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사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osur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Social Workers], 윤명숙,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1(4), 174-200, , 2013
2. 북한이탈주민전문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 적 소진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from Job Stress and Burnout of the North Korea Refugee's Counselors], 노인숙, 노인숙, 배미랑, 배미랑,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1051-1064, , 2016
3. 경계/탈경계의 단계별 유형화를 위한 시도-자율적 삶을 추구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례연구. [A Typological Approach to the Marginal and Transborder Stages: A Case Study on North Korean Refugees in Pursuit of an Autonomous Life], 윤보영, 北韓硏究學會報, 20(2), 63-92, , 2016
4. 북한이주민, 윤인진, 파주: 집문당, , 2009
5. Choosing a vocation ., Parsons , F., , 1909
6. 「직업심리학」, 김병숙,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07
7. Arts of the Contact Zone, Pratt , M. L., , 1991
8. 일반논문 : 분단체제가 만들어낸"이방인", 탈북자 탈냉전과 대량탈북시대에 남한 사회에서 "탈북자"라는 위치의 한계와 가능성. [“The Stranger” in the Division System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North Korean Arrivals in South Korea], 김성경, 북한학연구, 10(1), 37-69, , 2014
9.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자의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소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on Burnout Among Settlement Support Workers for North Korean Defectors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이영준, 신보경, 손인배, 통일연구, 24(2), 81-116, , 2020
10. Cognitive aspects of prejudice ., Tajfel , H., 1 ( S1 ) , 173-191 ., , 1969
11. De-constructing concepts of care, Thomas , C., 27 ( 4 ) , 649-669 ., , 1993
12. Serendipity is not serendipitous, Krumboltz , J. D., 45 ( 4 ) , 390 ? 392 ., , 1998
13. 『질적연구방법론 Ⅰ 』,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2012
14. Phases of the mentor relationship, Kram , K. E., 26 ( 4 ) , 608-625 ., , 1983
15. Human migration and the marginal man, Park , R. E., 33 ( 6 ) , 881-893 ., , 1928
16. A new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 Roe , A ., 1 ( 4 ) , 215-220 ., , 1954
17. 특수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행복에 미치는 영 향 :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and Happiness: The Moderation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김나경, 이동귀, 특수교육, 18(4), 5-30, , 2019
18. Paraprofessionals in refugee resettlement, Ivry , J, 2 ( 1 ) , 99-118 ., , 1992
19. 상담자의 직무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unselor’s job autonomy and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n job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s of calling and self-efficacy], 진두찬, 손은정, 상담학연구, 16(4), 177-192, , 2015
20. A procedure for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Johnsson , T., 33 ( 1 ) , 21-29 ., , 1992
21.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 Polk , L. V., 19 ( 3 ) , 1-13 ., , 1997
22. 외상생존자와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대한 역할갈등, 업무부담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 [Influences of Role Conflict, Workloa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Self-efficacy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Working with Trauma Survivors], 박윤미, 윤혜미, 한국아동복지학, -(36), 289-322, , 2011
23. 병원 간호사가 지각한 상사의 지지와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역할확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Calling and Role Breadth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Supervision and Job Crafting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한수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3), 251-261, , 2020
24. Conflict and cohesion : a review of the literature, Stein , A . A, 20 ( 1 ) , 143 ? 172, , 1976
25. 환대에 대하여 (남수인 역). 서울: 東文選, Dufourmantelle, A., Derrida, J., (원서출판 1997), , 2004
26. A life-span ,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Super , D. E., 16 ( 3 ) , 282-298 ., , 1980
27. Dynamics of calling : A longitudinal study of musicians, Dobrow , S. R., 34 ( 4 ) , 431-452 ., , 2013
28. Resilience and thriving : Issues , models , and linkages, Carver , C. S., 54 ( 2 ) , 245-266 ., , 1998
29.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 (Burnout Process) 모델-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Burnout Process Model of Social Workers: Analysis of the Paths from the Job-related Stressors, Job-stress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to Burnout], 이명신, 한국사회복지학, 56(4), 5-34, , 2004
30. Groups and individuals : Explanations in social psychology, Doise , W., , 1978
31. Explication and test of a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Wiemann , J. M., 3 ( 3 ) , 195-213 ., , 1977
32. 갈등의 사회적 기능. (박재환 역). 서울: 한길사, Coser, L. A., (원서출판 1956), , 1980
33. 소진 (Burnout) 의 개념 분석. [Concept Analysis of Burnout], 최혜영, Health & Nursing (구 간호과학), 22(2), 27-38, , 2010
34. Athlete burnout : Potential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ender , L. K., 3 ( 1 ) , 63-71 ., , 1989
35. The indigenous worker : A new approach to the social work technician, Brager , G., 10 ( 2 ) , 33-40 ., , 1965
36. The many faces of socialidentity : Implications for political psychology, Brewer , M. B, 22 ( 1 ) , 115-125 ., , 2001
