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면세점 물리적 환경이 고객감정반응, 한국 관광 쇼핑이미지 및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 Impact of physical environments on duty-free shop patrons’ emotional responses and purchasing behaviors : Examining inbound Chinese tourists’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opping is the core aspect of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rs. Particularly, Chinese travelers are big buyers in the international shopping industry. As the growth of the Chinese tourists overseas travels, For the purpose of shopping tourists also increased.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such Chinese travelers’ post-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duty-free shop context.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uty-free shop atmospherics on Chinese travelers’ emotional responses,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this research, the duty-free shop's physical environments are divide into ambient cues, design cues, and social cues three part in this research. An Internet-bas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AMOS and SPSS were used as data analysis tools.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included an adequate level of prediction ability for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addition,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generally supported.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the duty-free shop industry.
      번역하기

      Shopping is the core aspect of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rs. Particularly, Chinese travelers are big buyers in the international shopping industry. As the growth of the Chinese tourists overseas travels, For the purpose of shopping tourists als...

      Shopping is the core aspect of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rs. Particularly, Chinese travelers are big buyers in the international shopping industry. As the growth of the Chinese tourists overseas travels, For the purpose of shopping tourists also increased.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such Chinese travelers’ post-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duty-free shop context.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uty-free shop atmospherics on Chinese travelers’ emotional responses,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this research, the duty-free shop's physical environments are divide into ambient cues, design cues, and social cues three part in this research. An Internet-bas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AMOS and SPSS were used as data analysis tools.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included an adequate level of prediction ability for intention to revisit the duty free shop, image of Korea as a shopping destination, and shopping involvement. In addition,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generally supported.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offer valuable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the duty-free shop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쇼핑이란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할 때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활동이다. 특히, 한국 방문 기간중 면세점에서 발생하는 중국 관광객의 구매행동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은 면세점의 발전과 생존,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면세점의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위해 면세점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과 관광객의 감정반응이 한국 쇼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을 주변요인, 디자인요인 그리고사회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조사대상은 한국 면세점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중국 관광객으로 선정하였고, 인터넷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AMOS와 SPSS20.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회수된 235부 중, 분석이 가능한 23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주변요인과 사회요인은 관광객의 감정반응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디자인요인은 부분적으로 중국 관광객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의 즐거움과 환기는 한국 쇼핑관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영향을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관광객이 인지하는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바탕으로 제안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은 결론에서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쇼핑이란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할 때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활동이다. 특히, 한국 방문 기간중 면세점에서 발생하는 중국 관광객의 구매행동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면세점의 ...

      쇼핑이란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할 때 발생하는 가장 보편적인 활동이다. 특히, 한국 방문 기간중 면세점에서 발생하는 중국 관광객의 구매행동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은 면세점의 발전과 생존,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면세점의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위해 면세점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과 관광객의 감정반응이 한국 쇼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을 주변요인, 디자인요인 그리고사회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조사대상은 한국 면세점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중국 관광객으로 선정하였고, 인터넷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AMOS와 SPSS20.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회수된 235부 중, 분석이 가능한 23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주변요인과 사회요인은 관광객의 감정반응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디자인요인은 부분적으로 중국 관광객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의 즐거움과 환기는 한국 쇼핑관광이미지와 쇼핑관여도에 영향을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관광객이 인지하는 면세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바탕으로 제안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은 결론에서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현식, "호텔레스토랑의 분위기가 감정반응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91-106, 2009

      2 최승만, "호텔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지각이 감정 반응,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3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출판사 2013

      4 권명옥, "항공사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A항공사를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19 (19): 1-30, 2015

      5 김민숙, "한국서비스기업의 시장지향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역통상학회 14 (14): 51-81, 2014

      6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7 조성호, "패밀리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감정반응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4 (34): 363-385, 2010

      8 이만용, "이슈 분석, 중국계 은행들의부상, 잠재력과 과제-시장 가치 상승했으나 리스크 관리능력은 미흡" 33 (33): 6-8, 2009

      9 양길승, "음식축제의 물리적 환경과 지역이미지와의 관계에서 관계품질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93-107, 2015

      10 이지훈, "온·오프라인 매장 쇼핑고객의 지배력, 환기, 즐거움 등 감정요인간의 인과관계와 이들 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6 (16): 89-123, 2011

      1 주현식, "호텔레스토랑의 분위기가 감정반응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91-106, 2009

      2 최승만, "호텔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지각이 감정 반응,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3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출판사 2013

