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돌봄사업 참여자 대상 진행과정과 성과에 대한 FGI 분석 = FGI Analysis for Participants in Community Care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3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도권 중소도시인 U시에서는 2017년부터 사회복지재단의 지원을 받아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돌봄사업인 S프로젝트를 3년에 걸쳐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프로젝트의 다양한 결과 중에서 프로그램 진행과 성과, 지역사회와 프로그램 참여자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프로젝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영역별, 주제별 그리고 핵심어로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참가자들의 참여 동기로 ‘함께함의 의무’라는 핵심어를 얻을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프로젝트의 참여가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이라 인식하며 기꺼이 참여하였다. 둘째, S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을 통합프로그램, 또래 어울림, 주체로서의 참여, 일터 경험 등의 주제로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참여’라는 핵심어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발달장애인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고취할 수 있었다. 셋째, S프로젝트의 성과로 ‘나눔과 돌봄 문화의 형성’이라는 핵심어를 도출할 수 있었다. S프로젝트 참가자들은 발달장애인과 함께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지역사회 내에 나눔과 돌봄 문화가 형성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S프로젝트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나눔과 배려의 문화를 조성하는 결과를 낳았다. 향후 체계적인 커뮤니티 케어를 통해 발달장애인에 대한 보호정책을 국가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시켜가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사회 돌봄시스템 구축을 시도한 S프로젝트는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번역하기

      수도권 중소도시인 U시에서는 2017년부터 사회복지재단의 지원을 받아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돌봄사업인 S프로젝트를 3년에 걸쳐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프로젝트의 다양한 결과 중에서 ...

      수도권 중소도시인 U시에서는 2017년부터 사회복지재단의 지원을 받아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돌봄사업인 S프로젝트를 3년에 걸쳐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프로젝트의 다양한 결과 중에서 프로그램 진행과 성과, 지역사회와 프로그램 참여자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프로젝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영역별, 주제별 그리고 핵심어로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참가자들의 참여 동기로 ‘함께함의 의무’라는 핵심어를 얻을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프로젝트의 참여가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이라 인식하며 기꺼이 참여하였다. 둘째, S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을 통합프로그램, 또래 어울림, 주체로서의 참여, 일터 경험 등의 주제로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참여’라는 핵심어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발달장애인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고취할 수 있었다. 셋째, S프로젝트의 성과로 ‘나눔과 돌봄 문화의 형성’이라는 핵심어를 도출할 수 있었다. S프로젝트 참가자들은 발달장애인과 함께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지역사회 내에 나눔과 돌봄 문화가 형성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S프로젝트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나눔과 배려의 문화를 조성하는 결과를 낳았다. 향후 체계적인 커뮤니티 케어를 통해 발달장애인에 대한 보호정책을 국가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시켜가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사회 돌봄시스템 구축을 시도한 S프로젝트는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 city, a medium-sized c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d promoted the S Project, a community care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ree years with support from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gram progress and effectiveness of the S project, and the changes in community and program participants consciousnes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key word for the participant s motivation to participate was the duty of being together . Participants thought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was their role and service in the community. Second, the contents of the S project s program were analyzed under the themes of integrated programs, companionship, participation as organizers, and work experience, which led to the core word participation . Resident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were able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Third, the S project was able to derive the core word forming a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 Participants in the S project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and capacit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le carrying out program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uld be formed a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Overall, the S project has significant meaning that it created a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and consideration and 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ty care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the national-centered policy should be shifted to community-oriented, and the S project was significant for the community care system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번역하기

      U city, a medium-sized c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d promoted the S Project, a community care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ree years with support from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gr...

      U city, a medium-sized c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d promoted the S Project, a community care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ree years with support from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gram progress and effectiveness of the S project, and the changes in community and program participants consciousnes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key word for the participant s motivation to participate was the duty of being together . Participants thought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was their role and service in the community. Second, the contents of the S project s program were analyzed under the themes of integrated programs, companionship, participation as organizers, and work experience, which led to the core word participation . Resident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were able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Third, the S project was able to derive the core word forming a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 Participants in the S project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and capacit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le carrying out program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uld be formed a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Overall, the S project has significant meaning that it created a culture of sharing and caring and consideration and 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ty care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the national-centered policy should be shifted to community-oriented, and the S project was significant for the community care system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숙경,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 현황과 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205-234, 2016

      2 김효선, "통합적 장애인식 개선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자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2003

      3 고영숙,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스트레스"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4 김미옥, "탈시설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지역사회 지원체계 모색- 미국과 호주의 지원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51-79, 2018

      5 박승진, "장애인이 주인공이 된 문화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방귀일, "여기 우리 있어요. 발달장애인과 소통하는 사회"

      7 보건복지부,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낸다. 보도자료"

      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 사회보장통계. 장애인등록 장애유형별 장애인 수"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달장애인 생활실태 분석 및 통계구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0 김경민, "발달장애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상담지원에 대한 생애주기별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1-27, 2019

      1 박숙경, "한국의 장애인 탈시설 현황과 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205-234, 2016

      2 김효선, "통합적 장애인식 개선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자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2003

      3 고영숙,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스트레스"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4

      4 김미옥, "탈시설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지역사회 지원체계 모색- 미국과 호주의 지원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51-79, 2018

      5 박승진, "장애인이 주인공이 된 문화 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방귀일, "여기 우리 있어요. 발달장애인과 소통하는 사회"

      7 보건복지부,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낸다. 보도자료"

      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 사회보장통계. 장애인등록 장애유형별 장애인 수"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발달장애인 생활실태 분석 및 통계구축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0 김경민, "발달장애 성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상담지원에 대한 생애주기별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1-27, 2019

      11 김경민, "그들이 허문 것이 담장뿐이었을까: 대구 삼덕동 마을만들기" 한울 2010

      12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age 2003

      13 Morse,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Sage 1995

      14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