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쟁의 목표달성 측면에서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고찰 = Critically considering the Wiman Chosen - H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C109, The purpose of the Han invasion of Wiman Chosen was expansion process to make East Asian order the Han Centered. I attempted to analyze the truth of the Wiman Chosen and Han war recorded in history book using the three conditions Clausewitz claims to achieve the object of war. However, I could not find the basis for Wiman Chosen troops destroyed.
      Also, Han was unable to find a ground that was a militarily favorable situation. Rather, the joint operation plan of the Han Army and Navy could not achieve the simultaneous execution of the operational tempo and attack, because it can not produce a single command system, the relative superiority and initiative in battle lost.
      And considering the movement in the sea and the validity of the landing area, the ability of the army to cross the river and mobility, warfare support capacity, the location of Wiman Chosen must be reviewed. There is no basis for Han to occupied Wiman Chosen's territory. There is no basis for Wiman Chosens surrender mentally.
      Rath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prove the substance of the reconstruction movement that occurred after the destruction of Wiman Chosen. I studied Chinese history and criticized academic opinion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proving the assumption that Han failed in the war with Wiman Chosen.
      번역하기

      BC109, The purpose of the Han invasion of Wiman Chosen was expansion process to make East Asian order the Han Centered. I attempted to analyze the truth of the Wiman Chosen and Han war recorded in history book using the three conditions Clausewitz cla...

      BC109, The purpose of the Han invasion of Wiman Chosen was expansion process to make East Asian order the Han Centered. I attempted to analyze the truth of the Wiman Chosen and Han war recorded in history book using the three conditions Clausewitz claims to achieve the object of war. However, I could not find the basis for Wiman Chosen troops destroyed.
      Also, Han was unable to find a ground that was a militarily favorable situation. Rather, the joint operation plan of the Han Army and Navy could not achieve the simultaneous execution of the operational tempo and attack, because it can not produce a single command system, the relative superiority and initiative in battle lost.
      And considering the movement in the sea and the validity of the landing area, the ability of the army to cross the river and mobility, warfare support capacity, the location of Wiman Chosen must be reviewed. There is no basis for Han to occupied Wiman Chosen's territory. There is no basis for Wiman Chosens surrender mentally.
      Rath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prove the substance of the reconstruction movement that occurred after the destruction of Wiman Chosen. I studied Chinese history and criticized academic opinion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proving the assumption that Han failed in the war with Wiman Chos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원전 109년, 한의 위만조선 침공은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한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팽창과정에서 발발되었다. 필자는『사기』에 기록된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을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시한 세 가지 조건을 기초로 전쟁의 진실에 접근하고자 했다. 먼저 적의 전투력 파괴라는 측면에서 위만조선의 전투력이 파괴되었거나, 한이 군사적 우세를 달성하였다는 논리적 정황은 찾을 수 없었다.
      오히려 한의 수륙합동작전은 작전목표의 달성 가능성 측면에서 시간, 공간을 활용한 작전의 템포와 공격의 동시성을 달성할 수 없는 계획이었으며, 단일화된 지휘체계를 갖추지 못함으로써 전투력의 상대적 우세를 달성하지 못하고 전장의 주도권을 상실하였다. 또한 불가능에 가까운 해상 기동로와 상륙지역 선정, 육군의 도하 및 기동능력, 전쟁 지속지원능력 등은 현재까지 우리가 인식해 온 위만조선의 위치를 재검토해야 할 과제로 도출되었다.
      적의 영토 점령 측면에서는 한이 위만조선을 점령했다는 신뢰할 수 있는 근거가 없으며, 적 의지의 굴복 측면에서는 위만조선 멸망 후 발생되는 부흥운동의 실체를 증명하고 이후 등장하는 부여와 고구려의 정체성을 올바로 정립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필자는 이 전쟁이 기록된 유일한 문서인『사기』의 연구를 통해 한이 위만조선과의 전쟁에서 실패하였다는 추론을 정황을 통해 설명하였고, 위만조선의 수도가 현재의 평양이라는 주장을 군사적 시각에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번역하기

      기원전 109년, 한의 위만조선 침공은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한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팽창과정에서 발발되었다. 필자는『사기』에 기록된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을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목...

