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에 대한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사각지대에 놓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과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교육과 지원이 아닌 장애와 진단을 강조하는 접근으로 인하여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로 학생의 문제나 요구를 파악하고,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는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의 내용, 차원과 군집,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 12인이 참여한 인터뷰 결과 45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둘째,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 26인이 참여한 유사도 평정 결과 이러한 진술문은 ‘교육청 및 지역사회-학교 및 가정’ 및 ‘직접적 교육 지원-관련 서비스’의 2차원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 · 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시스템 구축’의 세 군집으로 가장 잘 설명되었다. 셋째, 중요도 평정 결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내 시스템 구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번역하기

      교육사각지대에 놓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과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교육과 지원이 아닌 장애와 진단을 강조하는 접근으로 인하여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

      교육사각지대에 놓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과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교육과 지원이 아닌 장애와 진단을 강조하는 접근으로 인하여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로 학생의 문제나 요구를 파악하고,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는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의 내용, 차원과 군집,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 12인이 참여한 인터뷰 결과 45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둘째,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 26인이 참여한 유사도 평정 결과 이러한 진술문은 ‘교육청 및 지역사회-학교 및 가정’ 및 ‘직접적 교육 지원-관련 서비스’의 2차원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 · 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시스템 구축’의 세 군집으로 가장 잘 설명되었다. 셋째, 중요도 평정 결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내 시스템 구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laws and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to support at-risk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yslexia. However,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focused more on disability and its diagnosis rather than education and support, has been problematic due to the lack of supportive systems for certain disa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comorbidity.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his issue because they serve an important role in detecting problems at an early stage and delivering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In this study, teachers’ perceptions of ways to support at-risk learners was explored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interview transcripts of 12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and 45 statements were extracted. These statements were sorted and rated by 26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hich then were used to analyze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statements. The results could be best interpret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education office and community-school and family axis and second the direct educational support-related services axis, and three groupings, which are teacher initiated suppor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education offices and supportive systems at schoo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acher initiated support was the highest, and other two were quite simila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Many laws and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to support at-risk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yslexia. However,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focused more on disability and its diagnosis rather ...

      Many laws and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to support at-risk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yslexia. However,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focused more on disability and its diagnosis rather than education and support, has been problematic due to the lack of supportive systems for certain disa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comorbidity.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his issue because they serve an important role in detecting problems at an early stage and delivering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In this study, teachers’ perceptions of ways to support at-risk learners was explored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interview transcripts of 12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and 45 statements were extracted. These statements were sorted and rated by 26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hich then were used to analyze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statements. The results could be best interpret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education office and community-school and family axis and second the direct educational support-related services axis, and three groupings, which are teacher initiated suppor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education offices and supportive systems at schoo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acher initiated support was the highest, and other two were quite simila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2 김동일,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학습 전략의 효과 탐색 및 학교 중심 프로그램 개발" 2 (2): 75-152, 2005

      3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4 임유나, "학습부진학생 지도와 내실화 방안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연구: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소 11 (11): 119-147, 2013

      5 이화진, "학습부진학생 지도· 지원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적 방향 탐색" 14 : 18-41, 2009

      6 김용욱,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69-99, 2009

      7 이대식, "학습부진 학생 지원 실태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교육연구소 24 (24): 151-170, 2018

      8 김동일,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12, 2018

      9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10 허학도, "학교공동체 구성원 역할 연구" 교육과학사 2005

      1 김애화, "학습장애, 난독증, 학습부진(경계선 지능 포함) 및 학습지원대상 학생은 누구이며, 교육적 지원은 이대로 괜찮은가?: 특수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소고"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1-21, 2018

      2 김동일,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학습 전략의 효과 탐색 및 학교 중심 프로그램 개발" 2 (2): 75-152, 2005

      3 이대식,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의 특징과 발전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01-132, 2015

      4 임유나, "학습부진학생 지도와 내실화 방안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연구: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소 11 (11): 119-147, 2013

