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언어표현력의 차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1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능력은 관계성이 있다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성 수준에 따라 문장표현력과 어휘표현력을 하위 요인으로 언어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창의성검사를 실시하고 fox story stem을 제시한 이야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장 수 평균은 창의성이 높은 집단이 더 높았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균발화길이의 평균은 창의성이 높은 집단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성이 높은 집단의 9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조사, 형용사, 관형사, 감탄사, 부사) 사용 평균이 더 높았으며, 특히 명사, 수사, 조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이 높은 집단의 독창적인 어휘 사용 평균이 더 높았으며 특히 형용사와 조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 언어 창의성 연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관련된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능력은 관계성이 있다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성 수준에 따라 문장표현력과 어휘표현력을 하위 요인으로 언어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능력은 관계성이 있다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성 수준에 따라 문장표현력과 어휘표현력을 하위 요인으로 언어표현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창의성검사를 실시하고 fox story stem을 제시한 이야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장 수 평균은 창의성이 높은 집단이 더 높았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균발화길이의 평균은 창의성이 높은 집단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성이 높은 집단의 9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조사, 형용사, 관형사, 감탄사, 부사) 사용 평균이 더 높았으며, 특히 명사, 수사, 조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이 높은 집단의 독창적인 어휘 사용 평균이 더 높았으며 특히 형용사와 조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 언어 창의성 연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관련된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5 year-old’s creativity and language express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here are differences in 5 year-old’s langu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0 five year-olds, 44 boys, 46 girls. They attended a child 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in an urban city, and were in middle income class of Korea.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wo levels (45 in high level group, 45 in low level group) according to their creativity scores. ‘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Noh Young Hee, Kim Kyung Chul and Kim Ho (2006) was used for scoring children’s creativity. To measur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the researcher told each child a sentence of a fox story and asked them to develop the story. Each child’s story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number of utterance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Second,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LU(Mean Length of Utterance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MLU of high creativity level group was longer than the low creativity level group.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uns, postpositions and numeral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re adjectives and rare postposition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5 year-old’s creativity and language express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here are differences in 5 year-old’s langu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Th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5 year-old’s creativity and language express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here are differences in 5 year-old’s langu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0 five year-olds, 44 boys, 46 girls. They attended a child 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in an urban city, and were in middle income class of Korea.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wo levels (45 in high level group, 45 in low level group) according to their creativity scores. ‘Teacher’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Noh Young Hee, Kim Kyung Chul and Kim Ho (2006) was used for scoring children’s creativity. To measur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the researcher told each child a sentence of a fox story and asked them to develop the story. Each child’s story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number of utterance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Second,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LU(Mean Length of Utterance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MLU of high creativity level group was longer than the low creativity level group.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uns, postpositions and numeral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re adjectives and rare postpositions according to the creativity le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81-94, 2006

      2 이연섭, "한국아동의 구문발달(1)" 한국교육개발원 1979

      3 이연섭,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1980

      4 임경순, "한국 문화 이해론 서설" 36 : 623-655, 2008

      5 김영태, "한국 2-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2 : 5-25, 1997

      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3

      7 조연순, "창의성 교육: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8 김명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관련변인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1998

      9 이경우, "좋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력 개발: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 1998

      10 이금숙, "인형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133-153, 2008

      1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81-94, 2006

      2 이연섭, "한국아동의 구문발달(1)" 한국교육개발원 1979

      3 이연섭,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1980

      4 임경순, "한국 문화 이해론 서설" 36 : 623-655, 2008

      5 김영태, "한국 2-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2 : 5-25, 1997

      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3

      7 조연순, "창의성 교육: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8 김명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관련변인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1998

      9 이경우, "좋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력 개발: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 1998

      10 이금숙, "인형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133-153, 2008

      11 김경희,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2 이은영, "이야기 꾸미기 활동과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3 권은라, "음악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8 (8): 49-68, 2008

      14 이필영, "유아의 품사 범주 발달에 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25 (25): 285-308, 2004

      15 강혜련,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및 사고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김호, "유아의 창의성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41-167, 2006

      17 김호,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55-278, 2007

      18 오한나,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가상적 내러티브,어휘력,이야기 이해력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9 이정화, "유아의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놀이장면에서의 품사별 어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6 (6): 209-237, 1999

      20 이영자,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양상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73-206, 2005

      21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2004

      22 이상금, "유아기 언어의 특성 및 기능에 대한 연구" 12 : 3-24, 1984

      23 이상금, "유아기 언어의 특성 및 기능에 관한 연구" 22 : 345-373, 1973

      24 이경화, "영재 교수-학습방법과 과제" 1 (1): 125-149, 2002

      25 김창환, "언어창의성의 개념적 고찰" 4 (4): 21-47, 2006

      26 이화선, "언어 창의성의 과제특수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385-400, 2007

