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ㆍ중등학교에서의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사의 직무분석: AEEP를 중심으로 = Analyzing Teachers’ Performance in Managing Project-Based Blended School Exchange Programs: Based on the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AEE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2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and find out how he or she carries out the duties and tasks of running the project-based blended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AEEP). This youth exchange program is based on an effective international school exchange model.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the researchers had constructed a teacher’s job model of managing the program. This model is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collected data. Furthermore, the model has been validated by seven experts. In this analytical research study, the teacher’s job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as separated into ‘administrative jobs’ and ‘practical jobs.’ Administrative jobs include 36 subordinate tasks under 9 main duties to build the foundation that will allow for the exchan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prepare for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invitations and visits, and to engage in follow-up action, for example, the evaluation and submission of the final report after the exchanges. As for the practical jobs, the teachers are performing 38 subordinate tasks under 11 duties to manage students’online pre-activities, on-sit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online post-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give them preliminary information, which could take the form of guidebooks and training cour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and find out how he or she carries out the duties and tasks of running the project-based blended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AEEP). This youth exchange program is based 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and find out how he or she carries out the duties and tasks of running the project-based blended 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AEEP). This youth exchange program is based on an effective international school exchange model.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s, the researchers had constructed a teacher’s job model of managing the program. This model is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collected data. Furthermore, the model has been validated by seven experts. In this analytical research study, the teacher’s job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as separated into ‘administrative jobs’ and ‘practical jobs.’ Administrative jobs include 36 subordinate tasks under 9 main duties to build the foundation that will allow for the exchan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prepare for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invitations and visits, and to engage in follow-up action, for example, the evaluation and submission of the final report after the exchanges. As for the practical jobs, the teachers are performing 38 subordinate tasks under 11 duties to manage students’online pre-activities, on-sit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online post-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give them preliminary information, which could take the form of guidebooks and training 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초ㆍ중등학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교류 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 프로그램인 AEEP(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수행하는 업무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수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의 내용분석을 통해 AEEP 운영을 위한 교사의 수행업무 중심의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분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7인과의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했다. 그 결과 국제교류를 위한 교사의 업무 영역은 크게 ‘행정적 업무’와 ‘실제 교류진행 업무’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행정적 업무의 경우 교류를 위한 인적/물적 제반 자원을 행성하기 위한 ‘교류 토대형성’과 초청과 방문 등의 ‘체험활동을 위한 준비’, 그리고 교류 이후 평가와 결과보고 등을 위한 ‘교류 후속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9개 영역의 총 36개 하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 교류활동 진행을 위해 온라인 사전활동 - 현장 체험활동 - 온라인 사후활동 운영을 위해 11개 영역의 38개 하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ㆍ중등학교 교사들의 국제교류 진행을 위한 직무의 분석은 국제교류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에게 자신이 어떤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추후 교사연수 과정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초ㆍ중등학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교류 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 프로그램인 AEEP(APEC Edutainment Exchange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초ㆍ중등학교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교류 활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프로젝트기반 블렌디드 국제교류 프로그램인 AEEP(APEC Edutainment Exchange Program)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이 수행하는 업무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수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의 내용분석을 통해 AEEP 운영을 위한 교사의 수행업무 중심의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분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7인과의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했다. 그 결과 국제교류를 위한 교사의 업무 영역은 크게 ‘행정적 업무’와 ‘실제 교류진행 업무’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행정적 업무의 경우 교류를 위한 인적/물적 제반 자원을 행성하기 위한 ‘교류 토대형성’과 초청과 방문 등의 ‘체험활동을 위한 준비’, 그리고 교류 이후 평가와 결과보고 등을 위한 ‘교류 후속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9개 영역의 총 36개 하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 교류활동 진행을 위해 온라인 사전활동 - 현장 체험활동 - 온라인 사후활동 운영을 위해 11개 영역의 38개 하위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ㆍ중등학교 교사들의 국제교류 진행을 위한 직무의 분석은 국제교류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에게 자신이 어떤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추후 교사연수 과정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경, "현장리포트: 국제교류를 통한 학교현장의 성과와 과제, In 교육정책포럼, 222호" (222) : 2011

      2 김재욱, "해외수련활동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2 (22): 83-103, 2006

      3 박선영, "해외 청소년국제교류활동 동향과 과제: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105-123, 2011

      4 윤금희, "해방 후 국제 청소년교류의 흐름에 대한 고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8 (8): 69-90, 2006

      5 서지연,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청소년 교류의 활성화 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동북아국제대학원 2003

      6 김희영, "한·일 고등학교 자매교류를 통한 청소년 국제교류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 실태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우영주, "청소년국제교류를 통한 글로벌리더십 함양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5

      8 강경표, "청소년국제교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문화관광부 파견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9 정영란,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9 (19): 87-115, 2003

      10 박진규, "우리나라 국제 청소년교류 현황과 교류유형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1 (11): 471-506, 2004

      1 이해경, "현장리포트: 국제교류를 통한 학교현장의 성과와 과제, In 교육정책포럼, 222호" (222) : 2011

      2 김재욱, "해외수련활동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2 (22): 83-103, 2006

      3 박선영, "해외 청소년국제교류활동 동향과 과제: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105-123, 2011

      4 윤금희, "해방 후 국제 청소년교류의 흐름에 대한 고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8 (8): 69-90, 2006

      5 서지연,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청소년 교류의 활성화 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동북아국제대학원 2003

      6 김희영, "한·일 고등학교 자매교류를 통한 청소년 국제교류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 실태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우영주, "청소년국제교류를 통한 글로벌리더십 함양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5

      8 강경표, "청소년국제교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문화관광부 파견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9 정영란,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9 (19): 87-115, 2003

      10 박진규, "우리나라 국제 청소년교류 현황과 교류유형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1 (11): 471-506, 2004

      11 손기정,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제교류 활동 실태연구 : 부산시내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2 교육과학기술부, "수학여행·수련활동 등 현장 체험학습 운영 매뉴얼"

      13 경기도교육청, "세상과 소통하다 국제교류 매뉴얼: 해외학교(단체)와의 자매결연을 위한 안내서"

      14 오해섭, "동북아 문화 공동체 형성을 위한 청소년교류 인프라구축 연구" 통일연구원 2005

      15 이장현, "다문화시대 청소년 국제교류에 대한 소고" 11 : 5-23, 2007

      16 김민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61-86, 2010

      17 이효진, "글로벌 리더가 되겠습니다" 푸른길 2010

      18 오해섭, "국제청소년교류활동 평가체계 및 모형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19 오해섭, "국제교류활동 참여와 청소년의 글로벌리더십 함양" 4 : 54-75, 2006

      20 정유진, "‘260만원 대 3만원’고교 수학여행 양극화"

      21 British Council, "Connecting Classrooms 학교 간 국제교류 가이드라인" 주한영국문화원

      22 김영환,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rnat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 with a Web-based Experiential Learning Model: focusing on ALCoB Edutainment Exchange Program"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319-341, 2009

      23 보건복지가족부, "2009 아동ㆍ청소년 백서" 보건복지가족부 2009

      2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교육과정 해설 총론 (고시 제 2009-41호에 따른)"

      25 APEC 국제교육협력원, "2008년도 국제교육협력단 파견 결과보고서" 2011

      26 APEC 국제교육협력원, "2008년도 국제교육협력단 파견 결과보고서" 2010

      27 APEC 국제교육협력원, "2008년도 국제교육협력단 파견 결과보고서" 2009

      28 APEC 국제교육협력원, "2008년도 국제교육협력단 파견 결과보고서" 2008

      29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공통) (고시 제 2007-79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