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합동군사대학교, "호국의 역사 尙武" 국군인쇄창 2016
2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문광인쇄 2014
3 박성용, "한나라 군사작전으로 본 위만조선 왕험성 위치 고찰: 북한급변사태 시 중국의 연고권 개입 명분에 대한 함의"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8 (58): 1-35, 2015
4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5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1" 경인문화사 2012
6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7 류제헌, "중국 역사 지리" 문학과지성사 2010
8 육군본부, "중국 고대 전쟁사" 국군인쇄창 2010
9 신채호,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11
10 정인보, "조선사 연구 上" 우리역사 연구재단 2012
1 합동군사대학교, "호국의 역사 尙武" 국군인쇄창 2016
2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문광인쇄 2014
3 박성용, "한나라 군사작전으로 본 위만조선 왕험성 위치 고찰: 북한급변사태 시 중국의 연고권 개입 명분에 대한 함의"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8 (58): 1-35, 2015
4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5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1" 경인문화사 2012
6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7 류제헌, "중국 역사 지리" 문학과지성사 2010
8 육군본부, "중국 고대 전쟁사" 국군인쇄창 2010
9 신채호,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11
10 정인보, "조선사 연구 上" 우리역사 연구재단 2012
11 클라우제비츠, "전쟁론" 갈무리 2017
12 허남성, "전쟁과 문명" 플래닛미디어 2014
13 서영수, "위만조선의 형성과정과 국가적 성격" 9 : 1966
14 김부식, "삼국사기" 한길사 1998
15 해리 서머스, "미국의 월남전 전략" 병학사 1983
16 이덕일,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역사의 아침 2008
17 리지린, "고조선연구" 열사람 1989
18 서영수, "고조선사 연구의 성과와 쟁점" 2015
19 김종서, "고조선과 한사군의 위치 비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0 이성재, "고조선과 연의 전쟁에서 고조선 패배의 주요 원인 고찰" 2016
21 조법종, "고조선고구려사 연구" 신서원 2006
22 해군대학, "韓國海戰史" 해군인쇄창 2007
23 "韓信盧綰列傳 第33, 卷113"
24 "韋賢傳 第43"
25 김병준, "漢이 구성한 고조선 멸망 과정-『사기』 조선열전의 재검토-" 한국고대사학회 (50) : 5-50, 2008
26 "漢書 卷73"
27 "東夷列傳 第75"
28 "朝鮮列傳 第55"
29 윤내현, "朝ㆍ燕戰爭의 전개와 국경 변화" 단군학회 20 : 247-264, 2009
30 "後漢書 卷85"
31 "史記 卷93"
32 박경철, "古朝鮮 對外關係 進展과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13-63, 2014
33 "南越列傳, 卷115"
34 군사학 연구회, "ON WAR" 플래닛미디어 2015
35 이민성, "1623년의 북경외교" 대원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