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極限 槪念과 函數의 連續性에 關한 硏究 : 高等學校 數學 敎科 課程 中心으로

        宋謹和 慶熙大學敎 敎育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행 고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극한개념을 바탕으로 함수의 연속성과 관계를 이루어 미적분학에 접근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극한의 엄밀한 이론적 정의가 매우 어려운 관계로, 일선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는 극한에 관한 대부분의 기본 성질을 상식적으로만 다루고 있는 형편이며 극한에 관한 수업진행이 그 결과만을 직관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종래의 지도 방법에 있어서는 극한값의 존재성과 그 뜻이 소홀하게 다루어지거나 불충분한 상태에서 극한값의 계산으로 직접 넘어가는 경향이 많았지만 계산이 어느 정도 가능했다. 그러나 이를 토대로 미분계수나 변화율을 구하는 문제를 시도할 때는 학생들이 그 뜻을 명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실제 응용문제를 접하게 되면 응용이 되지 않는 일이 허다하였다. 따라서 극한값의 존재성과 그 뜻을 명확히 지도하는데 있어서 엄밀한 이론적 정의를 사용할 수 없으나 직관적이나마 납득시킨다는 것은 교육상 필요하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극한과 함수의 연속성을 다루기 전 단계에서 실수의 중요한 성질을 고찰해 보고 이를 좀 더 엄밀한 이론적 정의를 사용하여 직관적인 방법과 비교분석하고 명확히 이해시킴으로써 단편적인 지도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보다 바람직한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함과 아울러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urrent high school mathematics deals with function continuity and approaches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teasing on limit concept. Actually the exact theoretical definition of limit is so difficult that the properties of limit is presented mostly at a level of common sense in the text book and in classes, the result is solved by only intuitive method. The teaching method so far instructs its calculation directly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limit value is dealt unsufficiently. But it simply makes students calculate limit value 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it. Far example, when students come in contact with applied questions such as differential equations or variation rates, it is very common that students can't salve them. This thesis trie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real number before limit and function continuity and to mak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exact theoretical definition and intuitive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over problems caused by fragmentary instruction and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thod helping students understand limit concept.

      • 山城山 山火跡地의 二次遷移

        송근화 慶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3년 4월에 발생한 산불에 의해 소나무 수림과 그 임상식생이 파괴된 후 6년째 2차전이가 진행 중인 산성산 산화지의 사면이 다른 두 지소인 B₁, B₂ 지소를 선정하여 식물고, 피도, 빈도를 조사하였고, 전 지역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토대로 종다양성지수, 유사도지수, 균등성지수, 천이도를 산출하여 2차천이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적산우점도의 순위는 B₁지소가 억새-참싸리-새-산거울-철쭉나무 순이였고 B₂ 지소가 억새-산거울- 털진달래나무-참싸리-새의 순이였다. 생활형 조성은 B₁, B₂ 지소가 모두 H―D₁―R_5―e 형으로 다른 산화지의 생활형과 같은 경향이였다. 우점도지수는 B₁ 지소와 B₂ 지소가 각각 0.13, 0.14, 종다양성지수는 각각 2. 39, 2.01로 나타났다. 균등성 지수는 각각 0.75, 0.63이고, 천이도는 각각 555, 186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B₁지소에 참싸리, 철쭉나무, 신갈나무등 복본류의 적산우점도가 높게 나타나 천이가 B₂ 지소에 비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B₁ 지소와 B₂ 지소의 토양 pH는 각각 5.57, 5.51이였고, 총질소함량(%)은 각각 0.18, 0.20이였고, 유효인산(ppm)은 0.08, 0.10 이였고, 칼륨(ppm)은 26.00, 41.10이였고, 유기물 함량(%)은 9.41, 8.98이었고, 낙엽생산량(dwg/㎡)은 250, 397이였다. This is a report on secondary succession of burned area of which all pine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as almost destroyed by the crown fire which occurred at Mt. Sansngsan on April, 1983.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bout ten times from April, 1989 to October, 1989.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floristic compositions of burned area consisted of 20 families, 35 genera, 39 species, 9 varieties (48 kinds of vascular plant). The floristic compositions of B₁ and B₂ sites consisted of 29 kinds, 39 kinds respectively. The life form spectra of B₁and B₂ sites showed H-D₁-R_5-e type respectively. This type is similar to life form usually which has been showed in most of burned areas. Dominance index(c) of B₁ burned area and B₂ burned area showed 0.13, 0.14 respectively. Species of diversity index () of burned areas B₁ and B₂ showed 2.39, 2.10 respectively. Eveness index of B₁and B₂ sites showed 0.73 and 0.63 respectively. The similarity index was 0.59. Degree of succession (DS) showed 555 and 186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degree of succession is supposed because succession of B₁ site proceeded faster than B₂ site.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potassium, organic matter, and soil pH in B₁ site showed 0.18, 0.08, 26.00, 9.41, and 5.57 respectively. The soil properties in B2 site were similar to those of B₁site except exchangeable potassium.

