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 지체장애아동이 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알아 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교육청 관내 512개 초등학교의 84.18%...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3620601
서울 : 단국대학교, 1995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1995
1995
한국어
서울
iv,47장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 지체장애아동이 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알아 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교육청 관내 512개 초등학교의 84.18%...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 지체장애아동이 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알아 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교육청 관내 512개 초등학교의 84.18%에 해당하는 431개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와 우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있는 서울시내 초등학교는 1) 공중전화 89.36% 2) 세면대 80.51% 3) 식수대 69.84% 4) 수납시설(사물함) 32.48% 5) 경사로 23.67% 6) 관람석 18.79% 7) 샤워실 18.56% 8) 승강기 8.35% 9) 연석경사로 4.64% 10) 우체통 3.94% 11) 욕실 1.16%로 나타났다.
이를 학교 설립년대별로 보면 1) 50년대 23.96% 2) 60 년대 23.81% 3) 70년대 25.28% 4) 80년대 25.27% 5) 90년대 27.86%로 최근 설립된 학교일 수록 편의시설의 설치가 다소 잘 된 편이었다.
둘째. 그러나 장애인이 사용하기 편하게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있는 학교는1) 출입문 52.76% 2) 계단 48.64% 3) 식수대45.40% 4) 세면대 41.35% 5) 공중전화, 우체통 36.51% 6) 통로 32.50 7) 화장실 32.20% 8) 수납시설 25.10% 9) 변기 21.09% 10) 관람석 8.36% 11) 경사로 7.81% 12) 샤워실 7.69% 13) 승강기 3.63% 14) 연석 경사로 2.74% 15) 욕실 0.73%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학교 설립년대별로 보면 1) 50년대 47.98% 2) 60년대 35.78% 3) 70년대 40.14% 4) 80년대 45.73% 5) 90년대 39.35%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