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한나,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83-206, 2017
2 정대련,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 그림책 분석-2000년 이후 출판된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6 (6): 23-44, 2005
3 성정아,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고정 관념의 변화"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 박소윤,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27-249, 2016
5 이경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영어교과서 삽화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양성희, "젠더정치 시대의 개막"
7 한국여성연구소,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8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경주, "자치단체 공무원의 성인지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23, 2013
10 김순환,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3-391, 2014
1 오한나,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183-206, 2017
2 정대련,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 그림책 분석-2000년 이후 출판된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6 (6): 23-44, 2005
3 성정아,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고정 관념의 변화"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 박소윤,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27-249, 2016
5 이경미,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영어교과서 삽화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양성희, "젠더정치 시대의 개막"
7 한국여성연구소, "젠더와 사회" 동녘 2014
8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경주, "자치단체 공무원의 성인지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23, 2013
10 김순환,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3-391, 2014
11 정대련, "유아용 그림책에 관한 페미니즘적 접근" 22 (22): 329-346, 2001
12 조한숙, "유아용 그림동화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임희옥, "유아문학에 표현된 여성의 역할: ‘쌀쥐 보리쥐’, ‘돼지책’,‘엄마는 비행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45-66, 2007
14 이대균,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에 대한 분석" 2 (2): 93-108, 2001
15 서정숙, "유아문학교육" 창지사 2013
16 차정주, "유아과학교육 대학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75-196, 2017
17 딩슈잉,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수업에 대한 성찰경험과 그 의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49-358, 2018
18 이혜정,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169-194, 2018
19 이혜정, "영아와 어머니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153-172, 2016
20 이갑숙, "양성평등교육의 수요 및 통합관리방안 연구" 강원도여성정책개발센터 2007
21 김완신,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2 강선미, "양성평등 감수성 훈련 매뉴얼"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2005
23 이문정, "앤서니 (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57-77, 2015
24 Nikolajeva, M.,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25 김숙이, "아동문학교육" 정민사 2016
26 고문숙, "아동문학교육" 양서원 2013
27 공인숙, "아동문학" 양서원 2013
28 노운서, "아동문학" 양서원 2016
29 신혜선, "스테디셀러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의 이해: Spinoza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73-99, 2015
30 박수진, "성평등 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1 이주경, "성평등 그림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9 (9): 137-165, 2008
32 최문선,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젠더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 수도권 소재 어느 여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3 김윤강, "반편견 그림책과 그림자료를 사용한 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4 김현동, "맞벌이 여성근로자의 자녀부양책임감과 배우자인 남편의 역할이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4 (24): 83-106, 2017
35 이효림, "내용교수지식에 따른 유아사회교육 대학교재 내용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283-308, 2017
36 김세희,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 5 (5): 83-103, 2004
37 최예린,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1-23, 2011
38 이지유, "그림책에 나타난성차별" 6-11, 2018
39 안현진,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성별 출현도 및 역할 분석 :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제시된 그림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0 이혜정, "그림책에 나타난 성인지 감수성: 지원이병관이 시리즈를 중심으로" 296-302, 2017
41 유지안,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23-47, 2018
42 김민지, "그림책에 나타난 가사노동 여성이미지 분석 : 앤서니 브라운과 존 버닝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43 이성엽, "그림책, 해석의 공간" 마루벌 2014
44 공정자, "국내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의 내용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45 박지영, "가정과 연계한 양성평등 동화책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46 유은석,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22, 2008
47 Adams, M., "Invisible or involved father? a content 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parent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books in the UK" 65 : 259-270, 2011
48 Nikolajeva, M., "How picturebooks work" Routledge 2001
49 Anderson, D. A., "Gender role stereotyping of parents in children's picturebooks : the invisible father" 52 : 145-151, 2005
50 여성가족부, "2017년도 성인지 예산서"
51 한국출판저작권연구소, "2017 출판시장통계"
52 현은자,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293-311, 2014
53 김주영, ""성차별 철폐" vs "또 다른 혐오"… 페미니즘 논란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