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newly interpret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Gabae, the most important holiday in Silla, and examined the meaning of Gabae and its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Samguksagi, King Yu-ri(儒理尼師今) changed the name of six-bu(...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33682
백동인 (서강대학교)
2019
Korean
嘉俳 ; 한가위 ; 儒理尼師今 ; 官等 ; 성역할 ; 길쌈놀이 ; Gabae ; Hangawi ; King Yu-ri ; Official Rank ; Gender Role ; Weaving Match
KCI등재
학술저널
11-44(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newly interpret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Gabae, the most important holiday in Silla, and examined the meaning of Gabae and its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Samguksagi, King Yu-ri(儒理尼師今) changed the name of six-bu(...
This article newly interpret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Gabae, the most important holiday in Silla, and examined the meaning of Gabae and its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Samguksagi, King Yu-ri(儒理尼師今) changed the name of six-bu(部), instituted a official rank system, and made Gabae in the ninth year of his reign.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e records as they are, but we can judge that Gabae is related to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eform. The joint labor in Saro six-chon(村) was converted into Gabae, a national rite overseen by princesses. Princesses supervised weaving and led the Gabae rite, just as queens acted as priests or encouraged farming. As a result, a strong hierarchy may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princesses and powerful women of six-bu. ‘The setting up of the area’ for the princesses and the ‘separation of hierarchy’ between queen, princesses, and six-bu women have aspects that connect with the administration of bu and the official rank, respectively. The origi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official rank system in Silla was ritual. Similar changes were believed to have occurred in male-dominated activities at the time, which later led to the creation of the official rank system.
Other than women participating in the weaving match, Silla people also celebrated Gabae in their own way. In particular, male bureaucrats shot bows in front of king and won prizes for horses and textiles. The weaving match and archery were festivals only for women and men, respectively, and all involved the intentions of king. Therefore, the two festivals reflect the order the Silla Dynasty demanded for women and men. Silla called for women to make economic contributions through farming and handicraft, and men to win the war. Women’s achievements were not rewarded by society, but men were rewarded by king for their ability and achievement. This is because the constant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encouraged women to remain nameless producers at home and men to fight for their country. After unification, new memories were laid over on Gabae, and some Silla people recognized the origin of Gabae as a victory for Goguryeo. Although Gabae began under the king’s political intentions, we can see that its content and meaning continued to change and expand.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新羅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인 嘉俳의 출현 배경을 새로이 해석하고, 가배에 담긴 의미와 그 시대적 변천을 살핀 글이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儒理尼師今 9년에 6部의 이름을 바꾸...
본고는 新羅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인 嘉俳의 출현 배경을 새로이 해석하고, 가배에 담긴 의미와 그 시대적 변천을 살핀 글이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儒理尼師今 9년에 6部의 이름을 바꾸고, 官等을 설치하고, 가배를 시작했다고 한다. 사료를 있는 그대로 믿기는 어려우나, 가배가 정치・행정 개혁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가늠할 수 있다. 가배는 村에서 발생한 공동 노동을 왕녀가 감독하게 함으로써 국가적인 의례로 개조한 것이다. 왕녀는 妃가 사제 역할을 하거나 권농 활동을 하듯이, 자신이 맡은 구역에서 길쌈을 감독하고, 가배 제사를 주도했다. 그 결과, 왕녀와 6부 토착의 유력자 여성 사이에 공고한 위계질서가 구축됐으리라 보인다. 왕녀가 담당할 ‘구역 설정’과 비-왕녀-6부 여성 사이 ‘위계 분화’는 각각 6부 행정, 관등과 통하는 측면이 보인다. 신라에서 지방 통치 및 관등 제도의 기원이 의례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당시에 남성이 주도하는 활동에서도 비슷한 변화가 발생했으리라 추측되며, 이런 조치가 훗날 관등 제도의 단초가 되었을 것이다.
