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그림책에 나타난 젠더감수성: 국내 창작그림책을 중심으로 = Sensitivity Found in Pictures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7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sensitivity found in pictures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To address this goal, this author analyzed 220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contained in 22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in terms of the gender frequency of the characters,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emotional expressions. Referring to advanced research, this researcher established a criteria for the analysis, and collected data went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n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ender frequency found in those children’s picture books, masculine, feminine, and neuter genders were found more in that order; however, as years go by,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gets narrowed. Second, about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appearance, women are mostly housewives while men appear in all other areas rather than housework.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emotional express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re found often in men, which means that in picture books, male-oriented gender stereotypes are still found. These results imply that to help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stablish righteous gender sensitiv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view in picture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sensitivity found in pictures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To address this goal, this author analyzed 220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contained in 22 chi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sensitivity found in pictures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To address this goal, this author analyzed 220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contained in 22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in terms of the gender frequency of the characters,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appearance, and emotional expressions. Referring to advanced research, this researcher established a criteria for the analysis, and collected data went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n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ender frequency found in those children’s picture books, masculine, feminine, and neuter genders were found more in that order; however, as years go by,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gets narrowed. Second, about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 appearance, women are mostly housewives while men appear in all other areas rather than housework.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emotional express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re found often in men, which means that in picture books, male-oriented gender stereotypes are still found. These results imply that to help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stablish righteous gender sensitiv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view in picture books contained in children's literature textbooks for colleg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의 젠더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아동문학교재 22권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 220권의 등장인물 성별빈도, 등장배경, 감정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동문학교재 속 국내 창작그림책의 성별빈도는 남성, 여성, 중성 순으로 나타나지만 연도가 지나감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등장배경에서 여성은 가사배경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가사배경을 제외한 모든 등장배경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감정표현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ㆍ부정적 감정표현에서 모두 남성이 높은 빈도가 나타나 그림책 속에서 여전히 남성위주의 성 고정관념이 드러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올바른 젠더감수성 정립을 위해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되는 국내 창작그림책의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의 젠더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아동문학교재 22권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 220권의 등장인물 성별빈...

      본 연구는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의 젠더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아동문학교재 22권에 수록된 국내 창작그림책 220권의 등장인물 성별빈도, 등장배경, 감정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동문학교재 속 국내 창작그림책의 성별빈도는 남성, 여성, 중성 순으로 나타나지만 연도가 지나감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등장배경에서 여성은 가사배경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가사배경을 제외한 모든 등장배경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감정표현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ㆍ부정적 감정표현에서 모두 남성이 높은 빈도가 나타나 그림책 속에서 여전히 남성위주의 성 고정관념이 드러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올바른 젠더감수성 정립을 위해 아동문학교재에 수록되는 국내 창작그림책의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한나,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83-206, 2017

      2 정대련,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 그림책 분석-2000년 이후 출판된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6 (6): 23-44, 2005

      3 성정아,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고정 관념의 변화"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 박소윤,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27-249, 2016

      5 이경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영어교과서 삽화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양성희, "젠더정치 시대의 개막"

      7 한국여성연구소,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8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경주, "자치단체 공무원의 성인지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23, 2013

      10 김순환,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3-391, 2014

      1 오한나,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83-206, 2017

      2 정대련,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 그림책 분석-2000년 이후 출판된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6 (6): 23-44, 2005

      3 성정아,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고정 관념의 변화"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 박소윤,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27-249, 2016

      5 이경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영어교과서 삽화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양성희, "젠더정치 시대의 개막"

      7 한국여성연구소,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8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경주, "자치단체 공무원의 성인지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23, 2013

      10 김순환,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3-391, 2014

      11 정대련, "유아용 그림책에 관한 페미니즘적 접근" 22 (22): 329-346, 2001

      12 조한숙, "유아용 그림동화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임희옥, "유아문학에 표현된 여성의 역할: ‘쌀쥐 보리쥐’, ‘돼지책’,‘엄마는 비행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45-66, 2007

      14 이대균,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에 대한 분석" 2 (2): 93-108, 2001

      15 서정숙, "유아문학교육" 창지사 2013

      16 차정주, "유아과학교육 대학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75-196, 2017

      17 딩슈잉,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수업에 대한 성찰경험과 그 의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49-358, 2018

      18 이혜정,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169-194, 2018

      19 이혜정, "영아와 어머니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153-172, 2016

      20 이갑숙, "양성평등교육의 수요 및 통합관리방안 연구" 강원도여성정책개발센터 2007

      21 김완신,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2 강선미, "양성평등 감수성 훈련 매뉴얼"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2005

      23 이문정, "앤서니 (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57-77, 2015

      24 Nikolajeva, M.,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25 김숙이, "아동문학교육" 정민사 2016

      26 고문숙, "아동문학교육" 양서원 2013

      27 공인숙, "아동문학" 양서원 2013

      28 노운서, "아동문학" 양서원 2016

      29 신혜선, "스테디셀러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의 이해: Spinoza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73-99, 2015

      30 박수진, "성평등 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1 이주경, "성평등 그림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137-165, 2008

      32 최문선,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젠더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 수도권 소재 어느 여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3 김윤강, "반편견 그림책과 그림자료를 사용한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4 김현동, "맞벌이 여성근로자의 자녀부양책임감과 배우자인 남편의 역할이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4 (24): 83-106, 2017

      35 이효림, "내용교수지식에 따른 유아사회교육 대학교재 내용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283-308, 2017

      36 김세희,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 5 (5): 83-103, 2004

      37 최예린,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1-23, 2011

      38 이지유, "그림책에 나타난성차별" 6-11, 2018

      39 안현진,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성별 출현도 및 역할 분석 :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제시된 그림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0 이혜정, "그림책에 나타난 성인지 감수성: 지원이병관이 시리즈를 중심으로" 296-302, 2017

      41 유지안,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23-47, 2018

      42 김민지, "그림책에 나타난 가사노동 여성이미지 분석 : 앤서니 브라운과 존 버닝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43 이성엽, "그림책, 해석의 공간" 마루벌 2014

      44 공정자, "국내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의 내용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45 박지영, "가정과 연계한 양성평등 동화책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46 유은석,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22, 2008

      47 Adams, M., "Invisible or involved father? a content 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parent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books in the UK" 65 : 259-270, 2011

      48 Nikolajeva, M., "How picturebooks work" Routledge 2001

      49 Anderson, D. A., "Gender role stereotyping of parents in children's picturebooks : the invisible father" 52 : 145-151, 2005

      50 여성가족부, "2017년도 성인지 예산서"

      51 한국출판저작권연구소, "2017 출판시장통계"

      52 현은자,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293-311, 2014

      53 김주영, ""성차별 철폐" vs "또 다른 혐오"… 페미니즘 논란 확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