      • 無意味한 延命治療中斷과 醫療人의 刑事責任

        송근화 忠南大學校 特許法務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t medical missions are to cure and improve a patient’s health and to prevent diseases. Despite the advances in modern medicine, there are always some patients who are not expected to be fully recovered and to return to normal. Such situation that it is just sustaining the patient’s life without any hope of recovery must be a heavy burden for the patient and family mentally, physically and economically. To discontinue treatment in a patient who falls into unconsciousness and is determined that it is impossible for him to recover, means the patient’s death and the relevant medical personnel may be suspected of a crime of abetting and betting suicide or murder under criminal law. Thus, it has always mattered the time and scope to discontinue treatment in the irrecoverable pati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when the patient cannot practically exercis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such exercise by a guardian, legal representative or the third party is justified without knowing a definite intention of the patient. In addition, it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investigates legal significance of treatment by a physician; setting the scope of treatment discontinuance concerned; legal significance and a matter of punishment about treatment discontinuance; and the patien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at such behavior is justified. The scope of treatment discontinuance allowed is not clear so that it rather provides medical services in a way of passive defen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efinite guideline about physician’s duty of treatment, the patient’s status in such medical practice, and the patient’s right in treatment. To solve such problems clearly, it should conceptualize treatment discontinuance. First, it must analyze the general meaning of medical practice and determine the time point of insignificance treatment to define the scope of treatment discontinuance which is legally mattered. Second, it has to identify whether the patien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at discontinuance of insignificant treatment is justified is generally justified in such medical practice and treatment discontinuance. It investigates whether when the unconscious patient cannot exercis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such exercise by a guardian, legal representative or the third party is justified and if so, the procedure to prevent its abuse and safety mechanism should be involv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It also suggests problems and alternatives for management system of Hospital Ethics Committee in Korea to determine treatment discontinuance based on the patien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not on formal decision of a committee which exists for evaluation of medical institutes, in order for the patient to end the life as a dignified being. In fact, discontinuance of life-sustaining equipment which is discussed in this study is secretly conducted or there are a lot of conflicts among the patient, family and physician under the pretext of keeping human dignity. Therefore, it deducts underlying problems on medical dispute and treatment discontinuance to figure out the criminal point and it should consider the patient’s ever-changing pain and financial burdens. Determination of treatment discontinuance by a physician, who is in anguish over discontinuance of insignificant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legal procedures should not be suspected of a crime. 의료의 최대의 사명은 환자의 건강회복과 중진, 그리고 질병의 예방이라 할 것이다. 현대의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완치되어 정상적으로 사회복귀가 불가능한 환자 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채로 생명을 유지하게 되는 상황은 환자 본인과 주위 가족에게 매우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어려움을 부담시키고 있다. 의식이 없는 혼수상태에 이르러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환자의 치료를 중단 한다는 것은 곧 사람의 죽음을 초래하며 형법상 살인죄 또는 자살관여죄가 적용될 여자가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회복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치료를 언제까지. 그리고 어떤 범위내에서 계속해야 하는지가 항상 문제되어 왔다. 환자 본인의 명확한 의사 표시 없이 현실적으로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없을 때에 보호자나 대리인 또는 제3자에 의한 자기결정권의 행사가 정당화 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사의 치료행위가 가지고 있는 법적 의미, 더 나아가 문제되는 치료중단의 범위설정과 치료중단이 가지는 법적 의미와 그 가벌성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치료 중단이 정당화원리로 일컬어지고 있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규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허용되는 치료중단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의료계에서는 오히려 소극적인 방어 진료라는 형태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의사는 어느 범위에서 치료 의무를 지고, 환자는 이 의료행위에 있어서 어떠한 지위를 가지며, 치료과정에서 자신의 치료에 대하여 어느 범위에서 얼마만큼의 권리를 가지는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명확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치료중단의 개념이 선행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첫째, 치료행위가 가지는 일반적인 의미를 분석하여야 하며 법적으로 문제되는 치료중단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무의미 치료행위가 어느 시점인지 결정되어야 한다. 둘째, 무의미한 치료중단이 정당화원리로 일컬어지고 있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치료행위와 치료중단이1 있어 일반적인 정당화원리로 인정될 수 있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환자가 일시적으로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없을 때에 환자의 보호자나 대리인 또는 제3자에 의하여 행사된 자기결정권이 정당화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향후 입법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만약 정당화 될 수 있다면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절차와 안전장치가 반드시 입법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디 . 의사는 연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의식있는 경우에 환자 본인의 상태, 향후의 치료방법 및 치료계획을 명확히 알려주어야 한다. 환자가 말기상태에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지하기 위한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하기 위함이며, 의사표시를 명활히 하여 자기결정권올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전의료 지시서는 작성 후 언제든지 결정을 변경한 수 있다. 치료중단을 결정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병원윤리위원회가 본연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의료기관평가 등을 위한 형식적인 위원회가 아닌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기인하여 환자에게 가장 유리하고 존엄한 인격체로 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생명유지장치 중단에 따른 치료중단의 운제는 그동안 암암리에 행하여져 오거나 고통 받는 환자에게나 그 환자를 보필하는 가족들에게도, 또 의사의 의무로서 헌법상의 천부인권인 인간 존엄성이라는 명목아래 많은 갈등을 야기하여 요면서도 그 해결의 실마리는 보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료분쟁과 치료중단의 제반적인 문제들을 인식하여 형법적인 논점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려는 데 있으며, 무의미한 치료중단에 참여한 의료진에게 형사적 처벌을 면책하는 등의 입법화가 필요하다.

