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ulti-Channel Network(MCN) content features in food service market on use motive and attitu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ulti-channel Network (MCN) content featur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on use motive and attitude. First, ‘cre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among MCN content featur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uthenticity.’ In addition,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social contribution’ had a positive impacts on ‘inform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gave positive effects on ‘playfulness.’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timeliness’ and ‘utility’ positively affected ‘suitability.’ Second, ‘authenticity,’ ‘informativity,’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among MCN content ‘use motives’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In contrast, ‘suitability’ did not affect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mportant to plan and produce diverse recipes and the latest food culture trends by reflecting food-related contents or food service contents, as well as rapidly changing consumers' desires. I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various paths to enable producer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viewers by planning events for food service products offline beyond the boundary of online communication. This plan will be a new marketing strategy that leads to food product promotion of participant food service companies and purchase by consumers. As a new distribution system, MCN is connected with direct purchase by consumers beyond various contents and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sectors including producers, viewers,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this way, a virtuous circulation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high quality food-related contents by boosting advertisement and incidental profi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ulti-channel Network (MCN) content featur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on use motive and attitude. First, ‘cre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among MCN content fea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ulti-channel Network (MCN) content featur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on use motive and attitude. First, ‘cre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among MCN content featur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uthenticity.’ In addition,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social contribution’ had a positive impacts on ‘inform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gave positive effects on ‘playfulness.’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timeliness’ and ‘utility’ positively affected ‘suitability.’ Second, ‘authenticity,’ ‘informativity,’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among MCN content ‘use motives’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In contrast, ‘suitability’ did not affect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mportant to plan and produce diverse recipes and the latest food culture trends by reflecting food-related contents or food service contents, as well as rapidly changing consumers' desires. I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various paths to enable producer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viewers by planning events for food service products offline beyond the boundary of online communication. This plan will be a new marketing strategy that leads to food product promotion of participant food service companies and purchase by consumers. As a new distribution system, MCN is connected with direct purchase by consumers beyond various contents and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sectors including producers, viewers,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this way, a virtuous circulation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high quality food-related contents by boosting advertisement and incidental prof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MCN(Multi-Channel Network)콘텐츠 속성’ 중 ‘창의성’, ‘욕구반영도 ’, ‘유용성’요인이 ‘진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욕구반영도’, ‘사회적공헌’요인이 ‘정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반영도’, ‘유용성’요인은 ‘유희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반영도’, ‘시의성’, ‘유용성’요인은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CN 콘텐츠 ‘이용동기’ 중 ‘진정성’, ‘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요인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음식관련 콘텐츠 또는 외식상품의 콘텐츠를 빠르게 진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다채로운 조리법과 최신 식문화 트랜드 등을 중심으로 기획・제작하고, 온라인의 경계를 너머 오프라인에서의 외식상품 관련 행사를 기획하여 시청자와 제작자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획은 함께 참여한외식기업의 상품 홍보와 구매로 이어지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될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콘텐츠와온라인-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 소비자의 직접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MCN은 외식시장의 새로운유통시스템으로서 제작자와 시청자, 외식산업을 비롯한 유관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를통해 광고 및 부대수익을 증대해 고품질의 음식관련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MCN(Multi-Channel Network)콘텐츠 속성’ 중 ‘창의...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MCN(Multi-Channel Network)콘텐츠 속성’ 중 ‘창의성’, ‘욕구반영도 ’, ‘유용성’요인이 ‘진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욕구반영도’, ‘사회적공헌’요인이 ‘정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반영도’, ‘유용성’요인은 ‘유희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반영도’, ‘시의성’, ‘유용성’요인은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CN 콘텐츠 ‘이용동기’ 중 ‘진정성’, ‘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요인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음식관련 콘텐츠 또는 외식상품의 콘텐츠를 빠르게 진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다채로운 조리법과 최신 식문화 트랜드 등을 중심으로 기획・제작하고, 온라인의 경계를 너머 오프라인에서의 외식상품 관련 행사를 기획하여 시청자와 제작자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획은 함께 참여한외식기업의 상품 홍보와 구매로 이어지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될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콘텐츠와온라인-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 소비자의 직접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MCN은 외식시장의 새로운유통시스템으로서 제작자와 시청자, 외식산업을 비롯한 유관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를통해 광고 및 부대수익을 증대해 고품질의 음식관련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정아, "호텔 블로그 특성과 블로그 이용자 태도 간의 영향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 (26): 211-225, 2017

      2 문효진, "한류 인기 요인과 호감도 및 국가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일본,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6 (16): 247-280, 2012

      3 최규신, "특급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의 관계 : 서울지역 특급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02

      4 전방지, "콘텐츠 창조와 플로우:동영상 UCC 이용 동기" 한국콘텐츠학회 8 (8): 222-235, 2008

      5 최 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인터넷이용동기와 사용에 관한 연구" (8) : 116-154, 2001

      6 양원석, "지상파 양방향 데이터방송 콘텐츠서비스의 시청자 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7 박상수, "중국 웨이보(微博) 사용자의 이용특성과 이용충족에 관한 연구" 아태지역연구센터 40 (40): 111-142, 2017

      8 박성희, "인터넷 이용 동기와 이용 행태 간 상관관계에 대한 탐색적 비교 연구: 한국과 미국의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43-270, 2004

      9 김강석,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 진단, MCN을 중심으로" 4 : 2016

      10 박노현, "인터넷 광고가 웹사이트 태토,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패밀리 레스토랑 홈페이지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1 (11): 115-132, 2002

      1 전정아, "호텔 블로그 특성과 블로그 이용자 태도 간의 영향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 (26): 211-225, 2017

