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後百濟의 佛敎美術과 그 影響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90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ter Baekje Dynasty (892-936) was caught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to the Goryeo Dynasty, and only lasted a short time. As such, a lack of relevant materials makes it very difficul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The Later Baekje Dynasty (892-936) was caught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to the Goryeo Dynasty, and only lasted a short time. As such, a lack of relevant materials makes it very difficul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s of the period. This study examined - on the basis of earlier studies - the Buddhist artworks made in the capital and provinces of the dynasty,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and the classes of people who made them. It also discussed their impact on the subsequent early Goryeo Period (918-1392). Even though the Later Baekje Dynasty only lasted a short time, people from all social strata regardless of where they lived, including the royal family, nobility, and commoners, created Buddhist artworks for diverse purposes. These works of art generally look quite similar to those made during the preceding Unified Silla Period (676-935), and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people looked back at the Silla Dynasty culture wistfully, although they display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rayers in each stratum. Thus, the Later Baekje Dynasty expressed its desire to inherit and preserve aspects of the Baekje Dynasty by incorpora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Baekje into Buddhist artworks and monumental pieces made for the royal family. The people of the Later Baekje Dynasty must have felt a need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Baekje Dynasty and show their group identity in Buddhist artwork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the early Goryeo Period, resulting in stone pagodas and Buddha statues reminiscent of those of the Baekje Period. These Buddhist artworks of the early Goryeo Period were largely concentrated in what used to be the royal capitals, major towns, and provincial temples of Baekje Dynasty where people could see distinguished Buddhist art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後百濟의 地域別 佛事 樣相
      • 1. 中央
      • 2. 地方
      • Ⅲ. 後百濟 佛事의 發願階層別 特徵
      • Ⅰ. 머리말
      • Ⅱ. 後百濟의 地域別 佛事 樣相
      • 1. 中央
      • 2. 地方
      • Ⅲ. 後百濟 佛事의 發願階層別 特徵
      • Ⅳ. 高麗前期 後百濟 佛敎美術의 影響
      • Ⅴ. 맺음말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曺凡煥, "朗慧無染과 聖住山門"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8

      2 金壽泰, "후백제와 견훤" 서경문화사 2000

      3 문안식, "후백제 전쟁사 연구" 혜안 2008

      4 진정환,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백제연구소 (61) : 147-175, 2015

      5 배병선, "제석사지와 익산의 백제 건축" 2013

      6 강희정, "익산의 불교미술 백제 불교의 마지막 향화" 2013

      7 진정환, "익산, 마한·백제연구의 새로운 중심" 국립전주박물관 2014

      8 전용호, "익산 왕궁리 유적의 조사성과와 의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9 한정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과 사리장엄구 연구" 신라사학회 (16) : 149-195, 2009

      10 국립문화재연구소,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국립문화재연구소·전라북도 2014

      1 曺凡煥, "朗慧無染과 聖住山門"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8

      2 金壽泰, "후백제와 견훤" 서경문화사 2000

      3 문안식, "후백제 전쟁사 연구" 혜안 2008

      4 진정환,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백제연구소 (61) : 147-175, 2015

      5 배병선, "제석사지와 익산의 백제 건축" 2013

      6 강희정, "익산의 불교미술 백제 불교의 마지막 향화" 2013

      7 진정환, "익산, 마한·백제연구의 새로운 중심" 국립전주박물관 2014

      8 전용호, "익산 왕궁리 유적의 조사성과와 의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9 한정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과 사리장엄구 연구" 신라사학회 (16) : 149-195, 2009

      10 국립문화재연구소,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국립문화재연구소·전라북도 2014

      11 최인선, "월출산" 국립나주박물관 2015

      12 문승현, "왕궁리오층석탑에 관한 양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3 정은우, "연구논문 : 연기 불비상과 충남지역의 백제계 불상" 백제문화연구소 (32) : 89-98, 2003

      14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3

      15 국강고고학연구소, "서천 종천지구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 사업부지내유적 발굴조사 전문가 검토회의 자료"

      16 천득염,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0

      17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 복원 고증기초조사 연구 보고서2" 국립문화재연구소·익산시 2010

      18 최성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을 통해 본 百濟 彌勒寺의 佛像" 백제문화연구소 2 (2): 123-158, 2010

