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호관찰 처분 중 상담수강명령 종결 이후 재범하지 않고 가족, 친구, 학교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적응하며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상담수강명령 전․중․후의 경험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96637
2019
-
18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1-73(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처분 중 상담수강명령 종결 이후 재범하지 않고 가족, 친구, 학교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적응하며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상담수강명령 전․중․후의 경험에 대...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처분 중 상담수강명령 종결 이후 재범하지 않고 가족, 친구, 학교 관계에서 긍정적으로 적응하며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상담수강명령 전․중․후의 경험에 대한 청소년 자신의 해석과 경험의 의미를 본질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0대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이들의 가족, 친구, 학교 공간에서의 경험을 상담수강명령에 참여하기 전․중․후라는 시간적 범주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족에 대한 경험의 주제(하위주제)는 ‘복수의 대상 그리고 나 홀로 집에’(“짐승 같은 놈”외 4개)(상담 전) -> ‘소용돌이치는 대상’(“견디시는 엄마” 외 4개)(상담 중) ->‘그래도 내 새끼’(“괜찮다 다시 하면 된다.” 외 4개)(상담 후)로, 친구에 대한 경험의 주제(하위주제)는‘싸움을 통한 존재감 확인(“무서운 존재, 그림자”외 4개)(상담 전) ->‘두려운 존재’(“소문나면 솔직히 쪽 팔리잖아요”외 4개)(상담 중) ->‘너도 괜찮네’(“내가 시비를 안거니까”외 4개)(상담 후)로, 학교에 대한 경험의 주제(하위주제)는‘찍힌 일상’(“뭐 될래” 외 4개)(상담 전) ->‘그림자 그리고 무조건’(“담임 빼고 전부다 개 무시”, 외 4개) (상담 중) ->‘부모님을 봐서라도’(“엄마한테 잘해야지”외 4개)(상담 후)로 상담을 통하여 가족, 친구, 학교에서의 경험들의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범죄의 예방 및 효과적인 개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depth meanings of juvenile delinquents’ own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urt-ordered counseling during probation. In-depth interviews concerning family, friends, and school relationships we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depth meanings of juvenile delinquents’ own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urt-ordered counseling during probation. In-depth interviews concerning family, friends, and school relationships were conducted and recorded with five teenagers who were enforced to counselling by courts, but pretty well adapting after the counseling with no recidivism.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relationships with family, friends, and schools. The themes in relations with family, friends, and schools changed in positive direction : ‘an uncomfortable opponent’(before counseling) -> ‘swirling object’(during counseling) -> ‘but it’s my son’(after counseling), ‘fighting makes alive’(before counseling) -> ‘a fearful guy’(during counseling) -> ‘You’re good too’(after counseling), and ‘stigmatized daily lives’ (before counseling) -> ‘being in shadow and with no condition’(during counseling) -> ‘for the sake of parents’(after counseling) respectively. The ways to prevent juvenile crimes and for effective interven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참고문헌 (Reference)
1 Smith, J. A., "해석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하누리 2015
2 김선희,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결손가정 남중생의 자아존중감, 책임감, 불안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손외철, "한국 소년보호관찰에서 회복적 사법의 실천방안" 한국보호관찰학회 11 (11): 109-145, 2011
4 황갑진, "학생의 학교불신 원인에 관한 연구-민주화시기에 가정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11-278, 2002
5 김옥희, "학교폭력 피해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인지적 평가,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구조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421-439, 2016
6 이완희,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종단적 메커니즘 연구: 가해와 피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0 (20): 269-292, 2018
7 박지수,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성별 간 다집단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27, 2018
8 김혜래,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 33-63, 2007
9 안상희, "탈학교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0 윤경원,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연구" 7 (7): 63-78, 2017
1 Smith, J. A., "해석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하누리 2015
2 김선희,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결손가정 남중생의 자아존중감, 책임감, 불안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손외철, "한국 소년보호관찰에서 회복적 사법의 실천방안" 한국보호관찰학회 11 (11): 109-145, 2011
4 황갑진, "학생의 학교불신 원인에 관한 연구-민주화시기에 가정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11-278, 2002
5 김옥희, "학교폭력 피해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인지적 평가,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구조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421-439, 2016
6 이완희,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종단적 메커니즘 연구: 가해와 피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0 (20): 269-292, 2018
7 박지수,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성별 간 다집단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4 (24): 1-27, 2018
8 김혜래,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 33-63, 2007
9 안상희, "탈학교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10 윤경원,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연구" 7 (7): 63-78, 2017
11 유경아, "청소년의 비행화 과정과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가정, 학교, 친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11 (11): 269-308, 2017
