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08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의 구성은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의 발달을 고려하여 자기 탐색과 수용과정, 진로탐색에 미치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15회기의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양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능력자아와 사회자아를 제외한 일반자아개념과 학급자아, 성취자아, 가족자아, 정서자아, 신체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을 제외한 계획성과 일에 대한 태도, 자기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의 구성은 중학생의 자...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의 구성은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의 발달을 고려하여 자기 탐색과 수용과정, 진로탐색에 미치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15회기의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양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능력자아와 사회자아를 제외한 일반자아개념과 학급자아, 성취자아, 가족자아, 정서자아, 신체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을 제외한 계획성과 일에 대한 태도, 자기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composition of variables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self-exploration, acceptance process, and career search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15th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8 for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data from pre- and post-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t-mort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general ego concept, class ego, achievement ego, family ego, emotional ego, and physical ego, excluding competent ego and social ego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appeared to b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attitude toward work, and self-understanding, excluding indepen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composition of variables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sel...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composition of variables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self-exploration, acceptance process, and career search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15th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8 for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data from pre- and post-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t-mort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general ego concept, class ego, achievement ego, family ego, emotional ego, and physical ego, excluding competent ego and social ego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appeared to b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attitude toward work, and self-understanding, excluding indepen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주,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2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3 具惠淑, "학교적응과 비학문자아개념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4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북스 2016

      5 임현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265-285, 2016

      6 정철영,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30, 2011

      7 임효진,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89-306, 2016

      8 송민경, "청소년기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29-347, 2011

      9 신은영, "청소년기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탐색" 13 (13): 185-199, 2004

      10 성태숙,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이봉주,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2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3 具惠淑, "학교적응과 비학문자아개념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4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북스 2016

      5 임현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265-285, 2016

      6 정철영,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30, 2011

      7 임효진,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89-306, 2016

      8 송민경, "청소년기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329-347, 2011

      9 신은영, "청소년기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탐색" 13 (13): 185-199, 2004

      10 성태숙,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최문정,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형성과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김석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도서지역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 이계완,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신선영,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5 김경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진로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75-194, 2013

      16 박필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김훈성,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대학의 자유학기제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2018

      18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동문사 2000

      19 주영주, "진로교사의 지원,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25-47, 2013

      20 전현정,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 특성 변인 및 학생 특성 변인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213-240, 2018

      21 안세지,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내용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22 임효신,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2015

      23 전인교육, "자유학기제와 행복교육: 명상으로 찾는 꿈과 희망" 전인교육학회 추계 학술자료집 2016

      24 교육부,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 2013

      25 신희철, "인천지역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2019

      26 송인섭,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학지사 1990

      27 정원식, "인간과 교육" 교육과학사 1994

      28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가 한 권으로 간추린 심리학의 원리" 부글북스 2014

      29 권대순,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0 강경미, "발달심리학" 양서원 2013

      31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07-, 2017

      32 한국 교육개발원, "고등학교 진로교육 지도안"

      33 김유미, "개인 및 부모자녀관계 요인이 일반계,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다층 모형의 적용"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93-111, 2015

      34 Ginzberg, E.,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A restatement" 20 : 169-176, 1972

      35 Burns, R. B., "The self concept in theory, measurement, development, and behaviour" Addison-Wesley Longman Ltd

      36 Smith, G. E.,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uidance class; An organizational comparision" 22 : 120-124, 1981

      37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vard University Press 1979

      38 Vondracek, F. W.,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vocational psychology" 59 (59): 252-261, 2001

      39 이재경, "MI 집단음악치료가 경계선 지능을 가진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2018

      40 김은주, "ICT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태도와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1 Super, D. 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2 (2): 3-4, 1955

      42 Zunker, V. G.,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Brooks & Co 2002

      43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 185-190, 1953

      44 교육부, "2017 학교진로교육 추진계획(안)" 교육부 진로정책과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3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