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삼자 역할론과 팀워크 이론을 적용한 한반도 감염병 예방을 위한 우리나라와 북한 간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 제안 = Proposal of New Communication Model on Infectious Disease between the Two Koreas Applying Third Party and Teamwork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27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와 북한은 2019년에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사회·경제·환경적 피해를 보았다. 2018년 중국, 북한, 그리고 우리나라는 몇 개월 간격으로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을 신고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군사 분계선을 중심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였고, 현재까지 그 피해의 범위는 남쪽으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시점부터 우리나라와 북한이 협력하여 선제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응하였다면,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최소화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북한 간 이러한 주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우리나라와 북한은 직접 혹은 하천이나 바다를 통해서 병원체가 전이될 수 있는 지리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향후 다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협력 체계는 필수적이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한반도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당사자들 간 의사소통은 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정치 및 이념적인 변수로 인해 지속 가능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제삼자 역할론과 팀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북한 간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을 제안하였다. 단, 감염병의 범위는 인수공통감염병과 경계를 초월한 동물질병으로 제한하였고, 북한에 대한 국내외 역학 구조에 대해서는 논외 사항으로 두었다.
      우리나라와 북한 간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을 제안하기 전, 인수공통감염병과 경계를 초월한 동물질병에 관해 이해하고,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접경 국가 간 감염병 예방·탐지·대응을 위한 의사소통 및 협력 사례 가운데 그들의 도전과제를 고찰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와 북한 간 의사소통 고안에 시사점을 안겨 주었다.
      또한, 국제보건규약(2005) 및 동물보건규약에 따른 이웃 국가 간 의사소통의 기준을 살펴보았고, 의사소통 시에는 의사소통 전문가와 관련 분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한다는 프레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와 북한 간 보건 관련 회담의 한계점과 세계보건기구 등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의 부재가 지속된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의사소통을 위해 제삼자 역할론과 팀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북한의 의사소통 참여자와 장소를 제안하였다. 제삼자 역할은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역할로 역할 범위를 한정하였다. 우리나라와 북한 사이 공통분모를 공유하는 국가, 인간보건과 동물보건과 관련된 정부 간 국제기구, 북한과 지속해서 교류하고 있는 국내외 비영리민간단체와 보건 관련 대학 컨소시엄 등을 제삼자 역할로 제안하였다. 제삼자 역할로 협력하는 국가 및 기관에 대해서는 그들의 분명한 동기부여 및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부분을 강조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부 부처 및 비정부기구 간의 협력 구조로, 총리실 산하에 북한과 의사소통 전문 부처인 통일부를 주축으로 감염병 관련 전문 부처인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제삼자 역할 국가 및 국제기구와 소통 전문 부처인 외교부 그리고 기타 주요 부처인 기획재정부, 교육부, 국방부 등과 비정부기구가 협력할 수 있는 ‘한반도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정기구’를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 부처로는 우리나라와 소통하는 통일전선부, 감염병 관련 전문 부처인 보건성, 농업성 및 수산성, 외무성 및 교육성 등이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의사소통의 시기는 평상시와 공중보건위기상황 시로 구분되어 평상시에는 공중보건위기상황을 예방·탐지·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제삼자 역할 국가 및 국제기구에서 정기적으로 의사소통하며, 공중보건위기상황 시에는 개성을 우선순위로 두되, 상황이 허락하지 않을 경우, 중국 및 러시아 등 시간 및 공간적인 접근성이 유리한 곳으로 정하여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을 가지는 것을 제안하였다. 의사소통의 주제는 국제보건규약(2005) 이행을 측정할 수 있는 글로벌보건안보 지수의 평가항목을 감염병 예방·탐지·대응·기본적인 보건 인프라 및 사회적인 환경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북한 간 70년 이상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이 부재한 상황에서 제삼자 역할이 가능한 국가, 정부 간 국제기구 및 비정부 기구 등과 팀워크를 위해 우리나라와 북한의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으로, 향후 감염병의 범위를 확대하여 한반도의 보건안보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와 북한은 2019년에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사회·경제·환경적 피해를 보았다. 2018년 중국, 북한, 그리고 우리나라는 몇 개월 간격으로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아프리카돼지열�...