      2 문효진, "한류 인기 요인과 호감도 및 국가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일본,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6 (16): 247-280, 2012

      3 최규신, "특급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의 관계 : 서울지역 특급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02

      4 전방지, "콘텐츠 창조와 플로우:동영상 UCC 이용 동기" 한국콘텐츠학회 8 (8): 222-235, 2008

      5 최 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인터넷이용동기와 사용에 관한 연구" (8) : 116-154, 2001

      6 양원석, "지상파 양방향 데이터방송 콘텐츠서비스의 시청자 만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7 박상수, "중국 웨이보(微博) 사용자의 이용특성과 이용충족에 관한 연구" 아태지역연구센터 40 (40): 111-142, 2017

      8 박성희, "인터넷 이용 동기와 이용 행태 간 상관관계에 대한 탐색적 비교 연구: 한국과 미국의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43-270, 2004

      9 김강석,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 진단, MCN을 중심으로" 4 : 2016

      10 박노현, "인터넷 광고가 웹사이트 태토,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패밀리 레스토랑 홈페이지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1 (11): 115-132, 2002

      11 박광순, "이러닝(E-learning) 이용동기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5-40, 2006

      12 경향신문, "음식예능, ‘쿡방’ 꺽이고혼먹방 뜬다"

      13 이영록, "외식업체 비정규직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조직신뢰 및 상사신뢰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3

      14 고문정,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다중채널네트워크(MCN)에 관한 연구, 개인 영상창작과 기업 자본의 결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5 정현수, "아프리카TV의 상호작용성에 관한연구" 서강대학교 2017

      16 김기진, "스마트폰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이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친숙도와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 (20): 61-81, 2011

      17 곽승완,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외식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57-76, 2016

      18 차혜미,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수용자의 시청동기, 시청태도 및 만족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19 박혜경, "방송 콘텐츠 중심 N스크린 서비스의 이용 동기에 따른 장르 선호도 분석"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4

      20 이동현, "미디어스포츠의 시청동기와 수용태도에 따른 스포츠 참가 및 스포츠 가치관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21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콘텐츠산업동향(2015년 19호)이슈"

      22 미디어자몽, "라이브, 푸드, 여행, 팟캐스트 등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박차"

      23 임성택, "동영상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즐거움과 브랜드 애착이 BPL(Brand Placement)효과에 미치는 영향 :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17-29, 2009

      24 반현, "동영상 UCC 제작자, 단순이용자 그리고 비이용자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개혁 확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407-436, 2007

      25 이승환, "동영상 UCC 제작 참여 동기와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18) : 73-88, 2010

      26 김한나, "동영상 UCC 이용에 대한 연구 : 이용과 충족,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7 강재원, "대학생들의 동영상 UCC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TPB-TAM 통합 모델 적용" 한국언론학회 53 (53): 187-208, 2009

      28 강경희, "다중채널네트워크(MCN)산업의1인 창작콘텐츠 속성이 이용자 만족도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29 황순학,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비즈니스의 수익 모델과 마케팅 전략: 국내 MCN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7-24, 2017

      30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정보, 1인미디어로 소통한다!"

      31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121-, 2010

      32 한국전파진흥협회, "국내외 MCN산업 동향 및 기업 실태 조사 보고서" 1-, 2016

      33 이영주,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 특성과 광고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96) : 68-103, 2016

      34 최명호, "개인방송 서비스 동향과 전망" 33 (33): 64-70, 2016

      35 유튜브, "[DIATV] 2017 DIA TV X NAVER 푸드! 푸드크리에이터에 도전해보세요!"

      36 박현정, "WiBro(휴대인터넷) 서비스 특성이이용동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37 Gardner, J, "What's new about new media? How multi-channel networks work with content creators" 59 (59): 293-302, 2016

      38 김형재, "UCC 사이트의 특성이 이용동기 및 이용의도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39 Ferguson, D. A.,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44 (44): 155-174, 2000

      40 이경미, "TV패션모델 오디션 프로그램 수용자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41 김건휘, "TV요리프로그램의 시청동기, 시청태도, 시청만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11) : 28-39, 2016

      42 Trammell, K. D., "Rzeczpospolita blogow republic of blog, examining polish bloggers through content analysis" 11 (11): 702-722, 2006

      43 Papacharissi, Z., "Predictors of internet use" 44 (44): 175-197, 2000

      44 박재상, "MCN(다중채널네트워크)콘텐츠이용 동기가 시청자 수용 행동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7

      45 정혜미, "MCN(multi-channel network)의성장에 따른 동영상 콘텐트 산업 생태계분석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46 김치호(Kenneth Chi Ho Kim),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학회 (40) : 167-187, 2016

      47 김희경, "MCN 비즈니스에서 BJ와 동영상 플랫폼에 대한 현행법 적용 가능성 분석" 한국방송학회 (95) : 9-34, 2016

      48 서영화, "IPTV 특성이 IPTV 이용동기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49 Jenkins, H.,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 new media collide" nyu press 2006

      50 McQuail, D., "Communication models for the study of mass communication" longman 1974

      51 Lenhart, A., "Bloggers : A portrait of the Internet's New Storytellers"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2006

      52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 behaivor, an introduction theory & research" addison, wesley 1975

      53 IT조선, "2017 푸드 크리에이터 공모전’ 시상식 개최"

      54 매일경제, "1인 방송이 뜬다. MCN(다중채널네트워크)사업 각광"

      55 강혜영, "1인 미디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HT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 (KHTA) KCI등재
      2015-05-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Academic Society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KJH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2 2.62 2.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8 2.64 3.073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