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The Longitudinal Effect of the Creative-Fostering Program for Pre-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8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증진에 단기종단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차년도에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창의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50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연구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36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31명, 총 67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반복측정분석을 적용하였다. 첫째,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 증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증진에 단기종단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차년도에는 예비유아...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증진에 단기종단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차년도에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창의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50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연구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36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31명, 총 67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반복측정분석을 적용하였다. 첫째,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 증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해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 조미영, "창의적 문제 해결력 문항의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09-333, 2010

      3 송윤숙,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2 (2): 73-88, 2012

      4 김병찬, "일반대학 학생들의 교직과정 이수 동기 및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3-53, 2003

      5 제경숙,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양성의 방향" 13 (13): 25-40, 2003

      6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21, 2013

      7 이미혜,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1 (61): 281-297, 2010

      8 김경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경험에의 개방성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18, 2011

      9 유수경,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멘티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51-176, 2010

      10 강문숙,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블렌디드 PBL 프로그램 개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333-352, 2012

      1 박해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 조미영, "창의적 문제 해결력 문항의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09-333, 2010

      3 송윤숙,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2 (2): 73-88, 2012

      4 김병찬, "일반대학 학생들의 교직과정 이수 동기 및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3-53, 2003

      5 제경숙,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양성의 방향" 13 (13): 25-40, 2003

      6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1-21, 2013

      7 이미혜,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1 (61): 281-297, 2010

      8 김경은,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경험에의 개방성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18, 2011

      9 유수경,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멘티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51-176, 2010

      10 강문숙,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블렌디드 PBL 프로그램 개발" 과학교육연구소 51 (51): 333-352, 2012

      11 강문숙,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스토리텔링기반 협동학습 모형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115-135, 2011

      12 김순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인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39-363, 2014

      13 남미경,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인식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의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77-198, 2006

      14 성은현, "예비 유아교사의 내외통제성,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31-52, 2005

      15 부성숙, "액션러닝 수업이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29-52, 2014

      16 황신숙, "보육교사의 성취목표성향과 교사 효능감 및 교직 헌신도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7 김현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2 (2): 111-128, 2006

      18 장경원,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331-355, 2008

      19 김성재,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수업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261-284, 2011

      20 Kaufmann, G., "What to measure? A new look at the concept of creativity" 47 (47): 235-251, 2003

      21 Lubart, T. I., "The psychology of problem solv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7-148, 2003

      22 Hennessey, B. A.,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38, 1988

      23 Wiggins, R. A., "The impact of a field immersion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in culturally diverse classrooms" 23 (23): 653-663, 2007

      24 Pannells, T. C., "The effects of training preservice teacher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lassroom management" University of Oklahoma 2011

      25 Wubbels, T., "The effects of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paration of reflective teachers" 16 (16): 29-43, 1990

      26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27 Chang, C. H.,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28 Caprara, G. V., "Teachers’self-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 A study at the school level" 44 (44): 473-490, 2006

      29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17): 783-705, 2001

      30 Guskey, T. R., "Teacher efficacy :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31 (31): 627-643, 1994

      31 Betoret, F. D., "Stressors, self-efficacy, coping resources, and burnout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ain" 26 (26): 519-539, 2006

      32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33 Cropley, A. J.,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Elsevier Science, Programon 485-498, 2000

      34 Klassen, R. M., "Exploring the validity of the Teachers’ Self-Efficacy Scale in five countries" 34 (34): 67-66, 2009

      35 Caprara, G. V.,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95 (95): 821-832, 2003

      36 Klassen, R. M., "Effects on Teachers’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Teacher Gender, Years of Experience, and Job Stress" 102 (102): 741-756, 2010

      37 Skaalvik, E. M., "Dimensions of teacher self-efficacy and relations with strain factors,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99 (99): 611-625, 2007

      38 Mathisen, G. E., "Creative self-efficacy : An intervention study" 48 (48): 21-29, 2009

      39 Treffinger, D. J.,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Prufrock Press 2000

      40 교육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