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선행사 포함 생략 구문(Antecedent Contained Deletion)이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고, 유형에 따라 현시적 이동(overt movement)과 삭제이론(delection theory)에 기초한 각기 다른 접근 방법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3070747
서울 :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7
1997
영어
745 판사항(4)
425
대한민국
70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선행사 포함 생략 구문(Antecedent Contained Deletion)이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고, 유형에 따라 현시적 이동(overt movement)과 삭제이론(delection theory)에 기초한 각기 다른 접근 방법이 ...
본 논문에서는 선행사 포함 생략 구문(Antecedent Contained Deletion)이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고, 유형에 따라 현시적 이동(overt movement)과 삭제이론(delection theory)에 기초한 각기 다른 접근 방법이 적용되어야 함을 보인다. 1장에서는 일반 생략 구분에 대해 논리행태(LF)에서의 복사이론(copy theory)과 음성형태(PF)에서의 삭제이론이 각기 취하는 설명방식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선행사 포함 삭제 구문에 관한 기존의 주된 논의들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와 함께 나오는 선행사 포함 삭제 구문에 서로 다르게 분석되어야 함을 증명하고 그게 따른 분석을 제시한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와 함께 나오는 선행사 포함 삭제 구문의 경우 Lasnik (1995c, 1997)의 제안에 기초하여 현시적 논항이동(overt A-movement)을 통해 그 분석이 가능해 진다. 제한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와 함께 나오는 선행사 포함 생략 구문의 경우는 현시적 논항이동과 Baltin (1987)의 현시적 외치이동(overt extraposition)을 통해 분석된다. 그런데 현시적 외치이동은 현시적 논항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이 두 가지 분석 방법은 현시적 통사론에서 포착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논리형태에서의 양화사 이동을 이용하는 분석과 대조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