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화상회의 플랫폼 기반 장애아 보육과정 컨설팅 교육 참여자들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분석 = Topic Modeling Analysis of Questions of Participants in Child Care Consulting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Video Meeting Plat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12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 기반 장애아 보육과정 컨설팅 교육 참여자들의 질의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아보육을 실행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의 내용을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고 주요 토픽 및 키워드 간 연결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애전담교사 대상 컨설팅 참여자의 질의 내용은 ‘놀이중심 보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및 실행’, ‘놀이지도 및 비장애 또래와 놀이 지원’의 두 개의 토픽으로, 일반 보육교사 대상 컨설팅 참여자의 질의 내용은 ‘비장애아와 놀이 및 활동 참여’, ‘장애 특성에 따른 문제행동 지도전략’, ‘일반 어린이집의 장애아 또는 의심 아동’, ‘통합과 수업참여 지원 방법’의 네 개의 토픽으로, 장애아 행동지원 컨설팅 참여자의 질의 내용은 ‘가정과 연계한 일관성 있는 지도의 어려움’, ‘문제행동 지도 전략‘, ‘개정된 보육과정에 장애아의 참여’, ‘자폐아동과 자폐성향 아동에 대한 지원’, ‘의사소통 및 기타 다양한 어려움’의 다섯 개의 토픽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보육 컨설팅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 기반 장애아 보육과정 컨설팅 교육 참여자들의 질의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아보육을 실행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

      본 연구는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 기반 장애아 보육과정 컨설팅 교육 참여자들의 질의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아보육을 실행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의 내용을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고 주요 토픽 및 키워드 간 연결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애전담교사 대상 컨설팅 참여자의 질의 내용은 ‘놀이중심 보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및 실행’, ‘놀이지도 및 비장애 또래와 놀이 지원’의 두 개의 토픽으로, 일반 보육교사 대상 컨설팅 참여자의 질의 내용은 ‘비장애아와 놀이 및 활동 참여’, ‘장애 특성에 따른 문제행동 지도전략’, ‘일반 어린이집의 장애아 또는 의심 아동’, ‘통합과 수업참여 지원 방법’의 네 개의 토픽으로, 장애아 행동지원 컨설팅 참여자의 질의 내용은 ‘가정과 연계한 일관성 있는 지도의 어려움’, ‘문제행동 지도 전략‘, ‘개정된 보육과정에 장애아의 참여’, ‘자폐아동과 자폐성향 아동에 대한 지원’, ‘의사소통 및 기타 다양한 어려움’의 다섯 개의 토픽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보육 컨설팅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by analyzing questions asked in video meeting platform consulting of child 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s were analyzed for topic modeling and then the associations between topics and key words discovered by the analysi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wo topics: ‘play-centered 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play guidance and support for playing with peers’. Child care teachers’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opics: ‘playing with peers with no disabilities an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with them’, ‘problem behavior support by type of disabilit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suspected disabilities included in day care centers’, and ‘strategy for inclus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Child care teachers’ questions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categorized into five topics: ‘connection to families in education’, ‘challenging behavior support strategy’, ‘participation of disabled children in curriculum’, ‘support for autistic children and autistic feature children’, and ‘communication and other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child care consulting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by analyzing questions asked in video meeting platform consulting of child 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s were analyzed for topic modeling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by analyzing questions asked in video meeting platform consulting of child car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s were analyzed for topic modeling and then the associations between topics and key words discovered by the analysi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wo topics: ‘play-centered 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play guidance and support for playing with peers’. Child care teachers’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opics: ‘playing with peers with no disabilities an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with them’, ‘problem behavior support by type of disabilit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suspected disabilities included in day care centers’, and ‘strategy for inclus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Child care teachers’ questions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categorized into five topics: ‘connection to families in education’, ‘challenging behavior support strategy’, ‘participation of disabled children in curriculum’, ‘support for autistic children and autistic feature children’, and ‘communication and other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child care consulting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자,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83-113, 2017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박찬우,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개정 누리과정 운영 방안 및 지원 요구: 델파이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31-59, 2021

      4 강성리,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 전략 탐색 :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85-112, 2015

      5 최지혜,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29-151, 2013

      6 이소현, "통합어린이집 순회 자문 프로그램이 장애아전담보육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7 (7): 103-118, 2008

      7 정계숙,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장애유아 관련 교과목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43-259, 2008

      8 원종례,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이 유아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 및 교수 수행과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95-115, 2009