      • 단일 출차 도크에 복수 발송지점이 할당된 크로스도킹 터미널의 출차 도크 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송근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택배시장의 급증으로 크로스도킹 터미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일반 제조업체의 제품창고 또는 물류센터들도 상당수가 크로스도킹 센터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크로스도킹 터미널 또는 센터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동화 설비의 도입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화 크로스도킹 터미널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터미널 운영에 애로 공정(Bottleneck Process)으로 존재하고 있는 상차 작업에 대한 효율성의 극대화 및 상차 작업자 수의 절감 및 작업자 간의 작업부하의 균형 유지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 상당수의 업체가 부지 제약의 이유로 복수 발송지점을 출차 도크에 할당시키는 상황을 고려하여 GA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예제 문제를 통해 적용성 및 성능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국내 유명 택배업체의 화물터미널을 대상으로 개발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작업수 절감과 작업자 간 작업 부하의 균형을 확인하였다. 대부분 국내의 업체는 관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발송지점의 출차 도크를 결정하여 일정기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와 발송지점에 대한 작업기간별 수요 발생에 대한 자료를 미리 입수할 수 있는 경우 효율적으로 출차도크, 발송지점 및 작업자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자동화된 분류 기계에서 프로그램 수정은 짧은 시간 내에 수정이 가능하며, 물량에 대한 정보는 수정 이전에 정보의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출차 도크 위치를 변경했을 경우라도 수송 도크 위치의 빈번한 변화로부터 생기는 작업의 방해도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추후 보다 나은 해 도출을 위해 수리적 접근 방법 및 지속적인 알고리즘의 개선 작업이 요구 되며, 또한 크로스도킹 터미널의 다양한 배치 형태의 크로스도킹 터미널 적용 문제를 해결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Nowadays, many distribution centers are converting to the cross-docking terminal which may provide better responsiveness by significantly reducing handling and strong of inventory. Although the performance of cross-docking terminals has been improved by utilizing automated sorting conveyors, loading into the outgoing trucks still remains a bottleneck process.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for assigning destinations to shipping docks for a cross-docking terminal with multiple destinations in a single dock in order to reduce both the expected number of workers needed in loading the freights from the truck in an automated cross?]docking terminal and the imbalance ratio among the workers. For this purpose, a genetic algorithm (GA) procedure is suggested to solve it with a line balancing heuristic. A linebalancing heuristic is adopted to minimize workload as a sub problem. To examine the validity of our solution heuristic we applied it to an example problem from a domestic courier company in Korea.

      •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송근화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illegality of abortion in Korean criminal law has been maintained despite the controversial pros and cons of its potential abolition since it was first regulated in 1953. The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economic development and family planning programs as well as having passe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in 1973 in order to legalize abortion. The abortion restriction act is one of the largest discrepancies between realities in the legal regime of Korea. In principle, abortion is prohibited in Korea yet the actual abortion rate is still high. Although it is illegal, it is rarely prosecuted in realit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from Institute of Criminology (2011), about 30% of women of child bearing age responded to a question in which they were asked that about the legality of the procedure that they were not aware that abortion is a crime. It is estimated that 1.5-2 million abortions were conduct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from studies before 2005. Recent research on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y regarding the aging society and the birth rate increase resulted in the finding that the abortion rate was about 15.8% with 0.16 million cases (2010).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estimate the exact number of abortions since these procedures are illegal and difficult to substantiat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over 90% of abortions are illegal and due to socioeconomic reasons but they are rarely investigated or prosecuted. About 720 cases of illegal abortion in total have been prosecuted since 2000. Those cases included 127 indictments, 564 non-indictments, and 45 prosecution suspensions. Their rates included 17.6% indictments, 78.3% non-indictment, and 4.1% of other reasons. It is a procedure that remains controversial based on these statistical realities. This government has not put this matter to the public judgment since it has enforced abortion as a device for the birth rate control. The Pro-Life Medical Association accused a doctor who conducted abortion surgery in February 2010. Doctors and feminists also issued an announcement and held a public hearing concerning public judgment on abortion. However, they were not able to legalize it and drew only temporary attention. As a result, the issue of abortion has been hanging in the air without any ultimate solutions. This could end up with lasting effects and social problems free from legislation. If abortion is left to the conscience of people, it is clear that it violates the life and dignity of the embryo which is in need of protection with legislation. If the legislation regime is neglectful in its regulation, it is the same as malpractice. This paper proposes to look for the most reasonable limits between prohibition and permission to protect the life of embryo. It also suggests legislation which can get rid of the gap between the legislation regime and reality to promote law abidance. This paper suggests building up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policy with continuous contraception education, better social and economical care for unwed mothers, and an active adoption culture by awakening the notion in the populace that abortion is a crime which violates the life and health of another. In addition, people should be aware that the human rights of anyone who has a disregard for the lives of others cannot be guarant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