      5 이화진, "학습부진학생 지도· 지원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적 방향 탐색" 14 : 18-41, 2009

      6 김용욱,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69-99, 2009

      7 이대식, "학습부진 학생 지원 실태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교육연구소 24 (24): 151-170, 2018

      8 김동일,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12, 2018

      9 김지은, "학력향상 중점학교 사업의 기초학력 향상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17-139, 2012

      10 허학도, "학교공동체 구성원 역할 연구" 교육과학사 2005

      11 손승현, "특수교육요구(Special Needs Education)의 국제적 맥락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25-47, 2017

      12 김주선, "특수교육 대상자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차이 분석" 서울대학교 2018

      13 고재천,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15-137, 2015

      14 정찬석,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1-35, 2004

      15 최한나, "좋은 수퍼비전 관계에 대한 수퍼바이지의 인식 차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21, 2008

      16 김지연, "장애위험아동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 근거이론을 적용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165-193, 2017

      17 김동일,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장애 요인: 명시적 지식과 묵시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63-79, 2003

      18 최수미,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CQR-M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421-442, 2018

      19 김의정, "연구 기반 읽기 및 내용강화 전략으로 구성된 사회과 중재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사회과 어휘지식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1-30, 2014

      20 황미연,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42 (42): 191-211, 2016

      21 민경화,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Concept Mapping)방법의 적용" 한국상담학회 8 (8): 1291-1307, 2007

      22 김동일, "미래 학습장애 교육 디자인: 한국적 과제와 전망"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18, 2015

      23 윤창국, "미국교육복지정책의 변화-1960년대 이후 초중등교육법 제1편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203-226, 2010

      24 이용범, "두드림(Do-Dream)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학습 또는 교과학습 부진학생의 반응분석" 7 (7): 77-96, 2016

      25 염철현, "낙오학생방지법(NCLB) 시행 6년의 성과, 과제, 그리고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167-188, 2009

      26 조영희, "기초학습부진학생을 잘 지도하는 학교의 특성: 개념도 방법 적용"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55-73, 2015

      27 권영주, "구조화된 집단놀이치료가 경계선지능 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2 (2): 52-71, 1998

      28 정일환, "교육행정학의 탐구 : 개념과 실제" 원미사 2003

      29 최수미,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조기선별을 위한 학습자 속성 탐색 연구: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345-365, 2018

      30 김인희, "교육복지의 개념에 관한 고찰 -교육소외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의 이론적 기초정립에 관하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283-308, 2006

      31 김정덕, "교육복지 개념에 대한 종사자의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35-265, 2015

      32 안직수, "경기도교육청, 난독증 초등학생 300명 치료 지원" 경기신문

      3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경기도/북부 난독증 & 읽기부진 지원 프로그램 결과보고회 자료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34 변관석, "경계선 지능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79-109, 2017

      35 Brewster, A. B., "Teacher support and the school engagement of Latin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of school failure" 21 (21): 47-67, 2004

      36 Salvesen, K. A., "Screening for learning disabilities with teacher rating scales" 27 (27): 60-66, 1994

      37 Sweetland, S. R., "Schoo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utcomes : Toward an organizational model of student achievement in middle schools" 36 (36): 703-729, 2000

      38 Druian, G., "School Improvement Research Series Topical Synthesis # 1" 1987

      39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40 Goodyear, P., "Network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Students’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50 (50): 473-508, 2005

      41 U.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Survey on High School Strategies Designed to Help At-Risk Students Graduate" U.S. Department of Education

      42 Jorgensen, M. A., "History of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NCLB)" Pearson Education 2003

      43 Gol, A. R.,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 A concept mapping approach" 23 (23): 155-171, 2004

      44 나경은,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 진단기준의 변화가 국내 학습장애 학생 선정에 주는 시사점"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53-77, 2013

      45 Paulson, B. L., "Counseling for suicide : Client perspectives" 80 (80): 86-93, 2002

      46 Kane, 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Inc 2007

      47 Trochim, W. M.,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12 (12): 1-16,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09 2.5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