37. Communicative adaptability : A measure of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Duran , R. L., 31 ( 4 ) , 320-326 ., , 1983
38. Leininger 's theory of nursing : Cultural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Leininger , M. M., 1 ( 4 ) , 152-160 ., , 1988
39.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 : 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Burford , B, 46 ( 2 ) , 143-152, , 2012
40. Creating a bridge to healing : A professional/paraprofessional team approach, Dubus , N., 23 ( 3 ) , 327-336 ., , 2009
41. Extreme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new integrated view of having a calling, Dobrow , S. R., , 2004
42. Does the glove really fit ? Qualitative research and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Padgett , D. K., 43 ( 4 ) , 373-381 ., , 1998
4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신강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17, , 2003
44. 북한이주민들의 남한사회에서 직장 유지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신윤정, 전주람, 통일과 평화, 11(2), 351-398, , 2019
45. 새터민 상담접근의 쟁점. [Toward A Counseling Model for North Korean Immigrants], 이장호,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308-309, , 2008
46. Caring , the Human Mode of Being : A Blueprint for the health professions ( 2nd rev . ed. ), Roach , M. S., , 2002
47. 질적 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Creswell, J. W., (원서출판 2007), , 2010
48. 민원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에 미치 는 영향: 대구,경북 민원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that the Emotional Labor of Officials in Charge of Civil Appeal have on Self-Efficacy and Job Burnout: Focusing on the Officials in Charge of Civil Appeal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성영태, 한국인사행정 학회보, 13(2), 183-210, , 2014
49. Training refugee mental health providers : Ethnography as a bridge to multicultural practice, Go ? dziak , E. M., 63 ( 2 ) , 203-210 ., , 2004
50. Transcendent vocations : Their relationship to stress , depression , and clarity of self-concept ., Treadgold , R., 39 ( 1 ) , 81-105 ., , 1999
51.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권수현, 이승연, 한국교원교육연구, 27, 137-157, , 2010
52. Formalized mentor relationships for management and executive development programs in the federal government, Klauss , R., 41 ( 4 ) , 489-496 ., , 1981
53. 돌봄노동의 여성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pproach to the Feminization of Care Work], 안숙영, 한국여성학, 34(2), 1-32, , 2018
54. 마을활동가의 직업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Maeul Activists], 정석, 김동민, 서울도시연구, 20(1), 1-17, , 2019
55.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f Social Worker’s Factor of Burnout], 진혜민, 백정원, 남희은, 한국산학기 술학회논문지, 16(2), 1045-1053, , 2015
56.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의 엄무부담: 개인적 요인들의 중심으로. [Personal Fact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Obstructing Settlement in South Korean Communities and Job Burden Perceived by Police Officers Who are Providing Special Protection for Them], 원미순, 홍순혜, 박윤숙, 한국사회복지학, 52(-), 223-240, , 2003
57. 경력개발 이론의 평가와 연구방향.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Review and Research Directions], 김흥국, 인적자원개발연구, 2(2), 1-41, , 2000
58. 돌봄노동의 제도화와 여성들의 차이. [Institutionalization of Care Labor and Differences among Women], 이숙진, 페미니즘 연구, 11(2), 49-83, , 2011
59. The role of work in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 a conceptual , historical , and public policy perspective, Blustein , D. L., 63 ( 4 ) , 228-240 ., , 2008
60.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A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of Korean Adolescents], 조한익, 이해리, 한국청소년연구, 16(2), 161-206, , 2005
61. 사회과 양적 연구의 실태 분석. [Articles : An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method research on social studies], 길현주, 시민교육연구, 41(1), 21-39, , 2009
62. 표본조사에서 비확률표집 방법론 고찰. [A Study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ology in Sample Surveys], 김규성, 조사연 구, 18(1), 1-29, , 2017
63. 북한이탈주민과 기독교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North Korean Refugee and Christianity ―Focused on NGO], 최현종, 神學과 宣敎, 52(-), 217-244, , 2018
64. 사회적 범주화, 가치 선호 및 내집단 편애. [Social Categorization , Value Preference and Ingroup Favoritism], 이수원, 이해경,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8(2), 108-123, , 1994
65. Bridge Builders :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Former Refugees Working as Caseworkers in the United States, Shaw , S. A, 40 ( 3 ) , 284 ? 296, , 2014
66.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ilience of Police Officer on Burnout], 김성환, 한국치안행정논집, 14(3), 23-40, , 2017
67. 북한이탈주민 직장적응 실태 분석과 제언. [A Study on the work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ions], 이지영, 최경원, 대한정치학회보, 29(1), 55-87, , 2021
68. 단축형 직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Sale], 이정애, 상담학연구, 14(2), 1093-1106, , 2013
69. 탄력성 (resilience) 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홍은숙,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 2006
70.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와 직무에 대한 인식 분석: 지역적응센터 담당자 역량모델 개발의 기반 형성. [The Research on the Job Analysis of the Settlement Servi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Service Practitioners’ Perception of their Job: Focused on Building up the found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노경란, 노경란, 統一 政策 硏究, 19(1), 237-274, , 2010
