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먼저 식민지시기 간행된 정감록이 1910년대 민간 재조일본인들의 조선 연구 및 문헌 수집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는 전제 하에 당시 총독부 및 재조일본인들이 확보하고 있었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먼저 식민지시기 간행된 정감록이 1910년대 민간 재조일본인들의 조선 연구 및 문헌 수집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는 전제 하에 당시 총독부 및 재조일본인들이 확보하고 있었던 ...
본고에서는 먼저 식민지시기 간행된 정감록이 1910년대 민간 재조일본인들의 조선 연구 및 문헌 수집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는 전제 하에 당시 총독부 및 재조일본인들이 확보하고 있었던 『정감록』및『정감록』류 문헌의 소장 상황을 파악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수집되어 비밀리에 다루어지던『정감록』들이 1920년대에 이르러 공식적으로 간행되는 과정과 그 주된 편자들을 검토해보았다. 특히, 김용주와 현병주의 생애와 성격을 분명히 하여, 종전의 인식과 달리 김용주본이 오히려 가장 식민지권력이 보유하고 또 공개하고자 했던『정감록』의 형태에 가장 유사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firstly, I analyzed the possession situation of “Jeonggamrok(鄭鑑録)”, which were acquired by the governor general and the re-established Japanese at the tim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Jeonggamlok(鄭鑑録), published dur...
In this paper, firstly, I analyzed the possession situation of “Jeonggamrok(鄭鑑録)”, which were acquired by the governor general and the re-established Japanese at the tim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Jeonggamlok(鄭鑑録),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I reviewed the process of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Jeonggamrok(鄭鑑録)”, which was collected and secretly handled in the 1920s, and the main editors. In particular, it clarified the life and personality of Yongjoo Kim and Byungjoo Hyun, and suggested that Yongjoo Kim might be the most similar to the form of “Jeonggamrok(鄭鑑録)” that most colonial power possesses and wants to reveal.
참고문헌 (Reference)
1 釈尾春芿, "「序」 朝鮮古書目録"
2 細井肇, "「序文」 朝鮮文学傑作集"
3 "황성신문"
4 백승종, "한국의 예언문화사" 푸른역사 2013
5 안춘근, "정감록집성" 아세아문화사 1973
6 백승종, "정감록 미스터리" 푸른역사 2012
7 최혜주,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들의 조선 문헌수집과 연구 활동" 2016
8 다카하시 소지, "일본망언의 계보" 한울 아카데미 2010
9 백진우,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소장 한국 고서에 대해" 열상고전연구회 (36) : 33-70, 2012
10 조선총독부 학무국, "식민지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 자료총서4 전설동화조사사항" 제이앤씨 2012
1 釈尾春芿, "「序」 朝鮮古書目録"
2 細井肇, "「序文」 朝鮮文学傑作集"
3 "황성신문"
4 백승종, "한국의 예언문화사" 푸른역사 2013
5 안춘근, "정감록집성" 아세아문화사 1973
6 백승종, "정감록 미스터리" 푸른역사 2012
7 최혜주,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들의 조선 문헌수집과 연구 활동" 2016
8 다카하시 소지, "일본망언의 계보" 한울 아카데미 2010
9 백진우,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소장 한국 고서에 대해" 열상고전연구회 (36) : 33-70, 2012
10 조선총독부 학무국, "식민지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 자료총서4 전설동화조사사항" 제이앤씨 2012
11 오용섭, "버클리대학 아사미문고의 선본" (30) : 2006
12 "매일신보"
13 장연연, "대중계몽주의자 현병주 연구" 인하대학교 2015
14 青野正明, "細井肇の朝鮮観" (110) : 1988
15 井上学, "槐園・鮎貝房之進について 下" 85 : 1969
16 井上学, "槐園・鮎貝房之進について 上" 84 : 1969
17 井上学, "槐園・鮎貝房之進について" (82) : 1969
18 朝鮮総督府中枢院, "朝鮮旧慣習制度調査事業概要"
19 "斉藤実文書"
20 김효순, "3.1운동과 호소이 하지메(細井肇) 감수 「홍길동전」 번역 연구: 홍길동 표상과 류큐정벌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28) : 115-146, 2016
21 김태웅, "1910년대 전반기 조선총독부의 취조국・참사관실과 ‘구관제도조사사업’" 16 : 1993
일본의 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고찰‒개호보험 도입배경을 중심으로‒
일본과 독일의 탈원전 정책 비교‒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를 중심으로‒
地域をメンテナンスする考え方を用いた 「まちづくり」のあり方についての考察
한국 대학생의 자민족중심주의와 사회적 거리감이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52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