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중국 경험 이후 김태준의 조선학 연구와 역사동력 인식 = After the Experience in China in the 1930s, Kim Tae-jun’s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Recognition of Historical Pow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태준은 1930년대 초 중국의 사회변화를 목도하며 좌파 문학 운동을 경험하고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을 수용했다. 그는 사상 대립의 축으로 신문화운동 이후 보수화된 국고정리운동 그룹과 함께 국민정부를 설정했다. 김태준은 두차례의 중국 사상문화 체험에서 사회 현실을 통제하고 있는 국민정부의 실상을 확인하고, 대중과 결합되지 않은 국가 정책의 허상을 파악했다. 중국의 혁명적 변화 가능성을 기대했던 김태준은 국민정부의 보수적인 학술 문화정책과 사상통제에 실망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조선학 연구에도 반영되었다.
      1933년 김태준은 조선학의 ‘국학적’ 연구를 비판하고 ‘사회학적’ 연구를 지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때 ‘국학적’ 연구에는 일본의 국수주의적 국학뿐만 아니라 시대착오적인 중국의 국고정리운동과 파쇼적인 국민정부의 국사 정책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인식 하에서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학은 조선 연구의 대립축으로 설정되었다. 김태준은 조선학운동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았고, 역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절대시하면서도 연구 방법론의 단계적 발전을 부정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은 ‘사회학적’ 연구로 심화되었다. 김태준은 세계사적 발전 법칙에 의거한 고전의 역사성 탐구와 과거의 재인식을 주장했다. 그러나 역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부정하는 주류 마르크스주의자의 정체적 조선 연구에 대한 대립적 인식은 명확하지 않았다.
      김태준은 씨족사회에 대한 연구에서 역사발전의 동력에 대하여 기술의 진보를 통한 생산력의 발전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씨족사회의 해체기에 나타난 ‘지배자의 철학’이 봉건사회의 해체와 함께 파탄되었음을 증명하며 이를 복원시키려 하는 민족주의 계열을 비판했다. 그리고 역사상 민란을 검토하며 새로운 계급적 주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무산대중의 적극성을 강조하고 혁명적 정당의 필요성을 주장한 3.1운동사 이해는 이러한 인식의 정점이었다. 조선학의 ‘국학적’ 연구를 배격하고 ‘사회학적’ 연구의 내부 분화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 채, 주체적인 부르주아의 형성을 간과했던 김태준의 행보는 해방 이후 무산계급의 영도권을 주장하는 남로당을 향했다.
      번역하기

      김태준은 1930년대 초 중국의 사회변화를 목도하며 좌파 문학 운동을 경험하고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을 수용했다. 그는 사상 대립의 축으로 신문화운동 이후 보수화된 국고정리운동 그룹과...