71.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Identity (Social Workers VS Nurses)], 신은정, 김양이, 임상사회사업연구, 10(1), 23-49, , 2013
72.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K)], 심예린, 유성경,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47-872, , 2012
73. 북한이탈주민의 정착문제와 전망-취업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dap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ciety], 강창구, 사회과학연구, 20(1), 51-63, , 2011
74. 진로발달 접근을 통한 진로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eer Planning Applied Concepts of Career Development Approach], 김충기, 진로교육연구, 10(1), 135-182, , 1999
75.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와 요인. [The study on burnout among teachers in schools for North Korea refugee students], 윤석주, 손지희, 교육문제연구, 28, 109-134, , 2015
76. 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직무경험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Types in Job Experiences of Care Service Workers], 옥수선, 옥수선, 조향숙, 조향숙, 社會科學硏究, 32(2), 243-269, , 2016
77. 질적/후기 실증주의 연구작업에서 고려해야 할 방법적 이슈 들. [Methodic Issues in Qualitatitive / Postpositivist Research], 김영천, 교 육과정연구, 14(3), 41-72, , 1996
78. 남한 내 탈북자들의 의식 및 생활 만족도 연구. [The Way of Thinking and Satisfaction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전우택, 윤덕용, 엄진섭, 신경정신의학, 43(1), 93-104, , 2004
79. 북한이탈주민 지원 인력의 소진 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Factors Leading to Burn-out of North Korean Refugee Supporters], 김현아, 전우택, 유시은, 도지완, 統一 政策 硏究, 26(2), 267-292, , 2017
80. 여성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 (burnout)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Female Public Social Workers’ Burnout], 이형렬, 송경민, GRI 연구논총, 12(2), 171-200, , 2010
81.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Optimis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Counselor Burnout], 윤정임, 정남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49-68, , 2009
82.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 정책방향 연구. [A Study on South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North Korean Defactors], 권숙도, 韓國 政治 硏究, 23(1), 101-126, , 2014
83. 상담학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on Counseling Psychology in Korea], 박승민, 상담학연구, 13(2), 953-977, , 2012
84. 탈북민 전문상담사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수퍼비전 연구. [Supervision for empowering counselors working with North Korean defectors], 김주찬, 연세상담코칭연구, 6(-), 33-55, , 2016
85. 장애아동가족의 Resilience 관련 요인척도의 개발. [Factor Scale Development Related to Resilienc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오승아, 이양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21-48, , 1999
86. 발달과정에서 위험요소에 노출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보호요인 분석. [Resilience and Protective Factors in At - risk Children], 이완정, 아동학회지, 23(1), 1-16, , 2002
87.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지원제도의 발전방향.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김혜원,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12, 109-134, , 2020
88. 새터민 동료상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rth Korean Defector Peer Counselor`s Experience in Counseling], 김현아, 김영경,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81-1009, , 2009
89.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 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Burn Out in Clinical Nurse], 이은영, 강현숙, 인적자원관리연구, 27(3), 1-11, , 2020
90. 남한출신 복지관련 종사자는 탈북 동료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How do South Korean Welfare Workers View their North Korean Defector Coworkers?], 전주람, 신윤정,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2(2), 39-67, , 2018
91.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최미경, 김정희,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 2013
92.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for Social Security], 전혜연, 강선주, 기지혜, 김영일, 권지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4), 127-161, , 2014
93.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pervision on Social Workers' Self-Efficacy :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성희자,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2, 73-91, , 2007
94. 북한이탈주민에 의한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 연구. [A Plan to Enhance "Professional Counseling for North Korean Defector" by North Korean Defector], 김병욱, 社會科學硏究, 19(1), 34-72, , 2011
95. 북한이탈여성노인의 남한사회 정착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ettlement of Elderly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이은혜, 이현주, 오보람, 한국노년학, 29(4), 1501-1520, , 2009
96. 북한출신 주민(탈북자 포함) 심리사회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A Psycho-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s], 이장호, 성곡논총, 28(4), 739-789, , 1997
97. 북한이탈주민 중 고령자의 직업선택과 그 과정에 대한 경험 연구. [Study of experience of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on job choice and process], 허옥희, 통합사회복지연구, 1(1), 27-49, , 2018
98. 작업치료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직무태도에 미치 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n the Job Attitude of Occupational Therapists], 이성희, 방요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3(1), 95-108, , 2015
99. 남북 문화 간 통합을 위한 새터민 조력자의 교육모형 탐색. [The Study on South Korean Inter-cultural Education Training Model for North Korean Refugee],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아시아교육연구, 9(3), 1-28, , 2008
