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extless Picture Books in the Age of Digital Images: Focusing on Exploratory Considerations on Homo Imag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6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in the era of digital images, focusing on an exploratory study on ‘Homo Imago,’ a ‘human who can think in images.’ To this end, Chapter II tri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in the era of digital images, focusing on an exploratory study on ‘Homo Imago,’ a ‘human who can think in images.’ To this end, Chapter II tried to examine the concept focusing on the etymology of ‘Image,’ and Chapter III the understanding of human perception according to visual theory and media After an exploratory study on Homo Imago, Chapter IV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review on Homo Imago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in the digital image era. Finally, in Chapter V,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picture books without text, we tri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how to view wordless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By examining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a philosophical forum for rethinking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연, "흄(D. Hume)의 취미의 기준과 미학" 한국동서철학회 (42) : 183-204, 2006

      2 위키 인용집, "홍수에 목이 말라 죽는다"

      3 네이버 표준어국어대사전, "호모파베르"

      4 이미용 ; 조열,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70-381, 2003

      5 최효찬, "하이퍼리얼 쇼크 : 이미지는 어떻게 세상을 지배하는가?" ㈜블루마운틴소프트 2011

      6 우정길, "포스트휴머니즘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능과 욕망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75-99, 2018

      7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8 김은진, "키즈 크리에이터 콘텐츠 수용 행태 연구 : 보람튜브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5 (65): 114-161, 2021

      9 Schwab, K., "클라우스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새로운 현재 2016

      10 진정일, "칸트의 무관심성에 관한 한 연구" 대한철학회 97 : 339-358, 2006

      1 김준연, "흄(D. Hume)의 취미의 기준과 미학" 한국동서철학회 (42) : 183-204, 2006

      2 위키 인용집, "홍수에 목이 말라 죽는다"

      3 네이버 표준어국어대사전, "호모파베르"

      4 이미용 ; 조열,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70-381, 2003

      5 최효찬, "하이퍼리얼 쇼크 : 이미지는 어떻게 세상을 지배하는가?" ㈜블루마운틴소프트 2011

      6 우정길, "포스트휴머니즘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능과 욕망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75-99, 2018

      7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8 김은진, "키즈 크리에이터 콘텐츠 수용 행태 연구 : 보람튜브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5 (65): 114-161, 2021

      9 Schwab, K., "클라우스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새로운 현재 2016

      10 진정일, "칸트의 무관심성에 관한 한 연구" 대한철학회 97 : 339-358, 2006

      11 Kittler, F, "축음기, 영화, 타자기 [Grammophon, film, typewriter]" 문학과 지성사 2019

      12 신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13 Deleuze, G., "차이와 반복 [Différence et répétition]" 민음사 2004

      14 주형일, "직관적 앎의 기호학적 적용의 문제: 외국인을 위한 한국 홍보포스터의 도상해석학적 해석" 인문과학연구소 (55) : 503-538, 2008

      15 이경우, "좋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력 개발 :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 1998

      16 박현주, "종이 책·전자 책의 경험과 활용시간 제한이 유아의 확산적 사고 및 읽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7 최은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상상력 개발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2 : 95-126, 2018

      18 윤혜영, "인터렉티브 그림책의 독자 개입 연구 : 서사적 기능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9 천현득,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한국철학회 (131) : 217-243, 2017

      20 서명석, "인격교육담론의 재-평가" 한국인격교육학회 4 (4): 23-45, 2010

      21 Chatman, S., "이야기와 담화 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호모루덴스 2019

      22 홍성훈, "이미지의 재맥락화를 통한 현대사회의 정형화된 가치에 대한 유희적 표현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6

      23 송종인 ; 박치완, "이미지의 이중성과 복합성: 이미지텔링, 그 이론적 토대 마련을 위한 시론"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8) : 137-167, 2012

      24 송태현, "이미지와 상징" 라이트 하우스 2005

      25 홍명희, "이미지와 상상력의 존재론석 위상" 한국프랑스학회 (49) : 421-440, 2005

      26 김병선, "이미지와 기억" 새물결 2018

      27 형 일,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8

      28 우성주, "이미지로 생각하는 인간 호모 이마고" ㈜한언 2013

      29 유평근, "이미지" 살림 2005

      30 임경심 ; 김수향 ; 홍혜경,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203-221, 2014

      31 정지용, "유아용 뉴미디어 콘텐츠의 재미 요소"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0-52, 2018

      32 이지연,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29) : 65-87, 2021

      33 문주희 ; 유구종 ; 김은아, "유아 스마트그림책 제작․활용 방안 모색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85-213, 2012

      34 박혜숙, "예술로서의 그림책 연구"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14) : 187-216, 2017

      35 박수현, "영화적 상상력의 현실화, 모터로이드 콘셉트"

      36 모아라,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한 부모의 걱정 탐색"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8 (18): 691-698, 2017

