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 시기 중국인민지원군 · 연변(延邊) 조선인 사회의 ‘후방지원’ 활동과 북중 ‘혈맹’관계의 강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 10월 19일 한반도에 진입하여 1958년 북한에서 철수한 중국인민지원군은 1950년대 북중관계의 요체이자 두 나라를 매개하는 가장 중요한 행위자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역사적으...

      1950년 10월 19일 한반도에 진입하여 1958년 북한에서 철수한 중국인민지원군은 1950년대 북중관계의 요체이자 두 나라를 매개하는 가장 중요한 행위자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역사적으로 북한과 중국이 가장 긴밀하고 협조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는 1950년대의 북중관계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중국인민지원군의 활동과 역할을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글은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후방지역(비전투지역)에서 행해진 중국인민지원군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변 조선인 사회의 ‘항미원조운동’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항미원조운동’이 ‘후방’인 북한 일부 지역과 연변에서 각각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났는지 그려보고자 하였다.
      중국인민지원군은 후방지역에서 다양한 구호 사업을 벌였다. 농번기에는 춘경 파종 등 농사일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였고, 겨울철이 되면 북한 주민들의 월동 준비를 도왔다. 자신들에게 지급된 양식을 절약하여 폭격의 피해로 신음하는 북한 피난민들에게 건네거나 전쟁고아 양육 시설에 물품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중국인민지원군의 후방지원 활동은 분야를 가리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굉장히 다양한 경로와 이유로 북한 주민들과의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활동은 정전 후 중국인민지원군의 북한 전후복구 사업 지원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중국인민지원군의 일방적인 시혜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북한 주민들 역시 중국인민지원군에게 선물과 서한 등을 보내거나 위문대를 조직하여 이들을 위로하였다. 자신의 목숨을 걸고 중국인민지원군 부상병들을 구조한 북한 간호대원이나 지역 주민의 사례도 심심치 않게 보도되었다. 한국전쟁 시기 북중관계를 설명할 때 북한은 일방적인 수혜자로 그려지는 경향이 강하였지만, 실제 북한에서 생활하며 전투를 치러야 하는 중국인민지원군들에게 북한 주민의 도움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이는 ‘국가 대 국가’ 차원에서는 포착할 수 없는 지점이다.
      한국전쟁 기간 중 중국 동북지역, 특히 연변 역시 북한의 후방지역으로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후방기지로서 연변의 역할 가운데에서, 대대적인 참전운동을 통한 지원병 모집, 북한 전쟁고아 수용 및 교육 등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한국전쟁 당시 가장 중요한 연변의 역할로 꼽아야 하는 것은 이곳을 비롯한 중국 동북지역이 북한 주요 기관과 인물들의 안전한 ‘피난처’가 되어주었다는 점이다. ‘피난처’로서의 연변은 계속된 전투로 지쳐 있는 조선인민군 부대를 재편하고 병력을 충원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같은 모습은 국공내전 시기 북한이 중국공산당에 제공한 도움과 매우 닮아 있다. 북한과 중국은 각자가 가장 어려운 시기에 서로에게 거의 유일하고도 절대적인 지원세력으로 기능하면서 ‘혈맹’관계를 강화해갔던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중국에서의 ‘항미원조운동’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
      • Ⅲ. 중국인민지원군의 후방지원 사례와 북한 주민과의 접촉
      • Ⅳ. 연변 조선인 사회의 ‘항미원조운동’과 북중 협력관계의 구축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중국에서의 ‘항미원조운동’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
      • Ⅲ. 중국인민지원군의 후방지원 사례와 북한 주민과의 접촉
      • Ⅳ. 연변 조선인 사회의 ‘항미원조운동’과 북중 협력관계의 구축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廉仁鎬, "해방 직후 延邊 조선인 사회의 변동과 6?25전쟁" 한국근현대사학회 20 : 292-320, 2002

      2 진탁, "한국전쟁시기‘중국군’의 참전과 동원 유형 및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39): 37-71, 2016

      3 김용현, "한국전쟁 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 10 (10): 149-164, 2006

      4 이세은, "한국전쟁 시기 중공의 지식인·학생의 대중동원 : '항미원조운동'과 북경대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보미, "한국전쟁 시기 북·중 갈등과 소련의 역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86-132, 2013

