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생의 독서습관과 독서환경 실태조사 =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Habits and their Reading Enviro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73345

      • 저자
      • 발행사항

        창원 :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전공 , 2007. 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50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경희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올바른 독서습관 형성의 개선방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학생들의 독서습관과 독서환경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들의 독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아동들의 독서활동은 언제 어디서 얼마동안 이루어지는가?
      3. 아동들의 독서성향은 어떠한가?
      4. 아동들의 독서환경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마산지역 초등학교 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별이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학생개인의 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첫째, 독서인식면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즐거운 마음보다 마지못해 별 생각 없이 책을 보는 경향이 있었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독서 활동 면에서는 정해진 시간 없이 수시로 독서하며 일일 독서 시간도 30분에서 1시간대에 이뤄지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도서의 선택에서는 부모나 친구의 추천을 받아 도서를 선택하고 있었으며, 도서관에서 빌려보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독서성향은 교양서적보다는 흥미나 재미, 감각적인 흥미만을 자극하는 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항목의 세분화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선행연구결과와 다르지 않았다.
      넷째, 독서 환경 면에서는 학원수강과 과외, 학교공부에 내몰려 독서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많았고, 읽고 싶어 하는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서의 확충과 독서시설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시급하다고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올바른 독서습관 형성의 개선방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학생들의 독서습관과 독서환경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

      본 연구는 올바른 독서습관 형성의 개선방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학생들의 독서습관과 독서환경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들의 독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아동들의 독서활동은 언제 어디서 얼마동안 이루어지는가?
      3. 아동들의 독서성향은 어떠한가?
      4. 아동들의 독서환경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마산지역 초등학교 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성별이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학생개인의 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첫째, 독서인식면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즐거운 마음보다 마지못해 별 생각 없이 책을 보는 경향이 있었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독서 활동 면에서는 정해진 시간 없이 수시로 독서하며 일일 독서 시간도 30분에서 1시간대에 이뤄지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도서의 선택에서는 부모나 친구의 추천을 받아 도서를 선택하고 있었으며, 도서관에서 빌려보는 경향이 많았다.
      셋째, 독서성향은 교양서적보다는 흥미나 재미, 감각적인 흥미만을 자극하는 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항목의 세분화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선행연구결과와 다르지 않았다.
      넷째, 독서 환경 면에서는 학원수강과 과외, 학교공부에 내몰려 독서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많았고, 읽고 싶어 하는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서의 확충과 독서시설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이 시급하다고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improvement direction to form a suitable reading habit and to analyze the reality of reading environment. The issues for the study were as below.
      1. How do children think about reading?
      2. When, where, and how long has the reading activity of children been handled?
      3. How is the reading inclination of children?
      4. How is the reading environment of children?
      For this study, 4 elementary schools in Masan were selected as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below.
      After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grade and gender, and there was influence of personal variables.
      First, As the grade of children was getting higher, there was a stronger tendency to unwillingly read books without pleasure, and boys had more negative response than girls did in the aspect of reading recognition.
      Second, 'reading books on occasion without fixed time' and '30 min. to 1 hour for reading time per day' occupied the most answers in the aspect of reading activity. Moreover, books were selected by the recommendation of parents or friends and the most children borrowed books from libraries.
      Third, they usually preferred books that excited interest or fun, sensuous pleasure to educational books in the aspect of reading inclina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each item,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appeared compared with preceding studies.
      Fourth, many children answered that they didn't have enough time to read books owing to lessons in institutes, extra classes and schoolwork in the aspect of reading environment. Also it was understood that various books were required to read the books they want to read and reading facilities should be effectively applied immediat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improvement direction to form a suitable reading habit and to analyze the reality of reading environment. The issues for the study were as below. 1. How do children think about reading? 2. When, where,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improvement direction to form a suitable reading habit and to analyze the reality of reading environment. The issues for the study were as below.
      1. How do children think about reading?
      2. When, where, and how long has the reading activity of children been handled?
      3. How is the reading inclination of children?
      4. How is the reading environment of children?
      For this study, 4 elementary schools in Masan were selected as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below.
      After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grade and gender, and there was influence of personal variables.
      First, As the grade of children was getting higher, there was a stronger tendency to unwillingly read books without pleasure, and boys had more negative response than girls did in the aspect of reading recognition.
      Second, 'reading books on occasion without fixed time' and '30 min. to 1 hour for reading time per day' occupied the most answers in the aspect of reading activity. Moreover, books were selected by the recommendation of parents or friends and the most children borrowed books from libraries.
      Third, they usually preferred books that excited interest or fun, sensuous pleasure to educational books in the aspect of reading inclina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each item,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appeared compared with preceding studies.
      Fourth, many children answered that they didn't have enough time to read books owing to lessons in institutes, extra classes and schoolwork in the aspect of reading environment. Also it was understood that various books were required to read the books they want to read and reading facilities should be effectively applied immediat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독서의 의의 = 3
      • 2. 독서환경의 중요성과 바람직한 독서환경 = 9
      • 3. 초등학교 독서 교육의 방향 = 11
      • 4. 선행연구의 개관 = 12
      • Ⅲ. 연구 방법 = 14
      • 1. 조사 대상 = 14
      • 2. 조사 도구 = 14
      • 3. 자료처리 = 16
      • Ⅳ. 결과 및 해석 = 17
      • 1. 독서에 대한 인식 = 17
      • 2. 독서 활동에 대한 인식 = 20
      • 3. 아동의 독서 흥미에 대한 인식 = 26
      • 4. 아동의 독서 환경 = 28
      • Ⅴ. 논의 = 37
      • Ⅵ. 요약 및 결론 = 39
      • 참고 문헌 = 42
      • 부 록 = 44
      • ABSTRACT =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