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 Ⅱ. 예기구비와 도설제작의 배경
- Ⅲ. 예기의 구성 및 조형적 특징
- Ⅳ. 도설 속 예기에 담긴 정치적 함의
- Ⅴ. 결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30455
2015
Korean
609
SCOPUS,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21-154(3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선, "茶禮祭祀의 淵源과 展開 및 그 特性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2006
2 박은순, "조선후기 의궤의 판화도식" 6 : 249-308, 2005
3 정희정, "조선후기 의궤도설과 기록화를 통해서 본 연향 연구-음식상 배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4 장경희, "조선후기 왕실의 옥공예장인연구-17·18세기 옥장과 각수를 중심으로" 15 : 109-149, 2001
5 유재빈,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 : 74-99, 2011
6 윤효정, "조선전기 백자 규화배(葵花盃)의 조형과 성격" 호서사학회 (68) : 413-454, 2013
7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8 강성금, "조선시대 진전 탄신다례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9
9 김주연, "조선시대 궁중의례용 쌍용도상의 유형과 함의: 일승일강용一升一降龍 도상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40) : 89-115, 2013
10 신명호, "조선시대 궁중다례의 자료해설과 역주" 민속원 200-209, 2008
1 정영선, "茶禮祭祀의 淵源과 展開 및 그 特性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2006
2 박은순, "조선후기 의궤의 판화도식" 6 : 249-308, 2005
3 정희정, "조선후기 의궤도설과 기록화를 통해서 본 연향 연구-음식상 배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4 장경희, "조선후기 왕실의 옥공예장인연구-17·18세기 옥장과 각수를 중심으로" 15 : 109-149, 2001
5 유재빈,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 : 74-99, 2011
6 윤효정, "조선전기 백자 규화배(葵花盃)의 조형과 성격" 호서사학회 (68) : 413-454, 2013
7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8 강성금, "조선시대 진전 탄신다례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9
9 김주연, "조선시대 궁중의례용 쌍용도상의 유형과 함의: 일승일강용一升一降龍 도상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40) : 89-115, 2013
10 신명호, "조선시대 궁중다례의 자료해설과 역주" 민속원 200-209, 2008
11 이욱, "조선시대 궁중다례의 자료해설과 역주" 민속원 292-373, 2008
12 김세은, "조선시대 眞殿 의례의 변화" 진단학회 (118) : 1-29, 2013
13 구혜인, "조선 후기 회화와 공예에 나타난 수박문" 한국학중앙연구원 37 (37): 62-92, 2014
14 조인수, "전통과 권위의 표상 : 高宗代의 太祖 御眞과 眞殿" 미술사연구회 (20) : 29-56, 2006
15 박계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명성황후발인반차도>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35) : 91-115, 2012
16 최소연, "역주 진전다례개요" 민속원 2015
17 임민혁, "대한제국기 ??大韓禮典??의 편찬과 황제국 의례" 역사실학회 (34) : 6-6, 2007
18 이욱,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 1894-1908년 국가 제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7 (27): 59-94, 2004
19 "국역 影幀摹寫都監儀軌"
20 "進宴儀軌"
21 이왕직, "笏記陳設圖"
22 이왕직, "祭祀 附璿源殿茶禮"
23 이왕직, "眞殿茶禮槪要"
24 "璿源殿眞殿重建都監儀軌"
25 "朝鮮王朝實錄"
26 張慶姬, "朝鮮王朝 王室嘉禮用 工藝品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9
27 신대현, "朝鮮時代 玉器 硏究 -『朝鮮王朝實錄』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18) : 199-232, 2002
28 "春官通考"
29 "日省錄"
30 "御眞圖寫都監儀軌"
31 "御容圖寫都監儀軌"
32 "影幀摹寫都監儀軌"
33 "影幀摹寫都監儀軌"
34 "影幀摹寫都監儀軌"
35 "影幀摹寫都監儀軌"
36 "影幀摹寫都監儀軌"
37 "影幀摹寫都監儀軌"
38 "弘齋全書"
39 "大韓禮典"
40 "國朝續五禮儀"
41 "國朝寶鑑"
42 "國朝五禮儀"
43 中國玉器全集編輯委員會, "中國玉器全集" 河北美術出版社 1993
44 欣弘, "中國歷代玉器" 湖南美術出版社 2006
45 馬自樹, "中國文物定級圖典" 上海辭書 2006
46 杜金鵬, "中國古代酒具" 上海文化 1997
안휘준 지음,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 (사회평론, 2015.9)
安岐와 王翬의 교류를 통해 본 清初 北方 商人의 書畫收藏 취미와 행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2 | 1.04 | 1.59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