      6 정다운, "한국전쟁 시기 中國 東北地域의 “抗美援朝運動”과 내셔널리즘: 吉林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7 김선호, "한국전쟁 당시 조선인민군의 재편과정과 북한·중국·소련의 갈등과 조율" 2016

      8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 수집과, "한국전쟁 관련 중국자료선집 1·2"

      9 션즈화, "최후의 천조" 선인 2017

      10 김동길,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후 및 한국전쟁 초기, 중국의 한국전쟁과 참전에 대한 태도 변화와 배경" 역사학회 (225) : 231-261, 2015

      1 廉仁鎬, "해방 직후 延邊 조선인 사회의 변동과 6?25전쟁" 한국근현대사학회 20 : 292-320, 2002

      2 진탁, "한국전쟁시기‘중국군’의 참전과 동원 유형 및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39): 37-71, 2016

      3 김용현, "한국전쟁 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 10 (10): 149-164, 2006

      4 이세은, "한국전쟁 시기 중공의 지식인·학생의 대중동원 : '항미원조운동'과 북경대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보미, "한국전쟁 시기 북·중 갈등과 소련의 역할" 심연북한연구소 16 (16): 86-132, 2013

      6 정다운, "한국전쟁 시기 中國 東北地域의 “抗美援朝運動”과 내셔널리즘: 吉林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7 김선호, "한국전쟁 당시 조선인민군의 재편과정과 북한·중국·소련의 갈등과 조율" 2016

      8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 수집과, "한국전쟁 관련 중국자료선집 1·2"

      9 션즈화, "최후의 천조" 선인 2017

      10 김동길,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후 및 한국전쟁 초기, 중국의 한국전쟁과 참전에 대한 태도 변화와 배경" 역사학회 (225) : 231-261, 2015

      11 서상문, "중조연합사령부 재론: 창설과정과 배경"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5) : 1-54, 2015

      12 정현수, "중국조선족 증언으로 본 한국전쟁" 선인 2006

      13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편집위원회,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6: 창업" 민족출판사 1994

      14 박영실, "중국인민지원군과 북·중관계" 선인 2012

      15 한상준, "중국인민지원군 철군의 원인과 중·북 관계" 국제지역연구원 19 (19): 5-39, 2012

      16 김동길,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원인 연구 : “국방선(國防線)”의 무혈확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5-53, 2016

      17 임방순, "중국의 대북한 원조에 관한 연구 : 중-소 관계변화의 영향"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18 김정현, "중국의 ‘抗美援朝’ 전쟁과 周恩來" 만주학회 (17) : 159-195, 2014

      19 최승현, "중국의 "항미원조운동"시기 선전동원네트워크의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2 (22): 5-23, 2017

      20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중국군의 한국전쟁사 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

      21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중국군의 한국전쟁사 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

      22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중국군의 한국전쟁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23 정현수, "중국 조선족의 한국전쟁 참전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1-270, 2004

      24 金鈺晙, "중국 ‘항미원조운동’의 대내적 성격과 의의" 한국중국문화학회 (23) : 2007

      25 David Tsui,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Ⅵ) 한국전쟁 개입을 위한 준비: 1950년 1월~9월(1)" 40 : 2007

      26 션즈화, "조선전쟁의 재탐구: 중국·소련·조선의 협력과 갈등" 선인 2014

      27 이신재,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설치 배경에 대한 연구-한국전쟁 시기 북중(北中)갈등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35-66, 2012

      28 김진계, "조국 (상)" 현장문학사 1990

      29 胥超, "제2차 국공내전기 북조선노동당 대 중공의 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6

      30 박영실, "정전회담을 둘러싼 북한 중국 갈등과 소련의 역할" 북한대학원대학교 14 (14): 43-80, 2011

      31 박영실, "정전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對북한 지원과 철수"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65-291, 2006

      32 한성훈, "전쟁과 인민: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과 인민의 탄생" 돌베개 2012

      33 연변당사학회, "연변 40년 기사(1949~1989)" 연변인민출판사 1989

      34 박종철, "순망치한의 혈맹: 중국의 북한 지원을 중심으로(1953~1955년)" 31 : 2007

      35 예프게니 바자노프, "소련의 자료로 본 한국전쟁의 전말" 열림 1998

      3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3-, 2001

      37 김보미, "북한의 전후복구 시기 사회주의 진영의 원조와 ‘주체’의 제기(1953∼1955)" 아세아문제연구소 56 (56): 309-346, 2013

