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 =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실천적 전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1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틀에 기반을 둔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그 한계를 드러낸 과정을 살펴본 후 제4물결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여성 자유의 정치학을 도입함으로써 보편과 상대의 틀을 벗어나는 실천적 전환을 이루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아렌트가 제안했고 제릴 리가 발전시킨 정치적 판단론을 소개하고, 실천이론과 그 정치적 표현인 아고니즘 정치가 여성의 행위성과 종속 문제를 포함한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정치학의 다양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이론적 도구가 됨을 주장한다. 논의를 위해 필자는 먼저 제릴리가 분석한 이태리의 밀라노여성서점조합 운동사를 살펴본 후, 신자유주의 체제로 완전히 전환된 한국 사회에서 최근 10년 사이에 일어났던 주요 페미니스트 정치학사례들인, 2004년의 성노동자운동, 2008년의 촛불시위, 그리고 2012년의 나꼼수-비키니시위 사건의 분석을 통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후기 근대 한국 사회의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지형의 주요 특징들을 드러낸다. 필자는 이 주요 특징들을 실천이론과 아고니즘 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를 여성의 행위성과 소위 ‘신여성성’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와 함께 사회적 실천의 역동성을 잘 드러내주는 예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얻은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결론의 의미를 신자유주의 지구화 시대에 요구되는 진보 정치의 전략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한다. 또한 형식적인 제도와 비형식적인 규범의 역할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되찾으려는 사회적 실천이론이 진보 정치의 전략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틀에 기반을 둔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그 한계를 드러낸 과정을 살펴본 후 제4물결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여성 자유의 정치학을 도입함으로써 보편과 상대의 ...

      이 글은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틀에 기반을 둔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그 한계를 드러낸 과정을 살펴본 후 제4물결 페미니스트 정치학이 여성 자유의 정치학을 도입함으로써 보편과 상대의 틀을 벗어나는 실천적 전환을 이루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아렌트가 제안했고 제릴 리가 발전시킨 정치적 판단론을 소개하고, 실천이론과 그 정치적 표현인 아고니즘 정치가 여성의 행위성과 종속 문제를 포함한 페미니스트 인식론과 정치학의 다양한 문제들을 다룰 수 있는 이론적 도구가 됨을 주장한다. 논의를 위해 필자는 먼저 제릴리가 분석한 이태리의 밀라노여성서점조합 운동사를 살펴본 후, 신자유주의 체제로 완전히 전환된 한국 사회에서 최근 10년 사이에 일어났던 주요 페미니스트 정치학사례들인, 2004년의 성노동자운동, 2008년의 촛불시위, 그리고 2012년의 나꼼수-비키니시위 사건의 분석을 통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후기 근대 한국 사회의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지형의 주요 특징들을 드러낸다. 필자는 이 주요 특징들을 실천이론과 아고니즘 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를 여성의 행위성과 소위 ‘신여성성’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와 함께 사회적 실천의 역동성을 잘 드러내주는 예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얻은 페미니스트 정치학적 결론의 의미를 신자유주의 지구화 시대에 요구되는 진보 정치의 전략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한다. 또한 형식적인 제도와 비형식적인 규범의 역할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되찾으려는 사회적 실천이론이 진보 정치의 전략에 함의하는 바를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a brief introduction to the controversy of universalism and relativism and practice theory as a proper theoretical framework to deal with it, I discuss various issues raised on universalism and relativism in the context of feminist epistemology and politics based on my previous works. I first explain the theory of political judgment by Arendt and its further elaboration by Zerilli and claim that practice theory and agonistic politics as its political implementation provide natural theoretical tools encompassing their theories of political judgment and freedom. As an illustration, I review and comment on the Milan Women’s Bookstore Collective case analyzed by Zerilli. Then I turn to the analysis of three major cases of feminist politics in action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The sex workers’ movement, Candlelight demonstrations, and “Naggomsu-Bikini protest” controversy reveal characteristic aspects of rapidly transforming feminist political terrains in late modern Korean society. Their analysis not only serves as illustrations of dynamics of feminist social practices at work but also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of women’s agency and the phenomenon of ‘new femininities.’ In conclusion, I present possible implications of my analysis on progressive political strategies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with a short comment on the distinction between formal institutions and informal norms among social practices.
      번역하기

      After a brief introduction to the controversy of universalism and relativism and practice theory as a proper theoretical framework to deal with it, I discuss various issues raised on universalism and relativism in the context of feminist epistemology ...