      우리나라와 북한은 2019년에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사회·경제·환경적 피해를 보았다. 2018년 중국, 북한, 그리고 우리나라는 몇 개월 간격으로 세계동물보건기구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을 신고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군사 분계선을 중심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였고, 현재까지 그 피해의 범위는 남쪽으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시점부터 우리나라와 북한이 협력하여 선제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응하였다면,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최소화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북한 간 이러한 주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우리나라와 북한은 직접 혹은 하천이나 바다를 통해서 병원체가 전이될 수 있는 지리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향후 다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협력 체계는 필수적이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한반도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당사자들 간 의사소통은 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정치 및 이념적인 변수로 인해 지속 가능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제삼자 역할론과 팀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북한 간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을 제안하였다. 단, 감염병의 범위는 인수공통감염병과 경계를 초월한 동물질병으로 제한하였고, 북한에 대한 국내외 역학 구조에 대해서는 논외 사항으로 두었다.
      우리나라와 북한 간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을 제안하기 전, 인수공통감염병과 경계를 초월한 동물질병에 관해 이해하고,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접경 국가 간 감염병 예방·탐지·대응을 위한 의사소통 및 협력 사례 가운데 그들의 도전과제를 고찰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와 북한 간 의사소통 고안에 시사점을 안겨 주었다.
      또한, 국제보건규약(2005) 및 동물보건규약에 따른 이웃 국가 간 의사소통의 기준을 살펴보았고, 의사소통 시에는 의사소통 전문가와 관련 분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한다는 프레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와 북한 간 보건 관련 회담의 한계점과 세계보건기구 등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여 소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의 부재가 지속된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의사소통을 위해 제삼자 역할론과 팀워크 이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북한의 의사소통 참여자와 장소를 제안하였다. 제삼자 역할은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역할로 역할 범위를 한정하였다. 우리나라와 북한 사이 공통분모를 공유하는 국가, 인간보건과 동물보건과 관련된 정부 간 국제기구, 북한과 지속해서 교류하고 있는 국내외 비영리민간단체와 보건 관련 대학 컨소시엄 등을 제삼자 역할로 제안하였다. 제삼자 역할로 협력하는 국가 및 기관에 대해서는 그들의 분명한 동기부여 및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부분을 강조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부 부처 및 비정부기구 간의 협력 구조로, 총리실 산하에 북한과 의사소통 전문 부처인 통일부를 주축으로 감염병 관련 전문 부처인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제삼자 역할 국가 및 국제기구와 소통 전문 부처인 외교부 그리고 기타 주요 부처인 기획재정부, 교육부, 국방부 등과 비정부기구가 협력할 수 있는 ‘한반도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정기구’를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 부처로는 우리나라와 소통하는 통일전선부, 감염병 관련 전문 부처인 보건성, 농업성 및 수산성, 외무성 및 교육성 등이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의사소통의 시기는 평상시와 공중보건위기상황 시로 구분되어 평상시에는 공중보건위기상황을 예방·탐지·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제삼자 역할 국가 및 국제기구에서 정기적으로 의사소통하며, 공중보건위기상황 시에는 개성을 우선순위로 두되, 상황이 허락하지 않을 경우, 중국 및 러시아 등 시간 및 공간적인 접근성이 유리한 곳으로 정하여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을 가지는 것을 제안하였다. 의사소통의 주제는 국제보건규약(2005) 이행을 측정할 수 있는 글로벌보건안보 지수의 평가항목을 감염병 예방·탐지·대응·기본적인 보건 인프라 및 사회적인 환경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북한 간 70년 이상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이 부재한 상황에서 제삼자 역할이 가능한 국가, 정부 간 국제기구 및 비정부 기구 등과 팀워크를 위해 우리나라와 북한의 새로운 의사소통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으로, 향후 감염병의 범위를 확대하여 한반도의 보건안보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9, an outbreak of African Swine Fever(ASF) on the Korean Peninsula lead to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in the two Koreas. ASF outbreaks were reported to the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WOAH) in the order of occurrence in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ithin intervals of several months. In the case of South Korea, ASF occurred mainly aroun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has been expanding since into the south. If South Korea had preemptively acted to avoid the spread of ASF in North Korea via proper communication, the current levels of damage could have been avoided. Howeve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n did not, and do not now, have in place a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a coordinated respons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argues that establishing a continuous and regular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be a major priority. The proposed communication model was devised by applying the third-party theory and teamwork theory.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zoonotic diseases and transboundary diseases in animal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and ideological factors on North Korea were left out of the discussion. For international standards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on zoonotic diseases and transboundary animal diseases, this study used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nd WOAH data, and relevant research data for Africa and Southeast Asian cases. For North Korea, the Rodong Sinmun, academic journals, and periodicals from the beginning of the Kim Jong-un regime to 2019 were analyzed.
      First of all, zoonotic diseases and transboundary animal diseases were discussed. And, in the cases of Africa and Southeast Asia, challenges arising from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efforts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to prevent and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provided valuable lessons f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communication model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fore constructing a communication model,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ir importance for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on infectious diseases in the areas of human and animal health were examin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new frame that shows how communication experts with in-dep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culture such as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related experts from the field such as Ministries of Health;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Oceans and Fisheries must participate in together when communicating with the North.
      Based on this criter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limitations of talks on infectious diseas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communicative channels were not used even thoug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ere able to maintain sufficient communication through global health platform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continuously communicate, third party and teamwork theory were applied to propose participants and places for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role of the third party was limited to the role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A country with a common denominato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 intergovernmental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lated to human health and animal health, and a consortium of domestic and foreign non-profit private organizations and health-related universities that continuously are in exchange with North Korea were proposed as third parties. For countries and institutions that cooperate as a third-party, it was emphasized that their clear motivation and incentives are given.
      And, an essential element to protect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threat of infectious diseases is cooperation between the domestic ministries within South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hich specializes in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which is well aware of Nor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hich specialize in infectious diseases. This paper proposes the formation of a 'Coordination Organization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o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with other major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centers. In response, it was inferred that North Korea's response ministries include the United Front Department, which communicates with South Korea, the Ministry of Health,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hich are ministries specializing in infectious diseases,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tc.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Any communication should be made during peacetime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Gaeseong is the best place to come together, but should this not be possible, a way to utilize countries and institutions that can cooperate as a third party must be sought. As for the topic of communication, the evaluation items of the Global Health Security Index, which can mea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detection, response, health infrastructure, and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a new communication model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the role of third parties such as partner countries,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teamwork formed by them, in order to solve the issue of the la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Koreas over more than 70 years. The aim is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people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are responsible for health on the Korean Peninsula.
      번역하기