      19 강우방, "대발견 사리장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3

      20 정성권,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의 조성시기와 배경" 신라사학회 (31) : 225-272, 2014

      21 강삼혜, "나말려초 僧塔 塔身 神將像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3) : 2006

      22 변동명, "김총의 城隍神 推仰과 麗水·順天" 호남사학회 (22) : 159-190, 2004

      23 한정훈, "고려전기 驛道의 형성과 기능" 한국중세사학회 12 : 41-93, 2002

      24 진정환, "고려시대 석조탑상 연구 : 전북지방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25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강진 월남사지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 강진군·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4

      26 崔聖銀, "鳳林寺址 石造三尊佛像에 대한 考察-後三國時代 彫刻의 一例-" 東國大學校 佛敎美術文化財硏究所 (1) : 1994

      27 孫弘烈, "高麗漕運考" 歷史學硏究會 (21) : 1977

      28 변동명, "高麗時期 順天의 山神·城隍神" 역사학회 174 : 33-68, 2002

      29 崔柄憲, "高麗時代 華嚴宗團의 展開過程과 그 歷史的 性格" 國史編纂委員會 (20) : 1992

      30 "高麗史"

      31 정요근, "高麗前期 驛制의 整備와 22驛道" 서울大學校國史學科 (45) : 2001

      32 許興植,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90

      33 홍대한, "高麗 石塔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34 신호철, "高麗 初 後百濟系 人物들의 활동" 한국중세사학회 (22) : 77-107, 2007

      35 鄭永鎬, "馬韓·百濟文化와 彌勒思想" 圓光大學校 出版局 1994

      36 高裕燮, "韓國塔婆의 硏究Ⅰ" 震檀學會 (6) : 1936

      37 李基白, "韓國史新論" 一潮閣 1999

      38 申虎澈, "豪族勢力의 成長과 後三國의 鼎立-後三國建國勢力과 在地豪族勢力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韓國古代史學會 1994

      39 김혜원, "譯註 羅末麗初金石文(上)" 혜안 1996

      40 崔致遠, "譯解 四山碑銘" 亞細亞文化社 1987

      41 "觀世音應驗記"

      42 崔聖銀, "華嚴寺 西五層石塔出土 靑銅製 佛像틀(范)에 대한 考察" 韓國美術史硏究所 (15) : 2000

      43 蔡守煥, "羅末麗初 豪族의 出身性分에 대한 考察" 圓光大學校 大學院 (2) : 1988

      44 南東信, "羅末麗初 華嚴宗團의 대응과 『 (華嚴)神衆經』의 成立" 韓國外國語大學校 史學硏究所 (5) : 1993

      45 金杜珍, "羅末麗初 桐裏山門의 成立과 그 思想"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57) : 1988

      46 崔聖銀, "羅末麗初 小形金銅佛立像 硏究-王宮里 五層石塔 출토 金銅佛立像을 中心으로-" 國立中央博物館 (58) : 1997

      47 陳政煥, "羅末麗初 南原地域 佛像造成 大衆化에 對한 試論-虎基里 磨崖佛 造成과 關聯하여-" 東岳美術史學會 (7) : 2006

      48 "續高僧傳"

      49 朴慶植, "統一新羅石造美術硏究" 學硏文化社 1994

      50 정동락, "秀澈和尙(815~893)과 新羅王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 : 87-120, 2009

      51 尹德香, "益山의 先史와 古代文化"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익산시 2003

      52 黃壽永,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의 建立年代" 大韓民國 藝術院 (18) : 1979

      53 조원교,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발견 舍利莊嚴具에 대한 硏究" 백제연구소 (49) : 61-96, 2009

      54 한정호,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舍利莊嚴具의 編年 再檢討-金製佛舍利內盒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3 : 2005

      55 米田美代治, "益山 王宮塔の意匠計劃" 朝鮮建築會 21 (21): 1942

      56 山本孝文, "百濟 泗沘期 石室墳과 政治·社會相 硏究" 忠南大學校 2001

      57 申虎澈, "甄萱의 出身과 社會的 進出" 西江大學校 東亞硏究所 (17) : 1989

      58 邊東明, "甄萱의 出身地 再論" 震檀學會 (90) : 2000

      5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址 Ⅲ"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60 金杜珍, "王建의 僧侶結合과 그 意圖" 國民大學校 韓國學硏究所 (4) : 1982

