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환경동화에 나타난 환경교육내용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선정한 “2010 우수 환경도서” 114종 중 유아용 도서 11권의 동화를 분석대상으로 동화에 나타난 환경 관련 어휘와 문장에서 나타나는 환경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환경 동화에 나타나는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 개발한 국가 수준의 환경교육 지침을 참고하여 환경교육내용을 준거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환경동화에 나타난 환경관련 어휘, 문장에서 추출되는 환경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환경동화의 어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추출된 환경교육내용 영역은 ‘환경문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동화의 문장에서 추출된 환경교육내용 영역은 ‘환경문제’와 ‘환경의 구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선정한 “2010 우수 환경도서” 114종 중 유아용 도서 11권의 동화를 분석대상으로 동화에 나타난 환경 관련 어휘와 문장에서 나타나는 환경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환...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선정한 “2010 우수 환경도서” 114종 중 유아용 도서 11권의 동화를 분석대상으로 동화에 나타난 환경 관련 어휘와 문장에서 나타나는 환경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환경 동화에 나타나는 환경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 개발한 국가 수준의 환경교육 지침을 참고하여 환경교육내용을 준거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환경동화에 나타난 환경관련 어휘, 문장에서 추출되는 환경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환경동화의 어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추출된 환경교육내용 영역은 ‘환경문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동화의 문장에서 추출된 환경교육내용 영역은 ‘환경문제’와 ‘환경의 구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11 environmental fairy tales were select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2010 Excellent Environmental Books”, which were rated “excellent environmental book,” for children 11 species. This study analyzed the 11 environment fairy tales for young children. The environment-related vocabulary and sentence, and plot appeared in the environmental fairy tales were analyz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nalysis proces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extract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from the environment fairy tales vocabulary was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nvironment’.
      번역하기

      In this study, 11 environmental fairy tales were select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2010 Excellent Environmental Books”, which were rated “excellent environmental book,” for children 11 species. This study analyzed the 11 environme...

      In this study, 11 environmental fairy tales were select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2010 Excellent Environmental Books”, which were rated “excellent environmental book,” for children 11 species. This study analyzed the 11 environment fairy tales for young children. The environment-related vocabulary and sentence, and plot appeared in the environmental fairy tales were analyz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nalysis proces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extract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from the environment fairy tales vocabulary was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분석방법
      • Ⅲ. 분석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분석방법
      • Ⅲ. 분석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NESCO,

      2 Wilson, R, 1-119, 2010

      3 김귀곤,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교육" 10 (10): 65-76, 1997

      4 채영란,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51-369, 2011

      5 최돈형, "환경교육학 입문" 원미사 2005

      6 최돈형, "환경교육 교수 학습론" 교육과학사 2007

      7 노경임, "환경관 분석 틀의 개발 및 환경관에 따른 인식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1999

      8 최석진, "한국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2002

      9 사순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으로서 독일의 학교 생태교육" 한국헤세학회 19 (19): 345-360, 2008

      10 최돈형, "지속가능한 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담당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0 (20): 1-18, 2007

      1 UNESCO,

      2 Wilson, R, 1-119, 2010

      3 김귀곤,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교육" 10 (10): 65-76, 1997

      4 채영란,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51-369, 2011

      5 최돈형, "환경교육학 입문" 원미사 2005

      6 최돈형, "환경교육 교수 학습론" 교육과학사 2007

      7 노경임, "환경관 분석 틀의 개발 및 환경관에 따른 인식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1999

      8 최석진, "한국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2002

      9 사순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으로서 독일의 학교 생태교육" 한국헤세학회 19 (19): 345-360, 2008

      10 최돈형, "지속가능한 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담당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0 (20): 1-18, 2007

      11 최영분,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1-30, 2005

      12 최영분,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2003

      13 지승현, "지속가능발전 이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0 (20): 76-88, 2007

      14 노희정,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윤리교육" 한국환경철학회 5 (5): 1-31, 2006

      15 교육인적자원부,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16 교육인적자원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17 권기남,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이 환경오염에 대한 지식, 정서적 태도, 행동통제감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 43 (43): 99-114, 2005

      18 박희숙, "유아의 환경소양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15-237, 2010

      19 김성옥, "유아의 생태적 사고 고양을 위한 자연체험학습 교수설계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0 권영임,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211-230, 2009

      21 환경부,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양서원 2006

      22 김경철, "유아 교수-학습 원리의 뇌 과학적 의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99-224, 2005

      23 김숙자, "유아 경제교육 관련 동화 분석 :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위한 기초 연구 Ⅵ"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55-285, 2010

      24 유안진, "아동 발달의 이해" 문음사 1999

      25 박애순, "생태지향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26 류혜숙, "생태동화를 통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89-208, 2010

      27 박성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8 이경한, "사회과 지리교육에서의 환경교육방안에 관한 논의-‘지속가능한 발전’개념을 중심으로" 9 : 197-214, 1997

      29 김정원, "문학을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4 (24): 95-115, 2003

      30 남혜경, "그림책에 나타난 환경문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31 이은진, "그림책에 나타나는 생명의식" 6 (6): 73-92, 2005

      32 송주연, "그림책 ‘강아지 똥’에 나타난 생태주의"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43-156, 2009

      33 김승렬, "국어어순연구" 한신문화사 1988

      34 환경부, "국가 환경교육 표준 지침 연구"

      35 환경부,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개발 연구 보고서" 2002

      36 Paul, H, "교사가 생각하는 환경교육: 의식과 책임감" 원미사 2007

      37 Davis, J,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future" 26 (26): 117-123, 1998

      38 Lozzi, L. A,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part on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20 (20): 6-13, 1989

      39 Tilbury, D, "The Critical Learning Year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North America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1-13, 1994

      40 Brown, 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arly Years: An Equal Opportunities Approach" Open University Press 1991

      41 Cohen, S, "Promoting ecological awareness in children" 68 (68): 258-260, 1992

      42 Kemple, K. M, "From the inside out: Nurturing aesthetic response to nature in the primary grades" 78 (78): 210-218, 2002

      43 Parsons, S. C, "Environmental: The power of Story" Greenteacher 6-7, 2003

      44 Roth, C. E,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evolution, and directions in the 1990s"

      45 Palmer, J. A,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Routledge 1998

      46 Wilson, R. A,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 l)"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994

      47 Domka, L, "Environmental education at pre-school" 13 (13): 258-263, 2004

      48 Orr, D, "Early in mind: On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human prospect" Prospect Island Press 1994

      49 Clawla, L, "Children's comcoern for the natural environmental" 58 (58): 258-260, 1988

      50 Cohen, S.,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cological awareness among preschool children" 25 (25): 103-120, 1993

      51 환경부, "2010 우수환경도서목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