      In 2019, an outbreak of African Swine Fever(ASF) on the Korean Peninsula lead to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in the two Koreas. ASF outbreaks were reported to the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WOAH) in the order of occurrence in Chin...

      In 2019, an outbreak of African Swine Fever(ASF) on the Korean Peninsula lead to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in the two Koreas. ASF outbreaks were reported to the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WOAH) in the order of occurrence in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ithin intervals of several months. In the case of South Korea, ASF occurred mainly aroun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has been expanding since into the south. If South Korea had preemptively acted to avoid the spread of ASF in North Korea via proper communication, the current levels of damage could have been avoided. Howeve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n did not, and do not now, have in place a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a coordinated respons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argues that establishing a continuous and regular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be a major priority. The proposed communication model was devised by applying the third-party theory and teamwork theory.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zoonotic diseases and transboundary diseases in animal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and ideological factors on North Korea were left out of the discussion. For international standards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on zoonotic diseases and transboundary animal diseases, this study used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nd WOAH data, and relevant research data for Africa and Southeast Asian cases. For North Korea, the Rodong Sinmun, academic journals, and periodicals from the beginning of the Kim Jong-un regime to 2019 were analyzed.
      First of all, zoonotic diseases and transboundary animal diseases were discussed. And, in the cases of Africa and Southeast Asia, challenges arising from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efforts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to prevent and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provided valuable lessons f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communication model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fore constructing a communication model,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ir importance for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on infectious diseases in the areas of human and animal health were examin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new frame that shows how communication experts with in-dep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culture such as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related experts from the field such as Ministries of Health;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Oceans and Fisheries must participate in together when communicating with the North.
      Based on this criter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limitations of talks on infectious diseas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communicative channels were not used even thoug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ere able to maintain sufficient communication through global health platform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continuously communicate, third party and teamwork theory were applied to propose participants and places for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role of the third party was limited to the role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A country with a common denominato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 intergovernmental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lated to human health and animal health, and a consortium of domestic and foreign non-profit private organizations and health-related universities that continuously are in exchange with North Korea were proposed as third parties. For countries and institutions that cooperate as a third-party, it was emphasized that their clear motivation and incentives are given.
      And, an essential element to protect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threat of infectious diseases is cooperation between the domestic ministries within South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hich specializes in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which is well aware of Nor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hich specialize in infectious diseases. This paper proposes the formation of a 'Coordination Organization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o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with other major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centers. In response, it was inferred that North Korea's response ministries include the United Front Department, which communicates with South Korea, the Ministry of Health,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hich are ministries specializing in infectious diseases,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tc.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Any communication should be made during peacetime and public health emergencies. Gaeseong is the best place to come together, but should this not be possible, a way to utilize countries and institutions that can cooperate as a third party must be sought. As for the topic of communication, the evaluation items of the Global Health Security Index, which can mea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detection, response, health infrastructure, and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a new communication model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the role of third parties such as partner countries,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teamwork formed by them, in order to solve the issue of the la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Koreas over more than 70 years. The aim is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people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are responsible for health on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회심리학, 이훈구, 법문사, , 1999