      61 金包光, "片雲塔과 後百濟의 年號" 佛光中學校 (49) : 1928

      62 배재훈, "片雲和尙浮圖를 통해 본 實相山門과 甄萱政權" 백제연구소 (50) : 201-234, 2009

      63 郭長根, "湖南 東部地域 高冢의 分布相과 그 意味"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31) : 2000

      64 "本朝文粹"

      65 "朝鮮寰輿勝覽"

      66 이병호, "月南寺의 變遷과 整備 活用 學術會議" 한국중세사학회·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5

      67 최연식, "月出山의 觀音信仰" 圓覺佛敎思想硏究院 (10) : 2007

      68 金相鉉, "新羅華嚴思想史硏究" 民族社 1991

      69 朴貞柱, "新羅末·高麗初 獅子山門과 政治勢力" 震檀學會 (77) : 1984

      70 李基白,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71 文明大, "新羅四天王像의 硏究" 東國大學校 博物館 (5) : 1980

      72 金相鉉, "新羅 華嚴學僧의 系譜와 그 活動" 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1) : 1984

      73 주경미, "新羅 舍利莊嚴方式의 형성과 변천" 신라문화연구소 43 (43): 173-206, 2014

      74 朴慶植, "新羅 九世紀 石塔의 樣式에 關한 硏究" 韓國美術史學會 (173) : 1987

      75 진정환, "新羅 下代~高麗 前期 佛敎石造美術 發願者와 匠人의 變化" 신라사학회 (32) : 341-388, 2014

      76 "扶桑略記"

      77 이도학, "後百濟의 全州 遷都와 彌勒寺 開塔" 한국사연구회 (165) : 1-30, 2014

      78 申虎澈, "後百濟甄萱政權硏究" 一潮閣 1996

      79 崔聖銀, "後百濟地域 佛敎彫刻 硏究" 韓國美術史學會 (204) : 1994

      80 李道學, "後百濟 甄萱의 農民施策에 관한 再檢討" 白山學會 (62) : 2002

      81 진정환, "後百濟 佛敎美術의 特徵과 性格" 동악미술사학회 (11) : 157-188, 2010

      82 國立文化財硏究所, "彌勒寺址石塔 解體調査報告書 Ⅱ" 國立文化財硏究所·全羅北道 2004

      83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 Ⅰ"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89

      84 趙仁成, "彌勒信仰과 新羅社會" 震檀學會 (82) : 1996

      8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帝釋寺址 발굴조사보고서 Ⅰ"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1

      86 국립문화재연구소, "小川敬吉調査文化財資料" 국립문화재연구소 1994

      87 "宋高僧傳"

      88 "均如傳"

      89 全榮來, "南原, 草村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韓國文化財保護協會 全北道支部 1981

      90 全榮來, "南原 草村里 古墳群 發掘調査 略報" 全州市立博物館 (9) : 1979

      91 진정환, "南原 池塘里 石佛立像 考察" 동악미술사학회 (8) : 101-123, 2007

      92 郭東錫, "全羅北道의 佛敎遺蹟" 國立全州博物館 2001

      93 郭東錫, "全羅北道의 佛敎遺蹟" 國立全州博物館 2001

      94 全北大學校 博物館, "全州·完州지역 문화재 조사보고서" 全北大學校博物館 1979

      95 陳政煥, "全北地域 百濟樣式 石塔에 對한 一考察" 國立公州博物館 (3) : 2003

      96 全榮來, "全北 古代山城調査報告書" 全羅北道·韓西古代學硏究所 2003

      97 姜友邦, "佛舍利莊嚴" 國立中央博物館 1991

      98 진정환, "井邑地域 百濟系 佛像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27) : 467-489, 2007

      99 "三國遺事"

      100 "三國史記"

      101 전용호, "三國~朝鮮, 發掘調査와 成果 韓國의 都城"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0

      102 이경화, "9세기 보성지역과 유신리 마애불의 조성" 부산경남사학회 (58) : 41-64, 2006

      103 朴聖相, "9세기 마애불상의 분포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사학회 (21) : 537-552, 2004

      104 金英心, "5~6世紀 百濟의 地方統治體制"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22)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1.18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