      기원전 109년, 한의 위만조선 침공은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한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팽창과정에서 발발되었다. 필자는『사기』에 기록된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을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시한 세 가지 조건을 기초로 전쟁의 진실에 접근하고자 했다. 먼저 적의 전투력 파괴라는 측면에서 위만조선의 전투력이 파괴되었거나, 한이 군사적 우세를 달성하였다는 논리적 정황은 찾을 수 없었다.
      오히려 한의 수륙합동작전은 작전목표의 달성 가능성 측면에서 시간, 공간을 활용한 작전의 템포와 공격의 동시성을 달성할 수 없는 계획이었으며, 단일화된 지휘체계를 갖추지 못함으로써 전투력의 상대적 우세를 달성하지 못하고 전장의 주도권을 상실하였다. 또한 불가능에 가까운 해상 기동로와 상륙지역 선정, 육군의 도하 및 기동능력, 전쟁 지속지원능력 등은 현재까지 우리가 인식해 온 위만조선의 위치를 재검토해야 할 과제로 도출되었다.
      적의 영토 점령 측면에서는 한이 위만조선을 점령했다는 신뢰할 수 있는 근거가 없으며, 적 의지의 굴복 측면에서는 위만조선 멸망 후 발생되는 부흥운동의 실체를 증명하고 이후 등장하는 부여와 고구려의 정체성을 올바로 정립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필자는 이 전쟁이 기록된 유일한 문서인『사기』의 연구를 통해 한이 위만조선과의 전쟁에서 실패하였다는 추론을 정황을 통해 설명하였고, 위만조선의 수도가 현재의 평양이라는 주장을 군사적 시각에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합동군사대학교, "호국의 역사 尙武" 국군인쇄창 2016

      2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문광인쇄 2014

      3 박성용, "한나라 군사작전으로 본 위만조선 왕험성 위치 고찰: 북한급변사태 시 중국의 연고권 개입 명분에 대한 함의"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8 (58): 1-35, 2015

      4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5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1" 경인문화사 2012

      6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7 류제헌, "중국 역사 지리" 문학과지성사 2010

      8 육군본부, "중국 고대 전쟁사" 국군인쇄창 2010

      9 신채호,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11

      10 정인보, "조선사 연구 上" 우리역사 연구재단 2012

      1 합동군사대학교, "호국의 역사 尙武" 국군인쇄창 2016

      2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문광인쇄 2014

      3 박성용, "한나라 군사작전으로 본 위만조선 왕험성 위치 고찰: 북한급변사태 시 중국의 연고권 개입 명분에 대한 함의"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8 (58): 1-35, 2015

      4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5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1" 경인문화사 2012

      6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7 류제헌, "중국 역사 지리" 문학과지성사 2010

      8 육군본부, "중국 고대 전쟁사" 국군인쇄창 2010

      9 신채호,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11

      10 정인보, "조선사 연구 上" 우리역사 연구재단 2012

      11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갈무리 2017

      12 허남성, "전쟁과 문명" 플래닛미디어 2014

      13 서영수, "위만조선의 형성과정과 국가적 성격" 9 : 1966

      14 김부식, "삼국사기" 한길사 1998

      15 해리 서머스, "미국의 월남전 전략" 병학사 1983

      16 이덕일,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역사의 아침 2008

      17 리지린, "고조선연구" 열사람 1989

      18 서영수, "고조선사 연구의 성과와 쟁점" 2015

      19 김종서, "고조선과 한사군의 위치 비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0 이성재, "고조선과 연의 전쟁에서 고조선 패배의 주요 원인 고찰" 2016

      21 조법종, "고조선고구려사 연구" 신서원 2006

      22 해군대학, "韓國海戰史" 해군인쇄창 2007

      23 "韓信盧綰列傳 第33, 卷113"

      24 "韋賢傳 第43"

      25 김병준, "漢이 구성한 고조선 멸망 과정-『사기』 조선열전의 재검토-" 한국고대사학회 (50) : 5-50, 2008

      26 "漢書 卷73"

      27 "東夷列傳 第75"

      28 "朝鮮列傳 第55"

      29 윤내현, "朝ㆍ燕戰爭의 전개와 국경 변화" 단군학회 20 : 247-264, 2009

      30 "後漢書 卷85"

      31 "史記 卷93"

      32 박경철, "古朝鮮 對外關係 進展과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13-63, 2014

      33 "南越列傳, 卷115"

      34 군사학 연구회, "ON WAR" 플래닛미디어 2015

      35 이민성, "1623년의 북경외교" 대원사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