12 박수민, "청소년의 비행 과정과 경험에 대한 해석 현상학적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5 (15): 125-158, 2018
13 남미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41-170, 2011
14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27-251, 2009
15 법무부, "청소년복지지원법 시행령"
16 이상균, "청소년기 비행행동과 부모양육행동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6) : 157-185, 2012
17 전선영, "청소년 탈비행의 유형 및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395-415, 2013
18 박재연,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적 관계 검증 : 보호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49-272, 2009
19 김경렬, "청소년 애착유형이 공격성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20 송은주, "집단따돌림경험과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83-322, 2015
21 Joh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학지사 2015
22 구본용,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5-306, 2014
23 김남규, "역기능적 가정이 청소년 재범에 미치는 영향 - 소년 보호관찰자를 중심으로-" 2 (2): 95-112, 2017
24 박지현, "어머니의 양육행동 결정요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문제행동 간의 관계 : 일반청소년집단과 비행청소년집단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01-232, 2016
25 김재엽, "신체학대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69-191, 2012
26 한정윤, "사랑증진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7 주영신, "비행청소년의 재범 후 일상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5-31, 2008
28 정기명, "비행청소년의 보호관찰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95-127, 2013
29 신현숙,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어른권위 및 규율위반에 대한 개념화"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41-370, 2004
30 아영아, "비공식낙인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21-44, 2015
31 최나래, "부모의 공감적 양육과 청소년의 공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7 (27): 91-116, 2014
32 김의철,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 비교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487-508, 2010
33 민원홍, "보호관찰대상 비행청소년의 재비행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4 장숙희, "보호관찰 초범 청소년의 보호처분 이행 과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203-230, 2017
35 문희정, "보호관찰 청소년의 상담수강명령 이행에 대한 경험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36 장희라,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복귀과정에 관한 연구 : 자립생활관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37 문선미, "보호관찰 청소년의 보호관찰 면담 경험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2016
38 윤은미, "보호관찰 청소년의 강점관점 사례관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계명대학교 2017
39 한기혜,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부모자녀 관계" 13 (13): 95-109, 2004
40 아영아,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정신건강 및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복지학회 (34) : 81-108, 2014
41 김재은,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성대학교 2019
42 정유희, "보호관찰 기간 중 재범으로 기소처분을 받은 소년범들의 재범위험요인 분석" 한국보호관찰학회 16 (16): 221-251, 2016
43 주지선, "또래상담자의 또래상담 교육과 활동 경험에 대한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5 (15): 2557-2579, 2014
44 이영미, "또래상담 심화훈련이 또래상담자의 인간관계 태도와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문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5 손종근, "놀이 프로그램이 또래상담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46 정혜숙, "교사에게 '찍힌 아이들'의 학교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4 (4): 33-58, 2010
47 정명옥, "교류분석이론에 기반한 스트로크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7 (7): 43-61, 2017
48 방소희,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2641-2660, 2013
49 박영희, "교류분석 상담이론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5 (5): 1-20, 2015
50 차미영,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51 박민수, "고등학생의 자기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5 (5): 27-53, 2008
52 노성덕, "고등학교 또래상담 정착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53 Traub, Staurt H,., "Theory of Deviance" F. E. peacoca Publisher, Inc 1975
54 Clarkson, S. H., "The international field in transaction analysis" 22 (22): 92-98, 1992
55 제석봉, "TA교류분석의 이론과 실제" 한국 TA연구소 2006
56 Polk, K,., "School and Delinquency" Prentice HALL 1972
57 Matsueda, Ross L.,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grationist Theory" 6 : 1577-1611, 1992
58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a 1985
59 Siegl, Larry J., "Juvenile Delinquency-Theory, Practice, and LAW" West Publishing Co 1981
60 Frank W. Jerse, "Juvenile Delinquency and academic Deficiency" 49 : 1978
61 Kratcoski, Peter C., "Juvenile Delinquency" Prentice Hall 2004
62 Vera, J., "Fat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styles as mediators of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pathology on antisocial behavior in outpatient children and adolescents" 43 (43): 376-392, 2012
63 Hindelang, M. J., "Causes of Delinquency: A partial Replication and Extension" 20 : 417-487, 1973
64 법무연수원, "2018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9
65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년 학교폭력 예방 또래상담사업 결과 보고집"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여자 위기청소년 중심으로-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조절효과
탈북자의 심리․정서적 문제해결 방안으로써 교류분석 이론적용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