      김태준은 1930년대 초 중국의 사회변화를 목도하며 좌파 문학 운동을 경험하고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을 수용했다. 그는 사상 대립의 축으로 신문화운동 이후 보수화된 국고정리운동 그룹과 함께 국민정부를 설정했다. 김태준은 두차례의 중국 사상문화 체험에서 사회 현실을 통제하고 있는 국민정부의 실상을 확인하고, 대중과 결합되지 않은 국가 정책의 허상을 파악했다. 중국의 혁명적 변화 가능성을 기대했던 김태준은 국민정부의 보수적인 학술 문화정책과 사상통제에 실망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조선학 연구에도 반영되었다.
      1933년 김태준은 조선학의 ‘국학적’ 연구를 비판하고 ‘사회학적’ 연구를 지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때 ‘국학적’ 연구에는 일본의 국수주의적 국학뿐만 아니라 시대착오적인 중국의 국고정리운동과 파쇼적인 국민정부의 국사 정책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인식 하에서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학은 조선 연구의 대립축으로 설정되었다. 김태준은 조선학운동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았고, 역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절대시하면서도 연구 방법론의 단계적 발전을 부정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은 ‘사회학적’ 연구로 심화되었다. 김태준은 세계사적 발전 법칙에 의거한 고전의 역사성 탐구와 과거의 재인식을 주장했다. 그러나 역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부정하는 주류 마르크스주의자의 정체적 조선 연구에 대한 대립적 인식은 명확하지 않았다.
      김태준은 씨족사회에 대한 연구에서 역사발전의 동력에 대하여 기술의 진보를 통한 생산력의 발전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씨족사회의 해체기에 나타난 ‘지배자의 철학’이 봉건사회의 해체와 함께 파탄되었음을 증명하며 이를 복원시키려 하는 민족주의 계열을 비판했다. 그리고 역사상 민란을 검토하며 새로운 계급적 주체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무산대중의 적극성을 강조하고 혁명적 정당의 필요성을 주장한 3.1운동사 이해는 이러한 인식의 정점이었다. 조선학의 ‘국학적’ 연구를 배격하고 ‘사회학적’ 연구의 내부 분화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 채, 주체적인 부르주아의 형성을 간과했던 김태준의 행보는 해방 이후 무산계급의 영도권을 주장하는 남로당을 향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1930s, in China, Kim Tae-jun witnessed a social change and experienced the leftist literature movement, as well as embraced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Along with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group that became conservative after the May Fourth Movement, Kim established the Nationalist Government in the ideological conflict. In his two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culture in China, Kim saw the state of affairs of the Nationalist Government that was controlling the social reality and realized the illusion of national policies that did not reconcile with the public. Kim anticipated the possibility of China’s revolutionary change, however was disappointed with the reality of China under the increasingly conservative Nationalist Government. His disappointments were also reflected in his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1933, Kim Tae-jun criticized the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argued for promoting ‘sociological’ research. In this criticism of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he included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of China which was anachronistic as well as the national history policies of the fascist Nationalist Government. With such awareness, Kim established Korean studies affiliated with nationalism as being contradictory to Korean studies. Kim did not acknowledge the meaning of the Korean studies movement, and while he considered the legalistic development of history as absolute, he contradicted himself when he denied the gradual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In the meantime,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intensified as a ‘sociological’ research. Kim argued for an inquiry into the historicity of the classics based on the rules of world history an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ast. However, he was not clear on the conflicting awareness regarding the identity-oriented Korean study of the mainstream Marxists who rejected the legalistic development of history.
      In the research on clan society, Kim Tae-jun understood the driving force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productivity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He proved that the ‘philosophy of the ruler’ that appeared at the period of dissolution of clan society had dissolved with the dissolution of feudal society, and he criticized the nationalist affiliations that tried to restore this. Furthermore, he re-examined people’s insurrections throughout history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new class-based identity. The histor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which he emphasized the initiative of the people and the need for a revolutionary political party was the peak of his perspective on history. Denouncing the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deferring his judgement on the internal division of ‘sociological’ research, Kim overlooked the formation of an autonomous bourgeoisie. After Korea’s liberation, his actions targeted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which argued for the proletariat’s right to lead.
      번역하기

      In the early 1930s, in China, Kim Tae-jun witnessed a social change and experienced the leftist literature movement, as well as embraced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Along with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group that becam...

      In the early 1930s, in China, Kim Tae-jun witnessed a social change and experienced the leftist literature movement, as well as embraced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Along with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group that became conservative after the May Fourth Movement, Kim established the Nationalist Government in the ideological conflict. In his two experiences of the ideological culture in China, Kim saw the state of affairs of the Nationalist Government that was controlling the social reality and realized the illusion of national policies that did not reconcile with the public. Kim anticipated the possibility of China’s revolutionary change, however was disappointed with the reality of China under the increasingly conservative Nationalist Government. His disappointments were also reflected in his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1933, Kim Tae-jun criticized the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argued for promoting ‘sociological’ research. In this criticism of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he included the Re-evalu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Movement of China which was anachronistic as well as the national history policies of the fascist Nationalist Government. With such awareness, Kim established Korean studies affiliated with nationalism as being contradictory to Korean studies. Kim did not acknowledge the meaning of the Korean studies movement, and while he considered the legalistic development of history as absolute, he contradicted himself when he denied the gradual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In the meantime, historical materialism of Marxism intensified as a ‘sociological’ research. Kim argued for an inquiry into the historicity of the classics based on the rules of world history and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past. However, he was not clear on the conflicting awareness regarding the identity-oriented Korean study of the mainstream Marxists who rejected the legalistic development of history.
      In the research on clan society, Kim Tae-jun understood the driving force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productivity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He proved that the ‘philosophy of the ruler’ that appeared at the period of dissolution of clan society had dissolved with the dissolution of feudal society, and he criticized the nationalist affiliations that tried to restore this. Furthermore, he re-examined people’s insurrections throughout history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new class-based identity. The histor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which he emphasized the initiative of the people and the need for a revolutionary political party was the peak of his perspective on history. Denouncing the ‘nation studies-oriented’ research of Korean studies and deferring his judgement on the internal division of ‘sociological’ research, Kim overlooked the formation of an autonomous bourgeoisie. After Korea’s liberation, his actions targeted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which argued for the proletariat’s right to lea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마르크스주의 수용과 중국 사상문화 체험
      • Ⅲ. 비판적 조선학 연구의 전개와 역사동력 인식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마르크스주의 수용과 중국 사상문화 체험
      • Ⅲ. 비판적 조선학 연구의 전개와 역사동력 인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준, "金台俊文學史論選集" 현대실학사 1997

