welding residual stress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the dissimilar metal welded joi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lloy 617 base metal, and lower than those of the 12Cr steel base metal. The hardness distribution of the 12Cr steel side was higher than that of Alloy 617 and the dissimilar material weld metal zone. It was observed that the microstructure of Alloy 617 HAZ was irregular austenite grain, while 12Cr steel HAZ was collapsed martensite grain, due to repeatable heat input during multi-pass welding.

      • Impact of cardiac rehabilitation on ventricular-arterial coupling and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윤호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Objective: Aortic afterload influences both ventricular systolic and diastolic function. To maintain efficient myocardial function, optimal coordination between ventricular contraction and the arterial system is required. Exercise-based cardiac rehabilitation (CR) has been demonstrated to improve left ventricular (LV) func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R on ventricular-arterial coupling (VAC) and its components, as well as their associations with changes in LV function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and preserved or mildly reduced ejection fraction (EF). Methods: Echocardiographic indexes of LV volumes, systolic function, and diastolic function were measured conventionally. Effective arterial elastance (EA) and index (EAI) were calculated from the stroke volume measured using the LV outflow waveform, and brachial systolic blood pressure. Effective LV end-systolic elastance (ELV) and index (ELVI) were obtained using the single-beat method. The central aortic pressure waveform was recorded using applanation tonometry. The characteristic impedance (Zc) of the aortic root was calculated after Fourier transformation of both aortic pressure and flow waveforms. Pulse wave sepa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n the reflection magnitude (RM). An exercise- based, out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CR)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up to 6 months. Follow-up echocardiographic and hemodynamic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a minimum of 6 months. Results: Twenty-nine patients (median age 60 years; interquartile range 51~66 years) were studied. However, eight patients declined to participate in the outpatient CR program and were subsequently classified as the non-CR group. At baseline, E’ velocity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EAI (beta -0.393; P=0.027) and VAC (beta -0.375; P=0.037). There were also significant associations of LV global longitudinal strain (LV GLS) with EAI (beta 0.467; P=0.011). Follow-up studies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 velocity (median from 5.95 cm/sec to 6.60 cm/sec; P=0.035), improved EF (median from 52.9% to 58.3%; P=0.010), and LV GLS (median from -13.9% to -15.9%; P=0.001), and a decreased EAI (median from 0.90 to 0.79 mmHg/mL•m2; P=0.025) only in the CR group. Changes in E’ veloc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EAI (beta -0.424; P=0.033). Conclusion: Increased aortic afterload and ventricular-arterial (VA) mismatch were associated with a negative impact on both LV diastolic and systolic function. The outpatient CR program effectively decreased aortic afterload and improved LV diastolic and systol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MI and preserved or mildly reduced EF. 목적: 대동맥 후부하는 좌심실의 수축기 기능과 이완기 기능 모두에 영향을 준다. 효율적인 심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좌심실 수축과 동맥계 사이에 최적의 조 화가 요구된다. 운동에 기반한 심장재활은 좌심실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 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좌심실 구혈률 (Ejection fraction: EF)이 보존되거나 경 미하게 감소된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들의 심실-동맥결합 (Ventricular-arterial coupling: VAC)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심장재활의 영향과 좌심실 기능변화와 심장재활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통상적인 방법으로 심장초음파 지표인 좌심실 용적, 수축기 기능, 이완기 기능 등을 측정하였다. 유효 동맥 탄성 (Effective arterial elastance: EA)과 지 수 (EAI)는 좌심실 유출로 혈류와 상완 동맥 수축기 혈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 다. 유효 좌심실 수축기말 탄성 (Effective LV end-systolic: ELV) 및 지수 (ELVI)는 단일 박동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중심 대동맥 압력 파형은 압평안 압계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대동맥 특성 임피던스 (Characteristic impedance: Zc)는 대동맥 압력 및 혈류량 파형을 푸리에 변환 후에 계산하였다. 맥파 분리 분석을 이용하여 반사 크기 (Reflection magnitude: RM)를 얻었다. 6개월 동안 외래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최소 6개월 경과 후에 추적 심초음파 및 혈역학적 검사를 반복하였다. 결과: 29명의 환자 (중앙값 60세; 사분위수 범위 51~66세)가 연구에 참여하였 다. 대상자 중 8명은 외래 심장재활 참여를 거부하여 심장재활 비시행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초기평가에서 E’속도는 EAI (bate -0.393; P=0.027), VAC (beta -0.375; P=0.037)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EAI와 Left ventricular global longitudinal strain (LV GLS)도 유의한 연관성 (beta 0.467; P=0.11)이 있었다. 추적 연구에서는 심장재활에 참여한 그룹에서만 E’속도가 유의하게 증가 (중앙 값 5.95cm/sec에서 6.60cm/sec; P=0.035)하였고, EF (중앙값 52.9%에서 58.3%; P=0.010)와 LV GLS (중앙값 -13.9%에서 -15.9%; P=0.001)가 개선 되었으며, EAI가 감소 (중앙값 0.90 mmHg/mL·m 2에서 0.79 mmHg/mL·m 2 ) 되었다. E’속도 변화는 EAI 변화와 유의한 연관성 (beta -0.424; P=0.033)이 있었다. 결론: 대동맥 후부하 증가와 심실-동맥 불일치는 좌심실 이완기 기능과 수축기 기능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외래 심장재활프로그램은 좌심실 구혈률이 보전되거나 경미하게 감소된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들에서 대동맥 후부하를 효과 적으로 감소시키고 좌심실의 이완기와 수축기 기능장애를 개선시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