      27 이화선, "언어 창의성의 과제특수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385-400, 2007

      28 박경숙, "언어 영재 판별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29 신숙희, "어머니의 언어형태와 유아의 언어,사고능력 및 창의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30 이인섭, "아동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한국 아동의 단계별 위상" 개문사 1986

      31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32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검사도구(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33 서현아, "또래 간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문과학연구소 12 (12): 113-134, 2007

      34 최순혜,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5 김희태, "동화에 대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71-85, 2005

      36 장은희, "동화 전달 경험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3

      37 신금호, "동화 구성 및 구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8 (28): 147-163, 2010

      38 현혜선,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와 구연활동이 아동의 언어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8 (28): 189-204, 2007

      39 신경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하는 극화활동과 이야기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1-28, 2007

      40 이빛나, "그림책을 활용한 작가적 전략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39-150, 2009

      41 이경화, "그룹게임 활용 언어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81-797, 2007

      42 노대규, "국어학서설" 신원문화사 1991

      43 김민수,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5

      44 노영희,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3-44, 2006

      45 장영애, "가정환경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1

      46 Bear, J, "whence creativity? overlapping and dual aspect skills and traits, In Creativity across domai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3-320, 2005

      47 이학식, "spss 16.0 매뉴얼" 법문사 2009

      48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Spinger-verlag 1983

      49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Scribner 1967

      50 Moslemi M, H, "The grading of creative writing essays" 9 (9): 154-161, 1976

      51 Rosenblatt, E, "The art of children's drawings" 22 : 3-15, 1988

      52 Hennessey, B, "Storytelling as a means of assessing creativity" 22 : 235-247, 1988

      53 Malgady, R. G, "Some information-processing models of creative writing" 71 (71): 717-725, 1979

      54 Miller, J. F, "Quantifying productive language disorders, In Resesarch on child language disorders: A decade of progress" Pro-Ed 211-220, 1991

      55 Malgady, R. G, "Psychological scaling of essay creativity: Effective of productivity and novelty" 69 (69): 512-518, 1977

      56 Urban, K. K,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4 : 177-191, 1991

      57 Berman, R. A, "Narrative structure, In Relating events in narrative: A crosslinguistic developmental stud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84, 1994

      58 Snow, C. E, "Literacy and language: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s" 53 (53): 165-189, 1983

      59 Owens, R,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Allyn and Bacon 2001

      60 Runco, M. A, "Judgments of originality and appropriateness as predictors of creativity" 15 (15): 537-546, 1992

      61 Sternberg, R. J, "Investing in creativity" 51 (51): 677-688, 1996

      62 Isaksen, S. G, "Implications of creativity fo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Transescence" 12 (12): 13-27, 1984

      63 Torrance, E. P, "Guiding creative talent" Prentice hall 1962

      64 Smith, J. K., "Educational Creativity, In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0-264, 2010

      65 Torrance, E. P,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63

      66 Choi, Soonja, "Early acquisition of Korean: A cross-linguistic study" 22 : 497-529, 1995

      67 Runco, M. A, "Divergent thinking" Ablex 1991

      68 Margaret, A. B, "Dimension of creativity" The MIT press 1999

      69 Brown, R. T, "Creativity: What are we to measure?, In Handbook of creativity" Plenum 3-32, 1989

      70 Lubart, T. I, "Creativity, In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289-332, 1994

      71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1996

      72 Best, D, "Can creativity be taught" 30 (30): 280-294, 1982

      73 Stein, N. L, "Building complexity and coherence: Children's use of goal-structured knowledge in telling stories, In Narrative development: Six approach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44, 1997

      74 Gardner, H, "Art, Mind and brain" Basic books 1982

      75 Tayler, I. A, "An emerging view of creative actions, In Perspectives in creativity" Aldine 297-325, 1975

      76 Rhodes, 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0, 1961

      77 Chomsky, N, "A review of verbal behaviour by B.F.Skinner" 35 : 26-58, 1959

      78 Isaksen, S. G, "A proposed model for the formulation of creativity research" 18 (18): 67-75, 1984

      79 Rose, L. H, "A meta analysis of long term creativity training" 18 (18): 11-12, 1984

      80 Brown, R, "A first language: The early stages" George Allen & Unwin Ltd 1973

      81 보건복지가족부, "5세 누리과정 고시문"

      82 이경화,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47-160, 2002

      83 최은아, "3세에서 8세 아동의 내용어 어휘 발달 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