100. 탈북자들과 보호경찰관들의 인간관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Human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Policemen in Charge], 전우택, 통일연구, 4(1), 21-64, , 2000
101.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유형. [The Patterns and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Study], 이연우, 전우택, 유시은, 統一 政策 硏究, 20(2), 1-35, , 2011
102. 북한이탈주민의 전환적 진로선택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of Transitional Career Choice Process North Korean Defects], 김혜영,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2), 240-250, , 2020
10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자의 교육 실태 및 요구. [Collection Basic Data for Training Education of Practitioners of Supporting the Refugees’ Settlement], 전연숙, 여성연구논총, 16(-), 53-85, , 2015
104. 북한이탈주민에서 우울 증상과 회복탄력성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전진용, 안지현, 이효철, 이경은, 홍진표, 김해수, 사회정신의학, 22(2), 67-74, , 2017
105. 소명의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소명실행의 조절효과. [The Relation between Calling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Living a Calling], 민지현, 강에스더, 이혜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4), 491-516, , 2017
106. 북한이탈주민들의 전문상담사 상담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North Korean Refugees` Counseling Experiences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권수영, 최정헌, 상담학연구, 12(5), 1683-1702, , 2011
107.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신우열, 김주환, 김민규,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 2009
108.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Resilience Research Trends and Tasks: Focusing on the Concept and Scale of Resilience], 기경희, 김광수, 초등상담연구, 17(2), 157-175, , 2018
109.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탄력성, 자아 존중감과 이직의도. [Resilience to Burnout,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김현주, 이해랑, 최순옥, 이해랑, 김현주, 최순옥, 노인 간호학회지,15(3), 218-226, , 2013
110. 직업상담사의 직업선택과정에서 ‘계획된 우연’의 역할. [The role of ‘Planned Happenstance’ in the process of choosing occupa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오현주, 안윤정, 진로교육연구, 25(4), 117-140, , 2012
111.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act with North Korean Residents on Trust and Acceptance by South Koreans], 양계민, 정진경,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특), 97-115, , 2005
112. 탄력성 척도의 비교 및 탄력성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탐색. [Comparison of Three Resilience Scales and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김수안, 민경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223-243, , 2011
113.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의 원인 탐색. [Causes of Burnout among South Korean Counselors Working with North Korean Refugee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노인숙, 조선희, 정신간호학회지, 21(4), 303-310, , 2012
114.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과 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Social Adapta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Mediating Effects of Self-Support Efficacy], 김희진, 최지현, 정윤경, 사회과학연구, 31(2), 157-182, , 2015
115.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을 통해 본 통일준비. [Preparing for Reunification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outh Korean Citizens and North Korean Refugees], 신미녀, 사회과학연구, 19(1), 87-112, , 2010
116. 보건소 보건의료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및 소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elf Efficacy, and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최현경, 하영미, 양승경,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5(1), 75-82, , 2016
117. 북한이탈주민 서비스 실무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ve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of the Service Providers Working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김연희, 김유경, 사회과학연구, 23(4), 167-188, , 2012
118. 경계인 이론을 통한 남한 정착 북한이탈주민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New Metholog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n Defectors : Focusing on Marginal Man Theory], 윤보영, 사회과학연구, 22(3), 187-216, , 2015
119.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윤여상, 한선영, 김현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93-718, , 2007
120. 예비 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Type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김애경,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31-253, , 2015
121. 일반논문 : 제국주의와 여행서사 -메리 루이스 프랫의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Imperialism and Travel Writings -focusing on Mary Louise Pratt`s Inquiries-], 김남혁, 現代文學理論硏究, 60(-), 131-161, , 2015
122. 일선 복지담당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 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Resilience on Burnout of Public Social Worke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김영환, 이정서,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23(9), 157-162, , 2018
123. 부정적 정서 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Variations in regulation styles related to the kind of emotions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김지현, 장승민, 민경환, 윤석빈,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16, , 2000