      After a brief introduction to the controversy of universalism and relativism and practice theory as a proper theoretical framework to deal with it, I discuss various issues raised on universalism and relativism in the context of feminist epistemology and politics based on my previous works. I first explain the theory of political judgment by Arendt and its further elaboration by Zerilli and claim that practice theory and agonistic politics as its political implementation provide natural theoretical tools encompassing their theories of political judgment and freedom. As an illustration, I review and comment on the Milan Women’s Bookstore Collective case analyzed by Zerilli. Then I turn to the analysis of three major cases of feminist politics in action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The sex workers’ movement, Candlelight demonstrations, and “Naggomsu-Bikini protest” controversy reveal characteristic aspects of rapidly transforming feminist political terrains in late modern Korean society. Their analysis not only serves as illustrations of dynamics of feminist social practices at work but also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of women’s agency and the phenomenon of ‘new femininities.’ In conclusion, I present possible implications of my analysis on progressive political strategies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with a short comment on the distinction between formal institutions and informal norms among social pract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페미니스트 정치학에서의 보편주의와 상대주의
      • Ⅲ. 보편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선 페미니스트 정치학: ‘밀라노여성서점 조합’ 사례
      • Ⅳ.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길목에서: 2000년대 한국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경우
      • [국문 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페미니스트 정치학에서의 보편주의와 상대주의
      • Ⅲ. 보편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선 페미니스트 정치학: ‘밀라노여성서점 조합’ 사례
      • Ⅳ. 보편주의와 상대주의의 길목에서: 2000년대 한국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경우
      • Ⅴ.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주현, "후기 근대와 사회적인 것의 위기: 아고니즘 정치의 가능성" 비판사회학회 95 (95): 163-189, 2012

      2 백욱인, "촛불시위와 대중: 정보사회의 대중 형성에 관하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4 (74): 159-188, 2008

      3 신진욱, "정치위기와 사회운동의 새로운 주기 : 2008년 촛불시위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이중적 과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19 (19): 96-128, 2008

      4 고경민,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 그리고 민주적 함의:2008년 촛불시위 사례" 5.18연구소 10 (10): 233-269, 2010

      5 박수호, "인터넷 열풍과 대인관계의 변화" 한국이론사회학회 20 (20): 401-430, 2012

      6 똥을품은배, "우리는 진보의 치어리더가 아니다"

      7 김영옥,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촛불집회와 여성의 정치적 주체성" 아시아여성연구소 48 (48): 7-34, 2009

      8 김수진, "아이디 주체(ID Subject)와 여성의 정치적 주체화: ‘나꼼수-비키니시위’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1-38, 2013

      9 조주현, "실천이론에서 본 페미니스트 인식론-여성학적지식생산의 재검토" 여성연구소 23 (23): 7-42, 2013

      10 닥치고역사, "삼국카페공동성명서에 대한 반박의견"

      1 조주현, "후기 근대와 사회적인 것의 위기: 아고니즘 정치의 가능성" 비판사회학회 95 (95): 163-189, 2012

      2 백욱인, "촛불시위와 대중: 정보사회의 대중 형성에 관하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4 (74): 159-188, 2008

      3 신진욱, "정치위기와 사회운동의 새로운 주기 : 2008년 촛불시위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이중적 과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19 (19): 96-128, 2008

      4 고경민,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 그리고 민주적 함의:2008년 촛불시위 사례" 5.18연구소 10 (10): 233-269, 2010

      5 박수호, "인터넷 열풍과 대인관계의 변화" 한국이론사회학회 20 (20): 401-430, 2012

      6 똥을품은배, "우리는 진보의 치어리더가 아니다"