      37 소영희, "연속적 시지각경험을 기초로 한 경관분석과 환경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고속도로 휴게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9

      38 임홍남 ; 김은주, "어원으로 살펴본 ‘아름다움’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41-562, 2017

      39 백민제, "어린이가 출연하는 유튜브 콘텐츠 보호에 대한 연구 : 유튜브 키즈 콘텐츠와 키즈 유튜버를 중심으로" 한국연기예술학회 23 (23): 247-264, 2021

      40 강은진, "어린이 전자그림책의 교육적·문학적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19-143, 2014

      41 이상우, "어도비, 인공지능과 기술로 ‘모두를 위한 창의성’ 제공한다"

      42 한우섭, "시뮬라시옹과 상상력" 11 : 152-177, 2006

      43 Baudrillard, J., "시뮬라시옹 [Simulacres et simulation]" 민음사 2012

      44 이창호, "시각적 문해 활동이 아동의 시각적 문해력과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45 김세리, "시각과 이미지" 이담북스 2013

      46 심향분, "소리 없는 책 : 글의 장벽을 넘어 소통하는 글 없는 그림책" 45 (45): 211-216, 2020

      47 Root-Bernstein, R., "생각의 탄생 [Sparks of Genius: 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에코의 서재 2007

      48 이경민, "새로운 시대 인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 4차 산업혁명시대와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137-156, 2017

      49 김성숙 ; 임부연, "상상적 이미지 중심의 내러티브 교육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상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8) : 83-106, 2011

      50 이하영, "상상력 중심의 교육과정 고찰: 초등 국어과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73-197, 2015

      51 네이버 표준어국어대사전, "상상력"

      52 Harari. Y. N., "사피엔스 [Sapiens :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김영사 2015

      53 Judith Wilde, "비주얼 리터러시2" 국제 1994

      54 한우진,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한국가톨릭철학회 (26) : 137-166, 2016

      55 심혜련,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아우라(Aura)개념에 관하여" 12 (12): 145-176, 2001

      56 양지원 ; 김종기 ; 김회용, "바슐라르의 상상력과 이미지가어린이 상상력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과학교육연구소 57 (57): 64-78, 2018

      57 노영덕, "미학의 발견" 미진사 2021

      58 박지원 ; 김회용, "미래교육을 위한 상상력: Vygotsky의 이론 및 정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3 (23): 31-53, 2017

      59 McLuhan, M.,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60 Bachelard, G., "물과 꿈" 문예출판사 2004

      61 김희경, "문화콘텐츠에서 상징적 이미지의 역할" 인문과학연구소 34 (34): 177-195, 2007

      62 이경우, "문학 중심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2 (2): 205-220, 1998

      63 안병순, "무용심상을 통한 신체지각과 창의적 사고의 관계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30-137, 2013

      64 문철 ; 이유림, "몽타주 이론을 근거로 한 글 없는 그림책의 사실적인 연속성 - 데이비드 위즈너의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189-201, 2015

      65 차상희, "몬테소리 유아상상력 교육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51-72, 2014

      66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메타버스"

      67 박나영,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적용한 유아용 앱북의 사용자 행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68 최성수, "말할 수 없는 것은 보여 주도록 한다–매체 및 지각방식의 변화에 따른 영화적 인간이해의 필요성"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7 (47): 123-151, 2015

      69 오민정, "만 5세 유아 학급에서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70 우성주, "라스코 동굴 벽화의 이미지 기호 그룹화 분석"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7) : 113-147, 2010

      71 임영길 ; 최창희, "디지털 시대의 예술과 이미지 변화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399-410, 2011

      72 매일경제용어사전, "디지털 빅뱅 시대"

      73 강주희 ; 이진화,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리좀(Rhizome)특성으로 살펴 본 유아 상상놀이 경험" 교육과학연구소 52 (52): 104-130, 2021

      74 함유진,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감성평가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6

      75 Foucault, M., "담론의 질서 [L’Ordre du discours]" 세창 2020

      76 정낙림, "놀이하는 인간의 철학" 책세상 2017

      77 Hutchens, D., "네안데르탈인의 그림자 [Shadows of the neanderthal: illuminating the beliefs that limit our organizations]" 바다출판사 2008

      78 백설자, "기억에 대한 비유의 유형" 한국독일어문학회 11 (11): 45-69, 2003

      79 김효진, "기술의 시대, 신(新)호모 파베르에 대한 탐색적 고찰 및 유아교육에의 함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1-27, 2021

      80 도기숙, "기술매체의 변화와 새로운 인간학 -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회 49 (49): 191-210, 2008

      81 이대균 ; 백경순, "글없는 그림책의 반복적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 (8): 139-163, 2007

      82 조해연 ; 서정숙 ; 최은영, "글 없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87-109, 2018

      83 유경숙, "글 없는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11 (11): 129-136, 2002

