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유아 미디어 중독 예측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for Infant Media Addiction Through Text Mining and Data Mi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5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과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유아 미디어 중독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각 포털 사이트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키워드...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과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유아 미디어 중독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각 포털 사이트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키워드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중독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터넷, 유아, 게임, 스마트폰, 교육, 예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중요 토픽으로 중독유형, 중독원인, 중독대처, 장애, 신체증상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성분석을 통하여, 긍정적 요인은 교육, 예방, 지원, 자기조절력이 나타났고, 부정적 요인으로 게임, 스마트폰, 폭력, 유해물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이해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미디어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할 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variables of predicting child’s media addiction through analyzing the text mining and the data mining. For this, the key-word analysis,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nd the sentiment analysis were car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variables of predicting child’s media addiction through analyzing the text mining and the data mining. For this, the key-word analysis,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nd the sentim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after collecting materials from each portal site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first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ddi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Internet, infants, games, smartphones, education, and prevention. Next,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jor topics were addiction type, addiction cause, addiction countermeasure, disability, and physical symptoms. Finally, through sentiment analysis, positive factors were education, prevention, support, and self-regulation, and negative factors were games, smartphones, violence, and harmful substances. These findings have a significance in that offered basic data available for preventing and mediating the media addiction through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imary factors influencing child’s media addi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근하,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미래예측 방법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2 정정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누리과정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389-406, 2017

      3 조준오, "유아의 정보윤리의식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관계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4 신수경,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정도 간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2 (32): 91-111, 2014

      5 강연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박소영,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7 김보라, "유아의 미디어 이용시간 실태와 자기조절력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28 (28): 567-581, 2019

      8 김병만,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7-78, 2016

      9 조준오, "유아 정보윤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73-93, 2008

      10 조준오,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99-530, 2014

      1 정근하,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미래예측 방법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2 정정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누리과정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389-406, 2017

      3 조준오, "유아의 정보윤리의식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구조관계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4 신수경,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조절능력과 휴대폰중독 정도 간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2 (32): 91-111, 2014

      5 강연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박소영,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7 김보라, "유아의 미디어 이용시간 실태와 자기조절력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28 (28): 567-581, 2019

      8 김병만,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7-78, 2016

      9 조준오, "유아 정보윤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73-93, 2008

      10 조준오, "유아 미디어 중독 관찰자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99-530, 2014

      11 홍광표, "유아 미디어 및 인터넷 중독 경향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69-491, 2015

      12 조준오, "예비보육교사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15-139, 2015

      13 최현석, "영유아 스마트폰 이용 규제조항 구체화 필요"

      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어린이집·유치원서 스마트폰·인터넷 중독 예방교육"

      15 박영석, "스마트폰 바른 사용 서약 … 울산 평산초, 청정학교 캠페인"

      16 김환남,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4 (14): 127-153, 2014

      17 송태민,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터넷 중독 위험예측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106-134, 2014

      18 조준오, "생태체계 변인이 유아 인터넷 게임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59-386, 2014

      19 김경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부모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41-758, 2017

      20 강승지,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45-72, 2017

      21 이효림, "빅데이터를 통한 유보통합의 방향 탐색: 물결 21 코퍼스[2000-2013]의 활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51-76, 2017

      22 김영옥, "빅데이터 관련연구의 현황과 한국 유아교육학의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81-206, 2016

      23 허영주, "복잡계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 교육연구의 보완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안암교육학회 17 (17): 5-31, 2011

      24 심임섭, "복잡계로서 학습체계 : 모형화, 시뮬레이션, 적용"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25 이기홍, "복잡계과학의 사회적 응용에 대한 단상" 삼성경제연구소 112-116, 2006

      26 마셜 맥루언(McLuhan, M.),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27 권승혁, "디지털 콘텐츠 중독과 관련된 두뇌 영역 : 인터넷과 비디오게임 중독자의 뇌영상을 중심으로" 4 (4): 11-20, 2014

      28 박창현, "누리과정 정책 수요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워드 클라우드와 의미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3-91, 2017

      29 김보연,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2

      30 Murzintcev Nikita, "ldatuning:Tuning of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models parameters. R package version 0.2-0"

      31 Griffiths, M., "Technological addictions" 76 : 14-19, 1995

      32 Brenner, V.,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VLL. Parameters of internet use, abuse and addiction: The first 90 days of internet usage survey" 80 : 879-882, 1997

      33 Bronfenbrenner, U., "Ecological of Human Development" Harrard University Press 1979

      34 Griffiths, M., "Dependence on computer games by adolescents" 82 (82): 475-480, 1998

      35 정천구, "21세기 사회현상과 복잡계 이론"

      3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37 미래창조과학부, "2016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38 미래창조과학부,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