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토론 단원 통합 방식, 토론 지식의 설명 방식, 학습 활동의 타당성, 평가의 타당성 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국어과 교과서의 토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02623
2012
Korean
토론 ; 토론교육 ; 고등학교 토론 단원 ; 비판적 분석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45-258(1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토론 단원 통합 방식, 토론 지식의 설명 방식, 학습 활동의 타당성, 평가의 타당성 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국어과 교과서의 토론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토론 단원 통합 방식, 토론 지식의 설명 방식, 학습 활동의 타당성, 평가의 타당성 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국어과 교과서의 토론 단원 구성 방식을 ‘통합교육’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토론 단원은 듣기, 말하기 영역의 통합과 여기에 더하여 읽기 영역이 통합된 것이 전부이다. 국어 능력의 총체적인 발달과 효율적 교수-학습을 위해, 쓰기와 문학과의 영역 통합도 가능하며, 말하기 또는 듣기 영역 내에서도 다른 성취 기준과의 통합도 가능하기에 보다 통합적으로 단원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 토론 단원에서 토론 지식을 설명하는 방법은 크게 ‘설명형’과 ‘요약형’으로 구분 가능한데, 대부분의 검정 교과서들이 ‘요약형’으로 제시함으로써 토론 지식을 단순히 정보 차원의 암기대상으로 다루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교과서의 토론 단원에서 논제 분석과 토론의 유형과 절차 등 이해가 필요한 부분은 자세하게 ‘설명형’으로 제시하고 토론의 개념, 논제의 종류, 토론 참여자의 역할 등은 간략하게 ‘요약형’으로 제시하는 ‘혼합형’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토론 단원에 제시된 학습 활동의 타당성을,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여섯 가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섯 가지 내용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 활동이 정보 확인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토론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충분히 상세하게 안내해야 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 밖에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토론 단원에 제시되어 있는 토론 평가 기준이 타당한가를, 평가 범주, 방식, 내용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critically analyzed the integration of the debate unit, explanations about debate knowledge, validity of learning activities and validity of assessment for high school. In term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debate unit of Korean textb...
This research critically analyzed the integration of the debate unit, explanations about debate knowledge, validity of learning activities and validity of assessment for high school. In term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debate unit of Korean textbooks, the current debate unit is based merely on the integration of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Integration of writing and literature is possible as well as that of listening and speaking. Besides, integrating other achievement standards under the same language skill is also possible. The way to describe the knowledge in debate consists of explanatory and summarizing types. Most approved textbooks employes summarizing type and regards the debate knowledge as what should be memorized.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analysis of the discussion topic, types and procedures of the debate should be explained in detail (explanatory type), while the concept of debate, types of issues, and the role of participants should be given briefly in summary (summarizing type). The validity of learning activities in debate unit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ix key elements of the curriculum. The authors pointed out that the six key elements sh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the activities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in order to improve the debate ability of the learners, and detaile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level. Finally, the validity of debate assessment criteria provided in the debate unit of the textbooks was analyzed in terms of assessment categories, assessment methods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덕, "화법교육론" 역락 2010
2 이정옥, "토론의 전략" 문학과 지성사 2008
3 강태완,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4 김복순, "토론의 방법" 국학자료원 2007
5 김지현, "토론 단원 교수·학습의 비판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6 한현숙, "토론 능력 발달 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선영, "토론 교육 내용 체계 연구 : 초·중·고 토론대회 담화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8 전은주, "토론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조건 변인 분석" 국어교육학회 20 (20): 433-460, 2004
9 김주환, "교실 토론의 방법" 나라말 2007
10 우한용, "고등학교 국어" 2011
1 이창덕, "화법교육론" 역락 2010
2 이정옥, "토론의 전략" 문학과 지성사 2008
3 강태완,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4 김복순, "토론의 방법" 국학자료원 2007
5 김지현, "토론 단원 교수·학습의 비판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6 한현숙, "토론 능력 발달 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7 이선영, "토론 교육 내용 체계 연구 : 초·중·고 토론대회 담화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8 전은주, "토론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조건 변인 분석" 국어교육학회 20 (20): 433-460, 2004
9 김주환, "교실 토론의 방법" 나라말 2007
10 우한용, "고등학교 국어" 2011
11 윤여탁, "고등학교 국어" 미래엔컬처그룹 2011
12 윤희원, "고등학교 국어" 금성출판사 2011
13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디딤돌 2011
14 오세영, "고등학교 국어" 해냄에듀 2011
15 방민호, "고등학교 국어" 지학사 2011
16 박호용, "고등학교 국어" 유웨이 중앙교육 2011
17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1
18 박갑수, "고등학교 국어" 지학사 2011
19 민현식, "고등학교 국어" 좋은책 신사고 2011
20 문영진, "고등학교 국어" 창비 2011
21 김종철,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1
22 김병권, "고등학교 국어" 더 텍스트 2011
23 김대행,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1
24 조남현, "고등학교 국어" 교학사 2011
25 한철우, "고등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1
26 전은주, "'화법' 교과서의 요건과 개발 방향" 한국화법학회 (12) : 189-228, 2008
A study of Teacher Questions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 Case Studies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에 관한 교사의 역할 수행 비교 : 한국과 미국교사를 중심으로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관련된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16 | 1.396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