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비대면 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들의 주관적인 인식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Q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9560
2022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25-359(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비대면 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들의 주관적인 인식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Q ...
본 연구는 청소년 비대면 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들의 주관적인 인식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했으며 최종 선정된 29개의 Q 표본으로 21명의 P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P 표본에 의해 분류된 Q 분류 자료들은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은 4가지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청소년의 비대면 상담 접근성 긍정형, 유형 2는 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비윤리성 우려형, 유형 3은 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한계 인식형, 유형 4는 상담자의 비대면 상담 피로형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학교상담 현장에서의 비대면 상담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수연, "화상상담 매뉴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2 고대곤 ; 남윤희, "화상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집단 상담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7 (7): 213-223, 2007
3 이재열, "한국의 사회동향 2020" 통계청 2020
4 황매향 ; 황희산,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한국상담학회 21 (21): 219-245, 2020
5 세계일보, "코로나로 교사·또래 관계망 붕괴.. 청소년 정신건강 빨간불"
6 임진영 ; 이재용 ; 김은향,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학교상담의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1 (21): 1-16, 2022
7 고성원 ; 권경인, "코로나19 팬더믹 위기로 인한 비대면(화상) 상담에서 상담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55-273, 2021
8 홍지선 ; 박은정 ; 박민선,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 경험 연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21-50, 2021
9 윤소민,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83-201, 2021
10 이소정, "코로나(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및 비대면 학생상담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1 소수연, "화상상담 매뉴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2 고대곤 ; 남윤희, "화상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집단 상담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7 (7): 213-223, 2007
3 이재열, "한국의 사회동향 2020" 통계청 2020
4 황매향 ; 황희산,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한국상담학회 21 (21): 219-245, 2020
5 세계일보, "코로나로 교사·또래 관계망 붕괴.. 청소년 정신건강 빨간불"
6 임진영 ; 이재용 ; 김은향,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학교상담의 방향과 과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1 (21): 1-16, 2022
7 고성원 ; 권경인, "코로나19 팬더믹 위기로 인한 비대면(화상) 상담에서 상담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55-273, 2021
8 홍지선 ; 박은정 ; 박민선,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 경험 연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21-50, 2021
9 윤소민,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83-201, 2021
10 이소정, "코로나(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및 비대면 학생상담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11 한혜원 ; 이정민,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코로나19에 따른 학생들의 어려움과 비대면 상담 장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60 (60): 51-66, 2021
12 소수연 ; 백정원 ; 이지은 ; 이수림 ; 김지훈 ; 정진영, "청소년상담자의 화상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9 (29): 347-366, 2021
13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이슈페이퍼" 2020
14 김동일 ; 김은향, "청소년 상담: 지금 여기에서 발자취를 돌아보며, 나아갈 길을 다시 묻다" 한국상담학회 23 (23): 43-52, 2022
15 서선아 ; 한재희, "청소년 사이버상담자의 심리적 적응과정 분석" 한국상담학회 17 (17): 21-36, 2016
16 류은희 ; 박주영 ; 허현영, "청소년 사이버상담에 대한 사이버상담자의 심리적 경험"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71-297, 2016
17 제영수 ; 조항,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법제도 관련 요구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학회 21 (21): 49-67, 2020
18 이동훈 ; 김주연 ; 김진주,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543-582, 2015
19 박영숙, "세계미래보고서 2021: 포스트 코로나 특별판" 비즈니스북스 2021
20 한수진 ; 이지연 ; 김태선, "상담전공 교사가 지각한 학교 상담의 어려움" 한국상담학회 14 (14): 1309-1326, 2013
21 임은미, "사이버상담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22 이재훈, "사이버대학의 상담 서비스 품질 수준이 학습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생상담센터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23 국립정신건강센터, "비대면 심리지원(상담) 매뉴얼"
24 정미라 ; 이송이,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의 주관성 연구" 한국코칭학회 14 (14): 101-127, 2021
25 이윤희 ; 김경민 ; 이상민, "비대면 상담 윤리강령 기초 연구" 한국상담학회 22 (22): 77-106, 2021
26 김윤하, "북미거주 한인들의 온라인 상담 이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27 서미아 ; 김지선, "가족상담사의 비대면 화상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여-" 한국가족치료학회 28 (28): 451-470, 2020
28 Ritterband, S. M. B. L., "Using the Internet to teach parents and children about constipation and encopresis" 26 (26): 283-295, 2001
29 Frueh, B. C., "Therapist adherence and competence with manualiz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PTSD delivered via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31 (31): 856-866, 2007
30 Andersson, 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internet-bas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distress associated with tinnitus" 64 (64): 810-816, 2002
31 길병옥,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32 김흥규, "Q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08
33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종합 활용"
34 Robson, D., "Intimacy and Computer Communication" 26 : 33-41, 1998
35 Andersson, G., "Internet-delivered psychological treatments" 12 : 157-179, 2016
36 Bouchard, S., "Delivering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in videoconference" 10 (10): 13-25, 2004
37 여성가족부, "2021 청소년 통계 보도자료"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특성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육영공원(育英公院)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과 입원 동기: 그들은 왜 새로운 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는가?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 및 학업 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