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격 평생교육에서 학습자 인식을 통한 원격기반 학점은행제 현황 분석 =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through the learners’recognition in terms of distance life-long education-based o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0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distance education is now getting development because of developing the media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stance education that is changing into a cyber university, KOCW etc. facing the future society is growing more and more in life-long education, her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evelopment plan for learner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ased on distanc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learners’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3 important features are analyzed: non-limitation of learning time, easy to hold down a job and run learning at a same time, non-limitation of learning place. Secon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the service of tutor and faculty for learners, LMS without error and convenient usage of LMS. Third, Mobile learning device is to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these results the several development plans for teaching & learning are made
      번역하기

      A distance education is now getting development because of developing the media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stance education that is changing into a cyber university, KOCW etc. facing the future society is growing more and more in life-long educatio...

      A distance education is now getting development because of developing the media recently. The importance of distance education that is changing into a cyber university, KOCW etc. facing the future society is growing more and more in life-long education, her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evelopment plan for learner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ased on distanc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learners’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3 important features are analyzed: non-limitation of learning time, easy to hold down a job and run learning at a same time, non-limitation of learning place. Secon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the service of tutor and faculty for learners, LMS without error and convenient usage of LMS. Third, Mobile learning device is to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these results the several development plans for teaching & learning are ma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덕현, "학점은행제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이두형, "학점은행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한 연구 : 학습자와 활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3 백은순, "학점은행제 학습자 특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4 박인종, "학점은행제 학습자 경력개발 경로조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5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소개"

      6 박인종,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참여 실태와 제도 효용성 분석" 국가평생교육진흥원 1 (1): 2013

      7 김신일, "학점은행제 도입 및 실시방안" 교육부 중앙교육심의회 평생교육분과위원회 1996

      8 한준상, "학점은행제 내실화 방안 연구" 평생교육진흥원 2010

      9 구신자, "프랑스의 국립 원격교육 센터 CNED의 교육제도 및 운영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2 (2): 197-232, 2006

      10 윤길준, "웹기반 원격 교원연수의 요구 분석 연구 : 평생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 한덕현, "학점은행제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이두형, "학점은행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한 연구 : 학습자와 활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3 백은순, "학점은행제 학습자 특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4 박인종, "학점은행제 학습자 경력개발 경로조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5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소개"

      6 박인종,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참여 실태와 제도 효용성 분석" 국가평생교육진흥원 1 (1): 2013

      7 김신일, "학점은행제 도입 및 실시방안" 교육부 중앙교육심의회 평생교육분과위원회 1996

      8 한준상, "학점은행제 내실화 방안 연구" 평생교육진흥원 2010

      9 구신자, "프랑스의 국립 원격교육 센터 CNED의 교육제도 및 운영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2 (2): 197-232, 2006

      10 윤길준, "웹기반 원격 교원연수의 요구 분석 연구 : 평생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1 곽덕훈, "스마트시대: 정보공유를 통한 혁신과 창조(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12 한준상, "미래 한국 평생교육정책의 비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1 (1): 2013

      13 이희수, "대한민국 평생학습운동의 대장정: 신사회운동 관점에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14 Dick, W.,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2001

      15 Holmberg, B., "The sphere of distance-education theory revisited"

      16 Simonson, M., "Teaching and learning at a distance:Foundation of distance education" 2006

      17 Traxler, J., "Susraining Mobile Learning and its Institution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12

      18 Herring, M., "Planning for interactive distance education: A handbook" AECT Publications 1997

      19 Wedemeyer, C., "Learning at the Backdoor"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1

      20 Smith, P. L., "Instructional design" MaCmilan Publishing Co 1999

      21 Javis, P., "Globalisation lifeling learning and the learning society: Sociological perspective" Rouledge 2007

      22 Heinich, 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for learning" Merrill/Prentice Hall 2002

      23 Willis, B., "Distance education: Strategies and tools"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4

      24 Perraton, H.,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34-45, 1988

      25 Abercrombie, N., "Dictionary of sociology" Penguin 2000

      26 Simonson, M., "Definition of the field" 4 (4): 2003

      27 Wiess, A., "Cloud computing: PC funtions mov onto the web" 11 (11): 16-25, 2007

      28 OECD, "Adult in higher education" OECD 1987

      29 Cross, K. P., "Adult as learners: Increasing participating and facilitating learning" Jossy-Bass 1981

      30 박인종, "2013년 학점은행제 운영방향과 과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31 권재현, "100세 시대 국가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실행계획"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