      9 조윤경, "통합 실행에 대한 장애전담교사의 자기 평가와 순회지원교사의 관찰 평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17-238, 2010

      10 방한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주요 토픽을 시계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론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0 (30): 1259-1276, 2019

      1 이순자,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특수교육대상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시사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83-113, 2017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박찬우,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개정 누리과정 운영 방안 및 지원 요구: 델파이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31-59, 2021

      4 강성리,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 전략 탐색 :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85-112, 2015

      5 최지혜,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129-151, 2013

      6 이소현, "통합어린이집 순회 자문 프로그램이 장애아전담보육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7 (7): 103-118, 2008

      7 정계숙,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장애유아 관련 교과목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43-259, 2008

      8 원종례,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이 유아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 및 교수 수행과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95-115, 2009

      9 조윤경, "통합 실행에 대한 장애전담교사의 자기 평가와 순회지원교사의 관찰 평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17-238, 2010

      10 방한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주요 토픽을 시계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론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0 (30): 1259-1276, 2019

      11 김은정,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한 토픽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05-427, 2019

      12 고명숙, "키워드 기반 주제중심 분석을 이용한 비정형데이터 처리" 한국정보처리학회 6 (6): 521-526, 2017

      13 이동후, "코로나 19시대의 디지털 교실에 관한 미디어 생태학적 탐구 :‘줌’이 매개한 비대면 교실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5 (35): 98-130, 2021

      14 심미자,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371-396, 2012

      15 교육부, "제8차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관계장관회의 (장애아동 지원대책 등)"

      16 박나리, "장애유아 통합지원 컨설팅이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적 지지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97-122, 2018

      17 조윤경, "장애유아 의무교육 시행 보육시설에 대한 통합 교육 컨설팅 효과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5 (5): 49-74, 2011

      18 이정림, "장애영유아 통합보육·교육기관의 실태 및 관리자와 교사의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201-234, 2013

      19 김슬기,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1-29, 2021

      20 조현정,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보육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보육학회 15 (15): 215-240, 2015

      21 한국보육진흥원, "장애아보육 컨설팅 매뉴얼"

      22 한국보육진흥원, "장애아보육 운영 실제"

      23 한국보육진흥원, "장애아보육 교사실무"

      24 김윤아, "장애아동 보육교직원 교육 현황과 개선과제" 한국보육진흥원 2017

      25 원영미,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8 (18): 169-192, 2018

      26 한국보육진흥원, "장애아 통합보육 컨설팅 매뉴얼"

      27 이소현, "장애 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27, 2007

      28 김은영,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7

      29 권은주,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6 (6): 35-50, 2019

      30 장영순, "유치원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과정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31 박계신, "유아특수교사의「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력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신념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1 (21): 89-114, 2021

      32 강성리,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247-268, 2019

      33 이원령,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중재 고찰: 2000∼2013년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401-428, 2014

      34 정명숙, "유아교사의 유치원컨설팅에 대한 의지, 운영방법, 활용방안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4) : 209-234, 2014

      35 김태영,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에 대한 심층면담"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21-49, 2018

      36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37 김경철,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유아부모교육 방향 탐색" 8 : 124-138, 2017

      38 이순자, "보육시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교사의 지원요구 조사 -J도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149-179, 2009

      39 박창현, "누리과정 정책 수요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워드 클라우드와 의미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3-91, 2017

      40 이연정, "국공립 어린이집 재원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현재 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29, 2014

      41 오지연, "국․공립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83-112, 2020

      42 김무철, "과학기술용어 간 관계 도출을 위한 토픽 분석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 21 (21): 119-129, 2016

      43 백선정,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실태 및 지원에 관한 연구"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20

      44 원계선, "개정 누리과정과 통합된 장애유아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5 (5): 1-26, 2020

      45 Dinnebeil, L. A.,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itinerant ECSE teachers through Delphi research" 26 (26): 153-166, 2006

      46 Duhig, A. M., "Inter-parental agreement on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total behavior problem; A meta-analysis" 7 (7): 435-453, 2000

      47 Sandall, S.,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Paul H. Brookes 2008

      48 Hwang, Y, S., "Attitudes towards inclusion: Gaps between belief and practice" 26 (26): 136-146, 2011

      49 Bricker, D. D.,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Paul H. Brookes 1998

      50 보건복지부, "2021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21

      51 한국보육진흥원, "2020년 취약보육(장애아)컨설팅 보육과정 기획회의 자료"

      52 보건복지부, "2020년 보육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