      7 김영옥,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촛불집회와 여성의 정치적 주체성" 아시아여성연구소 48 (48): 7-34, 2009

      8 김수진, "아이디 주체(ID Subject)와 여성의 정치적 주체화: ‘나꼼수-비키니시위’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9 (29): 1-38, 2013

      9 조주현, "실천이론에서 본 페미니스트 인식론-여성학적지식생산의 재검토" 여성연구소 23 (23): 7-42, 2013

      10 닥치고역사, "삼국카페공동성명서에 대한 반박의견"

      11 삼국카페(쌍화차코코아, 소울드레서, 화장∼발) 대표, "삼국카페 공동성명서"

      12 임운택, "사회자본 개념의 도구화와 사회성의 경제화" 한국이론사회학회 17 (17): 85-120, 2010

      13 김문조, "불확실성의 시대, 불안한 한국인" 한국이론사회학회 21 (21): 611-643, 2012

      14 김수아,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새로운 여성 정치 주체의 가능성" 한국여성연구소 12 (12): 193-217, 2012

      15 김영은, "된장녀와 아고라, 20-30대 여성을 위한 인터넷 커뮤니티의 공론장 연구" 2012

      16 이신영, "동아시아 여성과 가족 변동" 계명대학교 출판부 71-97, 2013

      17 하딩,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나남 2009

      18 김수진, "농담과 비키니, 나꼼수 사건을 바라보는 조금 다른 시선" 한국여성연구소 12 (12): 219-253, 2012

      19 이항우,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하향적 집합행동: 2008년 촛불시위" 비판사회학회 93 (93): 244-274, 2012

      20 쿤,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2002

      21 조주현, "‘사회적인 것’의 위기와 페미니스트 정체성의 정치: 린다 제릴리의 대안" 한국이론사회학회 17 (17): 53-83, 2010

      22 Zerilli, L., "Toward a Feminist Theory of Judgment" 34 (34): 295-317, 2009

      23 Rouse, J., "Thomas Kuh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121, 2002

      24 Schatzki, T. R., "The Practice Turn in Contemporary Theory" Routledge 1-24, 2001

      25 Arendt, 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26 Nee, V., "The Handbook of Economic Sociology 2nd e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74, 2005

      27 Gordon, C.,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2, 1991

      28 Stern, D. G., "The Blackwell Guide to the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Blackwell 185-206, 2003

      29 Schatzki, T. R., "Social Practices: A Wittgensteinian Approach to Human Activity and the Soci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0 Mouffe, C., "Rorty’s Pragmatic Politics" 29 (29): 439-453, 2000

      31 Turner, S. P., "Practices as the New Fundamental Social Formation in the Knowledge Society" 59 : 49-64, 2008

      32 Rouse, J., "Philosophy of Anthropology and Sociolog" Elsevier 2007

      33 Mouffe, C., "On the Political" Routledge 2005

      34 Allen, A., "New Waves in Political Philosophy" Palgrave Macmillan 1-18, 2007

      35 Brandom, R. B., "Making it Explicit : Reasoning, Representing, and Discursive Commit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36 Okin, S. M., "Is Multiculturalism Bad for Women? Susan Moller Okin with Responden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9-24, 1999

      37 조주현, "Intersectionality Revealed: Sexual Politics in Post-IMF Korea"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5 (45): 86-116, 2005

      38 Rouse, J., "How Scientific Practices Matter: Reclaiming Philosophical Naturalis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5-160, 2002

      39 Butler, J.,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9

      40 Zerilli, L., "Feminism and the Abyss of Freedo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41 Arendt, H., "Between Past and Future" Penguin 234-259, 1961

      42 Rorty, R., "Achieving our Count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43 Gintis, H., "A Framework for the Unification of the Behavioral Sciences" 30 : 1-61, 2007

      44 이솔, "2,30대 여성들의 정치 참여 경험을 통해 본 여성주체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여성 삼국' 커뮤니티 회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7 2.1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