124.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North Korean defectors counseling needs and the predicting factors for their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조영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 2009
125.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 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Job Environment on Burnou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박재흥, 장용언, 공공정책연구, 36(1), 351-370, , 2019
126. 사회복지서비스기관 일선종사자의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on Line-Worker's Self-Efficacy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김소정, 한국 사회복지행정학, 8(3), 86-111, , 2006
127. 놀이치료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소진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of Adverse Perfectionism to Burnout in Play Therapists: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이승희, 인문사회 21, 9(2), 1011-1024, , 2018
128. 사회복지관 초임 사회복지사의 직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Job Experience of the Beginning Social Worker Working at Community WelfareCenter], 정선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7(1), 67-100, , 2005
129.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특징과 결정요인 - 서울 경기 인천지역 거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National Identit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권수현, 홍은정, 통일연구, 22(1), 5-38, , 2018
130. 상담일반 : MMPI검사결과를 통한 새터민의 심리상담적 접근: 가양동 새터민을 중심으로.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Saeteomin through MMPI Results: based on Gayang-Dong Saeteomin], 이장호, 강숙정, 상담학연구, 10(1), 235-250, , 2009
131. 사회복지종사자 에서 정서공감과 소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Empathy and Burnout Among Social Welfare Workers :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김성완, 박인후, 강영신, 최승기, 이주연, 오민주, 생물치료정신의학, 26(1), 23-30, , 2020
132. 탈북여성들의 트라우마와 한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Rsearch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Trauma and Resettlement Support of South Korea Community], 최현실, 여성학연구, 21(1), 161-204, , 2011
133.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Counselor’s Career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Commitment], 박미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879-897, , 2016
134.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이 소진에 미치는 영 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Re-education on Burn-out: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최정민, 장신재, 모지환,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2), 125-145, , 2011
135. 홍지은, 이수인, 박미경, 김재민, & 윤진상. 정서공감과 회복탄력성이 상담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fective Empathy and Resilience on Burnout in School Counselors], 이주연, 김성완, 생물치료정신의학, 22(3), 163-172, , 2016
136. 홍지은, 이수인, 박미경, 김재민, & 윤진상. 정서공감과 회복탄력성이 상담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fective Empathy and Resilience on Burnout in School Counselors], 이주연, 김성완, 생물치료정신의학, 22(3), 163-172, , 2016
137.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abor experiences of care service worker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and relation-based labor, 김송이, 여성연구, 82(1), 103-136, , 2012
138. 북한출신 사회복지사의 실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두 길 사이를 가로놓으며, 함께 살아냄".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North Korean migrant social workers], 김성남, 윤민화, 이민영, 한국가족복지학, 51(-), 7-40, , 2016
139.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과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Calling and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김혜원, 한수정, 간호행정학회지, 25(3), 220-228, , 2019
140. 적응유연성 연구의 전망: 개념 및 방법론적 문제와 학교-기반 예방을 위한 시사점. [The promise of resilience research: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and implications for school-based prevention], 신현숙, 교육학연구, 41(2), 431-456, , 2003
141.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이미란, 탁정화, 이혜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491-512, , 2017
142.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의 대처전략과 직무효능 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ping Strategies and Vocational Self-Efficacy on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양정빈, 김석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350-358, , 2017
143. 청소년지도사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Worker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민희정, 이정아, 청소년시설환경, 17(3), 5-14, , 2019
144. 서비스제공자의 지각된 감정노동이 소진 및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The Influences of Service Provider’s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김남기, 배병렬, 산업경제연구, 25(1), 497-521, , 2012
145. 자기 효능감, 지각된 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Perceived-fit, and Intrinsic motivation on Burnout of Sexual counsel office staff], 김해숙, 임수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4), 461-475, , 2011
146.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 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of Music Therapists], 박진희, 소혜진, 예술심리치료연구, 15(4), 247-269, , 2019
147. 사회복지사의 소진, 감정노동, 외상 후 스트레스에 관한 분석 -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Burnout, Emotional Labor, and Post Traumatic Stress of Social Workers: Foucsed on Kangseo-gu in Seoul], 박승곤, 문성호, 노지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0(69), 103-125, ,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