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의 구조적 관계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 A Longitudinal Study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Attention Problems, and Learning Activities in Early Adolescents: A Latent Growth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50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mobile phone dependence, attention problem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rly adolescents change over time using longitudinal data.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dependence, attention problems, and learning activities was established as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apply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For the research data, the 4th(elementary 4th grade, 2013), 6th(elementary 6th grade, 2015), and 7th(middle 1st grade,2016)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1 panel data were us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ell phone dependence gradually decreased, learning activity gradually increased, and attention problem of gradually decreased from elementary 4th grade to middle 1st grade. Second, in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ith severe cell phone dependence also had a serious attention problem. And as they moved up to middle 1st grade, as mobile phone dependence became more and more severe, attention problem also intensified. Third, in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ith severe cell phone dependence suffered poor learning activities. And as they moved up to middle school, as their cell phone dependence increased, their learning activities became weaker. Fourth, in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ith severe attention problems have sluggish learning activities. And as they move up to middle school, as their attention problems became more serious, learning activities became more and more sluggish.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mobile phone dependence, attention problem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rly adolescents change over time using longitudinal data.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mobile phone dependence, attention problem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rly adolescents change over time using longitudinal data.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 phone dependence, attention problems, and learning activities was established as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by apply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For the research data, the 4th(elementary 4th grade, 2013), 6th(elementary 6th grade, 2015), and 7th(middle 1st grade,2016)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1 panel data were us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ell phone dependence gradually decreased, learning activity gradually increased, and attention problem of gradually decreased from elementary 4th grade to middle 1st grade. Second, in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ith severe cell phone dependence also had a serious attention problem. And as they moved up to middle 1st grade, as mobile phone dependence became more and more severe, attention problem also intensified. Third, in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ith severe cell phone dependence suffered poor learning activities. And as they moved up to middle school, as their cell phone dependence increased, their learning activities became weaker. Fourth, in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ith severe attention problems have sluggish learning activities. And as they move up to middle school, as their attention problems became more serious, learning activities became more and more sluggish.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세 변인 사이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 사이의 관계를 연구 모형으로 설정하였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초1 패널자료의 4차(초4학년, 2013년), 6차(초6학년, 2015년), 7차(중1학년, 2016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4학년에서 중1학년에 이르는 동안 휴대전화의존은 점차 감소하였고, 학습활동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주의집중문제는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초4학년에서 휴대전화의존이 심한 학생은 주의집중문제도 심하고, 중1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휴대전화의존이 점점 심해지면 주의집중문제도 함께 심해졌다. 셋째, 초4학년에서 휴대전화의존이 심한 학생은 학습활동이 부진하며, 중1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휴대전화의존이 점점 높아지면 학습활동도 점점 부진해졌다. 넷째, 초4학년에서 주의집중문제가 심한 학생은 학습활동이 부진하며, 중1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주의집중문제가 점점 심해지면 학습활동은 점점 부진해졌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세 변인 사이의 구조적 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세 변인 사이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근거로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 사이의 관계를 연구 모형으로 설정하였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초1 패널자료의 4차(초4학년, 2013년), 6차(초6학년, 2015년), 7차(중1학년, 2016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4학년에서 중1학년에 이르는 동안 휴대전화의존은 점차 감소하였고, 학습활동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주의집중문제는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초4학년에서 휴대전화의존이 심한 학생은 주의집중문제도 심하고, 중1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휴대전화의존이 점점 심해지면 주의집중문제도 함께 심해졌다. 셋째, 초4학년에서 휴대전화의존이 심한 학생은 학습활동이 부진하며, 중1학년으로 올라가면서 휴대전화의존이 점점 높아지면 학습활동도 점점 부진해졌다. 넷째, 초4학년에서 주의집중문제가 심한 학생은 학습활동이 부진하며, 중1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주의집중문제가 점점 심해지면 학습활동은 점점 부진해졌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수,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83-393, 2007

      2 장성화,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259-268, 2009

      3 정화실,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4 황고운, "초등학생의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19-239, 2016

      5 홍예지,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휴대전화의존도 발달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6 (36): 165-188, 2015

      6 이영애,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187-214, 2016

      7 허균,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부모관심의 시간 변화에 따른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9-76, 2015

      8 이정숙,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실태 및 휴대폰 중독 정도에 따른또래관계의 질,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5 (25): 67-86, 2007

      9 박은혁,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구조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71-193, 2015

      10 신수민,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159-175, 2017

      1 김혜수,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83-393, 2007

      2 장성화,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 (21): 259-268, 2009

      3 정화실,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4 황고운, "초등학생의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19-239, 2016

      5 홍예지,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휴대전화의존도 발달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6 (36): 165-188, 2015

      6 이영애,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187-214, 2016

      7 허균,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부모관심의 시간 변화에 따른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9-76, 2015

      8 이정숙,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실태 및 휴대폰 중독 정도에 따른또래관계의 질,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5 (25): 67-86, 2007

      9 박은혁,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구조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71-193, 2015

      10 신수민,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4 (14): 159-175, 2017

      11 김현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 및 이용 목적에 따른 심리적 특성"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87-101, 2013

      12 김현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40-352, 2015

      13 성윤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91-321, 2006

      14 이시형,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2

      15 이응택, "청소년의 체험활동만족 및 참여수준과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연구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45-370, 2016

      16 김금순,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의존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8) : 33-57, 2015

      17 최수미, "청소년의 우울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의존적 사용의 매개효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18 장성화,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85-293, 2010

      19 좌현숙,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8, 2012

      20 박춘성, "집중력이 부족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발달 분석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41-166, 2011

      21 장미화,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2 (2): 75-92, 2016

      22 장석진,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431-451, 2011

      23 금지헌,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정 및 개인 관련 변인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19-143, 2013

      24 김정민,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27, 2014

      25 김은옥, "중·고생의 휴대폰 사용정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6 전상민,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한 청소년의 학업긴장이 불행감과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종단적·복합적 영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93-302, 2016

      27 백승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휴대전화의존도, 정서문제,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167-188, 2014

      28 이영민, "인터넷의 소통목적 활용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41 (41): 117-146, 2020

      29 조윤주,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과 학습행동 통제 간의 관계에서 부모감독의 조절효과" 대한가정학회 51 (51): 253-261, 2013

      30 조붕환,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729-746, 2003

      31 임선아,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휴대전화의존의 종단적 매개효과" 1 (1): 55-83, 2016

      32 김진아,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303-326, 2016

      33 정진희,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596-629, 2018

      34 이희정, "도시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개인,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관련 예측변인" 교육연구소 21 (21): 27-56, 2015

      35 장혜진, "기술중독에 빠진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휴대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839-852, 2006

      36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37 허균, "고차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휴대폰 의존도 변화와 자기조절능력 및 주의집중의 구조관계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861-879, 2013

      38 閔炳壽, "學校生活適應과 自我槪念이 學業成績에 미치는 影響"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39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