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2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창의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론’과 ‘종일반’을 제외한「유치원 지도서」11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성관련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준거는 인지적 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와 정의적 요소(민감성, 자발성, 호기심, 개방성, 집착성)이다. 이들 분석준거에 의해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 목표와 활동 방법에 따른 생활주제, 활동유형, 연령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 내용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치원 지도서의 목표에는 정의적 요소가 인지적 요소보다 매우 높았으며, 생활주제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 활동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창의성 관련 내용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활동방법에서도 정의적 요소가 더 많았으나 활동목표보다 인지적 요소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주제별에서는 ‘생활도구’, 활동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창의성 관련 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창의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론’과 ‘종...

      본 연구는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창의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론’과 ‘종일반’을 제외한「유치원 지도서」11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성관련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준거는 인지적 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와 정의적 요소(민감성, 자발성, 호기심, 개방성, 집착성)이다. 이들 분석준거에 의해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 목표와 활동 방법에 따른 생활주제, 활동유형, 연령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 내용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치원 지도서의 목표에는 정의적 요소가 인지적 요소보다 매우 높았으며, 생활주제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 활동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창의성 관련 내용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활동방법에서도 정의적 요소가 더 많았으나 활동목표보다 인지적 요소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주제별에서는 ‘생활도구’, 활동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창의성 관련 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reflection extent of creativity-related factors included in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a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revised in 2007.
      The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consisted of 11 categories except for general summary and all day class. This analyzed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in 11 content areas.
      First, creativity-related factors in the purpose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resented the defined factors twice more than the cognitive factors. The ‘fluency’(cognitive factors) and ‘curiosity’ (defined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ly. The creativity-related factors presented to contain by life subject ‘countries around the world’, ‘life tools’ and ‘nation’. activity pattern presented to contain the purpose of freedom choice activity more than the purpose of large&small size group. Especially, the purpose of ‘molding activity’ and ‘to talk’ presented a lot frequency creativity -related factors. also with increasing age,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in all age groups was reflected the purpose of ‘curiosity’, ‘sensitivity’ and ‘fluency’
      Second, the creativity-related factors presented activity method in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also, presented defined factors more than others. The ‘imagination’(cognitive factors) and ‘sensitivity’(defined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 by life subject ‘life tools’, ‘environment & life’ and ‘spring, summer, fall, winter’ presented to contain a lot creativity-related factors. This showed not-suitable the activity method development in the purpose. The activity pattern presented activity method of freedom choice activity more frequency than activity method of large&small size group. The activity method of ‘molding & outdoor activity’ presented to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And with increasing age,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but when 5-year-old, creativity presented to contain cognitive factors more than defined facto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reflection extent of creativity-related factors included in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a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reflection extent of creativity-related factors included in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a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revised in 2007.
      The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consisted of 11 categories except for general summary and all day class. This analyzed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in 11 content areas.
      First, creativity-related factors in the purpose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resented the defined factors twice more than the cognitive factors. The ‘fluency’(cognitive factors) and ‘curiosity’ (defined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ly. The creativity-related factors presented to contain by life subject ‘countries around the world’, ‘life tools’ and ‘nation’. activity pattern presented to contain the purpose of freedom choice activity more than the purpose of large&small size group. Especially, the purpose of ‘molding activity’ and ‘to talk’ presented a lot frequency creativity -related factors. also with increasing age,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in all age groups was reflected the purpose of ‘curiosity’, ‘sensitivity’ and ‘fluency’
      Second, the creativity-related factors presented activity method in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also, presented defined factors more than others. The ‘imagination’(cognitive factors) and ‘sensitivity’(defined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 by life subject ‘life tools’, ‘environment & life’ and ‘spring, summer, fall, winter’ presented to contain a lot creativity-related factors. This showed not-suitable the activity method development in the purpose. The activity pattern presented activity method of freedom choice activity more frequency than activity method of large&small size group. The activity method of ‘molding & outdoor activity’ presented to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And with increasing age,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but when 5-year-old, creativity presented to contain cognitive factors more than defined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기,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33-264, 2007

      2 최석민,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1-22, 2006

      3 김경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모형" 13 (13): 135-152, 2000