      38 안태윤, "북한여성들이 겪은 한국전쟁-전쟁동원활동과 체제하의 생존전략-" 한국여성사학회 (20) : 178-213, 2014

      39 이종석, "북한-중국 관계: 1945~2000" 중심 2000

      40 김보미, "북한 '자주로선'의 형성 1953∼1966 : 비대칭동맹의 특수사례" 북한대학원대학교 2013

      41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선인 2005

      42 션즈화, "마오쩌둥, 스탈린과 조선전쟁" 선인 2010

      43 "로동신문"

      44 염인호, "또 하나의 한국전쟁: 만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 역사비평사 2010

      45 정협 연변조선족자치주 문사자료위원회, "돌아보는 력사" 료녕민족출판사 2002

      46 백원담, "냉전’ 아시아의 탄생: 신중국과 한국전쟁" 문학과학사 2013

      47 崔玥, "黑龍江人民在抗美援朝運動中的貢獻" 2009 (2009): 2009

      48 林伟京, "论抗美援朝战争中的政治动员" 2007 (2007): 2007

      49 徐焰, "毛澤東與抗美援朝戰爭" 解放軍出版社 2003

      50 "東北朝鮮人民報"

      51 黃潤浩, "東北地域朝鮮共産主義者的“双重使命”硏究" 延邊大學校 人文社會科學學院 2012

      52 華山, "朝鮮戰場日記" 新華出版社 1986

      53 載振亞, "朝鮮孤兒在遼陽" 1993

      54 傳焜, "抗美援朝運動期 중국공산당의 한국 이미지 만들기 : 『인민일보』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55 김창규, "抗美援朝運動 시기 인민동원과 국가통합 이념으로써 ‘愛國’" 동양사학회 (129) : 275-305, 2014

      56 朱继光, "抗美援朝运动中的江苏南京志愿医疗团" 18 (18): 2011

      57 趙寶紅, "抗美援朝戰爭中寬甸人民反細菌戰紀實" 2011 (2011): 2011

      58 张慧, "抗美援朝战争期间东北地区社会控制" 2011 (2011): 2011

      59 陳利, "從抗美援朝檔案看安東人民搶脩江橋的巨大貢獻" 3 : 2009

      60 "延邊民報"

      61 朱继光, "南京抗美援朝分会活动述略" 2011 (2011): 2011

      62 "人民日報"

      63 汪晖, "二十世纪中国历史视野下的抗美援朝战争" 2013 (2013): 2013

      64 강성, "中國 檔案館 資料로 본 上海 北韓 實習生에 대한 中國의 敎育(1953~1956)" 서울시립대학교 2016

      65 延邊朝鮮族自治州檔案局(館), "中共延邊吉東吉敦地委 延邊專署重要文件匯編 1"

      66 박영실, "『로동신문』을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후 복구 과정(1953~1958년)" 평화문제연구소 25 (25): 329-359, 2013

      67 박정수, "≪동북조선인민보≫를 통해서 본 연변조선족과 6・25전쟁" 고려사학회 (37) : 345-384, 2009

      68 문미라, "≪延邊民報≫를 통해 본 해방 직후 延邊人民民主大同盟의 성립과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69) : 138-167, 2014

      69 손춘일, "[연구노트] 한국전쟁 발발 후 북한난민에 대한 중국정부의 정책" 세종연구소 21 (21): 161-190, 2015

      70 廉仁鎬, "6·25戰爭과 延邊 朝鮮人 社會의 關聯性에 관한 一考察" 한국근현대사학회 (28) : 310-338, 2004

      71 이상숙, "1958년 북한주둔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의 원인과 영향 : 북한의 대중국 협력 확대와 대중동원 경제노선 강화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3 (13): 83-107, 2009

      72 장창준, "1950년대 북중동맹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중국인민지원군의 한국전쟁 참전과 철수를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2010

      73 손해룡, "1950년대 “항미원조운동” 중 나타난 한반도 인식 ― 국내 시사선전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59) : 155-190, 2011

      74 동지에, "1950~1960년대 북한 산업연수생의 북경 연수활동" 심연북한연구소 15 (15): 7-3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