      84 오한나 ; 권오선,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음악표현능력과 시각적 문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105-128, 2020

      85 이수민 ; 이은형 ; 최예린,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동작 활동이 유아의 운동 능력과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61-86, 2018

      86 황연자,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구성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87 윤진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이야기 구조 개념에 미치는 영향" 3 (3): 137-152, 2004

      88 임귀자 ; 서영임,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의미지도 그리기 언어활동이 유아의 읽기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8 (8): 679-702, 2017

      89 최예린 ; 이은형 ; 이하영,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17-142, 2015

      90 유은석,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내러티브 기반 문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91 안은주 ; 이정욱,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53-90, 2018

      92 박지희, "글 없는 그림책에 대한 만 3-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93 이연규, "글 없는 그림책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시각적 문해, 추론, 구두언어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94 안은주, "글 없는 그림책 읽기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95 김명순, "글 없는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20 (20): 103-120, 2000

      96 이연규, "글 없는 그림책 관련 연구동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75-97, 2016

      97 이차숙, "그림책의 시각적 서사 장치 특성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45-167, 2013

      98 현은자, "그림책의 그림읽기" 마루벌 2016

      99 이사라 ; 박순보, "그림책『거울속으로』에 나타난 시뮬라크르 분석"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8 (18): 9-24, 2015

      100 김유라 ; 강현석, "교육과정과 교육목적으로서 상상력의 이해: 내러티브적 접근"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5 (5): 195-218, 2017

      101 신상규, "과학기술의 발전과 포스트휴먼" 15 : 128-151, 2013

      102 네이버 표준어국어대사전, "겨를"

      103 최현철, "건축 공간 인식의 불연속성에 관한 연구" 21 (21): 693-696, 2001

      104 Heidegger, M., "강연과 논문 [Vorträge und Aufsätze]" 이학사 2008

      105 박영현,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유아의 문학적 상상력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106 구혜현 ; 홍희주, "가브리엘 뱅상 그림책「un jour, un chien」의 유아교육적 함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21-31, 2018

      107 계보경, "「디지털 이미지의 시대에서 ‘본다는 것’의 의미와 유아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토론" 50-52, 2017

      108 채희석, "“열린 자아” 표현으로서의 라스코 동굴벽화" 5 : 109-125, 2003

      109 이상봉, "‘헤오르테’(heortē)와 ‘스콜레’(scholē)로서 놀이" 대한철학회 129 : 193-217, 2014

      110 조안 아코첼라, "[무용] 마크 모리스 : 몸과 그 의미" 37 : 183-193, 2002

      111 지영래, "Z세대, 포노 사피엔스, 그리고 프랑스 어문학 교육"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71) : 81-110, 2020

      112 Nodelman, P., "Words about pictures :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88

      113 Arnheim, R., "Visual thin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114 Jalongo, M. R.,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to support emergent literacy" 29 (29): 167-177, 2002

      115 Tuten-Puckett, K.,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 Authors and activities" Teacher’s Ideas Press 1993

      116 Stevenson, L., "Twelve conceptions of imagination" 43 (43): 238-259, 2003

      117 Arnheim, R., "Thoughtson art" The J. Paul Getty Trust 1989

      118 Arlis, S., "Thinking the most convenient analysis of alpha generation by using social science story digital books" 19 (19): 2020

      119 Read, D., "Teaching visual literacy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s" 35 (35): 928-933, 1982

      120 Burns, P. C., "Teaching reading in today's elementary schools" Rand McNally 1976

      121 Raines, S. C., "Stories : children’s literature in early education" Delmar Publishers Inc 1994

      122 Stewig, J. W., "Reading pictures" 9 (9): 70-82, 1989

      123 Marantz, K., "Picture book as art object-call for balanced reviewing" 52 (52): 148-151, 1977

      124 Glazer, J. I.,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Charles E. Merrill 1981

      125 McGee, L. M., "Literacy’s beginning" Allyn and Bacon, Inc 1990

      126 Salinger, T. S., "Literacy for young children" Prentice-Hall 1996

      127 Alinger, T. S., "Literacy for young children" Prentice-Hall 1996

      128 임광국 ; 조상식, "K. Popper의 상상력 개념 고찰과 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7 (37): 155-175, 2015

      129 Jonas, H., "In was ist ein bild?" 105-24(3), 2001

      130 Maxine, B., "Home literacy the natural way"

      131 이상오, "Gaston Bachelard의 “상상력 철학”의 교육학적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161-186, 2009

      132 Elgammal, A., "CAN: Creative adversarial networks generating “art” by learning about styles and deviating from style norms" 2017

      133 Herman, G. B., "Book without words" 151-152, 1976

      134 이유나,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방안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135 Bostrom, N., "A History of Transhumanist Thought"

      136 교육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137 이선경 ; 김경의,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동시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85-20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