      4 전경남, "창의성 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9

      5 임효희, "창의성 증진 교육방법의 개선방안"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35-141, 2009

      6 전경원,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6

      7 김명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관련변인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8

      8 이영애, "자유놀이 및 집단활동 상황과 유아의 사회지능에 따른 인지적 행동과 정의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9 신인숙, "음악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1 (21): 351-370, 2001

      10 원성자, "유형별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2001

      1 박병기,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33-264, 2007

      2 최석민, "초등학교 창의성 교육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1-22, 2006

      3 김경자,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모형" 13 (13): 135-152, 2000

      4 전경남, "창의성 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9

      5 임효희, "창의성 증진 교육방법의 개선방안"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35-141, 2009

      6 전경원,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6

      7 김명숙,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관련변인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8

      8 이영애, "자유놀이 및 집단활동 상황과 유아의 사회지능에 따른 인지적 행동과 정의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9 신인숙, "음악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1 (21): 351-370, 2001

      10 원성자, "유형별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2001

      11 김선아, "유치원에서의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 운영 실제 및 요구 분석.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998

      12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2권∼12권" 2009

      13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14 황해익, "유아행동관찰법" 창지사 2008

      15 박나미,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련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6 심현보,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5

      17 김춘일, "유아를 위한 창의성 교육" 교육과학사 2000

      18 안정숙,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인식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19 박옥자,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8

      20 전경원, "유아 창의적 특성 검사" 학지사 2003

      21 최옥순, "유아 창의성 활동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아주대학교 2004

      22 홍소영, "유아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59-381, 2009

      23 김민정, "소집단 조형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신화식, "몬테소리 영역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8 : 25-46, 2003

      25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학문사 2000

      26 변윤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및 유아 창의성 루브릭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27 박현선, "그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7

      28 최인숙, "과학주제중심 통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6 (6): 1-26, 2001

      29 Rogers, C, "Toward a theory of creativity. In Creativity and its cultivation" Harper & Brothers 69-82, 1959

      30 Torrance, E. P,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Scholastic Testing Service 1981

      31 Torrance, E. P, "The searcb for satori & creativity" Bearly 1979

      32 Treffinger, D. J, "The progress and peril of identifying creative talent amomg gifted students" 14 (14): 20-34, 1980

      33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aGraw-Hill 1967

      34 Sternberg, R. J,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5, 1999

      35 Torrance, E. P,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 and technical manual"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1974

      36 Sternberg, R. J., "The Propulsion model of creative contributions applied to the arts and letters" 35 (35): 75-101, 2001

      37 Csikszentmihalyi, M,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1998

      38 Guilford, J. P, "Six factors of behavioral cognition; Understanding other people" 12 (12): 255-271, 1975

      39 Hallman, R. J, "Principles of creative teaching" 15 (15): 306-316, 1965

      40 Maslow, A. H,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 Row 1954

      41 McGhee, P. E, "Humor: It's origin and development" Freeman 1979

      42 Torrance, E. P, "Guiding creative talent" Prentice Hall Inc 1976

      43 Gardner, H,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Basic 1983

      44 Nickerson, R, S, "Enhancing creativity. In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2-430, 1999

      45 Parnes, S. J, "Education and creativity. In Creativity" Penguin 341-354, 1992

      46 Starko, A. J, "Develop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s of various delight" Longman Publishers 1995

      47 Sternberg, R. J,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The Free Press 1995

      48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Collins 1996

      49 Lubart, T. I, "Creativity. In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cademic 290-332, 1994

      50 Urban, K. K, "Creativity-A componential approach" 1995

      51 Barron, 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32 (32): 439-476, 1981

      52 Williams, F, "Creativity assessment packet(CAP)" D.O.K. Publishers 1980

      53 Haring-Smith, T, "Creativity Research Review: Some Lessons for Higher Education. PeerReview" AAC & U. Spring 2006

      54 Feldman, D. H, "Changing the world: A framework for the creativity" Praeger 1994

      55 Burton, L, "Arts Play" Claff.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1

      56 Sternberg, R. J,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 1-32, 1991

      57 Woodman, R. W, "An Interactionist Model of Creative Behavior" 24 (24): 279-290,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