      4 권명옥, "항공사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A항공사를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19 (19): 1-30, 2015

      5 김민숙, "한국서비스기업의 시장지향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역통상학회 14 (14): 51-81, 2014

      6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7 조성호, "패밀리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감정반응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4 (34): 363-385, 2010

      8 이만용, "이슈 분석, 중국계 은행들의부상, 잠재력과 과제-시장 가치 상승했으나 리스크 관리능력은 미흡" 33 (33): 6-8, 2009

      9 양길승, "음식축제의 물리적 환경과 지역이미지와의 관계에서 관계품질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93-107, 2015

      10 이지훈, "온·오프라인 매장 쇼핑고객의 지배력, 환기, 즐거움 등 감정요인간의 인과관계와 이들 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6 (16): 89-123, 2011

      11 장애옥, "예술관광 체험에서 감정반응의 역할, 제주 난타 공연을 중심으로" 69 (69): 285-296, 2011

      12 한국면세점합회, "연도별통계"

      13 배재권, "소셜 게임 이용자의 자기결정성요인, 감정반응요인 및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1 (11): 55-80, 2013

      14 김성수, "서비스관계에 따라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감정반응 및 명성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15 우석봉, "부산지역 쇼핑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07

      16 김가령, "부산지역 면세점의 물리적 특성과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 (20): 87-102, 2008

      17 김원겸, "백화점의 물리적환경, 고객의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의 관계: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761-770, 2012

      18 김기현, "방한 외국인 쇼핑관광 서비스품질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181-196, 2014

      19 이유재,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업종간 비교" 13 (13): 61-86, 1998

      20 김창수, "문화관광 축제이벤트의 평가모형 연구" 23 : 73-90, 2005

      21 유창조, "매장의 특징, 매장 내 감정 및 쇼핑 행위에 관한 구조적 연구" 12 (12): 1-27, 1997

      22 정재완, "국내외여행객의 시내면세점 활용과 그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37 (37): 73-95, 2012

      23 김태희, "고급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7 (17): 71-85, 2008

      24 윤성준, "고객의 지각된 쇼핑경험에 대한 마케팅 이론적 접근" 한국마케팅학회 10 (10): 95-131, 2008

      25 LeHew, M. L. A., "Tourist shoppers' satisfaction with regional shopping mall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e" 1 (1): 82-96, 2007

      26 Davis, T. R.,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offices" 9 (9): 271-283, 1984

      27 Baker, J.,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store image" 22 (22): 328-339, 1994

      28 Baker, J., "The Service Challenge, Integrating for Competitive Advantag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79-84, 1987

      29 Donovan, R. J., "Store atmosphere & purchasing behavior" 70 (70): 283-294, 1994

      30 Donvovan, R. J.,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58 : 34-57, 1982

      31 Carmines, E., "Social measurement" Sage 1981

      32 Timothy, D. J., "Shopping tourism, retailing, & leisure ,(Vol. 23)" Channel View Publications 2005

      33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15

      34 Marsh, H. W., "Goodness of fi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35 Bergadaa, M., "Enduring involvement with shopping" 135 (135): 17-25, 1995

      36 Timothy, D. J., "Cross-border shopping, A North American perspective" 22 (22): 16-34, 1995

      37 Russell, J. A., "Core affect, prototypical emotional episodes, &other things called emotion, dissecting the elephant" 76 (76): 805-, 1999

      38 Ward, J. C., "Control &affect, the influence of feeling in control of the retail environment on affect, involvement, attitude, & behavior" 54 (54): 139-144, 2001

      39 Balabanis, G., "Consumer attitudes towards multi-channel retailers' Web sites, The role of involvement, brand attitude, Internet knowledge & visit duration" 18 (18): 105-, 2001

      40 Turley, L. W., "Atmospheric effects on shopping behavior,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evidence" 49 (49): 193-211, 2000

      41 Mehrabian, A.,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The MIT Press 1974

      42 Massara, F., "Adapting to a retail environment, Modeling consumer, environment interactions" 63 (63): 673-681, 2010

      43 Namasivayam, K., "Accounting for temporality in servicescape effects on consumers' service evaluations" 7 (7): 5-22, 2005

      44 Westbrook, R. A., "A motivation-based shopper typology" 61 (61): 78-103, 1985

      45 최영수, "(쇼핑·관광·한류의 최전선) 면세점 이야기" 미래의창 2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HT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 (KHTA) KCI등재
      2015-05-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Academic Society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KJH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호텔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2 2.62 2.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8 2.64 3.073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