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이념적 기초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표준보육과정의 법적근거 및 개발과정, 표준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53163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37(19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이념적 기초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표준보육과정의 법적근거 및 개발과정, 표준보...
최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이념적 기초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표준보육과정의 법적근거 및 개발과정, 표준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표준보육과정의 성격, 영역 및 내용,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등 표준보육과정 현황을 소개한 후 이에 따른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표준보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로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지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사회적 통합과 연대 및 공동체 의식 강조, 보육대상별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재설정, 발달특성 중심에서 복지욕구, 지역 및 계층특성, 사회적 필요성을 추가, 보호 측면 강조, 연령의 세분화,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이원화, 영유아 중심의 운영과 이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 강화, 표준보육과정 실천을 위한 교수방법 및 활동방법 제시, 보육내용을 1, 2, 3수준을 0-5세로 구분, 표준보육과정 이행 여부 점검 및 평가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quality of child-care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ed to reform task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gal foundation, developmental process, goals and contents of Nati...
Since quality of child-care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ed to reform task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gal foundation, developmental process, goals and content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promoting, 2) emphasizing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spirit, 3) resetting the child care goal according to subject of child care, 4) adding need for social welfar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or class, social need, 5) emphasizing dimension of care, 6) age-segmentation, 7) dualization of goal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those of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8) child-oriented operation, 9) facilitating of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10) guiding teaching meth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연주, "한국의 표준보육과정과 일본의 보육지침에서건강영역의 비교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79-503, 2007
2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연구" 2005
3 표갑수, "탁아사업의 기능과 전문사회사업가의 역할" 17 : 1991
4 유희정, "육아지원인력양성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5 신은미, "유치원교육과정에서 교사의 힘지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5
6 신화식,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2) : 103-123, 2008
7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모형의 변화 방향 탐색 : 역사적 접근" 한국아동학회 23 (23): 77-88, 2002
8 여성가족부, "영유아보육법령집"
9 이옥주, "영유아보육과정의 이해" 정민사 2007
10 여성가족부, "어린이집에 ‘표준보육과정’ 보급된다"
1 오연주, "한국의 표준보육과정과 일본의 보육지침에서건강영역의 비교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79-503, 2007
2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연구" 2005
3 표갑수, "탁아사업의 기능과 전문사회사업가의 역할" 17 : 1991
4 유희정, "육아지원인력양성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5 신은미, "유치원교육과정에서 교사의 힘지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5
6 신화식,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2) : 103-123, 2008
7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모형의 변화 방향 탐색 : 역사적 접근" 한국아동학회 23 (23): 77-88, 2002
8 여성가족부, "영유아보육법령집"
9 이옥주, "영유아보육과정의 이해" 정민사 2007
10 여성가족부, "어린이집에 ‘표준보육과정’ 보급된다"
11 표갑수, "아동청소년복지" 청주대학교 출판부 1994
12 김영모, "아동보육프로그램의 개발모형"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98
13 김영모, "아동보육개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98
14 유희정, "빈민지역 보육프로그램의 실효성 검토 및 모형개발" 9 : 1997
15 이옥, "빈곤층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탁아소 프로그램의 확대 방안. in: 탁아연구" 양서원 1991
16 한국여성개발원, "보육시설 실태조사 보고: 2004년 전국 교육, 보육 실태조사(2)" 여성부 2005
17 이한은,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정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이훈희,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이순형, "보육과정" 학지사 2006
20 野澤 正子, "兒童養護論. in: 아동양육의 위기와 사회적 보호" 인간과 복지 1995
21 Hughes, F. P., "Human Development" West Publishing Co. 1996
22 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lildhood Program" 1997
23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 MacMillan and Free Press 1916
유아의 도덕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 전문성 평가
보육시설 클라이언트의 지각된 편익이 관계몰입과 전환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