      2. 사회심리학, 박옥희, 이동원, 학지사, , 2000

      3. NIP-FACTSHEETS2021, WHO, from https://www. who. int/southeastasia/nip-factsheets2021, , 2022

      4. Work team diversity, Jackson, S. E., Joshi, A, Vol 1: 651-686, , 2011

      5. Global vaccine action plan, WHO, from https://www. who. int/teams/immunization-vaccines-and-biologicals/strate gies/global-vaccine-action-plan, , 2022

      6. Strategic choice in mediation, Carnevale P. J. D., 2(1), 41-56, , 1986

      7. Rational mediation: A theory and a test, Terris, L. G., Maoz, Z, 42(5), 563-583, , 2005

      8. 인수공통감염증의 역학적 특성, 천병철, 대한의사협회지, 47(11), 1019– 1034, , 2004

      9. A study of the emergence of cooperation in mediation, Poitras J, 21(2), 281-300, , 2005

      10.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from https://www. fao. org/documents/card/en/c/cb6800en, , 2022

      1. 사회심리학, 이훈구, 법문사, , 1999

      2. 사회심리학, 박옥희, 이동원, 학지사, , 2000

      3. NIP-FACTSHEETS2021, WHO, from https://www. who. int/southeastasia/nip-factsheets2021, , 2022

      4. Work team diversity, Jackson, S. E., Joshi, A, Vol 1: 651-686, , 2011

      5. Global vaccine action plan, WHO, from https://www. who. int/teams/immunization-vaccines-and-biologicals/strate gies/global-vaccine-action-plan, , 2022

      6. Strategic choice in mediation, Carnevale P. J. D., 2(1), 41-56, , 1986

      7. Rational mediation: A theory and a test, Terris, L. G., Maoz, Z, 42(5), 563-583, , 2005

      8. 인수공통감염증의 역학적 특성, 천병철, 대한의사협회지, 47(11), 1019– 1034, , 2004

      9. A study of the emergence of cooperation in mediation, Poitras J, 21(2), 281-300, , 2005

      10.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from https://www. fao. org/documents/card/en/c/cb6800en, , 2022

      11.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9월 평양공동선언, 한규석, Retrieved October 22, 2022, from https://dialogue.unikorea.go.kr/ukd/c/ca/usrtalkmanage/View.do, , 2002

      12.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data sharing in Public Health, Grefenstette, J., Van Panhuis, W. G., Paul, P., Emerson, C., Burke, D. S., Wilder, R., Herbst, A. J., 14(1), , 2014

      13. The paradox of accepting one's share of responsibility in mediation, Poitras J, 23(3), 267-282, , 2007

      14. 몸소 가르쳐주신 토끼기르기방법. 조선녀성. 2019(7), 원은미, 근로단체출판사, , 2019

      15. Evaluating mediation strategie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Bercovitch J., Wells R., 18(1), 3-25, , 1993

      16.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Assessing what we know and how we know it, McGuire, M., 66(S1), 33-43, , 2006