      2 이재령, "현대중국과 지식인" 신서원 2003

      3 陳以愛, "현대 중국의 학술사-베이징 대학 연구소 국학문을 중심으로" 도서출판 길 2013

      4 아리프 딜릭, "혁명과 역사" 산지니 2016

      5 오병수, "항전시기 중국의 “중국 근대사” 서술과 동아시아 인식의 변용 및 그 유산" 인문과학연구소 (50) : 255-288, 2017

      6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7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8 "학등"

      9 "중명"

      10 백영서, "중국사회성격논쟁" 창작과비평사 1988

      1 김태준, "金台俊文學史論選集" 현대실학사 1997

      2 이재령, "현대중국과 지식인" 신서원 2003

      3 陳以愛, "현대 중국의 학술사-베이징 대학 연구소 국학문을 중심으로" 도서출판 길 2013

      4 아리프 딜릭, "혁명과 역사" 산지니 2016

      5 오병수, "항전시기 중국의 “중국 근대사” 서술과 동아시아 인식의 변용 및 그 유산" 인문과학연구소 (50) : 255-288, 2017

      6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7 이지원, "한국 근대 문화사상사 연구" 혜안 2007

      8 "학등"

      9 "중명"

      10 백영서, "중국사회성격논쟁" 창작과비평사 1988

      11 "조선중앙일보"

      12 "조선일보"

      13 "조선어문학회보"

      14 "조선어문"

      15 김태준, "조선소설사" 청진서관 1933

      16 정두음, "장제스와 국민당 엘리티스트 1930년대 남의사" 선인 2013

      17 "자유신문"

      18 정진석, "일제시대 민족지 압수기사 모음 2" LG상남언론재단 1998

      19 채관식, "안재홍의 인류학 이론 수용과 조선 상고사 연구 - 「朝鮮上古史管見」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7) : 117-154, 2014

      20 "신흥"

      21 신남철, "신남철 문장선집"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22 "문학타임스"

      23 "매일신보"

      24 "동아일보"

      25 김태준, "김태준전집 1~5" 보고사 1990

      26 이용범, "김태준(金台俊)과 궈모뤄[郭沫若] ― 한 고전학자의 인식론적 전환의 계기" 민족문학사학회 (56) : 419-451, 2014

      27 김용직, "김태준 평전" 일지사 2007

      28 이용범, "김태준 초기이력의 재구성과 ‘조선학’의 새로운 맥락들" 민족문학사학회 (59) : 343-376, 2015

      29 홍석표, "근대 한중 교류의 기원-문학과 사상 그리고 학문의 교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30 "국도신문"

      31 김학무, "近代朝鮮革命運動史" 解放新聞社 1947

      32 천성림, "近代中國 思想世界의 한 흐름" 신서원 2002

      33 ブロイド, "民族の起源及び其の発達並びに帝国主義時代に於ける民族問題" 共生閣 1932

      34 文友印書館, "民主主義十二講" 文友印書館 1946

      35 조선과학자동맹, "朝鮮解放과 三一運動" 조선정판사 1946

      36 이청원, "昨年 朝鮮學界의 收穫과 趨勢 一考(6)"

      37 金達壽, "新日本文學" 1951

      38 郭沫若, "支那古代社會史論" 內外社 1930

      39 민두기, "中國史時代區分論" 창작과비평사 1984

      40 林甘泉, "中國古代社會性格論議" 중문 1991

      41 정래동, "丁來東全集" 금강출판사 1971

      42 이태훈, "Sin Nam-ch’ôl’s Universal Historicism and Criticism of Korean Intellectual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null (null): 305-355, 2015

      43 Kiyoung Choi, "Kim Hak-Moo’s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the left Youth Group"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null (null): 287-325, 2010

      44 조형열, "1930년대 조선의 ‘역사과학’에 대한 학술문화운동론적 분석" 고려대학교 2015

      45 채관식, "1930년대 전반 ‘고대사회’ 이론의 수용과 한국 고대사 연구-안재홍과 백남운을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57) : 189-22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