길쌈놀이에 참여하는 여성 외의 신라인들도 각자의 방식으로 가배를 쇠었다. 특히 관리 남성은 왕 앞에서 활을 쏘고, 말과 布를 상으로 받았다. 길쌈놀이와 활쏘기는 각각 여성과 남성만을 위한 축제였고, 모두 왕실이 개입하였다. 따라서 두 축제는 신라 사회가 여성과 남성에게 주문한 질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신라는 여성에겐 농업・수공업 생산을 통한 경제적 기여를, 남성에겐 군사적 성취를 요구했다. 여성의 성과는 사회로부터 보상을 받지 않았으나, 남성은 왕으로부터 능력과 성취에 따른 상을 얻었다. 三國 사이 끊임없는 전쟁이 여성에게는 가정에서 이름 없는 생산자로 남도록, 남성에게는 국가를 위해 싸우도록 부추긴 결과로 보인다. 통일 이후에는 가배에 새로운 기억이 덧씌워졌고, 가배의 유래가 高句麗에게 거둔 승리라고 인식하는 신라인도 있었다. 왕실의 정치적 의도 아래 시작된 가배였지만, 그 내용과 의미가 계속 변화하고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昌錫, "한국 고대 市의 原形과 그 성격 변화" (99・100) : 1997
2 若桑みどり, "전쟁이 만들어낸 여성상: 제2차 세계대전 하의 일본 여성동원을 위한 시각 선전" 소명 2011
3 이부오, "일제강점기 신라사 사료비판론의 전개-≪三國史記≫ 新羅本紀 초기기사를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17) : 19-54, 2009
4 Eliade, Mircea,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2003
5 円仁,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6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7 김선주,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신라사학회 (23) : 113-143, 2011
8 김정숙, "신라시대 여성의 직조활동과 官職 進出" 민족문화연구소 (44) : 215-253, 2010
9 今西龍, "신라사 연구" 서경문화사 2008
10 김두진, "신라 六村長神話의 모습과 그 의미" 신라문화연구소 (21) : 1-21, 2003
1 金昌錫, "한국 고대 市의 原形과 그 성격 변화" (99・100) : 1997
2 若桑みどり, "전쟁이 만들어낸 여성상: 제2차 세계대전 하의 일본 여성동원을 위한 시각 선전" 소명 2011
3 이부오, "일제강점기 신라사 사료비판론의 전개-≪三國史記≫ 新羅本紀 초기기사를 중심으로-" 신라사학회 (17) : 19-54, 2009
4 Eliade, Mircea,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2003
5 円仁,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6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7 김선주,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신라사학회 (23) : 113-143, 2011
8 김정숙, "신라시대 여성의 직조활동과 官職 進出" 민족문화연구소 (44) : 215-253, 2010
9 今西龍, "신라사 연구" 서경문화사 2008
10 김두진, "신라 六村長神話의 모습과 그 의미" 신라문화연구소 (21) : 1-21, 2003
11 이현주, "신라 왕실여성의 칭호변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12 채미하, "신라 박씨 이사금시기 중앙 권력구조와 지방 통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8) : 93-126, 2018
13 김희만, "신라 관등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14 윤성재, "신라 가배(嘉排)와 여성 축제" 한국역사연구회 (87) : 333-358, 2013
15 김창석, "삼국과 통일신라의 유통체계 연구" 일조각 2004
16 김기흥,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 역사비평사 1991
17 이경엽, "길쌈두레의 구성과 기능" 25 : 1993
18 경북여성정책개발원, "경북여성사"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4
19 가람李秉岐博士頌壽論文集刊行委員會, "가람李秉岐博士 頌壽論文集" 三和出版社 1966
20 朱甫暾, "韓國社會發展史論" 一潮閣 1992
21 孫晋泰, "韓國民族史槪論" 乙酉文化社 1948
22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韓國文化史大系 Ⅳ : 風俗・藝術史 下"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70
23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韓國文化史大系 Ⅳ : 風俗・藝術史 上"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70
24 金杜珍,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一潮閣 1999
25 金哲埈, "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1975
26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27 "隋書"
28 조범환, "赫居世 勢力에 의한 斯盧 小國의 形成" 인문과학연구소 (48) : 73-100, 2017
29 "舊唐書"
30 慶尙北道, "統一期의 新羅社會 硏究"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987
31 "禮記"
32 東京國立搏物館, "正倉院寶物" 東京國立搏物館 1981
33 "東史綱目"
34 旗田巍先生古稀記念會, "朝鮮歷史論集" 龍湲書舍 1979
35 "日本書紀"
36 金瑛河, "新羅時代 巡守의 性格" 14 : 1979
37 李仁哲, "新羅政治制度史硏究" 一志社 1993
38 李鍾旭, "新羅國家形成史硏究" 一潮閣 1982
39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東アジア史の視点から" 吉川弘文館 2002
40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41 박남수, "新羅 眞興王代 政治社會와 花郞徒 制定" 한국사학회 (92) : 1-36, 2008
42 金瑛河, "新羅 上古期의 官等과 政治體制" (99・100) : 1997
43 이현주, "新羅 上古期 王妃族의 등장과 추이" 수선사학회 (31) : 109-134, 2008
44 "新唐書"
45 邊太燮, "廟制의 變遷을 通하여 본 新羅社會의 發展過程" 8 : 1964
46 嘉俳攷, "嘉俳攷" 1 : 1965
47 三品彰英, "古代祭政と穀靈信仰" 平丹社 1973
48 "北史"
49 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 2" 鈴木學術財團 1964
50 "入唐求法巡禮行記"
51 千寬宇, "三韓의 國家形成(上)" 2 : 1970
52 "三國遺事"
53 盧泰敦, "三國時代의 「部」에 關한 硏究-成立과 構造를 中心으로" 2 : 1975
54 김기흥, "三國時代 稅制의 성격" 35 : 1992
55 "三國史記"
56 "三國史節要"
57 李鎔賢, "《梁書》・《隋書》・《南史》・《北史》의 新羅傳 비교 검토-통일이전 신라 서술 중국 사료의 성격" 8 : 2006
58 Leach, Edmund, "Culture and communication" Cambridge Univ. Press 1976
59 Granet, Marcel, "Chinese civilization" Routledge 1930
60 Wulf, Christoph, "Anthropology: a continent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61 이동식, "<번역논문> 新羅 花郞의 性格에 대하여 -특히 그 ‘놀이’에 관하여-" 동아시아고대학회 (46) : 467-496, 2017
5세기 말~6세기 전반 百濟의 對新羅 관계와 변화 양상 -高句麗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