      17. Third party consultation: a method for the study and resolution of conflict, Fisher, R. J, 16(1),67-94, , 1972

      18. 북한지역에서 ASF발병 현황 및 남북수의협력에 관한 연구, 조충희, 적정기술학회. 6(1). 21-27, , 2020

      19. Developing ethical practices for public health research data sharing in South Africa, Denny, S. G., Wassenaar, D., Parker, M., Silaigwana, B., Bull, S., 10(3), 290-301, , 2015

      20. Adversary and Cooperationist Institutions for conflict resolution in public policymaking, Kelman, S., 11(2), 178, , 1992

      21. 최근 유럽과 중국에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현황과 관련 동향, 남향미, 월간축산, , 2019

      22. Avian influenza, ‘viral sovereignty’, and the politics of Health Security in Indonesia, Hameiri, S., 27(3), 333-356, , 2014

      23. Effects of locus of control and style of third party intervention upon bargaining behavior, Bigoness, W. J, 61(3), 305-312, , 1976

      24. Global Database for Tracking Antimicrobial Resistance (AMR) Self-Assessment Survey (TrACSS), FAO, UNEP, WHO, WOAH, from http://amrcountryprogress. org/#/response-overview, , 2022

      25. 녀맹통신원. (녀맹통신원소식) 토끼기르기를 힘있게. 조선녀성. 2019(11), 안원순, 근로단체출판사, , 2019

      26. When talk is not cheap: Substantive penance and expressions of intent in rebuilding cooperation, Bottom, W. P., Murnighan, J. K., Daniels, S. E., Gibson, K., 13(5), 497-513, , 2002

      27. [정책-정책제안] 아프리카 돼지열병 사태, 개선된 방역체계의 밑거름되길, 박민규, Retrieved October 1, 2022, from https://www.thepub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04, , 2020

      28.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토끼를 많이 기를데 대하여 하신 교시(발취), 김일성, 조선녀성. 근로단체출판사. 남북합의서. Retrieved October 2, from https://dialogue.unikorea.go.kr/ukd/a/aa/usrtalkmanage/List.do?tab=1, , 2019

      29. “언론-소스 간 갈등 해소와 조정 기능 강화 장치로서 언론중재제도 연구”, 김영욱, 임유진, 한국언론학보. 54(1), 182-204, , 2010

      30. Transformative mediation and third-party intervention: Ten hallmarks of a transformative approach to practice, Folger, J. P., Bush, R. A., 13(4), 263-278, , 1996

      31. 녀맹통신원. (녀맹통신원소식)풀먹는집짐승기르기를 대대적으로. 조선녀성. 2019(6), 장혜경, 근로단체출판사, , 2019

      32. 감염병 공동대응을 위한 ROK-DPRK인 도협력: 코로나19를 중심으로 (Ser. KINU 정책연구시리즈 20-01), 이규창, 이상신, 조성은, 나용우, 통일연구원, , 2020

      33. 인수공통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법적 문제 - 메르스 사례로 본 인수공통감염병 관리의 한계와 대안, 윤익준, 한국법정책학회, 18(3), 99–122, , 2018

      34. 등. 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생태와 차단방역. 유엔식량농업 기구 동물 생산과 건강 매뉴얼 22. 서천, 김영준, 국립생태원과 유엔식량농업기구. 80-82, , 2020

      35. Research stakeholders views on benefits and challenges for Public Health Research Data Sharing in Kenya: The importance of trust and social relations, Kamuya, D., Parker, M., Kombe, F., Mwalukore, S., Bull, S., Marsh, V., Jao, I., 10(9), , 2015

      36. 2020년 북한의 대외무역 동향. 코트라. Retrieved November 19, 2022, from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 ?, 정의한, SITE_NO=3&MENU_ID=530&CONTENTS_NO=1&bbsGbn=249&bbsSn=249&pNttSn=190049, , 2021

      37. 갈등 해소에 있어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역할에 관한 연구: 갈등 유형, 제3자 역할, 사과가 신뢰와 협력의지에 미치는 영향, 임유진, 이화여자대학교, , 2009

      38. 풀먹는집짐승기르기를 군중적운동으로 벌리고 협동농장들의 공동축산과 농촌세대들의 개인축산을 발전시키며 어디서나 축산 열풍이 일어나게 하여야 합니다. 조선녀성. 2019(9), 리일철, 근로단체출판사, ,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